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국명·지명 한자 약칭

[ 펼치기 · 접기 ]
대륙


·
·
·
아시아
유럽(구라파)
아프리카
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국가
·
·
·
[1]
· ·

[2]
남한(한국)
북한(조선)
중국
중화민국(대만)[3]
일본

·


·
몽골(몽고)
미국
영국
캐나다(가나다)
오스트레일리아(호주)
·
·
·


프랑스(불란서)
독일
오스트리아(오지리)
이탈리아(이태리)
네덜란드(화란)
西

·


스페인(서반아)
포르투갈(포도아)
러시아(노서아·아라사)
인도
인도네시아(인니)
· ·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비율빈)
베트남(월남)
이집트(애급)

·


·
폴란드(파란)
아일랜드(애란)
덴마크(정말)
스웨덴(서전)
노르웨이(나위·낙위)




·
그리스(희랍)
핀란드(분란)
남아프리카공화국
벨기에(백이의)
헝가리(흉아리·홍아리)
西


西

스위스(서서)
튀르키예(토이기)
멕시코(묵서가)
브라질(파서)
아르헨티나(아근정)
사라진 나라

·



가야
고구려 · 고려
백제
신라
조선





로마 제국(대진)
소련
프로이센

류큐
지명

滿



아시아태평양
만주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샌프란시스코





워싱턴 D.C.
모스크바
베를린
로마
런던
[1] 일본에서 중국을 가리키는 말로 가끔 쓰인다.[2] 주로 일본 내부에서 쓰인다.[3] 華와 臺는 둘 다 대만의 약칭이지만 뉘앙스가 다른데, 華는 중화민국을 강조하는 뉘앙스라면 臺는 대만을 강조하는 뉘앙스이다.





언덕 아

부수
나머지 획수


, 5획


총 획수


8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おもね-る, くま



-


표준 중국어


ā, ē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3.1.1. 음역(音譯)한 경우
3.1.2. 음역이 아닌 경우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편집]


阿는 '언덕 아'라는 한자로, '언덕', '호칭', '아첨하다'를 뜻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뜻을 살리지 않고 음만 살린 사용례들이 많다. 특히 불교 용어.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언덕



중국어
표준어
ē
ā
광동어
o1
aa3
객가어
ô
â
민동어
ŏ̤
ă
민남어
o͘, o
o, a
오어
u (T1)
a (T1)

일본어
음독

훈독
おもね-る, くま

베트남어
a

유니코드에는 U+963F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NLMNR(弓中一弓口)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언덕 부)와 음을 나타내는 (옳을 가)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이 글자는 중국에서 다음자로, 표준중국어의 ē에 대응되는 독음은 문독, ā에 대응되는 독음은 백독이다. 문독은 주로 '언덕'과 같은 본래 뜻으로 쓰일 때 불리는 발음이고, 백독은 감탄사로 쓰이거나, 阿兄·阿斗 등 사람의 호칭 앞에 쓸 때 불리는 발음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주의: 음역/음차 분류는 정확하지 않습니다. 잘못된 정보가 있을 가능성이 있으니, 유의하시고 열람하십시오.


3.1.1. 음역(音譯)한 경우[편집]


''에 해당하는 음을 이 글자로 음차한 경우가 꽤 많다.

  •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
  • 아미(阿)
  • 아미타(阿)
  • 나무아미타불([1])
  • 아몽(阿) - 중국어에서의 '아몬' 음역.
  • 아수라(阿)[2]
  • 아승지, 아승기(阿, 阿)[4]
    • 아승기겁(阿) [3]
  • 아자관(阿)[5]
  • 아편(阿) - 익지 않은 양귀비 열매의 진액을 말린 마약의 일종이다. [6]


3.1.2. 음역이 아닌 경우[편집]


  • 아몽(阿) - 어린이를 일컫거나, 발전이나 학식이 없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 아위(阿) - 이쪽은 흥거가 산스크리트어 힝구((हिङ्गु)의 음차자이다.
  • 아첨(阿)
  • 아부(阿)
  • 아편(阿) - 마약 아편이 아니라, 아첨하여 한 쪽으로 편향된다는 의미이다.


3.2. 고사성어/숙어[편집]


  • 곡학아세()
  • 아비규환(阿) [음차]
  • 아수라장(阿) [음차]
  • 아유구용(阿) - 사기(史記)에서 유래된 고사성어로, 남에게 잘 보이기 위해 구차하게 아첨하는 것을 의미한다.
  • 어이아이() [음차]
  • 오하아몽()


3.3. 인명[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아(성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 아Q정전(阿Q正傳)
  • 아(명일방주)
  • 여래아(黎崍阿)
  • 히에다노 아큐()[8]

4. 유의자[편집]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가지 가)
  • (거위 가)
  • (걸을 가)
  • (깨물 가)
  • /(꾸짖을 가)
  • (도마뱀 가)
  • /(무릎뼈 가)
  • (배 가)
  • /(배말뚝 가)
  • (복어 가)
  • (불 가)
  • (산이름 가)
  • (수레/사람이름 가)
  • (쓴술 가)
  • (옥이름 가)
  • 𠵲[⿰后可](옳을 가)
  • 𠳌[⿰去可](탄식하는소리 가)
  • (평탄하지않을 가)
  • 𥩤[⿰立可](키작은사람 개)
  • (돌쌓일 라, 옥버금가는돌 가)
  • (가는비단 아)
  • (노구솥 아)
  • (아름다울 아)
  • 𥎵(알 지)[9]
  • (물 하)
  • (소매 하)
  • (어찌 하)
  • 𥘫[⿰示可](제사종류 하)
  • (지휘할 하, 움켜쥘 가, 체포할 나)
  • 𧵛[⿰貝可](가)
  • 𢘟[⿰心可](교)
  • 𩈔[⿰面可](파)
  • 𥞍[⿰禾可](하)
  • 𪟡[⿰男可]
  • 𡥚[⿰子可]
  • 𠾟[⿰⿳口田八可]
  • 𫮭[⿰堇可]
  • 𪫧[⿰忄可]
  • 𣧤[⿰歹可]
  • 𪰏[⿰日可]
  • 𰓎[⿰手可]
  • 𣍳[⿰有可]
  • 𭪋[⿰朵可]
  • 𭭫[⿰武可]
  • 𮐤[⿰苦可]
  • 𰒚[⿰意可]
  • 𪽎[⿰田可]
  • 𭾨[⿰目可]
  • 𭿋[⿰看可]
  • 𧟫[⿰西可]
  • 𰪲[⿰米可]
  • 𲁚[⿰角可]
  • 𧯶[⿰豈可]
  • 𩊆[⿰革可]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16:35:46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남'이 아닌 '나'로 읽는다.[2] 산스크리트어 asura(असुर)의 음역.[3] 산스크리트어 asaṃkhyeya-kalpa, 팔리어 asaṅkheyya-kalpa의 음역.[4] 1056(10의 56제곱)을 뜻한다.[5] 밀교 교리에 따른 불교의 관법을 의미.[6] 고대 그리스어 ὄπιον의 음역이다.[음차] A B C [7] 남제주에 있는 오름. 영아리악(靈阿伊嶽)이라고도 함.[8] 위의 아큐정전과는 이름이 같지만 전혀 관계가 없다.[9] (알 지)의 동자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