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무리

덤프버전 :

1. 순 우리말로서의 갈무리
1.1. 2번에서 유래한 나훈아의 노래 제목
2. PC통신 용어
2.1. PC통신 용어에서 유래한 오늘날 신문 기사에서의 뜻
3. 몬스터 헌터 시리즈에 등장하는 개념


1. 순 우리말로서의 갈무리[편집]


  1. "잘 정리하여 간수하거나 보관함"이라는 의미.(store)
  2. "잘 마무리하는 행위"라는 의미.(finish)


1.1. 2번에서 유래한 나훈아의 노래 제목[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갈무리(나훈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 PC통신 용어[편집]


주로 PC통신을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야기, 새롬 데이타맨 등)이 제공했던 기능으로, 화면에 나타나는 내용을 모조리 텍스트 파일로 저장하는 기능.

이 기능은 영어권에서 캡처(capture)라는 용어로 사용하던 것으로 PC통신 초창기에는 국내에서도 캡처한다고 불렀다. 그러나 통신 에뮬레이터 이야기의 제작자들이 극단적 한글화론자여서 다수의 PC용어들[1]을 순 한글화했는데 당시 PC통신에 가장 많이 사용했던 프로그램이 이야기였던 터라서 '갈무리'가 캡처를 대신해서 널리 사용되었던 것.

전유성이 쓴 '컴퓨터 일주일만 하면 전유성만큼 한다' 라는 책에서는 갈무리를 소의 되새김질에 비유한 바 있다.

이야기 6.1 이하 버전이나 새롬 데이타맨은 .cap 확장자로, 이야기 7.x 이후 버전부터는 .gal 확장자(높은 버전은 다른 확장자로 설정 가능)로 저장했다. 확장자는 이렇지만 열어보면 그냥 일반적인 텍스트 파일이다. 단, 이야기에서 생성한 갈무리 파일의 경우 윈도우 환경에서 메모장 등으로 그냥 열면 와장창 깨지는 경우가 많은데, 별다른 설정을 하지 않으면 조합형 코드로 저장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에는 조합형을 지원하는 아래아 한글 등에서 읽으면 된다.

갈무리 기능을 한번 실행시켜두면 해제하기 전까지 계속해서 기록을 하므로, 자신의 통신습관을 체크할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당시의 컴퓨터는 640×480 해상도의 jpg 파일도 무서워해야 할 정도의 저장용량을 자랑(?)하고 있는 편이었기 때문에 그냥 필요한 것만 뽑아내고 기능을 끄는 식으로 사용했다.

관련된 PC통신 명령어로 pr(하이텔의 경우)이 있었다.

지금은 긴 글을 볼 때 오른쪽에 스크롤바가 떠서 그냥 죽 내리면서 시원스럽게 볼 수 있으나, 당시 PC통신은 스크롤바가 뜨는 것이 아니고 20줄 보여주고 대기, 엔터를 누르면 다시 다음의 20줄을 보여주고 대기, 이런 형태로 장문을 읽어야 했기 때문에 감질나고 짜증났다. pr 명령어는 이 장문의 글을 그냥 계속 내보내는 것.

PC통신은 100% 텍스트 기반 서비스였으므로 스크롤바는 있을 턱이 없으니,[2] 당연히 이렇게 장문의 글을 내보내기만 하면 사용자는 가장 끝부분밖에 못보지만, 갈무리 기능을 이용하면 이렇게 내보내어진 장문의 글도 텍스트파일로 저장이 가능했기 때문에 글을 읽으면서 엔터를 계속해서 눌러줘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었다. 또한, 텍스트파일로 저장하기 때문에 전화를 끊고 게시물을 볼 수 있게 되어 전화요금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도 컸다.

위에서 보듯 PC통신에서 '자료를 PC에 저장해둔다'라는 개념으로 정립된 용어이기 때문에, 해당 세대에겐 인터넷 시절에 접어든 이후로도 한동안 스샷, 캡처라는 용어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었다. PC통신 시대가 끝난 지 오래인 지금에는, 뜬금없이 '갈무리'라고 말하면 대체 무슨 뜻으로 쓴 거냐는 반문이 돌아올 것이다. 어쩌면 여기서 유명한 캡처 프로그램인 칼무리가 이름을 따왔을지도?

