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그룹
(♥ 0)
분류
1. 개요
3. 걸그룹 일람
3.2. 주요 걸그룹
3.3. 걸그룹 히트곡
3.3.1. 2006~2008년 걸그룹
3.3.2. 2009년 걸그룹
3.3.3. 2010~2011년 걸그룹
3.3.4. 2012~2013년 걸그룹
3.3.5. 2014~2015년 걸그룹
3.3.6. 2016~2019년 걸그룹
3.3.7. 2020~2022년 걸그룹
3.3.8. 유닛 그룹
3.3.9. 프로젝트성 그룹
3.3.10. 연간 종합차트 10위권
3.3.11. 여성 듀오
3.4. 걸그룹 음반 관련 기록
3.5. 지상파 음악방송 1위 당시의 일차
3.6. 지상파 음악방송 1위 횟수 순위
4. 멤버별 포지션
5. 각종 기록
6. 콘셉트
7. 해외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 영어: girl group
- 일본어: ガール・グループ
현재 걸그룹의 모태는 1990년대 영국의 걸그룹 스파이스 걸스 베이스로[1] 하는 형태이지만 정작 영국의 위시한 서구권, 중남미보다 동아시아 국가에서 크게 히트치는 기이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아무래도 개인주의가 주류인 서구권, 중남미 보다 집단주의가 발달한 동아시아 국가들이 걸그룹이 유지하는데 수월했을 것이고 결국 서구권은 경쟁에서 도태되어서 몰락했지만 동아시아 국가들은 경쟁에서 유리했기에 살아 남았을것이다.
비슷한 용어로 걸밴드(girl band)가 있다. 일반적으로 걸그룹이 안무와 노래까지만 할 수 있는 그룹을 뜻하고 걸밴드는 작곡이나 악기 연주까지 할 수 있는 그룹을 뜻한다. 사실 이 두 용어가 항상 이렇게 명확히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한국에서의 '걸밴드'의 예로는 한스밴드, AOA의 밴드 유닛인 AOA BLACK, 비밥, 선예와 안소희의 탈퇴 이후로 선미를 재영입한 4인조 걸밴드 원더걸스가 있다.
일본에서는 걸그룹이라는 용어가 잘 쓰이지 않는다. 일본에서는 '걸즈 유닛(ガールズユニット)'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고, '여성 아이돌'이라는 직관적인 단어도 자주 사용된다. 전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아티스트'적 성격이 강한 그룹을 지칭할 때 자주 쓰이며[2] , 후자는 말 그대로 '여성 멤버로 구성된 아이돌 그룹' 전반을 지칭할 때 쓴다. 그래서 한국이든 일본이든 걸그룹 하면 대부분 한국 쪽의 걸그룹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걸그룹으로는 스파이스 걸스, TLC, 데스티니스 차일드, 푸시캣 돌스, 피프스 하모니 등이 있다. X Factor UK 시즌 8 우승자인 리틀 믹스도 빼놓을 수 없고 최근에는 K-pop 걸그룹들도 각기 나름대로의 영역을 확장해가고 있다.
2. 한국 걸그룹의 역사[편집]
자세한 내용은 걸그룹/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걸그룹 일람[편집]
3.1. 걸그룹 목록[편집]
자세한 내용은 걸그룹/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22년 7월 기준으로, 현재 활동중인 걸그룹은 무려 180여팀에 이른다.[3][4]
3.2. 주요 걸그룹[편집]
현재 걸그룹 중에 인지도를 확보한 팀들을 접근성을 위해 표로 정리.
1997~2005년 데뷔 걸그룹은 이미 해체했지만 당시 영향력이 있었던 걸그룹이거나 지금은 활동이 미약해도 오래 지속 중인 걸그룹만 작성되었다. 2002~2004년 데뷔 걸그룹들은 상대적으로 오래 지속되지 못하거나 인지도가 낮아서 생략되었다. 이 외에도 아예 기억에서도 잊혀져 누락된 걸그룹들이 많을 수 있다.
2006년 이후에 데뷔한 걸그룹들은 해체하지 않고 현재까지 활동 중이면서 어느 정도 인지도를 유지하고 있는 걸그룹들을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모든 걸그룹은 데뷔년도에 데뷔 순서에 맞게 작성하며 걸그룹 서열과 관련된 그 어떤 내용도 표에 서술하지 말 것. 이 표는 서열표가 아닌, 걸그룹의 데뷔년도를 보기 쉽게 해주는 표다.
※이 표에 등재되기 위해서는 해당 팀이 지상파 음악방송 1위, 가온(써클) 연간 종합차트 TOP100 진입[5] , 가온(써클) 월간 종합차트 TOP100 4개월 이상 진입[6] 중 한가지 이상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이는 하단의 3.3 걸그룹 히트곡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예외사항) 불법 및 편법적인 방법을 통해서 등재 기준에 부합하는 성적을 기록하는 경우에는 등재 요건을 갖추더라도 예외사항으로 판단하고 해당 표 및 걸그룹 내용 일람에 등재 시키지 않는다.
3.3. 걸그룹 히트곡[편집]
이 문단에서 서술하는 히트곡은
- 1. 상단의 3.2. 주요 걸그룹 문단에 등재된 팀의 곡을 대상으로 한다.
- 2. 내용이 길어질 수 있으므로 최대 2곡만 서술한다.
- 3. 음원 차트를 기준으로 하며, 멜론차트와 가온/써클차트의 성적 둘 중 하나를 인용한다.[42]
- 4. 내용 서술은 반드시 2줄 이내로 작성한다.
