紅(X JAPAN)
덤프버전 : r20230302
1. 전·현 멤버 및 포지션[편집]
토시 TOSHI: 보컬
히데 HIDE: 기타
파타 PATA: 기타
타이지 TAIJI: 베이스
요시키 YOSHIKI: 드럼
2. 개요[편집]
紅(Kurenai)
일본 록 밴드 X(X JAPAN)의 대표곡 중 하나.
처음으로 앨범에 수록된 것은 1988년의 인디즈 레이블 Extasy Record 에서 발매된 첫 앨범 VANISHING VISION의 영어 버전 Kurenai였다. 이후 메이저 데뷔 첫 싱글로 가사를 일본어로 해서 紅라는 타이틀로 곡이 나오게 된다. 하지만 실제로는 X가 인디즈에서 활동하면서 그 이전부터 계속 연주해 온 듯하다.
초창기 X의 곡답게 사정없이 휘몰아치는 전개의 곡이다. 참고로, 메이저 데뷔 앨범 BLUE BLOOD의 발매는 89년 4월이다. 라이브 버전에는 항상 잔잔한 아르페지오 부분이 끝나고 토시의 "쿠레나이다!!!"하는 강렬한 샤우팅을 감상할 수 있다.
여담으로, YOSHIKI는 이 곡을 버리려고 했었지만 '이런 곡을 살려야 한다'라는 HIDE의 제안으로 남게 되었다는 일화가 있다. [1]
3. 가사[편집]
직접 들어보면 거의 모든 부분이 적절한 몬데그린으로 들린다.
4. 이야깃거리[편집]
메이저 앨범이 3장밖에 안 되는 X인지라 말년까지 라이브에서 레파토리로 계속 활약했다.
△당시 라이브 영상
1994년 12월 31일 도쿄돔 라이브 白い夜에서의 紅가 'X 역사상 가장 빠른 紅로' 유명하다. 초반 아르페지오를 넘기자마자 폭주하는 YOSHIKI의 드럼(갈수록 빨라진다)에 당황하는 멤버들(특히 HEATH. 대놓고 YOSHIKI만 쳐다보고 있다)의 표정과 숨가쁘게 노래하는 Toshl의 애드리브가 볼 만하다. 紅의 라이브는 보통 곡 마지막에 밴드가 잠시 연주를 멈추고 관객들에게 후렴구를 잠깐 넘기는 부분이 나오는데, 이 날 라이브에서는 YOSHIKI가 폭주 후 잠시 쓰러져 다시 연주를 시작할 타이밍을 놓쳐버렸다.
X JAPAN 라이브 영상은 음질이 하나같이 개판인게 특징인데(관객들 함성소리도 원인) 1994년 12월 31일 도쿄돔 라이브 白い夜는 80, 90년대 통틀어서 음질 및 사운드 배분이 아주 잘된 몇 안되는 라이브 중 하나이다. 그렇기 때문에 YOSHIKI의 드럼 폭주가 더 돋보인다.
가사 중 お前を抱く(오마에오 다쿠) 부분이 오마에 오타쿠(너 오타쿠)와 발음이 비슷하여 이 부분만 잘라 매드 무비로 자주 쓰이던 때가 있었다. 또한 '붉게 물든 이 나를(紅に染まったこの俺を - 쿠레나이니 소맛타 코노 오레오)' 이라는 가사 끝부분의 俺を(오레오)를 발음이 비슷한 과자 오레오와 엮어서 붉게 물든 이 오레오(紅に染まったこのオレオ)라는 드립을 치는 경우도 있다.
TJ미디어 쓰는 노래방 가선 부르지 말자. 기타솔로를 완전히 파괴해 놓았다.
5. X JAPAN의 동명의 싱글 앨범[편집]
싱글 紅는 89년 9월에 발매되었다. 컷 아웃 싱글이며 수록곡은 T-Rex의 곡을 커버한 20th Century Boy.
