ꥸᅦퟗ

덤프버전 :

파일:jerk.png
글자 이미지[1]
1. 개요
2. 인용된 이유
3. 자음자 ꥸ/ퟗ의 배경 이론
4. 치는 법
5. 여담



1. 개요[편집]


ꥸᅦퟗ은 옛한글 완성자 중 하나로, 초성 과, 중성 , 종성 이 합해져 만들어진 옛한글 음절자이다. 이필수(李弼秀)의 《선문통해》(鮮文通解, 1922)에서 "ᄍ\ᅡ\ᆲ ꥸ\ᅦ\ퟗ ᄋ\ힳ\ᆫ"으로 인용된 것이 유일한 예이며, 초성 낱자모 ꥸ(U+A978)와 종성 낱자모 ퟗ(U+D7D7)의 유니코드 등록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다.


2. 인용된 이유[편집]


子音이라 母音이라 稱하난 것은 人生의 倫理에 依하야 區別함과 如한 者니 萬若 子息과 母親이 相合하야 如何한 事物이든지 生成한다 하면 此는 理에 甚히 不當한 言論이니라 故로 或者는 言하되 母音이라 함보다 父音이라 함이 好하며 子音이라 함보다 母音이라 함이 好하니 父母音이 相合하야 子音을 生한다 함이 可라 云하난 學說도 亦有하니라 然이나 此亦 不完全한 点이 多有하니 一例를 示컨대 ᄍ\ᅡ\ᆲ ꥸ\ᅦ\ퟗ ᄋ\ힳ\ᆫ 此等字는 父音이 幾何며 母音이 幾何인가 第一字는 四個의 母音과 一個의 父音이 合한 者며 第二字는 六個의 母音과 二個의 父音이 合한 者며 第三字는 一個의 母音과 四個의 父音이 合한 者니라 故로 以上 兩者의 學說에 對하야 圓滿한 稱號를 作코자 할진대 陽音이라 陰音이라 함이 可하니라

자음, 모음이라고 칭하는 것은 인생의 윤리에 빗대어 구별하는 것과 같다. (그런데) 만약 자식과 모친이 상합(相合)[2]

하여 그 어떤 사물이든지 생성한다고 하면 이는 심히 부당한 주장[言論]이다. 그래서 혹자에 따르면 "모음이라고 하는 것보다는 부음(父音)이라고 하는 것이 좋고, 자음이라고 하는 것보다는 모음(母音)이라고 하는 것이 좋다. 부모의 음이 상합하여 자음(子音)[3]을 만든다고 하는 것이 옳다"라고 하는 학설도 있다. 그러나 이 역시 불완전한 점이 많이 있다. 일례를 들면 'ᄍ\ᅡ\ᆲ ꥸ\ᅦ\ퟗ ᄋ\ힳ\ᆫ' 이 글자들은 부음[4]이 몇 개고 모음[5]이 몇 개인가? 첫 번째 글자는 모음 4개와 부음 1개가 합쳐진 것이며, 두 번째 글자는 모음 6개와 부음 2개가 합쳐진 것이며, 세 번째 글자는 모음 1개와 부음 4개가 합쳐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 두 학설에 대하여 원만한 호칭을 만들자면 양음(陽音), 음음(陰音)이라고 하는 것이 옳다.

《선문통해》, 25쪽pdf 28쪽 (현대어역은 본 문서)

"ᄍ\ᅡ\ᆲ ꥸ\ᅦ\ퟗ ᄋ\ힳ\ᆫ"은 각각 여러 개의 모음에 여러 개의 자음이 결합한 예로 제시된 예이다. 가령 'ᄍ\ᅡ\ᆲ'은 하나의 모음에 여러 개의 자음이 결합한 것이고, 'ᄋ\ힳ\ᆫ'은 여러 개의 모음에 하나의 자음이 결합한 것이다. 'ꥸ\ᅦ\ퟗ'은 이에 모두 해당되어 여러 개의 모음에 여러 개의 자음이 결합한 예로 인용된 것이다.[6]

