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실왕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금관가야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수로왕
거등왕
마품왕
거질미왕
이시품왕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좌지왕
취희왕
질지왕
겸지왕
구형왕
봉사손
봉사손
봉사손
봉사손
봉사손
김세종
김솔지
김무력
김서현
김유신
대가야
초대
계보 미상
제?대
제?대
제?대
이진아시왕
금림왕
기본한기
하지왕
계보 미상
제9대
계보 미상
제16대
태자
이뇌왕
도설지왕
월광태자
소가야(족보상 언급)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말로왕
대아왕
미추왕
소간왕
아도왕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질노왕
거아왕
달나왕
이형왕
아라가야
탁순국
탁국
제?대
제?대
말대
제?대
말대
가실왕
말금한기
아리사등
기능말다간기
함파한기




왕명
가실왕(嘉悉王) / 가실왕(嘉實王)
생몰년도
미상, 혹은 이뇌왕과 동일
재위년도
미상, 혹은 이뇌왕과 동일

1. 소개
1.1. 가야금 12곡조
2. 관련항목


1. 소개[편집]


삼국사기 신라본기 진흥왕조에서 등장하는 가야 군주. 악기 가야금을 만들고 우륵에게 명하여 악곡을 만들게 했다고 한다.

가보왕(嘉寶王)이라고도 한다.[1]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는 반파국 군주라고 서술되어 있다. 금관국취희왕과 동일 인물이라는 설도 존재하지만 가실왕의 활동 시기는 금관국이 멸망한 후이다.

최근에는 고령 지산동 고분군의 44호, 45호 고분의 주인일 것이라는 설이 나왔다. 아래에 기록할 우륵에게 만들라고 명한 12곡의 이름들을 중국, 일본 기록에 나오는 가야지역의 지명에 대입한 결과 대가야식 토기가 다수 출토된 지역임이 밝혀지기도 했다. 그래서인지 위키백과에서는 대가야의 임금으로 보고 있다(또는 대가야의 7대 군주로 보기도 한다.).

그러나 사비회의에서 알 수 있듯 역사적으로 6세기 중반 가야연맹을 이끈 것은 대가야(반파국)와 같이 아라가야였는데다가 대가야는 529년까지 이뇌왕, 562년까지 그 아들인 도설지왕이 다스리고 있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중간에 가실왕이 들어갈 자리는 없어보인다는게 문제.

삼국사기에서 가실왕은 우륵에게 12개 노래를 짓게 했는데 노래의 제목들이 삼국사기와 일본서기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가야 각 지역의 지명이나 소국 명칭과 유사했다. 가실왕은 후기 가야권의 영향력을 굳히려 했고 중국에 사신을 보낸 것도 그 의지라는 것.

가야금을 만들고 우륵에게 명하여 달이(達已), 사물(思勿), 물혜(勿慧) 등 12곡을 작곡하게 만들었다. 이는 음악을 통해 여러 나라로 나뉘어진 가야를 하나의 체제로 묶으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 그때까지 연맹으로 남았던 반파국과 안라국의 가야가 중앙 집권 체제로 넘어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다.

그러나 당시 가야는 이미 고대영역국가로 성장해 근본적인 체급차가 나는 백제와 신라 사이에 끼어서 미래가 없는 상황이었고, 저런 정치적 의미가 담긴 곡을 작곡한 우륵조차도 결국 제자와 함께 신라에 망명하게 된다.

우륵이 진흥왕과 직접 만나서 노래를 만들었다는 기사 등으로 보아 신라의 진흥왕과 같은 시기, 즉 가야 멸망에서 멀지 않은 6세기 초중반의 인물로 추측된다.

신찬성씨록에서는 일본에서 이어지고 있는 가야계 성씨가 7개 확인되는데, 그 중 하라하실왕(賀羅賀室王)의 후예 씨족으로 미치타노무라지(道田連)가 있다고 적혀있다. 그가 가실왕의 후예가 맞다면 훗날 일부 고구려, 백제 왕족이 그랬듯 대가야 왕족의 일부도 멸망 후 일본에 건너간 것으로 보인다.

조선상고사에서는 법흥왕 시기 혼인동맹을 맺은 왕이 가실왕이라고 하여 이뇌왕과 동일시하고 있다.

이외에도 삼국사기 설씨전에서 설씨녀의 남편이 가실(嘉實)로 나오는데 그와 동일인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이 가실은 신라 6부 중 하나인 사량부 출신이라고 되어있어 확실하지 못하나, 단양 신라 적성비창녕 척경비에서 도설지왕이 사량부 출신이라고 나오므로 동일인이라면 이뇌왕에게 자신의 딸을 시집보낸 이찬 비조부가 설씨일 듯.


1.1. 가야금 12곡조 [편집]


12곡은 첫째 하가라도, 둘째 상가라도, 셋째 보기, 넷째 달이, 다섯째 사물, 여섯째 물혜, 일곱째 하기물, 여덟째 사자기, 아홉째 거열, 열째 사팔혜, 열한째 이사, 열두째 상기물이다.


2. 관련항목[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9 07:20:03에 나무위키 가실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실(實)을 한자 모양이 비슷한 보(寶)로 오기한 듯 하며 이런 오기는 근대 이전 기록에서는 원래 자주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