- 5. 1년에 2번 이상 컴백한 경우, 음원차트 성적이 더 높은 곡을 수록한다.
- 5-1. 연간차트에서 1위한 곡을 우선적으로 기록한다. ex) 원더걸스(2008), 소녀시대(2009) 등
- 5-2. 연간 1위곡이 없을 경우 상위권에서 롱런한 곡을 우선으로 한다. ex) (여자)아이들(2022) 등
- 6. 연간차트에 차트인한 순위를 모두 기록한다.
※이미 작성된 곡이라 해도 기존 곡/발표 곡 중 차트 또는 대중적 반응 등에서 더 인기 있던 곡이 있으면 바꿔주길 바란다! 또한 이 외에 다른 걸그룹이 대중적인 반응을 얻어 문서에 추가 작성 될 경우 히트곡을 데뷔년도에 맞게 추가바란다.
3.3.1. 2006~2008년 걸그룹[편집]
3.3.2. 2009년 걸그룹[편집]
3.3.3. 2010~2011년 걸그룹[편집]
3.3.4. 2012~2013년 걸그룹[편집]
3.3.5. 2014~2015년 걸그룹[편집]
3.3.6. 2016~2019년 걸그룹[편집]
3.3.7. 2020~2022년 걸그룹[편집]
3.3.8. 유닛 그룹[편집]
유닛 활동은 가수당 곡 한 개만 적어주세요. 유닛 특징상 다른 유닛이 나오더라도 일회성 유닛이 될 수도 있습니다.
유닛그룹 중에는 가희와 유이를 제외하곤 멤버 개인별 인지도가 낮았던 애프터 스쿨의 당시 막내 멤버 셋의 인지도를 많이 올려준 오렌지캬라멜, 좋은 음원 성적과 인기 멤버 둘을 구축한 씨스타19, 기존 보컬라인을 재조합하여 펑키한 댄스 장르를 시도해 대히트를 친 소녀시대-태티서 정도가 성공한 사례로 뽑힌다.
3.3.9. 프로젝트성 그룹[편집]
가수당 곡 한 개만 적어주세요. 특징상 일회성 그룹이 될 수도 있습니다.
3.3.10. 연간 종합차트 10위권[편집]
이 중에 연간 종합차트 10위 안에 들어갔던 가수/곡은 다음과 같다.
총 19팀(및 유닛 1팀)의 37곡이 연간 10위권에 진입했다. 브라운아이드걸스, 씨야, 원더걸스, 소녀시대, 티아라, 2NE1, 씨스타, Apink, TWICE, IVE 등 10팀은 2곡 이상 중복 진입했으며 2NE1이 7곡으로 최다 랭크, 씨스타는 완전체 4곡 및 유닛 1곡을 랭크.
3.3.11. 여성 듀오[편집]
2인으로 구성된 여성 듀오의 경우 댄스 퍼포먼스보다는 발라드 곡 위주의 보컬 그룹인 경우가 많고 아이돌로 분류되는 3인 이상의 걸그룹들과는 성격이 크게 다르므로 여기에 따로 서술한다.[60] 이들 대다수는 탄탄한 보컬 실력을 바탕으로 높은 대중성을 확보하고 있다. 1999년 데뷔한 애즈원, 2008년 데뷔한 다비치, 2012년 데뷔한 15&[61] , 2016년 데뷔한 볼빨간사춘기 등의 팀들이 인기를 끌었다. 이 중 다비치는 5곡[62] , 볼빨간사춘기는 2곡[63] 을 연간 10위권 안에 진입시킨 바 있다.
3.4. 걸그룹 음반 관련 기록[편집]
자세한 내용은 역대 걸그룹 음반 초동 기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역대 걸그룹 음반 총판 기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5. 지상파 음악방송 1위 당시의 일차[편집]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문단에서 지상파 1위를 못해 본 그룹에 대한 서술을 삭제하기(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 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 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여기에서 말하는 지상파 음악 방송은 뮤직뱅크, 쇼! 음악중심, SBS 인기가요 한정이다. 더 쇼는 한때 지상파로 재방송이 나갔지만 2017년 4월을 끝으로 SBS MTV와 SBS funE 두 채널에만 나가고 있다.
1위했을때 당시의 일차는 dday 함수 기준 +1한 날짜를 서술한다.
달성일 수가 같을 경우 먼저 달성한 순으로 나열한다.
1세대 이후를 모두 망라하여, 2인 이상으로 결성된 전·현역 그룹들이 지상파 1위를 경험한 사례는 위에 서술된 총 47팀이 있다.
걸스데이는 <기대해>가 1위 후보에 오르면서 인지도를 높인 끝에 마침내 SBS 인기가요에서 <여자 대통령>으로 1위를 했다!! 다만 결방으로 인해 실시간으로 수상하지는 못했다. 2014년에는 <Something>으로 음악중심, 인기가요 1위를 차지했다. Apink는 2013년 7월 19일 뮤직뱅크에서 첫 1위를 했으며, 이후 2014년에는 <Mr. Chu>로 주간 음악방송 1위를 모두 휩쓸었을 뿐만 아니라 <Luv>로 12월 음방 전체 1위라는 대기록을 달성했다. 2012년에 데뷔했던 크레용팝은 2013년 8월 30일 뮤직뱅크에서 첫 1위를 하였고 같은 해에 데뷔한 AOA는 2014년 2월 9일 인기가요에서 처음으로 지상파 1위를 차지했다. EXID는 그 유명한 역주행으로 다시 <위아래>로 활동, 2015년 1월 9일에 뮤직뱅크에서 데뷔 첫 지상파 1위를 차지했다.
