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릴레오(탐사선)

덤프버전 :

인류의 목성 탐사
[ 펼치기 · 접기 ]
이름
접근 시기 (최근접)
운영 주체
탐사 방식
파이어니어 10호
1973년
NASA
중력도움
파이어니어 11호
1974년
NASA
중력도움
보이저 1호
1979년
NASA
중력도움
보이저 2호
1979년
NASA
중력도움
율리시즈
1992년 1차, 2004년 2차
NASA / ESA
중력도움
갈릴레오
1995 ~ 2003년
NASA
목성 궤도선 & 목성 대기 진입 탐사선
카시니-하위헌스
2000년
NASA / ESA
중력도움
뉴 호라이즌스
2007년
NASA
중력도움
주노
2016년 ~
NASA
목성 궤도선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
2023년 발사
ESA
가니메데 궤도선
유로파 클리퍼
2024년 발사예정
NASA
유로파 궤도선




Galileo spacecraft

파일:external/solarsystem.nasa.gov/Jupiter_Arrival.jpg

1. 개요
2. 업적
2.1. 생명체 탐사



1. 개요[편집]



STS-34 아틀란티스의 IUS에서 발사되는 갈릴레오.

갈릴레오 호는 1989년 10월 18일 우주왕복선 아틀란티스 호에서 발사된 목성 탐사선이다. 발사후 메인 안테나가 고장나 한번의 위기를 겪었던 적이 있다. 즉 접이식이었던 메인 안테나가 절반이상 펴지지 않아서 사용불능이 되버린 것(...). 일단 궤도상으로 올린 뒤에 벌어진 일이라 수리는 불가능하고 대신 메인 안테나 위에 설치된 보조 안테나를 통해 자료를 전송받을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름에 걸맞게 보조 안테나라서 시그널이 약해서 자료 전송에 제약이 발생했다. 그래서 NASA에서 공돌이들을 다시 한번 갈아서 만들어낸게 바로 파일 전송 압축기술(...).

1995년 12월 7일에 목성 궤도에 진입해 목성의 대기 속으로 탐사선을 발사하였다. 그리고 갈릴레오 호는 2003년 9월 21일 생명체가 존재할지 모르는 목성의 위성들이 혹시 모를 충돌로 인하여 나올 방사능과, 지구세균으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막기 위해 목성과의 충돌로 임무를 마쳤다. 한때는 계속 탐사 미션을 연장하자는 의견도 있었으나, 만약 목성의 위성과 충돌할 시, 에너지로 쓰는 플루토늄 전지로 인한 오염이 발생될 우려가 있었기에 불발되었다.

파일:external/c1.staticflickr.com/4995921381_df0bb59478_b.jpg
목성으로 돌입하는 갈릴레오 프로브의 상상도. 출처
갈릴레오 탐사선에 탑재된 프로브를 이용해 본격 목성 내부는 과연 어떻게 생겼을까? 라는 답을 찾기위해 갈릴레오는 과감하게 목성 대기권속으로 프로브를 분리시킨 후 투하. 시속 240,000km(...)[1]로 대기권 돌입 후 낙하산을 펼치고 탐사를 시작해 상층대기권에서 지구와 같은 종류의 권운과 염화암모늄·메탄·암모니아로 이루어진 크고 기괴한 얼음 구름들 그리고 공기 중의 다량의 수분을 발견했다. 이대로 계속 내려갔으면 액체수소층까지 갈 줄 알았지만 점점 치솟는 압력과 밀도로 인해 내려간지 1시간 20분 후 내부대기층 163km 지점에서 압력이 원인으로 추정되는 파괴로 인해 통신이 두절되었다.

원래 STS-61-G 아틀란티스에서 액체 수소 로켓 'Centaur-G'를 탑재하여 발사될 예정이었지만, STS-51-L 챌린저 참사로 NASA의 셔틀 프로그램이 전면 재검토에 들어간 뒤 Centaur-G가 승무원 탈출 절차에 너무 위험하다고 IUS로 대체되었다. 문제는 IUS의 추력이 조루였기 때문에 결국 한방에 쫙 목성으로 갈 수 있던 것을 수 차례 스윙바이를 거쳐야 했다는 사연이...[2] 그리고 이 스윙바이 당시 그린피스플루토늄이 지구 궤도를 돈다고 뭐라 한 업적이 있다.


2. 업적[편집]


갈릴레오 호의 대표적인 업적으로는 목성위성유로파바다가 존재할 가능성을 발견한 것을 들 수 있으며 두번째로 소행성플라이바이했으며[3] 최초로 소행성 이다와 가스프라의 사진을 찍고 소행성의 위성인 이다의 위성 다크틸을 발견하기도 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L9ImpactGalileo.jpg
또한 목성 궤도 진입을 앞두고 각도를 적절히 좁히며 슈메이커-레비 혜성의 목성 충돌을 관측할 수 있었다.


2.1. 생명체 탐사[편집]


외계 생명체 탐사 (칼 세이건)

칼 세이건은 갈릴레오 탐사선을 사용하여 매우 흥미로운 연구도 진행하였는데, 바로 외계생명체의 존재를 탐사하는 것. 1990년대에는 아직 우리가 알고 있는 외계 행성이 없다보니, 지구를 외계 행성으로 가정하고 목성 궤도에서의 관측을 통해 지구에 생명체가 존재함을 증명하는 실험을 하였다. 지구 대기의 구성 성분을 분석하여 생명체의 존재 여부를 증명하는 것. 예를 들어, 산소메탄은 반응성이 강한 기체들이라 고농도의 산소와 메탄이 자연상태에 오래 공존하면 이산화 탄소로 변경되어야 하는데, 지구의 대기에는 고농도의 산소와 메탄이 공존한다는 것. 자연상태에서는 발생할 수 없는 현상이다보니, 지구에서는 무엇인가 인위적인 것이 지구 대기에 지속적으로 산소와 메탄을 공급하고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대기 구성의 증거가 여러 가지가 나왔고, 지구에는 생명체가 있다라고 결론을 내린다.

이 연구의 특징은 행성대기 구성만으로 생명체의 존재여부를 파악한다는 점이다. 즉, 외계생명체에 지능이 필요하지도 않고, 꼭 탄소/산소/이산화 탄소 기반의 생명체가 아니어도 된다는 것. 우리가 이미 자연상태로 존재하기 어렵다고 알고 있는 대기 구성만 발견할 수 있으면 생명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2021년에 발사한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임무 중 하나가 외계 행성들의 대기 구성성분으로 외계생명체의 존재를 확인하는 것.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9 22:37:56에 나무위키 갈릴레오(탐사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올림픽대로0.6초만에 완주할 수 있고, 서울에서 부산까지 7초만에 가는 속력이다.[2] 당시의 기술로도 타이탄, 아틀라스 같은 다른 걸작 로켓으로 쏠 수 있었지만 챌린저 참사 이후 우주왕복선의 용도가 애매모호해지는 시기에 억지로 IUS에 붙여서 날려보낸게 화근이었다. 결국 예정보다 4-5년 늦게 도착하게 된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이런 일정 지체 덕에 슈메이커-레비 혜성의 목성 충돌을 생생히 관측할 수 있었으니 이 역시 새옹지마.[3] 최초로 지나간 탐사선으로는 파이오니어 10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