웹 브라우저에도 유사한 기능이 있다. 웹페이지 보관 파일(*.MTH)이라던가 오프라인으로 웹 페이지를 저장하는 기능이 대표적이다.[3] 데스크톱 브라우저 보다는 인터넷 접속이 제한적인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하는 브라우저에서 발달되어 있는 기능이다. 사실 웹 브라우저는 이미 갈무리를 하고 있었다. 방문 기록에서 캐싱된 웹 페이지들이 그것.[4]

현대적인 웹 브라우저에서는 저장 기능을 지원하고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웹 브라우저에서는 Windows사용자는 Ctrl+S, Mac 사용자에게는 Command+S 단축키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 자체를 저장할 수 있다. 다만 현대적인 웹페이지/웹앱들이 인터넷 접속이 원활한 것을 전제로 제작되고있기 때문에, 이런 방법으로 저장했을 경우에는 잘 동작하지 않을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2.1. PC통신 용어에서 유래한 오늘날 신문 기사에서의 뜻[편집]


오늘날에는 주로 일부 신문 기사에서 영상이나 컴퓨터 화면의 특정 장면의 캡처화면 또는 스샷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 어떤 화면을 저장, 보관하거나 간수하고자 순간적으로 포착(capture)해 jpg 파일로 만든다는 의미로에서 그렇게 사용하는 듯하다.


3. 몬스터 헌터 시리즈에 등장하는 개념[편집]


剥ぎ取り(はぎとり)

뜻은 '벗겨내다'이며 한국어판이 정식 발매된 몬스터 헌터 G에서 '갈무리'로 의역되었다. 다만 어떤 의미에선 창작이라 볼 수도 있는데, 한국어의 '갈무리'에는 벗겨낸다는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아마 원 단어의 '잘 정리해서 보관한다'는 뜻과 함께, 당시 PC통신에서 Capture의 대체어로 갈무리가 널리 사용되던 시기였기에 익숙한 단어를 차용해 왔을 가능성이 있다.

몬헌에서 몬스터의 소재는 퀘스트 달성시에 주워지는 메인 보수+부위파괴 보수+포획을 했다면 포획보수. 포획을 포기한다면, 몬스터를 토벌하고 나서 할 수 있는 이 갈무리로 얻을 수 있다.

죽인 몬스터의 사체 근처에서 상호작용 키[5]를 누르면 헌터가 허리에 차고있던 갈무리용 칼을 꺼내서 몬스터를 해체하는 듯한 모션과 '서걱서걱'대는 효과음이 나오고 몬스터의 소재가 인벤토리 안으로 들어온다. 그러니까 갈무리보단 무두질에 가깝다.

몬스터의 사체가 있어야하기에 무기로 갑충종을 때려잡는 것처럼 시체가 터지거나 시간이 지나서 사라지는 사체에 대해선 갈무리가 불가능. 또한 갈무리 도중 공격을 받으면 갈무리가 취소된다. 갈무리를 다한 사체는 사라지지만 보스 몬스터의 경우에는 사체가 퀘스트 완료때까지 사라지지 않으며 특히 메인 타겟이 아니더라도 절단된 부위는 해당 몬스터가 죽거나 이탈할 때까지 없어지지 않으므로 괜히 파티플할 때 꼬리 갈무리 하겠다고 전투에 이탈하지 말자.[6]

일반 잡 몬스터의 경우 갈무리 가능 횟수는 1번이며 초식몬스터의 경우 2번 갈무리가 가능.

육상 대형 조룡종[7]/키린의 경우 2번,[8] 도스팡고부터 대부분의 몬스터는 3번. 그라비모스/가노토토스 등 몸집이 큰 몬스터는, 혹은 월드 기준으로는 위험도가 높은 고룡종이블조 등 일부 고룡급 생물은 4번. 라오샨롱/밀라보레아스 등 초거대 몬스터는 부위별로 3번씩 총 9번 갈무리가 가능하며[9], 라비엔테는 몸 전체에 걸쳐 몇 개나 되는 갈무리 포인트를 가진다. 다만 월드에서는 이게 비직관적이라고 여겨져서인지 꼬리나 두갑각 등 절단되거나 떨어져나온 부분을 제외하면 거대 몬스터라고 해도 갈무리 횟수가 상궤 이상으로 상향조정되는 선에서 그치는데, 보통 6번이다.[10]

몬스터의 꼬리를 잘라내면 그 꼬리 역시 갈무리가 가능하며 대부분 1번이지만 모노블로스나 그라비모스, 아캄토름, 우캄루바스, 제노−지바의 경우는 2번 갈무리가 가능.

가끔 보스 몬스터가 죽으면서 맵의 이동하는 부분에 날아가서 분통을 터트리는 경우가 있다. 특히 이 경우는 원거리 무기로 가노토토스를 사냥할 때 많이 나타나는데, 물 속에 있는 놈을 쏴서 꺼내려고 하다가 물 속에서 죽어버리는 어처구니 없는 사태가 벌어지기 때문...

관련스킬로 갈무리 명인/달인이 있어 갈무리의 횟수를 늘려준다거나 갈무리 도중 가벼운 공격을 무시하는 효과를 가졌다.