3세대로 분류되는 걸그룹들의 경우를 살펴보면, Red Velvet의 경우는 <Ice Cream Cake>이 음악방송 1위 순례를 하면서 자리를 잡았고, 파워청순의 대명사 여자친구는 <시간을 달려서>로 2016년 2월 5일 뮤직뱅크에서 첫 지상파 1위를 차지하였다. 마마무는 <넌 is 뭔들>로 음원차트를 올킬하고 2016년 3월 6일 인기가요에서 첫 지상파 1위를 달성했다. TWICE는 OOH-AHH하게 당시에는 1위는 못했지만 역주행으로 2016년 1월에 인기가요에서 1위후보에 올랐고, 이후 <CHEER UP>이 대박나면서 5월 6일 뮤직뱅크에서 첫 지상파 1위를 차지했다. 아이오아이는 2016년 8월 19일자, BLACKPINK는 2016년 8월 21일자로 데뷔 14일만에 첫 지상파 1위를 차지했다. 라붐은 2017년 4월 28일자로 데뷔 첫 1위와 동시에 지상파 1위를 처음으로 차지했으나, 이 사건으로 인해 빛이 바랬다. 그리고 오마이걸이 2019년 8월 18일 데뷔 1581일 만에 SBS 인기가요에서 지상파 첫 1위를 달성하며, 후술할 '3년의 법칙'을 최초로 깼다.
흔히 걸그룹은 3년의 법칙이라고 하여 3년(1095일)안에 지상파 1위를 못하면 영원히 지상파 1위를 못한다는 징크스[69] 가 있었다. 이 법칙은 2~3세대 걸그룹 시절부터 해당되는 이야기로, 1세대(혹은 1.5세대)에 해당하는 쥬얼리를 제외하면 최장기간 기록을 갖고 있었던 걸스데이가 데뷔 3년의 하루를 앞둔 날짜에 지상파 무관을 끊어냈기에 보이그룹에 비하면 이 법칙이 더 공고한 편이다. 현재까지 이 법칙을 깬 사례는 2022년 기준 오마이걸과 브레이브걸스와 프로미스나인[70] 단 세 팀 뿐이다. 브레이브걸스의 경우는 1위 경력이 전무했으나 2017년에 발매한 롤린(Rollin')이 2021년 다시 역주행하면서 다시 음원차트 상위권을 차지했고, 역주행에 힘입어 음악방송에도 다시 출연해 지상파 1위를 차지했다. 1기 기준 3629일, 2기 기준으로도 1854일로 최장기. 이런 사례는 오랫동안 지상파에서 빛을 보지 못한 걸그룹들에게 희망을 주는 굉장히 뜻깊은 기록이라 볼 수 있다. 특히 오마이걸과 프로미스나인은 데뷔때부터 차근차근 인지도를 쌓아와 마침내 1위를 거머쥔 케이스고, 브레이브걸스는 한치의 희망도 보이지 않는 상황 속에서 기적이 일어난 케이스 이기에, 노력은 배신하지 않는다는 교훈과 그 어떤 상황속에서도 포기하지만 않는다면 기회는 찾아온다는 교훈을 모두 얻을 수 있다.
아직 지상파 1위를 하지 못한 걸그룹들이 지상파 1위를 하려면 우선 어느 정도의 높은 음원은 기본이고 SNS(유튜브 뮤직비디오 조회수 등), 방송 횟수(뮤뱅, 음중, 인가)는 물론 어느 정도의 팬덤을 갖춰서 음반 구매력도 확보해야 한다. 하나 문제는 동시기에 음원 성적이 중위권 이상 되는 보이그룹들과 만나면 1위하기가 어려워진다.
현재 음반에서 가장 차이가 많이 나는 방송은 뮤직뱅크인데, 음반이 5% 반영된다고는 하지만 이것은 전체 집계점수 200,000점 중에 음반이 10,000점을 차지한다는 뜻일 뿐이다. 예를 들면, A그룹이 컴백하고 한 주 집계동안 80,000장을 팔고, B그룹은 컴백한 지 시간이 지나서 2,000장, 그리고 C그룹은 컴백하고 한 주 동안 18,000장을 팔았다고 하자. 그러면 이 세 그룹이 음반 점수를 판매한 비율대로 10,000점을 나눠서 가져간다. 즉, A그룹은 음반판매 접수 8,000점, B그룹은 200점, C그룹은 1,800점이다. 여기서만 6,000점이 넘는 점수 차이가 난다. 그런데 음원의 경우에는 최근에는 주간 1위를 해도 점수가 3,000점 정도밖에 안 되며, 음원 순위 차이에 비해서 팀별로 뮤직뱅크 점수 차이가 많이 나지 않는다. 따라서 겉으로 보이는 수치는 5%이긴 하지만 음반 점수가 점수상으로는 어마어마한 위력을 가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음원이 낮은 남자아이돌 그룹들이 압도적인 음반점수로 1위를 먹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위의 경우와 같이 저정도로 차이가 나면 아무리 음원 깡패라도 절대 그 주에는 1위를 못 한다.[71] 걸그룹중에서 압도적 판매고를 기록하는 BLACKPINK는 예외로 두고 다른 정상급 걸그룹들도 이들과 정면으로 붙게 되면 1위가 어렵다. 즉, 걸그룹이 뮤직뱅크에서 1위를 하려면 높은 음반판매량을 기본으로 가져가면서 준수한 음원+적절한 방점까지 기록해야 하므로, 컴백 시기를 잘 잡는 것이 의외로 가장 중요할 수도 있다.
