덤프버전 :


불 모양 역

부수
나머지 획수


, 12획


총 획수


16획



미배정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イチ, イツ


일본어 훈독


-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1. 개요[편집]


燚은 '불 모양 역'이라는 한자로, 불의 모양[1]을 나타낸다.


2. 상세[편집]


유니코드에는 U+71D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FFFF(火火火火)로 입력한다.

이 글자에 대한 과거 자전의 설명은 《오음편해(五音篇海)》의 "以日切,音亦。火貌。"가 전부이다. 한국의 여러옥편에 실려 있는 '일' 음은 반절법(反切法) 기록("以日切")을 따른 것이고,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의 한한대사전에 실려 있는 '역' 음은 직음법(直音法) 기록("音亦")을 따른 것인데, 해당 운서 기록은 단 하나의 음가를 두 가지 방법으로 기록한 것이고, 반절법(反切法) 기록("以日切")에서 운모(韻母)를 나타내는 반절하자 '日' 자에는 '역'의 음이 존재함이 강희자전상에서 확인되므로[2], 한국의 여러 옥편의 '일' 음은 명백한 오류이다.[3]

글자의 훈이 '불의 모양(火貌)'이지만, 한자에서 '~ 모양'의 훈을 가지는 글자들은 어떤 특정한 상황의 모양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 글자 또한 불의 특정한 모양을 가리킬 텐데 구체적으로 불의 어떤 모양을 가리키는지는 기록이 없어 알 수 없다.

(불 화)가 네 개 있는 한자이다. (불꽃 염), (불꽃 개), (불꽃 염), (불꽃 혁, 불꽃 염)의 업그레이드 버전. 비슷한 걸로 (물 수), 沝(두 갈래 강 추), 㴇(건널 섭), 淼(물 아득할 묘), (큰물 만)이 있다. 더 막장으로는 (용 룡), (나는 용 답), (용이 가는 모양 답), 𪚥(말 많을 절)도 있다.

일상 용어에 쓰인 용례는 없지만 현대에 와서는 간혹 인명이나 기타 고유명사에서 쓰인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 田燚(톈이) - 중국 오디션 프로그램 明日之子 시즌2 출신 가수.


3.4. 지명[편집]




3.5. 기타[편집]


  • 大龙燚(다롱이) - 중국의 훠궈 체인점(#)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03:10:05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크다', '작다'처럼 품사가 형용사라는 의미이다. 한국어를 그대로 해석해서 어떤 모양을 뜻하는 명사로 오해하지 않도록 주의하자.[2] 《집운(集韻)》에 而力切,音眲。이라 하여 '역' 음이 보인다. 반대로 '亦' 자에서는 '일' 음을 찾을 수 없다. 운서에서 이렇게 한 가지 음을 두 가지 다른 방법으로 기록하는 이유는 이처럼 비교를 통해 올바른 음을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3] 이는 《일선》 등 근대 한국 한자 자전들의 오류를 그대로 답습한 것으로, 일본의 한자 사전인 《대한화사전(大漢和辭典)》에서도 같은 오류가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