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가재

덤프버전 :

갯가재(맨티스 슈림프)
Mantis shrimp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ntis_shrimp_from_front.jpg
학명
Stomatopoda
Latreille, 1817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Arthropoda)
아문
갑각아문(Crustacea)

연갑강(Malacostraca)
아강
자하아강(Hoplocarida)

구각목(Stomatopoda)
[[생물 분류 단계#s-2.8|{{{#000 상과}}}]]
갯가재상과(Squilloidea)
돌기갯가재상과(Parasquilloidea)
혹돌기갯가재상과(Gonodactyloidea)
바티스퀼라상과(Bathysquilloidea)
에리트로스퀼라상과(Erythrosquilloidea)
에우리스퀼라상과(Eurysquilloidea)
리시오스퀼라상과(Lysiosquilloidea)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OdontodactylusScyllarus2.jpg

관상용으로 많이 키우는 공작갯가재(Peacock mantis shrimp, Odontodactylus scyllarus)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Oratosquilla_oratoria%2C_back.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Oratosquilla_oratoria.jpg

우리나라에도 서식하는 갯가재(Oratosquilla oratoria) 종. 출처는 위키미디어 공용.

1. 개요
2. 특징
3. 식용
4. 대중매체



1. 개요[편집]


구각목(Order Stomatopoda)에 속하는 갑각류의 총칭. 사마귀를 연상케 하는 모양의 앞다리가 특징적이다. 그래서 아래 짤에서 보듯 영어로는 'Mantis Shrimp'라고 한다.

파일:맨티스 쉬림프 종류.gif

위쪽은 스피어형, 아래쪽이 스매셔형.

스피어형.jpg

스피어형.gif

다리의 모양에 따라 둘로 나뉘는데 낫 모양을 가진 종류인 스피어형과 공 모양을 가진 종류를 가진 스매셔형 두 종류가 있다. 특히 앞 다리에 타원형 공을 지니고 있는 갯가재는 앞다리가 권투글러브의 역할을 하는데, 펀치도 날리는 순간의 속력이 매우 빠르고 강력해서 일반유리나 단단한 산호를 깰 수 있을 정도... 다만 단단한 산호를 깨부술수 있을 정도로 강력한 종은 한정되어 있다. 이름이나 생김새는 가재새우를 닮았지만, 유전적으로 촌수가 상당히 멀다. 새우가재, 는 십각목, 갯가재는 구각목이다. 목과 목 간의 차이는 (식육목)와 인간(영장목)의 차이와 같다.

Mantis shrimp 혹은 stomatopods, prawn killer[1], 皮皮虾(피피샤, 중국어), シャコ(샤꼬, 일본어). 우리나라에서는 갯가재 외에 딱새, 털치, 설개 또는 설게, 설기(충청도 지방)라고도 부른다.[2] 정약전은 《자산어보》에서 갯가재를 ‘백석해’[3]라는 이름으로 기록했다. 간혹 이랑 갯가재를 뭉뚱그려 부르는 사람들도 있긴 한데 쏙은 게나 새우와 같은 십각목으로 상술했듯 갯가재와는 거리가 꽤 먼 생물이다. 또한 "갯-"이라는 접두어가 "바다의"라는 의미가 있기 때문에 바닷가재와 헷갈릴 수도 있으나, 이 둘은 전혀혀 다른 종이다.

Mantis shrimp라는 영명은 생김새가 사마귀와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인데 실제로 사마귀 못지않은 강력한 포식자이다.


2. 특징[편집]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The_Mantis_Shrimp.png
바다탐험대 옥토넛의 한 장면으로 왼쪽은 당랑권형(형 다리)갯가재, 오른쪽은 권투형(글러브형 다리)갯가재. 하지만 여기서 갯가재의 영명인 맨티스 슈림프를 그대로 직역하는 바람에 사마귀새우라고 오역했다.[4]

몸길이는 종에 따라 다르지만 한반도에 자생하는 갯가재와 공작갯가재 기준으로 대개 15cm 안팎으로 자란다. 하지만 큰 종들은 사람 손보다도 크게 자란다.