그나마 음원이 강한 걸그룹의 경우 지상파에서는 인기가요에서 1위를 차지하는 것이 비교적으로 쉬운데, 음원과 어느 정도의 연관관계를 갖는 SNS 수치를 더해 무려 65%에 해당하는 점수가 최고 득점자 수치에 따라 비례배분되어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기가요가 가능성이 높은데, 걸그룹들은 음원+SNS점수가 높은 편이라 음반 점수를 쉽게 극복할 수 있는 반면[72] 어지간한 보이그룹들은 SNS가 낮은 편이라 걸그룹이 이기는 경우가 많다.
3.6. 지상파 음악방송 1위 횟수 순위[편집]
역대 걸그룹 지상파 음악방송 1위 횟수 순위를 나열한 란이다. 여기서 지상파 음악방송이란 KBS의 뮤직뱅크, MBC의 쇼! 음악중심, SBS의 인기가요를 말한다.
합계가 같을시 KBS, MBC, SBS 순으로 1위 횟수가 많은 순으로 나열한다.
4. 멤버별 포지션[편집]
5. 각종 기록[편집]
- 최장수 활동 : 브라운아이드걸스. 2006년 3월 2일 데뷔
- 최단기 활동 : 쏠리아. 2021년 8월 17일 ~ 8월 22일 약 5일간 활동.[73]
- 최고령 멤버 : 제아(브라운아이드걸스). 1981년 9월 18일 생 (만 41세)[74]
- 최연소 멤버 : 한지은(YOUNG POSSE). 2009년 11월 5일 생 (만 13세)
- 최장신 멤버 : 윤혜 (파나틱스) (178cm)
- 최단신 멤버 : 여진 (Loossemble) (151cm)
- 데뷔 후 지상파 음악방송 1위까지 가장 오래 걸린 걸그룹 : 브레이브걸스 1854일
- 데뷔 후 음악방송 1위까지 가장 오래 걸린 걸그룹 : 드림캐쳐, 1924일.[75]
- 00년대, 10년대, 20년대 지상파 음악방송 1위 : 카라[76]
- 단일 곡 최다 음악방송 1위 : Apink - LUV(Apink)[77]
- 단일 년도 최다 음악방송 1위 : 여자친구(아이돌) - 2016년[78]
- 최근 1년 내 음반을 낸 최장 기간 활동 걸그룹 : 카라 - MOVE AGAIN[79]
- 최다 인원 걸그룹 : 단일 걸그룹 - 우주소녀, 이달의 소녀 / 최다 멤버 예정 걸그룹 - tripleS[80]
- 단일 그룹 최다 곡 음악방송 1위 : TWICE, Red Velvet [81]
- 원 히트 원더 : FIFTY FIFTY - Cupid(FIFTY FIFTY) [82]
6. 콘셉트[편집]
셀 수 없이 많은 걸그룹들이 있는 만큼 콘셉트도 굉장히 다양하다. 대표적으로는 귀여움, 청순, 섹시, 청량, 걸 크러시 등이 있으며 여러 가지 콘셉트를 하는 걸그룹들도 많다.[83]
유행에 민감한 10대~20대에게 어필하는 아이돌의 특성상 세련된 이미지를 매우 중요시한다. 하지만 멤버들이 나이가 들어 20대 후반부터는 세련된 콘셉트는 어울리지 않으므로 노래와 의상 등을 점점 복고적으로 바꿔 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84]
아예 다른 걸그룹들과 달리 올드함을 정체성으로 삼아 데뷔 때부터 올드한 콘셉트를 한 걸그룹도 있는데, 대표적으로 브라운아이드걸스와 티아라가 있다. 브라운아이드걸스는 특유의 허스키 보이스와 구수한 창법으로 '구수한 시골 아줌마' 이미지를 내세우고[85] , 티아라는 트로트 느낌이 섞인 후크송으로 젊은층부터 고령층까지 다양한 연령대를 사로잡아 2010년 전후에 큰 인기를 끌었다.
특정 그룹이 유지해 오던 콘셉트의 유행이 지나면 콘셉트를 바꾸어서 유행을 따라가는 방법과 유행에 따르지 않고 콘셉트를 유지하는 방법이 있는데 둘 다 장단점이 있으므로 소속사 측에서 결정을 내리기가 어렵다. 콘셉트를 갑자기 바꾸면 그룹의 정체성이 훼손되고, 바꾸지 않으면 유행에 뒤처지거나 촌스럽다는 반응이 나올 수도 있다. 이런 상황이 닥치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가 인기가 떨어져 7년차 징크스 등을 겪고 해체하기도 한다.