이외에도 갈무리 속도를 늘려주는 고속수집이라는 스킬도 존재하는데 월드 이전에는 특정 몹[11]의 경우 갈무리 가능 부위나 횟수가 많은데 이런 몬스터의 경우 미리 갈무리 포인트에 가있지 않으면 토벌 후 귀환시간 내에 갈무리를 다 하지못하는 불상사(...)가 발생한다.

그 어떤 단단한 껍질을 가진 몬스터라도 조그마한 칼로 순식간에 갈무리하는 그 모습을 보고 많은 플레이어들이 차라리 저걸로 사냥을 하라며 헌터를 까기도 한다. 몬스터 헌터 4에서 단차 액션으로 몬스터의 등에 올라타면 헌터가 이 갈무리용 단검으로 등짝을 푹푹 쑤셔대는데, 갈무리칼의 명성답게 육질을 무시하여 튕겨나가지도 않는다. 이것이 성공하면 몬스터를 확정적으로 다운시킬 수 있다.

아무래도 헌터들과 생사고락을 함께하는 물건[12]이다보니 헌터들 사이에선 갈무리용 칼은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보여지는데 실제로 4G 엔딩에선 스승이 떠나면서 필두 리더에게 갈무리칼을 물려주는 장면이 있다.

상기된 최종병기스러운 이미지가 채용됐는지,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시리즈에서는 갈무리 칼을 쓰는 필살기도 추가됐다. 업데이트 GG에서 추가된 비전 개안 오의(천지파열무)와, 시즌 G7에서 추가된 초월비의 육화섬무.

또한 월드에서는 영화콜라보로 아르테미스가 사용하는 쌍검중 하나가 갈무리칼로 되어있다.

여담으로, 커다란 몬스터를 완전히 해체하는 대신 정해진 횟수만큼의[13] 갈무리로 대신하는 이유는 헌터라는 직종의 규칙 때문이라는 설정이다. 생태계에 돌아갈 부분을 일부러 남겨놓는 것을 통해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도모하고 있는 것이다. 여러 가지 상황에서 플레이어 대사가 생긴 몬스터 헌터 라이즈를 보면 갈무리시에 플레이어가 '고맙게 잘 사용하겠다'는 맥락의 대사를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9 19:20:14에 나무위키 갈무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도 무른모, 굳은모 등의 순한글 용어를 만들거나 차용해서 자사의 무른모프로그램에서 사용했다.[2] 도스에서 원시적인 형태로 구현한 프로그램은 많았다.[3] Internet Explorer 기준으로 즐겨찾기에 오프라인 사용가능으로 페이지를 추가하면 되면 별도로 페이지 내 링크까지 저장할수있다.[4] 실제로 웹 브라우저에서 ‘오프라인 모드’로 설정하고 방문기록에 캐싱된 웹 페이지들를 불러오면 웹 페이지를 열림할수 있다.[5] 포터블 및 이후 후기 PS 작품에서는 ○, 닌텐도 기종에서는 A[6] 단, 3세대 이후로는 대연속 수렵 퀘스트나 10연속 수렵퀘, 채집퀘 등에서는 먼저 잡은 몬스터의 시체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므로 유의할 것. 어디까지나 해당 몬스터가 마지막으로 처리된 메인 타겟일 경우에만 시체가 남아있는다. 또한 월드 이전의 작품에서는 이블조가 난입할 경우 그딴 거 없이 시체고 꼬리고 죄다 먹어치울 확률이 있으니 주의.(월드에서는 초식종 이외의 몬스터를 대상으로 한 포식 행위가 시체를 그대로 남겨 해당 사항 없음)[7] 도스~가 붙는 몬스터들[8] 다만 3세대부터 3번으로 늘었으며, 4세대부터는 키린도 3번에서 몬스터 헌터: 월드에서 다른 고룡종과 마찬가지인 4번으로 늘었다.[9] 다렌 모란은 앞뒤로 4번씩 총 8번 갈무리 가능하다.[10] 드문 예외로 맘 타로트는 5회로 더 적다. 대신 부위파괴를 통해서 무려 총 3(뿔 황금)+2×2(뿔)+5(본체)=12회의 갈무리가 가능하다.[11] 대표적으로 밀라보레아스가 있는데 갈무리 부위도 3부위에다가 각각 3회씩 가능하다.[12] 인게임에서 토벌용 무기의 경우 수시로 바뀌는데 갈무리용 칼만은 절대 변하지 않는다. 방어구 외관에 갈무리용 칼이 따로 있더라도 해당 칼을 사용하지 않고 어딘가에서 갈무리용 칼을 꺼내는건 덤(...)[13] 진짜 3번으로 고정된 건 아니고 그냥 필요한 만큼만. 어차피 왕창 가져가 봐야 길드 규제 때문에 사적으로 판매할 수도 없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