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이집

덤프버전 :

1. 소개
2. 내용
3. 목차 구성



1. 소개[편집]


簡易集. 조선 중기의 문신 최립(崔岦, 1539년 ∼ 1612년)이 평생동안 쓴 작품을 모은 문집. 총 9권 9책. 한국학 중앙 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2. 내용[편집]


최립 사후에 그가 쓴 작품들을 모아 인조 9년, 1631년에 편찬되었다. 제1권에서 3권까지는 여러 잡다한 시문들을 실었고, 4권과 5권은 관직에 있으면서 쓴 글들로 중국, 일본 등에서 쓴 글들을 수록했다. 6권에서 8권까지는 시를 수록했다.

마지막 9권은 묘비명과 최립이 말년에 쓴 작품들이 모여있다.

1500년대 ~ 1600년대 우리나라의 고전 문학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3. 목차 구성[편집]


  • 간이당집 서
  • 간이집 제1권
    • 주(奏)
      • 신묘년에 올린 주본(奏本)
    • 봉사(封事)
      • 정유 봉사(丁酉封事)
    • 진언(陳言)
      • 위사 공신(衛社功臣)의 훈호(勳號)를 삭제하고 윤임(尹任)과 이류(李瑠) 등의 관작을 회복시키도록 청한 몇 차례의 소(疏)
      • 북쪽 변방의 공수(攻守)에 대한 의논
      • 해주(海州)의 행재소(行在所)에서 누차 올린 계본(啓本)
      • 승문원(承文院)의 문서에 관한 일로 올린 초기(草記)
    • 공사(控辭)
      • 전후 세 차례에 걸쳐 올린 승문원 제조(承文院提調) 사직소
      • 승문원 제조(承文院提調)와 교정청 당상(校正廳堂上)의 사직을 청한 소
    • 투진(投進)
      • 주역본의구결부설(周易本義口訣附說)을 바치면서 올린 소
    • 표전(表箋)
      • 탄일(誕日)에 올린 하전(賀箋)
      • [탄일(誕日)에 올린 하전(賀箋)]
      • 적도(賊徒)를 토벌한 것을 축하드린 전문(箋文)
      • [적도(賊徒)를 토벌한 것을 축하드린 전문(箋文)]
      • 대명회전(大明會典) 전서(全書)의 반포에 따른 하전(賀箋)
      • 존호(尊號)를 올린 데 따른 하전
      • [존호(尊號)를 올린 일을 중전(中殿)에게 축하드리는 전문(箋文)]
      • 태묘(太廟)의 적(賊)을 복주(伏誅)시킨 데 따른 하전
      • 동지 하표(冬至賀表)
      • 동지 하표
      • 방물표(方物表)
      • 건청(乾淸)과 곤녕(坤寧)의 두 궁궐이 화재를 당한 것을 위로한 표문(表文)
      • 중국 군대가 재차 나온 데 따른 사은 표문(謝恩表文)
      • 황극전(皇極殿)의 화재를 위로한 표문
      • 동지 하전(冬至賀箋)
      • 정월 초하루의 하전
      • 천추절(千秋節)의 하전
      • 자전(慈殿)에게 휘호(徽號)를 추가로 더 올린 데 대해 축하드린 표문(表文)
      • 교정청(校正廳)에 술을 하사한 데 대해 감사드린 전문(箋文)
      • 탄일(誕日)에 올린 하전(賀箋)
      • 존호(尊號)를 추가해 올린 것을 축하드린 전문(箋文)
      • [존호(尊號)를 추가해 올린 것을 축하드린 전문(箋文)]
      • 새해 아침에 올린 하전
    • 정서(呈書)
      • 관서(關西) 지방의 사민(士民)을 위해 만 경리(萬經理) 에게 올린 글
    • 게첩(揭帖)
      • 고(顧)와 최(崔) 두 조사(詔使)에게 올린 게첩
    • 요송(謠誦)
      • 만 경리(萬經理)가 재차 평양(平壤)에 왔을 때 사민(士民)들이 칭송한 가요(歌謠)
      • 평양(平壤)의 사민(士民)들이 진 제독(陳提督) 의 공을 기리며 올린 글
    • 제문(祭文)
      • 성천부(成川府) 사직단(社稷壇)에서 행한 기우제(祈雨祭)의 제문
      • 구룡산(九龍山)[1] 박연(博淵)에서 행한 기우제의 제문
      • 진주목(晉州牧)이 용당(龍塘)에서 행한 기우제의 제문
      • 두류산(頭流山)에서 행한 기우제의 제문
      • 대행 황태후(大行皇太后)에 대한 제문
      • 평양(平壤)의 사민(士民)을 위해 이 상공(李上公) 생사(生祠)의 제문으로 지어 준 글
      • 평안 방백(平安方伯)이 흠차(欽差) 진 어사(陳御史) 를 제사 지낼 때 지어 준 글
      • 이수지(李綏之)에 대한 제문
      • 김 좌상(金左相)에 대한 제문