그런데 이 예가 인용된 것이 결국에 '자음'(子音)과 '모음'(母音)이라는 용어에 태클을 걸기 위해서라는 점이 기묘하다. 우선 자음과 모음이 결합해서 모든 것을 만들 수 있다고 하는데, "어머니(母)와 자식(子)이 합쳐서 모든 걸 만든다니 논리가 이상하다"라는 것이다. 본문에서 '결합'이라는 단어에 대응하여 '相合'(상합)이라는 단어를 쓰고 있는데 이 단어는 물론 그냥 힘을 합친다는 뜻으로도 쓸 수 있기는 하다. 그런데 그렇게 생각하면 자식과 어머니가 힘을 합치는 것이 그다지 비논리적일 구석은 없다. 뭔가 '상합'의 다른 의미, 즉 "성적 접촉"을 의식하여 '이상하다'라고 생각한 게 아닌지 의심된다. 그래서 일각에서는 '자음/모음' 대신 '모음/부음'[7]으로 하자는 의견도 있는데,[8][9] 이 역시 위의 예처럼 여러 아버지와 여러 어머니가 일부다처제/일처다부제(?) 식으로 돼버리니 곤란하다는 주장이다. 그래서 결국 여기서의 주장은 원만한(?) 칭호로 '음음'(陰音)과 '양음'(陽音)[10]으로 하자는 것. 이런 소모적인 논쟁을 보고 있으니 차라리 닿소리/홀소리를 쓰지 싶다[11]

이후 '음음/양음' 같은 용어는 아쉽게도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ꥸ\ᅦ\ퟗ' 이라는 용례만 남았다. 정작 이게 무슨 뜻인지는 본문만으로는 알기 어렵다. 아예 아무 뜻도 없는 글자를 쓴 것일 수 있지만, 그래도 '짧'은 지금도 쓰는 글자이니 나머지 두 개도 좀 나타날 법한 걸 썼으리라고 추측해볼 수 있다. 최대한 추측하자면 'ힲ' 같은 건 외국어 표기에 간간히 쓰였던 걸 보면 'ᄋ\ힳ\ᆫ'도 그랬을 거 같아 보이니 'ꥸ\ᅦ\ퟗ'도 어떤 외국어 표기가 아닐까 싶다. ᄙ을 [l]로, ꥸ을 [tʃ] 계열로 생각해보면 'chalk' 같은 단어에 [l]이 있는 줄 알고 그렇게 적었다거나 하는 짐작해볼 수 있다. 비슷한 원리로 'ᄋ\ힳ\ᆫ'도 'Joanne'(조앤)같은 인명에서 앞부분 'Jo'는 라틴어 식으로 '요', 뒷부분 'anne'은 영어 식으로 '앤'으로 잘못 읽은 것을 한 음절로 표기한 것으로 추정.


3. 자음자 ꥸ/ퟗ의 배경 이론[편집]


'ꥸ\ᅦ\ퟗ'이라는 음절자뿐만 아니라 겹자음 ꥸ/ퟗ도 현대인의 시선에서는 상당히 괴악해보이지만, 이들 낱자모는 일단 본문에서 설명이 이루어지고 있다. 가령 'ꥸ'의 경우 같은 책 15쪽에서 세 자음을 합쳐서 쓸 수 있는 예로 'ㅂㅂㆁ/ㅂㅎㆁ/ㅍㅎㆁ/ㅅㅎㆁ/ㅈㅈㅎ/ㅊㅊㅎ'을 들고 있기에 그 예 중 하나로 선택된 것이다. 단, 다른 4개는 낱글자만 제시했고 음절자로 쓰인 예를 보여주지 않아서 유니코드에 등재되지 않았다.

이렇게 생소한 낱글자를 보인 이유는 이 책에서 '강합음'(強合音), '연합음'(軟合音), '탁합음'(濁合音)이라는 개념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강합음은 우리가 보통 아는 'ㄱㄱ/ㄷㄷ/ㅂㅂ/ㅅㅅ/ㅈㅈ'이고[12] 연합음은 'ㅎ'이 붙은 'ㄷㅎ/ㄹㅎ/ㅂㅎ/ㅅㅎ/ㅊㅎ/ㅍㅎ', 탁합음은 이 붙은 'ㄱㆁ/ㄴㆁ/ㄷㆁ/ㄹㆁ/ㅊㆁ/ㅋㆁ'이다. 이런 식으로 'ㅎ/ㆁ'이 결합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ㅂㅂ'나 'ㅈㅈ'에도 'ㅎ'이 붙을 수 있을 것이고(ㅂㅂㅎ/ㅈㅈㅎ) 'ㅂㅎㆁ'처럼 '/'이 모두 결합한 것도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세 자음을 겹친 예가 6개밖에 제시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이해하기 어렵다.