갯가재의 가장 특징적인 부분이라면 입에 달려 있는 앞다리이다. 괜히 구각(口脚)목이 아니다. 전술한 대로 앞다리는 권투처럼 상대를 때리는 스매셔형(펀치형)과 날카롭게 베는 스피어형(할퀴기형)이 있다. 스피어형도 펀치를 날리긴한다. 국내 갯가재는 대부분 스피어형이다. 이 앞다리살도 밥풀만하지만 꽤 진미라 하여 일본에서는 이 앞다리살만 발라내어 팔기도 한다. 알아야 할 점은 펀치형이 적을 가격해서 죽음에 가깝게 기절시키는 용도로 주로 쓰이는 것이 아니라 목표물을 박살내서 먹는 게 목표다. 주 먹이가 조개 같은 패류나 골뱅이 같은 복족류이기 때문에 상대의 껍데기를 부수는 것 펀치의 용도다. 갯가재에 대한 정리.

다만 상황에 따라선 펀치를 기절 혹은 놀라게 하는 용도로도 쓴다. 갯가재의 펀치는 25m/s[5]라는 가공할 속도로 인해 펀치를 낼때 작은 적들은 기절하고, 덩치 큰 적들은 놀라거나 상해를 입을 수 있다. 이는 인간도 마찬가지라, 스킨스쿠버도 부주의하게 갯가재를 만지려다 손톱이 박살나기도 한다. 글러브형 갯가재에게 맞은 상처는 둔기로 맞아서 손톱이 깨지는 상처와 같으므로, 손톱 파편에 의한 2차 열상을 입을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펀치형 갯가재의 앞다리 특징상 상대를 움켜쥐기엔 적합한 구조가 아니다보니, 재빠르고 미끈거리는 어류를 적극적으로 사냥하지는 않는다. 대신 사정거리 내에 가깝게 접근하면 앞다리로 때려서 기절시키거나, 뇌진탕으로 즉사시켜서 사냥한다. 인간의 눈으로 보면 별거 아니지만 해당 생물의 크기를 생각한다면 가공할 위력이다.

스피어형도 펀치형만큼이나 속도가 빠르기는 마찬가지인데, 이 역시 접었다 폈다 하는 스프링 근육의 속도가 빠른 덕에 먹이를 낚아채는 것. 스피어형의 주 먹이는 작은 물고기이며 미끄럽고 재빠른 물고기를 사마귀 처럼 갈귀가 있고 펀치형과 달리 스피어형은 다리를 닫는 동작이 더 빠르므로 먹이를 움켜쥐기 쉬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렇듯 펀치형, 스피어형 갯가재들의 빠른 앞다리 가동은 독특한 스프링 근육 덕분이다.

앞서 말했듯 펀치형은 상대를 단순히 타격하는게 아닌 박살내는 것이다. 사마귀처럼 앞다리를 모으고 있다가 빠른속도로 물체를 때려서 박살낸다. 스피어형도 앞다리를 뻗는 과정은 펀치형과 동일하나 앞다리의 구조상 타깃을 낚아채거나 할퀴는데 적합하다. 펀치형 갯가재나 스피어형 갯가재나 앞다리를 펼치는 과정은 동일하며, 현재까지 관찰된 생물중 가장 빠른 동작 속도를 지니고 있다. 갯가재의 덩치가 훨씬 더 큼에도 눈썹을 닫는 속도는 물론 톡톡이나 벼룩이 뛰는 속도 보다도 빠르다.(벼룩 또한 생물 중 가장 빠른 점퍼이다.) 즉 갯가재는 곤충과 동물을 포함해 세계에서 가장 빠른 검사이자 복서인 셈..

관련 다큐에서 생물학자가 갯가재 연구 노트에는 갈색 얼룩이 기본적으로 묻어있다고 이야기를 하는데 원인이 실험하던 사람들의 손가락을 갯가재가 두들겨서 피가 나는 거라고. 암튼 갯가재의 딱밤을 맞으면 피를 볼 수 있다.


번역본
일반적으로 문어가 갯가재의 천적이긴 하지만 자신을 지키기 위해서 문어한테도 선빵을 걸기도 한다.



작은 문어일 경우는 큰푸른고리문어처럼 그냥 먹는다. 사실 서식지가 빈번하게 겹치기에 이런 일이 자주 벌어진다고. 영상 주인은 갯가재가 어떻게 문어 독을 씹는지 연구중이다.



연안 바다 생태계에서는 중간포식자의 자리를 차지한다.