▲20th Century boy의 영상
6. 리듬 게임 수록[편집]
6.1. 태고의 달인 시리즈에 수록[편집]
첫 수록 당시의 보면. 노트 배치가 지금과는 살짝 다른곳이 있다.[3]
오니 전량 영상
J-POP으로 수록되었다. 오니 난이도는 첫 수록 당시 최초의 999콤보. 더불어 와다동의 "900 콤보!" 보이스가 처음 나온 곡이기도 하다. 패턴 자체는 신기체 기준 다른 ★8에 비해서 복잡하지 않지만, 999콤보+길~게 쏟아지는 연타 패턴으로 당시 많은 플레이어들에게 임팩트를 안겨준 곡이었다.
한때는 J-POP 카테고리 내에서 가장 어려운 곡이었으며, 어떤 곡이든 이 콤보수를 넘기지 않는 것이 암묵적 룰로 자리잡고 있었으나 아무래도 리듬게임 시리즈들이 다 그렇듯 난이도 인플레이션으로 노트 수가 1000을 넘는 곡들이 나오면서 의미가 없어졌다. 카테고리 내 최강 자리도 이후 구기판 최초 J-POP ★10이었던 Punishment와 신기판에서 아예 대놓고 J-POP 보스급으로 등장한 Telecastic fake show가 등장하면서 빛이 바래고, 우라보면 등이 나오면서[4] 지금은 '그냥 노트 수 좀 많은 곡' 정도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물론 이것도 어느 정도 실력이 쌓인 사람들 기준이지 만만한 곡은 절대 아니다.
PS 7대째의 모험랜드에선 이곡의 오니 보면에 콤보 트라이얼이 붙었는데, 클리어 조건이 999콤보. 즉 풀콤보하라는 미션이 있다!
지금은 고난이도 곡이라는 인식은 많이 옅어졌지만 실력을 쌓기 위해 반드시 거쳐가야 하는 곡들 중 하나로 꼽히고 있으며, 공식 홈페이지의 '추억의 곡 앙케트'에서 전체 곡들 중 10위를 차지하는 등 아직까지도 많은 태고 플레이어들에게 사랑받고 있는 중이다. 가정용 게임에서도 꼬박꼬박 수록되고 있다.
신기판으로 넘어오면서 오니 패턴의 레벨이 9에서 8로 떨어졌다. 9레벨에선 그렇게 강한 위치가 아니였지만 8레벨로 내려오고서 상위권에 자리잡게 되었다. 특히 풀콤이 목적이라면 ㄷㄷㄷㅋㅋㅋㄷㄷㄷㅋㅋㅋ[5] 부분에서 손이 꼬이지 않도록 주의. 그 외에 15개 단위로 끊어서 나오는 기차노트도 조심해야 한다.
아시아판엔 수록되지 않고 있다가 마침내 2016년 11월 16일에 RED 버전에서 말랑말랑 전차(やわらか戦車)와 함께 추가 수록되었다.
6.2.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스타라이트 스테이지[편집]
[1] 이후 히데와 타이지의 편곡을 거쳐 현재의 곡이 완성되었다. 편곡을 거치지 않은 버전은 편곡의 중요성이 느껴진다.[2] 히데의 기타솔로 중에서도 특히 명 기타솔로로 평가받는다.[3] 위 영상의 1:56초부터 57초까지의 구간[4] 같은 X-JAPAN곡으로 Silent Jealousy 우라가 2019년 1월 기준 우라보면 1위를 지키고 있다. 1408콤보라는 어마어마한 콤보로 졸업축하식 풀, 시메도레에 이어서 3위를 차지하고 있다.[5] 위 영상 기준 1:38과 2:34에 해당 패턴이 있다.[6] 스태미너 소모량은 프로듀서 방침의 LIVE 소모 스태미너 경감 비활성화 기준으로 작성.[7] 인트로 부분은 노트가 완전히 정박으로 떨어지지 않으며, 끝나기 직전에 느려진다.[8] 2분 15초인 虹보다 14초 길다.
원래 신데렐라 걸즈에서는 호시 쇼코(CV. 마츠다 사츠미)가 이 노래를 커버한 것으로 유명했는데[9] , 그로부터 몇 년이 지난 2019년 9월 13일에 데레스테에도 마침내 추가되었다.
THE [email protected] CINDERELLA GIRLS 7thLIVE TOUR Special 3chord♪ Glowing Rock!에서 라이브로 마츠다 사츠미가 선보였는데, 퀄리티가 떨어지기는커녕 더욱 강하게 불태웠다!
