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옮길 천

부수
나머지 획수


, 11획


총 획수


15획



고등학교





[1]


일본어 음독


セン


일본어 훈독


うつ-る






표준 중국어


qiā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2.1. 음
2.2. 자형
2.3. 의미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글자
6. 여담



1. 개요[편집]


遷은 '옮길 천'이라는 한자로, '옮기다'를 뜻한다.


2. 상세[편집]


유니코드에는 U+9077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卜一田山(YMWU)으로 입력한다.


2.1. 음[편집]


광운에서 七然切로 중국에서도 줄곧 파찰음 계열이었다. 한국에서 구개음화의 영향으로 '천'이 된 天 등과는 다르다. 한편 베트남에서는 [t]로 읽는다는 것이 반대이다.

일본어에서는 '옮기다'를 뜻하는 うつる를 る로 쓸 수도 있다. 그러나 음 セン이 상용한자 표에 실려 있는 것과는 달리 의 うつる라는 독음은 상용한자 표에 실려있지 않고, 실제로 うつる는 일상에서는 (옮길 이)를 써서 移る로 적는 것이 대부분이다.


2.2. 자형[편집]


훈을 나타내는 (쉬엄쉬엄갈 착)에 음을 나타내는 䙴(오를 선, 옮길 천)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본래는 䙴로 쓰던 글자로 옛 자형은 舁와 囟 혹은 角과 邑으로 구성된 글자였다. 이후 옮긴다는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辵이 추가되면서 지금의 자형에 이르렀다. 다른 뜻으로 '오르다'라는 뜻도 있는데 설문해자에서 "遷, 登也"라고 한 것을 따른 것이다. 본자인 䙴은 "升高也"라고 하였다.

大자 모양 아래에 㔾이 들어가는 글자 중 유명한 것은 卷(문서 권)이 있다.


2.3. 의미[편집]


'옮길 천'이기는 하나 몇 안되는 단어가 '긴 세월을 갖고 옮기다'의 느낌이 들기도 한다. 그런 의미상의 차이가 실제로 있는지는 몰라도 오늘날에는 '옮기다'의 의미로 (옮길 운)과 (옮길 이)를 압도적으로 많이 쓰고 遷은 잘 쓰지 않는다. '천이', '천도', '변천', '좌천' 정도.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인명[편집]




3.3. 고사성어/숙어[편집]




3.4. 창작물[편집]




4. 유의자[편집]


  • (옮길 반)
  • (옮길 운)
  • (옮길 이)


5. 모양이 비슷한 글자[편집]


  • (그네 천): 보통 (그네 추)와 함께 추천(鞦韆)이라고 한다.[2] 한자를 한국보다 많이 쓰는 일본에서조차도 '그네'를 이렇게 한자로 쓰는 일이 별로 없다. 한국에서는 서정주춘향전에 대해서 쓴 추천사(鞦韆詞)가 유명하다. 또한, 잘 쓰이지 않는 말이지만 단오를 '그네를 타는 날'이라는 뜻으로 '추천절(鞦韆節)이라고 한다.

6. 여담[편집]


'삼천갑자 동방삭'이라는 명칭에서 '천'을 (일천 천)이 아닌 遷(옮길 천)으로 해석하는 견해도 존재한다. 1갑자는 60이기에 전자로 해석하면 동방삭은 18만 년을 산 것인데, 동방삭은 실존 인물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과장이 지나치다. 후자로 해석하면 '갑자를 세 번 옮겼다'는 뜻이 되어 3갑자, 즉 180년이 되어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는 과장이 된다. 동방삭은 실제로는 기원전 154년에 태어나 기원전 93년에 사망했으니 61년 내외를 산 셈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18:17:33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아래 부분이 의 형태이고, 책받침의 점 하나가 없다.[2] 일상에서 보통 '추천하다'로 사용하는 '추천'은 推薦이라고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