      • 사직단(社稷壇)에 기우제를 올린 제문
      • 그 뒤에 또 사직단에 올린 제문
    • 상량문(上梁文)
      • 평양부(平壤府) 문묘(文廟)의 상량문
    • 격(檄)
      • 통진(通津)의 이 현감(李縣監) 이 의병(義兵)을 일으킬 때의 격문
    • 책(策)
      • 책문(策問)
    • 평(評)
      • 이(理)에 대해서 논한 제생(諸生)의 글을 평함
    • 설(說)
      • 표설(豹說)
    • 비(碑)
      • 미곶 해운비(彌串海運碑)
      • 권 원수(權元帥)의 행주비(幸州碑)
  • 간이집 제2권
    • 신도비명(神道碑銘)
      • 대사헌(大司憲) 한공(韓公)의 신도비명
      • 계원군(桂原君) 장민공(長敏公)의 신도비명
      • 대사헌 박공(朴公)의 신도비명
      • 증 이조참판 행 사헌부장령 정공(鄭公)의 신도비명
      • 대사헌 김공(金公)의 신도비명
      • 의정부 우참찬(議政府右參贊) 증(贈) 영의정(領議政) 이공(李公)의 신도비명
      • 증(贈) 영의정(領議政) 행 북병사(行北兵使) 이공(李公)의 신도비명
    • 묘지명(墓誌銘)
      • 정숙옹주(靜淑翁主)의 묘지명
      • 귀인(貴人) 한씨(韓氏)의 묘지명
      • 귀인 정씨(鄭氏)의 묘지명
    • 묘갈명(墓碣銘)
      • 동부승지(同副承旨) 윤공(尹公)의 묘갈명
      • 부사직(副司直) 이공(李公)과 숙인(淑人) 민씨(閔氏)를 합장(合葬)한 묘갈명
      •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채후(蔡侯)의 묘갈명
      • 현릉 참봉(顯陵參奉) 송공(宋公)의 묘갈명
      • 처사(處士) 반공(潘公)의 묘갈명
      • 증(贈) 이조 판서(吏曹判書) 정공(鄭公)의 묘갈명
      • 송 도사(宋都事)의 묘갈명
      • 의인(宜人) 이씨(李氏)의 묘갈명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조공(趙公)의 묘갈명
      • 유 안동(兪安東)의 묘갈명
      • 노 이천(盧伊川)의 묘갈명
      •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 윤공(尹公)의 묘갈 음기(墓碣陰記)
      • 고(故) 고려(高麗) 통헌대부(通憲大夫) 추밀원 직부사(樞密院直副使) 남공(南公)의 묘표(墓表)
      • 고우(故友)인 고부 군수(古阜郡守) 이군(李君)의 묘갈 음기
    • 기(記)
      • 연기당기(硏幾堂記)
      • 열승정기(閱勝亭記)
      • 쌍취헌기(雙翠軒記)
      • 천성진(天城鎭) 정원루(定遠樓)의 기문
      • 영허당기(盈虛堂記)
      • 애산당기(愛山堂記)
      • 양현사기(兩賢祠記)
      • 유천귀래재기(柳泉歸來齋記)
  • 간이집 제3권
    • 서(序)
      • 승려 경정(景晶)의 시권(詩卷)에 붙인 서문(序文)
      • 영변(寧邊)에 판관(判官)으로 나가는 임숙무(林叔茂)를 전송한 글
      • 호남의 구 감사(具監司)를 전송한 글
      • 영남의 관찰사로 부임하는 허초당(許草堂) 선생을 전송한 글
      • 징영당(澄映堂) 십영(十詠)에 대한 서문(序文)
      • 낭자산도(狼子山圖)의 시서(詩序)
      • 평난도감(平難都監) 계첩(契帖)의 서문
      • 함경도 순안어사(咸鏡道巡按御史)로 떠나는 정랑(正郞) 박열지(朴說之)를 전송하며 지어 준 시서(詩序)
      • 삼청첩(三淸帖) 서문
      • 낭간권(琅玕卷) 서문
      • 사명(使命)을 받들고 중국으로 가는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박자룡(朴子龍)을 전송하며 시서(詩序)로 써 준 글
      • 이 참찬(李參贊)이 양 천사(楊天使)에게 보여 준 간첩(簡帖)에 쓴 서문
      • 한경홍(韓景洪)의 서첩(書帖)에 쓴 글
      • 산수(山水)를 그린 병풍(屛風)에 쓴 글
      • 관압사(管押使) 한자선(韓子善) 영공(令公)을 전송하며 지은 시서(詩序)
      • 도총섭(都摠攝) 엄 상인(嚴上人)에게 준 시서
      • 행원(杏園)을 그리워하는 정양일(鄭養一) 선생에게 써 준 글
      • 고사리(高沙里)의 진소(鎭所)로 부임하는 송 첨지(宋僉知)를 전송하며 지은 글