비밀의 투왈렛이후 근 3년만에 추가된 28레벨 악곡이면서 패션 타입의 세 번째 28레벨이면서도 MASTER 최대 노트수를 넘사벽 수치로(988) 경신했다.[10]
MASTER에서 처음으로 물량 900의 벽을 뚫은 곡인데, 기존의 28레벨 보스곡 중에서 노트수가 가장 많은 TOKIMEKIエスカレート는 물론이고, 27레벨의 Near to You - PicoPico D'n'B Remix-보다 100노트가 더 많으며, 이전 28레벨 최대 물량이었던 열혈소녀A MASTER+보다도 노트수가 61개가 더 많다. 태고의 달인 오니보면과 비교하면 11노트 차이 밖에 나지 않는다. 심지어 PRO와 MASTER의 노트수 차이도 비밀의 투왈렛을 뛰어넘는 수준인데, 무려 515개 차이가 난다.[11] 훗날 30레벨인 Gaze and Gaze 정식 MASTER+와 29레벨인 14平米にスーベニア, Packing Her Favorite MASTER+가 풀리면서 이 곡과 동일한 노트수가 되면서 28~30레벨에서 해당 물량의 채보가 생기기 시작했다.
중반부와 후반부, 최후반부에 단타와 짧은 롱노트 동시치기가 나오는데 겉보기에는 복잡하게 보이지만 데레스테 노트 판정범위가 널널하다는 점을 이용해서 단타노트 처리하듯이 살짝 눌렀다 떼면 문제없이 퍼펙트 처리가 가능하다. 짧은 롱노트 동시치기가 없는 부분은 상급 26~평범한 27레벨 수준이고 중반부, 후반부 짧은 롱노트 동시치기 부분은 단타 동시치기나 다름 없기에 사실상 난이도를 끌어올리는 주범은 최후반부라고 볼 수 있다. 여기서는 왼손으로는 8비트 탭노트 처리를, 오른손으로 16비트로 짧은 롱노트와 탭노트를 연타하여 처리하다(기분 좋네 일등상! 마플에 나오는 것 응용) 곧바로 양손 짧은 롱노트+탭노트 한 쌍 패턴이 나온다. 다만 앞부분도 단노트로 치듯이 치면 된다고 머리로는 인지하고 있어도 손가락이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문제의 후살부분의 난이도는 27레벨 1인자 공명세계의 온톨로지 맞먹는 수준이니 여느 후살곡이 다 그렇듯 후살을 꾸준이 연습할것.
지금까지 물량 인플레를 선보인 곡들은 동시치기나 짧은 롱노트 연발, 16비트 폭타 등이 주력이 됐는데, 이 곡에서 결국 극대화가 되었다. 물량이 물량이다보니 도키메키와 함께 28레벨 보스곡 중에서 개인차를 가장 많이 타게 되었다.
PRO에서도 16비트 트릴 세례로 끝을 장식하는 후살이 나온다. 그런데 이런 패턴은 PRO는 커녕 MASTER로 넘어가도 23~24레벨에서나 나올 패턴이다 보니 빼도박도 못할 불렙 확정.
6.3. D4DJ Groovy Mix[편집]
6.3.1. 채보[편집]
HARD 채보 캡처 PFC 영상.
EXPERT PFC 영상.
6.4. CHUNITHM[편집]
CHUNITHM NEW 시리즈에 커버보컬로 수록되었다. 커버한 사람은 미츠요시 타케노부.
[9] 호시 쇼코의 광기 넘기는 캐릭터성답게 아예 호시 쇼코를 위해 이 곡이 만들어졌나 싶을 정도로 원곡의 광기를 까마득히 뛰어넘은 분위기가 특징이다.[10] 당시에는 MASTER+ 28레벨까지 포함해서 데레스테 WIDE모드 전체 28레벨 최대 노트수 기록까지 경신했으나 이후 サラバ、愛しき悲しみたちよ MASTER+가 992노트를 기록하며 28레벨 곡 중 유일하게 990노트 벽을 넘음에따라 이 기록은 깨졌다.[11] 같은 900대 물량의 MASTER 채보인 God knows...는 물량 차이가 518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