이중 펀치형 갯가재(공작갯가재 포함)는 해수어항을 시작하는 사람들에겐 큰 골칫거리로 작용한다. 해수어항의 메인이 되는 라이브락에 펀치형 갯개자의 유생이나, 알이 붙어와서 부화하는 경우, 어항 벽을 매번 때려서 딱딱딱 하는 소리가 난다. 그리고 성체 갯가재는 소음만 내는 수준이 아니라 해수어항을 파괴할 수 있다.

여러모로 골칫거리라 이들을 빨리 걸러내는 게 중요하다.[6]

앞다리는 보통 가재처럼 먹이를 잡고 편하게 먹을 때도 쓰인다. 다만 앞다리의 모습이 모습인지라 마치 사람이 물건을 끌어안듯이 앞발로 끌어잡고 먹는다.[7]

갯가재는 지구상의 동물들 중 가장 넓은 범위의 을 감지할 수 있는 동물로, 갯가재 의 색 수용체는 무려 12~16종[8]이나 되기 때문에 적외선 영역에서부터 자외선 영역까지 감지[9]할 수 있다. 그리고 눈 하나당 3개의 이미지를 본다. 인간의 눈은 눈 하나당 하나의 이미지만 보며 따라서 합계 두개의 이미지를 보는 반면 갯가재는 6개의 이미지를 한번에 본다는 말.

스마트폰으로 치면 센서쪽에 다양한 기능을 덧붙이고 간단하지만 고속 인공지능을 덧붙여놔서 저사양 AP로도 구동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이라고 비유하면 비슷하겠다. 요즘 이런 쪽으로 생체모방공학 아이디어를 얻기도 한다. 이런 시각능력을 이용해서 정교한 경로탐색능력을 가지고 있다.

공작갯가재(Peacock mantis shrimp, Odontodactylus scyllarus)처럼 관상용으로 쓰이는 종류도 있다. 토종 갯가재 역시 사육이 가능하며 수산시장에서 마리당 약 1000원~2000원 가량에 구할수 있다. 식재료로서는 비싼 생물인 갯가재이지만 애완동물로 키우기에는 매우 저렴한 편이다.[10]

우리나라에 사는 종은 Oratosquilla oratoria라는 종 단 하나이고 스피어형이며 지역에 따라서 이라고도 불리는데, 둘은 친척뻘이긴 하지만 진짜 쏙은 전혀 다른 갑각류고 생김새도 가재와 더욱 흡사하다.[11] 더욱이 쏙은 죽은 동물이나 배다리로 물결을 일으켜 수중의 플랑크톤을 걸러먹고 살기에, 공격적인 프레데터인 갯가재와는 식성이 전혀 다르다. 토종 갯가재는 성질이 외국 갯가재들보다 비교적 온순한 편.

혹은 갯바위에서 돌돔을 낚을때 미끼로 쓰기도 한다. 돌돔이 워낙에 고급어종인지라 이정도 미끼는 써 준다는 듯. 심지어 성게와 함께 낚싯바늘에 끼워서 쓰기도 한다. 돌돔은 강력한 턱과 단단한 이빨로 이런 단단한 생물들을 주로 깨먹고 산다.

천적으로는 문어갑오징어가 있다.

3. 식용[편집]


파일:수산시장갯가재.jpg

5월~8월이 제철이며, 새우가 섞인 맛이 난다. 조리법은 새우, 가재와 크게 다르지 않다. 한국에서 갯가재는 주로 해물탕 같은 데 넣어 끓이거나 처럼 쪄먹는 경우가 많고, 된장찌개된장국꽃게고둥처럼 다른 해물과 함께 넣어 먹는다. 구워 먹으면 새우와 가재가 섞인 듯한 맛이 난다. 암컷은 꼬리 안에 알이 있을 때도 있는데, 맛은 꽃게 알과 비슷하고 좀 더 쫄깃하다. 부산이나 경남(창원 등) 해안가 쪽에서는, 바다가 덜 오염되었던 과거에는 아예 갯가재를 삶아서 군것질거리처럼 노점상에서 팔기도 했다.