7. 해외[편집]
7.1. 영미권[편집]
영미권 팝 시장이야말로 걸그룹의 원조로서, 이미 60년대부터 슈프림즈, 스파이스 걸스, 데스티니스 차일드, TLC 등의 그룹이 걸그룹의 계보를 이어왔다. 1960년대 브리티시 인베이전 직전 버블검 걸그룹 붐이 있었을 정도. [86] 하지만 영미권의 걸그룹은 한국과 달리 아이돌적인 성향이 거의 없으며, 한국의 걸그룹과 보컬 구조상 차이가 크다. 영미권의 경우 메인보컬이 곡을 리드하면 나머지 멤버들은 코러스만 담당하는 경우가 많았고, 아예 그룹 이름마저 리드보컬 이름을 딴 '○○과 □□□□' 식으로 짓는 경우도 흔했다. 시쳇말로 '원탑몰빵' 구조. 영화 드림걸즈의 모티브가 된 슈프림즈나 '푸시캣 돌스', 데스티니스 차일드가 대표적 사례다. 아예 메인보컬 외 다른 멤버의 공식적 포지션을 백업 보컬로 명시하는 경우도 많으며, 멤버별 파트가 적당히 균등하게 분배되는 스파이스 걸스가 특이 케이스다.[87]
때문에 영미권 걸그룹은 얼마 못 가서 원톱 멤버와 나머지 멤버들 사이의 불화가 심해지고, 결국 원톱 멤버가 탈퇴하고 자 그룹이 와해되는 경우가 많다. 그 후에는 피프스 하모니의 멤버였던 카밀라 카베요처럼 혼자 살아남는 경우도 있고, 푸시캣 돌스처럼 다 같이 침몰하는 사례도 있고... 이런 식이다보니 영미권 걸그룹은 아무리 히트곡이 있다고 해도 오래 가지를 못한다. 결국 국내에서도 걸그룹이 보이그룹보다 활동 기간이 짧은데 영미권에서는 그보다 더 짧은 셈. 평균 활동 기간이 3~5년이 채 되질 않고, 그나마 길게 활동한 걸그룹이 10년 이상 활동했던 슈프림즈나 10년 가까이 길게 활동한 걸스 얼라우드, 리틀 믹스가 전부이다.
영미권 걸그룹 시장은 데스티니스 차일드가 해체할 즈음 데뷔한 푸시캣 돌스가 2000년대 후반을 맞으며 왕좌를 굳건히 하는 듯 했으나 멤버간 불화로 순식간에 와해되었고, 2010년대 중반 등장한 피프스 하모니와 리틀 믹스가 새로 시장을 개척하는 듯 했으나 이들 역시 거대한 시장 규모에 비하면 미약한 활동을 펼치다 각자 솔로 활동으로 전향하며 활동을 멈췄고 케이팝 걸그룹들에게 완전히 자리를 내주었다. 2022년 영국에서 신인 걸그룹인 FLO가 데뷔하며 같은 영국을 기반으로 활동했던 리틀 믹스의 계보를 이을 수 있을지 주목을 받고 있다.
7.2. 일본[편집]
자세한 사항은 일본 아이돌과 그룹의 개별 항목 참조. 괄호 안은 첫 싱글 발매일.
- 오냥코클럽(1985.07.05~1987) - 1985년 4월 1일 결성, 1987년에 해산한 뒤 2002년 일시적으로 재결성.
- MAX(1995.05.10~)
- SPEED(1996.08.05~) - 국내 1세대 걸그룹 탄생에 영향을 끼친 일본 걸그룹의 레전드
- 모닝구 무스메(1997.11.03~)
- Perfume(2002.03.21~) - 2000년 결성.
- 베리즈코보(2004.03.03~ 2015.03.03)
- AKB48(2005.12.08~)
- 9nine(2006.02.14~)
- 큐트(2006.05.06~2017.06.12)
- 아이돌링!!!(2007.07.11~2015.10.31) - 2006년 10월, 아이돌링 방송 시작.
- Buono!(2007.10.31~)
- 안쥬르므(구 스마이레이지)(2009.06.03~) - 2014년 12월 팀명 변경.
- Juice=Juice(2013.02.03~)
- BEYOOOOONDS(2018.06.09~)
- SKE48(2009.08.05~)
- 모모이로 클로버 Z(2009.08.05~)
- PASSPO☆(2010.03.31~2018.09.22)
- 츠바키 팩토리(2015.04.29~)
- 코부시 팩토리(2015.01.12~2020.03.30)
- 덴파구미.inc(2008.12.28~)
- 도쿄죠시류(2010.05.05~)
- BABYMETAL(2010.11.28) - 사쿠라 학원의 부활동으로 결성후 현재는 독립
- SUPER☆GiRLS(2010.06.21~) - 2010년 6월 12일 결성, 첫 싱글은 2011년 4월 20일 발매.
- NMB48(2011.07.20~)
- 페어리즈(2011.09.21~)
- 후와후와(2016.03.13~)
- 노기자카46(2012.02.22~)
- 와스타(2015.03.29~)
- 사쿠라자카46(구 케야키자카46)(2015.08.21~) - 2020년 10월 팀명 변경.
- 히나타자카46(2019.02.11~)
- 니지노 콘키스타도르(2014.07.22~)
- =LOVE(2017.04.29~)
- ≠ME(2019.02.24~)
- HKT48(2013.03.20~)
- Rev.from DVL(2003~2017)
- NGT48(2016. 01.10~)
- ukka(2015.05~)
- STU48(2017.03.31~)
- NiziU(2020.12.02~)
7.3. 중화권[편집]
7.3.1. 중국[편집]
- SING뉘퇀
- SNH48
- BEJ48
- GNZ48
- CKG48
- AKB48 Team SH
- 1931
- 꿀벌소녀대
- 랜턴 걸스
- NAME
- 화전소녀 101
- THE9
- 경당소녀 303
- DAYLIGHT
- Chic Chili
- OYT
- ACEMAX-RED
- LEGAL HIGH
- Diamond Girls
- Hickey喜祺
- Lunar
- 가감승제
- 우아여단
- 동방소녀
- L.I.K.E Girls
- BLING BOOM
- Candy Cream
- SISP
- AIO
- O2girls
- O2O Goddess
- PEG组合
- 몽몽달천단
- SEVEN SENS
- 여자12악방
- 빙과첨심
- 오십육탄화
- ATF 전각소녀
- 명준여해
- Ace组合
- 신용매자단
- TSD
- 완두도도
- 은하소녀단
- 오원소조합
- AnyWay
- Lotte Girls
- Yep Girls
- Hello Girls
- Puzzle Girls
- MERA
- FANXYRED
- Dream Girls
7.3.2. 대만[편집]
- AKB48 Team TP
- Per6ix
- LCG여전여해
- PINK FUN
- Popu Lady
- GOF
- A'N'D
- TUD
- Twinko
- Dears
7.3.3. 홍콩[편집]
7.4. 동남아[편집]
7.4.1. 태국[편집]
- DAISY DAISY
- FEVER
- Hi-U
- White Out
- Melonpan
- SY51
- Siam☆Dream
- Pretzelle
- ALIZ
- BNK48
- CGM48
- RedSpin
- VioletWink
- SWEAT16!