      • 사은 정사(謝恩正使)로 중국에 가는 한 찬성(韓贊成)을 전송하며 지은 글
      • 박 수재(朴秀才)와 헤어지며 그에게 남겨 준 글
      • 수재(秀才) 김정후(金靜厚)의 원학록(願學錄) 뒤에 쓴 글
      • 중국의 경사(京師)로 떠나는 유서경(柳西坰)을 전송한 글
      • 도체찰사(都體察使)의 막부(幕府)에 종사관(從事官)으로 부임하는 이 응교(李應敎) 를 전송한 글
      • 이지봉(李芝峯) 영공(令公)이 중국에서 안남(安南)의 사신을 만나 창수(唱酬)한 시권(詩卷)에 쓴 글
      • 한경홍(韓景洪)이 동궁(東宮)에서 진귀한 과일을 하사(下賜)받은 것을 축하한 글
      • 권 신천(權信川) 의 경연도(慶筵圖)에 쓴 글
      • 중국의 경사(京師)로 떠나는 정몽여(鄭夢與) 공을 전송한 글
      • 신 동추(申同樞)의 경수도(慶壽圖)에 쓴 시서(詩序)
      • 호서(湖西)의 시관(試官)으로 떠나는 정랑(正郞) 이자민(李子敏)을 전송한 글
      • 수군통제사(水軍統制使)의 종사관(從事官)으로 떠나는 임 좌랑(林佐郞) 을 전송한 글
      • 국구(國舅)인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의 사제(私第)에서 열린 연회에 대하여 쓴 글
      • 창사정(彰賜亭)의 권첩(卷帖)에 쓴 서문
      • 강원 감사(江原監司)로 부임하는 박자룡(朴子龍) 공을 전송한 글
      • 단천 군수(端川郡守)로 부임하는 이자민(李子敏)을 전송한 글
      • 금강산(金剛山) 유람의 권첩(卷帖)에 쓴 글
      • 여 장로(如長老)의 시권(詩卷)에 쓴 서문
      • 거산 찰방(居山察訪)으로 떠나는 박여승(朴汝昇)을 전송한 글
      • 해동 회답부사(海東回答副使)로 떠나는 시정(寺正) 경섬(慶暹) 선생을 전송한 글
      • 호남의 방백으로 떠나는 사문(斯文) 최관(崔瓘)을 전송한 글
    • 지(識)
      • 퇴계(退溪)의 글씨를 모아 만든 작은 병풍에 쓰다.
      • 재령군(載寧郡) 시원(試院)의 제명도(題名圖)에 쓴 글
      • 승문원(承文院)의 계회도(契會圖)에 쓴 글
      • 이아계(李鵝溪)가 시를 적어 넣은 산수도(山水圖)에 쓰다.
      • 하대이(河大而)의 대나무 그림에 적어 넣은 글
      • 금계수(錦溪守)가 소장한 산수도(山水圖)에 쓴 글
      • 산화(散畫)에 쓰다.
      • 이 소윤(李少尹)이 소장한 고화(古畫)에 쓰다.
    • 발(跋)
      • 새로 인쇄한 도은(陶隱) 시집의 발문(跋文)
      • 십가 근체시(十家近體詩)의 발문
      • 진주(晉州)의 상정 문안(詳定文案)에 쓴 발문
      • 아계공(鵝溪公)의 기성록(箕城錄) 발문
      • 평양(平壤)에서 판각(板刻)한 맹자(孟子) 대문(大文)의 발문
      • 마포(麻浦)에서 창수(唱酬)한 시에 대한 발문
      • 허해악(許海嶽)이 준 시를 박씨 집안에서 소장하고 있다가 만든 시첩(詩帖) 뒤에 쓴 글
      • 관동(關東) 승상록(勝賞錄) 발문
      • 기성(騎省)의 계첩(禊帖) 뒤에 쓴 글
      • 신축년 사마회(司馬會)의 계첩 뒤에 쓴 글
      • 춘천(春川)의 별어첩(別語帖) 뒤에 쓴 글
  • 간이집 제4권
    • 사행문록(四行文錄)
  • 간이집 제5권
    • 괴원문록(槐院文錄)
  • 간이집 제6권
    • 초미록(焦尾錄)
    • 습유(拾遺)
    • 정축행록(丁丑行錄)
    • 신사행록(辛巳行錄)
    • 분진록(分津錄)
    • 진양록(晉陽錄)
    • 호행록(扈行錄)
    • 난후록(亂後錄)
    • 계사행록(癸巳行錄)
  • 간이집 제7권
    • 갑오행록(甲午行錄)
    • 공산록(公山錄)
    • 송도록(松都錄)
    • 여강록(驪江錄)
    • 마포록(麻浦錄)
  • 간이집 제8권
    • 서도록(西都錄) 전(前)
    • 서도록(西都錄) 후(後)
    • 환경록(還京錄)
    • 동군록(東郡錄)
    • 환조록(還朝錄)
    • 휴가록(休假錄)
  • 간이집 제9권
    • 희년록(稀年錄)
    • 부록(附錄)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9 19:33:04에 나무위키 간이집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평양의 구룡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