4. 치는 법[편집]


옛한글 키보드에서 ㅈㅈㅎㅔㄹㄹㅋ를 붙여서 칠 수 있다. 현대 한글을 입력하듯이 shift ㅈ + ㅎ ㅔㄹㄹㅋ로 입력할 수도 있다. ᇐ은 현대 한글에 속하지 않아서 shift ㄹ로는 입력할 수 없다. 현대 한글 자판에서 앞의 방식으로 입력하면 윈도우 기본 내장 IME로는 'ㅈㅈ헬ㄹㅋ'가 되고, macOS 한글 IME나 날개셋 한글 입력기리눅스의 각종 한글 IME로는 'ㅉ헬ㄹㅋ'가 되며 이 둘로도 이 문서로 넘어올 수 있다.

5. 여담[편집]


한국어 백괴사전에 개별 문서가 있다. #[13] 그런데 이 글자의 획수가 18획인데 백괴사전에서는 18을 으로 인식해서 노란색 배경의 다양한 형식(6+6+6, AAAAAAAAAAAAAAAAAA!에서 A의 개수 등. 접속하면 볼 수 있다.)으로 대체되었다.

상당히 획수가 많아보이지만 모양이 생소할 뿐 획수는 총 18획으로 현대 한국어 한글을 기준으로도 제일 많지는 않다. 이라는 자음자가 글자 모양에 비해 2획으로 별로 획수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가운데 모음자도 (3획)로 평범한 편. 획수가 많으려면 4획이나 되는 ''이 들어가야 한다. '쀏' 같은 글자가 20획으로 이 글자보다 획수가 더 많다. 현행 옛한글자 구현 상태 기준으로 획이 제일 많은 글자는 ꥪᆒퟤ/ꥪᆅퟤ(29획)이다.

글자 모양이 희한해서 눈길을 끈 또다른 예로는 이 있다.
[1] 폰트는 나눔명조 옛한글이다.[2] 서로 만나 결합함[3] 이때의 자음은 '가', '간'과 같은 음절자를 의미하게 된다.[4] 모음[5] 자음[6] 근데 사실 그 이유에서라면 '-', '' 같이 현대인 기준으로 익숙한 글자로도 가능하기는 하다. 단, 당대 표기법에서는 을 종성에 쓰지 않아 '했' 같은 글자는 쓰이지 않았다. 사실 당대 표기법으로도 ꥸ\ᅦ\ퟗ이 등장했을 거 같진 않지만... 현대 한국어에서 겹받침을 쓰는 글자 중에서 의외로 모음 합용자를 쓰는 예가 많지 않기는 하다. [7] 모음/부음에서의 '모음'은 기존 용어의 '자음'에 해당됨에 유의.[8] 모음/부음이라는 용어는 이 책에서 처음 나온 것은 아니고 당대 일본 문법서에서도 자주 쓰는 말이었다고 한다(이진호 2005: 36).[9] 이진호(2005), 국어 음운론 강의, 삼경문화사.[10] 기존의 모음[11] 이처럼 용어에 관한 논의를 용어론(terminology)이라고 한다. 개념을 정확히 가리킬 수 있는 용어를 만드는 것은 이해를 돕고 학문에 발전에 기여할 수 있으니 용어 논의가 아주 소모적인 것은 아니다(단, 이 경우에도 '용어는 적당히 정해도 무방하고, 그 개념을 통한 논의에 집중하는 것이 낫다'라는 입장이 존재한다). 다만 용어에 관한 논의가 의의를 갖는 것은 그 논의가 개념어의 의미의 집중할 때이다. 지금처럼 개념어의 분야(언어학)와는 무관한 도덕적 정합성을 따지는 것은 학문적 의의가 없다.[12] 여기에 ㄴㄴ, ㄹㄴ, ㄹㄹ이 더 들어있다.[13] 2019년 말부터 해당 위키의 사정으로 들어갈 수 없었으나 2021년 4월 복구되어 열람이 가능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옛한글/자모 문서의 r47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옛한글/자모 문서의 r47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9 00:10:12에 나무위키 ꥸᅦퟗ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