충남 해안 쪽에서는 을 먹기 때문에 나중에 서로 지역 음식을 보고 '저게 갯가재가 아니야?' '저게 쏙이 아니라고?'하며 문화충격을 느끼곤 한다. 서로 비슷하게 닮았기 때문에 좀 닮긴 했는데 둘을 나란히 놓고 보면 한 눈에 다른 것을 알 수 있을 정도로 디테일은 꽤나 다르게 생겼다. 일단 쏙은 대가리가 크고 갯가재는 집게가 힘이 매우 세다. 껍질도 쏙이 훨씬 부드럽다.

갑각류라서 게장처럼 갯가재장을 담가 먹기도 한다. 맛은 게장과 비슷하긴 한데 특유의 갯가재 냄새 때문에 못 먹는 사람은 못 먹는다.

사람에 따라서는 지네나 바다벌레같은 생김새가 워낙 그로테스크해서 맛도 보기 전에 혐오감을 드러내는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경남 해안가를 제외하면 식용으로서의 인기는 상당히 마이너한 편.

중국에서는 달달하게 조리거나 껍질이 잘 벗겨지도록 잘 튀긴 조리법으로 대중의 사랑을 듬뿍 받는 식재료이다. 야시장이나 해산물 식당에 가면 항상 보인다.

일본에서는 젊은 층에게는 외면받는 식재료이기도 하다. 생김새가 바퀴벌레 같아서 기분나쁘다는 이유. 물론 스시 좋아하는 아저씨들은 갯가재 초밥이라면 환장하고 먹는다.[12] 여배우 나가사와 마사미가 갓 데뷔한 시절 출연한 쇼프로 "쿠와즈키라이"에서도 '출연자가 실은 못 먹는 물건'으로 선정되기도 했다.[13] 다만, 삿포로를 포함한 홋카이도에서는 새우튀김처럼 갯가재를 꼬리만 남기고 껍데기를 벗긴 뒤에 튀겨먹기도 하며, 현지에서는 상당한 별미로 여겨진다[14]. 사실 이는 어려서부터 갯가재를 많이 접해본 것과 성인이 되어 처음 접해본 것의 심리적 차이로 여겨지는데, 경상남도에서는 어린아이들도 양손에 집어들고 새우껍질 까듯 등껍질을 벗겨서 잘만 발라먹는다.

동아시아 못지않게 해산물에 환장하는 로마의 후예들답게, 지중해 지역에서도 식용한다. 다만 지중해 지방에서 식용으로 쓰이는 종은 Squilla mantis라는 종.

4. 대중매체[편집]


프래그먼트에 등장하는 헨더스 섬 토착 생물은 모두 갯가재로부터 진화한 생물들이다. 염류에 극도로 취약하여 바닷물에 빠지면 즉사하는데 전세계 바다에 서식하는 모든 갯가재들은 이 섬에서 염류에 적응하여 퍼져나갔다고 추측되지만 작중에서 결론은 나오지 않았다.

테라포마스의 등장인물인 오니즈카 케이지의 M.O. 수술의 베이스 생물이 공작갯가재인데 가시광선뿐 아니라 자외선, 적외선마저 볼 수 있는 시력을 지닌 데다가 초속 23미터에 순간 가속도 10,400G를 지녔다. 강화유리도 깨부술 수 있는 펀치를 날리는 생물을 복서한테 이식했으니 그 시너지는 가히 엄청나다. 이후 잘려나간 팔을 이용하여 수술하였는지 공작갯가재형 테라포머도 등장한다.

폴아웃 4의 포그 크롤러는 방사능으로 인해 거대화된 갯가재인데 데스클로와 같이 덩치에 비해 엄청 날렵해서 안그래도 시야확보가 힘든 파 하버에서는 진짜 잡기 어려워진다. 유니크 개체로는 배를 부수는 자(Shipbreaker)가 있다.

다라이어스 시리즈에 등장하는 보스 기체인 CRUSTY HAMMER의 모티브가 되었다.

바이오니클 시리즈의 바라키 중 하나인 타카독스는 다른 바라키와 달리 외형이 바다생물이 아닌 사마귀를 닮았지만 실제 모티브는 갯가재이다.

서브노티카: 빌로우 제로에서 공작갯가재가 모티브인 '바위분쇄게'(Rock Puncher)가 등장. 원래는 본편에서 나올 예정이었으나 무산되고 빌로우 제로에서 등장하게 된 것이다.