- Rose Quartz
- SECRET12
- Ah-Choo
- Tiny Girls
- HAPPYTAIL
- The Glass Girls
- MAYDAY
- BLACKDOLLS
- School day
- dearest
- A'T-Miss
- D-code
- ShiningStars
- Shimaidol
- 4eve
- Protea
- MAGESTA
- Euphonie☆
- Cheesy Pie
- Wish23
- Honey Toast
- Dearest
- Aliszt
- I-MI
- Pink Navy
- Polaris
- Wisdom
- 1stKizz
- Pinku Notori
- Peach You
- Habita Land
- Friend Zone
- Wi5her
- Summer Breeze
- Pretzelle
- 4EVE
- VYRA
7.4.2. 베트남[편집]
- Lip B
- SGO48
7.4.3. 필리핀[편집]
- XOXO
- BOSS
- SHA Girl Trainees
- MNL48
- CLOVER
7.4.4. 인도네시아[편집]
- JKT48
8. 관련 문서[편집]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1 10:03:18에 나무위키 걸그룹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실제로 1990년대 일본 걸그룹 모닝구무스메, SPEED가 영국의 스파이스 걸스의 벤치마킹을 한것이고 한국도 일본의 걸그룹의 벤치마킹해서 만든것이다.[2] 예를 들면 이걸즈나 Perfume.[3] 물론 공식적인 해체선언 없이 잠정적으로 활동을 중단한 팀도 있다. 그러나 그 점을 감안하더라도 굉장히 많다.[4] 음원 발표와 전국구 방송출연 등 메인스트림에서 활동하는 목적이 아닌, 단지 행사만을 돌기 위해 기획되었던가, 지방도시의 특정 지역만을 활동무대로 삼아 지역 언론 등에서만 언급되는 걸그룹까지 포함한다면 그 숫자는 더욱 늘어난다. 게다가 걸그룹 중에서는 밤무대에서만 활동하는 걸그룹도 있다. 이런 걸그룹은 나이트클럽 찌라시에서 많이 볼 수 있다. 그런 걸그룹은 기획사=자기네 나이트클럽인 경우가 확률이 높다. 대한민국에서 콘텐츠진흥원에 등록되어 있는 연예기획사만 2,000여개 가까이 된다. 거기다 그 안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미등록 기획사도 있다.[5] 2006년~2013년 발매곡은 멜론[6] 2006년~2013년 발매곡은 멜론[7] 공식 해체 선언은 하지 않았지만 사실상 활동 중단인 경우 포함.[8] 활동하는 그룹 중 최장수 걸그룹. 이름만 유지하고 멤버 교체가 있는 경우가 아닌 멤버 변동, 해체, 활동 중단 없이 활동을 계속 이어가고 있다.[9] 2011년 1월 30일 공식 해체[10] 2016년 허영지를 제외한 모든 멤버들이 DSP와 계약이 만료되어 사실상 활동 중단 상태였지만, 2022년 11월 새 앨범을 발매하고 방송 활동을 하는 등 그룹 활동을 재개했다.[11] 소녀시대도 티파니, 수영, 서현이 소속사를 이적했기 때문에 추후 완전체 활동이 불투명했으나 2022년 8월에 정규 7집 앨범으로 컴백했다.[12] 2017년 8월 페이브엔터테인먼트와 결별한 뒤로 뚜렷한 활동이 없었고 주비와 미성이 차례로 탈퇴하면서 앞날이 불투명했으나 새 멤버가 합류하면서 BOD엔터테인먼트와 전속계약을 맺었다.[13] 데뷔할 때는 혼성그룹이었으나, 중간에 유일한 남자 멤버였던 김장현이 탈퇴했다.[14] 2017년 2월 10일 공식 해체[15] 2017년 5월 소연, 보람이 계약 만료로 팀을 탈퇴하였고, 2018년 1월 3일 남은 네 명의 멤버들 모두 기존 소속사인 MBK에서 계약 만료로 나온 뒤 이후 그룹 활동이 없었기에 핑클의 상황처럼 공식해체는 아니지만 해체나 마찬가지라고 보는 시각이 많았다. 그러나 2020년 문명특급에서 완전체 무대를 선보였고, 2021년에는 7월에 그룹으로서 예능 아는형님에 출연하고, 11월 새 앨범으로 약 4년만에 컴백하면서 그룹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16] 2013년 첫사랑 이후 공식 활동도 없고 멤버 이가은이 프로듀스 48에 출연하여 사실상 활동 중지임을 언급.[17] 2016년 11월 25일 공식 해체[18] 2016년 6월 16일 공식 해체[19] 공식적으로 해체를 발표한 적은 없으나, 2016년 SM STATION 이후로 활동이 없는 상태이다. 앨범 활동은 2015년 4walls가 끝. 6년이 넘는 공백기가 이어지고 있고 2021년 빅토리아를 마지막으로 모든 멤버들이 SM과 결별하면서 사실상 활동 중단 상태이다.