동물의 숲 시리즈에서는 튀어나와요 동물의 숲모여봐요 동물의 숲에서 잠수로 잡을 수 있다. 튀동숲의 갯가재는 스피어형이지만, 모동숲의 갯가재는 스매셔형이다. 모동숲에서는 갯가재를 배치하고 A를 눌러 어항의 불을 켜거나 끄면 갯가재가 어항을 때려서 어항 벽에 금을 낸다. 다행히 어항은 몇 초만 지나면 다시 복구되기 때문에 어항이 박살난다거나 하지는 않는다.

데이브 더 다이버에서는 블루홀 초입의 보스 중 하나로 등장한다. 스매셔형 갯가재의 특징을 살려 권투 글러브를 끼고 있고 복서처럼 공격을 한다. 또한 맨티스 슈림프가 추를 때리면 권투에서 종을 치는 듯한 소리가 난다.

일본 위스키 광고에서 사나다 히로유키가 먹는 안주로 등장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22:26:52에 나무위키 갯가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새우를 잡아먹는 자’라는 뜻.[2] 사실 설긔는 ''을 부르는 방언이다. 둘 다 구각목이긴 하지만 한 눈에 봐도 서로 다르게 생겼다. [3] ‘흰 닭새우’라는 뜻. 물론 닭새우와는 아주 다른 동물이다.[4] 두 가지 고증면에서 흠이 있다면 서로 색이 바뀌었다는 것이다. 왼쪽 낫형 갯가재의 무늬는 원래 글러브형 갯가재인 공작갯가재의 무늬, 그 반대로 글러브형 갯가재의 무늬는 원래 낫형 갯가재의 무늬다. 또한 낫형 갯가재의 앞발의 꺾인 방향이 반대다.[5] 90km/h[6] 애초에 새우나 플랑크톤 수준의 갑각류가 아닌, 해수갑각류는 산호나 해초를 작살내는 골칫거리중 하나다.[7] 투니버스에서 방영중인 "맹수대백과 60"이라는 외산 프로에서 갯가재를 소개하면서 먹이로 꼬일 때 그 모습을 보인 적이 있다.[8] 많은 동물들이 1~2종, 인간도 3종류밖에 없다. 인간이 가진 3종의 색 수용체에서 받아들이는 빛이 우리가 흔히 말하는 ‘빛의 3원색’이다. 간혹 비둘기같은 는 4종류를 가진 것도 있다.[9] 다만 이것이 꼭 우월하다고는 볼 수 없다. 인간의 중추신경계는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3가지 색 수용체의 정보를 조합해서 천만 개가 넘는 색상을 구분할 수 있지만, 갯가재의 신경계는 단순하기 때문에 그런 복잡한 조합처리를 할 능력이 없다. 그래서 갯가재는 신경계에서 별다른 처리 없이도 색을 구분할 수 있도록, 눈에서 빛의 파장을 가능한 한 세분해서 받아들이도록 진화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10] 갯가재는 보통 한마리씩 유통하기보다는 kg단위로 다수의 개체를 냉동포장해서 유통한다. 살아있는 개체를 고르려면 직접 수산시장으로 가거나 산소팩에 들어있는 살아있는 갯가재를 구매해야한다. 후자의 경우는 거의 숨만 붙어있는 경우가 많아서 추천하지 않는다.[11] 일단 둘 다 같은 절지동물과 갑각강이긴 한데, 쏙은 가재나 새우와 같은 십각목, 갯가재는 구각목에 속한다.[12] 한국에서도 갯가재 초밥은 샤코라고 불리며 오마카세같은 고급 스시야에서 먹을 수 있다. 그리고 한국에서도 샤코는 비인기 네타로 꼽힌다.[13] 이 예능의 컨셉은 이름 그대로 두 출연자가 서로 좋아하는 것 세 종류와 "싫어하는 것" 한 종류를 내놓고 상대에게 싫어하는 것이 뭔지 맞춰보게 하는 내용이다. 상대방을 속여넘기기 위해 싫어하는 음식도 아주 맛있게 연기하며 먹는 게 포인트. 나가사와 마사미 왈 "저게(갯가재) 눈을 부릅뜨고 노려보는 것 같아서 싫다"라고 했다나.[14] 오늘 뭐 먹지?삿포로 특집 2탄 때, 신동엽성시경이 찾아간 튀김 요리 전문점에서 이런 갯가재 튀김을 먹는 장면이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