[20] 2014년 8월 이후 공백기가 지속되는 가운데 2017년 한선화가 탈퇴하고 2018년 들어서 송지은과 전효성이 소속사와 법적 공방을 벌이면서 사실상 해체나 다름없는 상태가 되었다.[21] 2016년 11월 12일 공식 해체[22] 2017년 6월 4일 공식 해체[23] 2017년 12월 27일 공식 해체[24] 2019년 멤버 전원 재계약 결렬[25] 공식적인 해체 발표는 없었지만, 우희를 제외한 나머지 원년 멤버들이 재계약 없이 다른 소속사로 이적.[26] 멤버 전원이 소속사를 떠났기 때문에 추후 완전체 활동이 불투명했으나 2022년 9월에 10주년 기념 싱글로 컴백했다.[27] 2017년 5월이후 사실상 해체.[28] 사실상 해체가 예상될 정도로 큰 위기를 맞았다.(사실상 잠정활동중단)[29] 2020년 2월 17일 소속사와의 계약이 만료. 공식 해체는 아니지만 선배 걸그룹들의 전례로 보아서는 당분간은 개인활동으로 이루어지고 있다.[30] 2021년 11월 1일 베이비소울 제외 전원 재계약 결렬, 16일 계약만료[31] 2021년 5월 18일 멤버 전원 재계약 결렬, 22일 공식 계약 만료[32] 2기 기준, 1기는 2011년에 데뷔했으나 원년멤버는 모두 탈퇴[33] 2023년 2월 16일 브레이브엔터테인먼트와 멤버 전원 재계약 결렬 이후, 워너 뮤직 코리아와 계약 체결 및 상표권 문제로 브브걸로 팀명 변경 후 현재 활동 중.[34] 2017년 1월 31일 프로젝트 활동 종료.[35] 2023년 1월 27일 전원 재계약 결렬[36] 2021년 3월 14일 공식 활동 종료. 2021년 4월 29일 프로젝트 활동 종료.[37] 2020년 데뷔[38] 2010년 데뷔[39] 2011년 데뷔[40] 2012년 데뷔[41] 각 방송사마다 점수 집계의 기준이 다르며, 점수의 신빙성도 부족하기 때문이다.[42] 가온/써클차트의 성적을 인용할 경우 각주로 해당 순위가 가온(2021년까지)/써클차트(2022년부터) 인용임을 표기한다.[43] 당시는 10만 이상 팔린 앨범이 매우 드물게 나오던 시기였다.[44] 같은 앨범의 미워요도 연간 4위에 랭크되었다.[45] 물론 그 이후도 음원 성적은 꾸준히 초대박이었다.[46] 타이틀곡은 Wanna였으나, 컴백 무대 당시 커플링곡이었던 미스터의 반응이 훨씬 좋아 이후 사실상 더블 타이틀로 활동했고 일본 데뷔도 미스터로 했다.[47] 총합 11주 1위를 기록했다.[48] 현재까지 걸그룹이 음반 대상을 수상한 것은 소녀시대가 유일하다.[가온] A B C [49] 이후에도 씨스타는 Touch My Body, Shake It, I Swear 등의 서머송을 히트시키며 서머퀸 칭호를 얻는다.[50] 그룹은 2011년 데뷔이지만 현 멤버는 2016년에 데뷔하였다.[51] 1,015,669명[52] 93회[53] K팝 그룹 최초 10억뷰 돌파와 더불어 K팝 그룹 전체 최고 조회수[54] 공개 시점 기준 24시간 조회수 최다 기록 및 최단 기간 1억뷰 돌파 기록을 달성한 바 있다.[55] 빌보드 HOT100 차트 33위, UK 싱글 차트 20위, 중국에서 역대 가장 많이 다운로드 한 해외노래##, 2020년 브라질 스트리밍 횟수 해외가수 1위(역대2위)등[56] 어디까지나 달라달라와 워너비 사이에 있어서 부진이란거지 ICY 자체도 성적이 나쁜 곡은 아니다. 음악 방송 12관왕, 국내 연간 98위의 호성적을 기록한 곡[57] 이전 두 곡은 Next Level와 Savage[A] A B 멜론[58] 2010년부터 집계 시작[59] 2000년대 1위[60] 다만, 씨야처럼 3인조 이상이지만 보컬그룹인 경우도 있고, 다비치처럼 데뷔 초에는 아이돌로 활동하다 보컬그룹으로 전향한 경우도 있으므로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61] 2015년 2월 이후로 듀엣 음악 활동이 멈추었으며 이미 서로 추구하는 음악적 색깔이 다르다고 공식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2019년도가 계약 7년차이기 때문에 공식적인 해체발표는 없지만 사실상 해체 상태 이다.[62] 사랑과 전쟁-2008년 멜론 7위 / 안녕이라고 말하지마-2011년 멜론 10위 / 거북이-2013년 가온 8위 / 녹는 중-2013년 가온 10위 / 이 사랑-2016년 가온 4위[63] 좋다고 말해-2017년 멜론 4위, 가온 6위 / 여행-2018년 멜론 10위, 가온 10위[64] 멤버 우지윤이 탈퇴하면서 현재는 안지영 솔로로 활동[65] 지상파 방송에서 순위제 음악 방송이 시행된 건 1981년부터다(KBS 1981년 2월 10일 가요톱텐, MBC 1983년 11월 4일 내가 뽑은 인기가요, SBS 1991년 12일 인기가요). 18년 역사에서 걸그룹이 1위를 차지한 건 S.E.S.가 최초였다. 사실 가요톱텐 이전에 현 JTBC의 전신인 TBC(동양방송)에도 가요순위프로그램이 있었지만, 너무 옛날이라서 지금은 해당 프로그램들의 자료가 거의 남아있지 않다.[66] 완전체가 아닌 유닛 활동이 첫 1위이나, 다른 그룹들의 유닛과는 달리 엄연히 I.O.I의 이름으로 한 첫 1위이다. 완전체로는 180일.[67] 사실상 활동중단[사재기의혹] 뮤직뱅크에서 1위를 달성한 후 음반 사재기 의혹이 터졌다. 라붐 측은 해명하여 고의성이 없었음을 해명하였으나 사실상 변칙적인 사재기라는 의견이 있다. 뮤직뱅크 측에서는 이 사건에 대해 공식 의견을 발표하지 않았다. 자세한 내용은 이 사건 참조.[68] 1기까지 포함하면 무려 3629일. 1854일의 기적에서도 1854일이라 하고 1기 맴버들은 전원 탈퇴한 상태이기도 하고 언론 등에서도 3629일이라고 하기보단 1854일이라고 많이 하기 때문에 1854일이 맞다고 할 수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소속사인 브레이브엔터테인먼트에서는 1기 시절을 흑역사 취급하지 않고 있다.[69] 한때 보이그룹도 이 법칙이 적용되었으나, 비투비가 최초로 3년의 법칙을 깼으며 이후로 10팀도(몬스타엑스, 엔플라잉, 뉴이스트, SF9, ASTRO, Stray Kids, 펜타곤, ATEEZ, 원어스, VERIVERY) 그 법칙을 깨버렸기에 이제 보이그룹에게는 해당되지 않는 말이다.[70] 1627일만의 1위로 브레이브걸스에 이은 2위의 기록이다.[71] 어느 정도냐면, 음원으로는 월간 1위를 한 아이유가 무려 차트아웃한 NCT 127, 몬스타엑스에게 뮤직뱅크 1위를 내주었다.[72] 뮤직뱅크는 반대로 점유율 비례 배분이라 음반이 당연히 보이그룹에 밀리는 걸그룹들은 음반 점수를 극복 못해서 걸그룹이 1위 하기가 쉽지 않다.[기준] 2023년 9월 10일[K] < 2001년 8월 10일 ~ 2007년 9월 6일 > 기간엔 순위제(1위 발표)를 폐지했었다는 점을 감안한다.[M] < 2006년 1월 7일 ~ 2013년 4월 19일 > 그리고 < 2015년 11월 15일 ~ 2017년 4월 21일 > 기간엔 순위제(1위 발표)를 폐지했었다는 점을 감안한다.[S] < 2012년 7월 ~ 2013년 3월 17일 > 기간엔 순위제(1위 발표)를 폐지했었다는 점을 감안한다. [73] 모종의 이유로 인하여 데뷔한 지 5일 만에 해체하였다.[74] 걸그룹이 아닌 솔로 활동 멤버는 제외하였다.[75] 前 밍스 출신 멤버들은 2,771일[76] Honey(카라), 루팡 (Lupin),WHEN I MOVE [77] 6개 음악방송 17회, 지상파 12회[78] 시간을 달려서 (Rough) 15회, 너 그리고 나 (NAVILLERA) 14회 - 총 29회[79] 데뷔 2007/03/29[80] 현재 16명 공개, 24명 예정[81] 단, TWICE는 지상파로 16회, Red Velvet은 지상파 15회, 케이블 1회이다.[82] 다시는 나오기 어려운 역대급 원 히트 원더 곡의 사례, 크레용팝은 복수의 곡이 성과를 이루었기에 제외[83] 일본 걸그룹은 콘셉트가 한국만큼 다양하지는 않다. 몽환적인 파스텔 톤 콘셉트 또는 여자력 문화에 맞춰진 섹시 콘셉트 중 하나가 대부분이다.[84] 브레이브걸스 등이 대표적이다.[85] 다만 킬 빌에서는 목소리를 가늘게 내고 세련된 콘셉트를 했다.[86] 필 스펙터도 걸 그룹 팝 프로듀싱으로 유명해진 케이스다.[87] 스파이스 걸스는 멤버마다 '□□ Spice'라는 별명을 붙이는 등 개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케이팝 아이돌의 마케팅 방식에 큰 영향을 주기도 했다.[88] 2016년 해체.[89] 프로듀스101의 홍콩 참가자 응 씨 카이가 소속되었던 그룹이다.[90] 최종 성적 1위[91] 최종 성적 2위[92] 최종 성적 3위[93] 최종 성적 10위[94] 2021년 홍콩의 오디션 방송 스타즈 아카데미(聲夢傳奇)의 최종 우승자 지지 임(炎明熹)[90] 과 샨텔 이우(姚焯菲)[91] , 유미 청(鍾柔美)[92] , 윈디 쟌(詹天文)[93] 로 구성된 프로젝트성 그룹이다.[95] [96] 이 중 지지 임은 10대 후반이라는 나이답지 않게 가창력과 곡 해석력이 뛰어나 홍콩 가요계 관계자들에게 주목받았으며, 데뷔 1년도 채 되지 않아 쟁쟁한 대선배들과 함께 중국-홍콩 합작 경연 방송인 聲生不息 港樂季에 최연소자로 참가[95]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