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통계

최근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결혼


1. 개요
2. 통계
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결혼과 관련된 통계.

혼인신고 여부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다소 왜곡된 측면도 있는데 부동산 청약, 주택 관련 대출[1], 간단한 이혼 절차, 딩크족 등의 이유로 결혼식을 마치고 동거하면서도 혼인신고는 나중으로 미루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서구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동거와 혼외자가 적은 이유도 있는 까닭에[2], 혼인 건수가 출생아 수의 선행지수 역할을 한다고 익히 알려져 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초산에 해당하는 첫째아 출생아 수에만 해당한다는 반론도 있다. 이를테면 2010~2014년의 연간 평균 혼인 건수는 1970~1974년의 연간 평균 혼인 건수보다 약 6만 2천건 가량 더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연간 평균 출생아 수는 후자의 절반에도 채 미치지 못했는데 이는 다산 여부에서 서로 매우 큰 차이를 보였기 때문이다.[3] 이 밖에도 근래에는 딩크족의 증가 추세와 비혼 페미니즘 등 또 다른 변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셈법이 점차 복잡해지고 있다.

2. 통계[편집]


초혼과 재혼 및 외국인과의 결혼 등이 전부 포함된 기록이다.
연도
총 혼인건수
조혼인율[4]
(천명당)
평균 초혼연령(만)[5]
비고


1970
295,137
9.2
자료없음
[6]
1971
239,457
7.3
[7]
1972
244,780
7.3

1973
259,112
7.6

1974
259,604
7.5

1975
283,226
8.0

1976
285,910
8.0

1977
303,156
8.3

1978
343,013
9.3

1979
353,824
9.4

1980
403,031
10.6

1981
406,795
10.5
[8]
1982
387,468
9.9

1983
412,984
10.3

1984
385,188
9.5

1985
384,686
9.4

1986
390,229
9.5

1987
390,276
9.4

1988
410,129
9.8

1989
410,708
9.7

1990
399,312
9.3
27.79
24.78

1991
416,872
9.6
27.91
24.84

1992
419,774
9.6
28.01
24.93

1993
402,593
9.0
28.09
25.01

1994
393,121
8.7
28.21
25.14

1995
398,484
8.7
28.36
25.32

1996
434,911
9.4
28.40
25.45
[9] [10]
1997
388,960
8.4
28.59
25.71

1998
373,500
8.0
28.83
26.02

1999
360,407
7.6
29.07
26.29

2000
332,090
7.0
29.28
26.49

2001
318,407
6.7
29.55
26.78

2002
304,877
6.3
29.77
27.01

2003
302,503
6.3
30.14
27.27

2004
308,598
6.4
30.53
27.52

2005
314,304
6.5
30.87
27.72

2006
330,634
6.8
30.96
27.79
[11]
2007
343,559
7.0
31.11
28.09
[12]
2008
327,715
6.6
31.38
28.32

2009
309,759
6.2
31.61
28.71
[13]
2010
326,104
6.5
31.84
28.91
[14]
2011
329,087
6.6
31.90
29.14
[15] [16]
2012
327,073
6.5
32.13
29.41

2013
322,807
6.4
32.21
29.59

2014
305,507
6.0
32.42
29.81

2015
302,828
5.9
32.57
29.96
[17]
2016
281,635
5.5
32.79
30.11
[18]
2017
264,455
5.2
32.94
30.24

2018
257,622
5.0
33.15
30.40

2019
239,159
4.7
33.37
30.59
[19]
2020
213,502
4.2
33.23
30.78
[20] [21]
2021
192,507
3.8
33.35
31.08
[22]
2022
191,690
3.7
33.72
31.26
[23]
2023







3. 둘러보기[편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관련 문서

[ 역사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2em"
[ 지리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2em"
[ 군사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2em"
[ 정치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2em"
[ 경제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2em"
[ 사회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2em"
[ 외교 ]
일반
한국의 외교 · 남북통일 · 대통령 해외순방 일지 · OECD · G20 · IPEF · MIKTA · 동아시아 국제정세 · 한반도 주변 4대 강국 · 혐한 · 반한 · 지한 · 친한 · 한빠
6자​회담
남북관계 · 한미관계 · 한중관계 · 한러관계 · 한일관계
다자
한중일관계 · 한미일관계 · 남북러관계 · 한중러관계 · 한대일관계
순서는 가나다순 정렬, 이하 국명만 있는 링크는 한국과 해당 국가의 관계 문서임.
##
예: 네팔 → 한국-네팔 관계
>
아시아
네팔 · 대만 · 동티모르 · 라오스 · 마카오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 미얀마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브루나이 · 스리랑카 · 싱가포르 · 아프가니스탄 · 우즈베키스탄 · 위구르 · 인도 · 인도네시아 · 카자흐스탄 · 캄보디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 티베트 · 파키스탄 · 필리핀 · 홍콩
중동
레바논 · 리비아 · 모로코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수단 공화국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알제리 · 예멘 · 오만 · 요르단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이집트 · 카타르 · 쿠웨이트 · 튀니지 · 팔레스타인
유럽
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 라트비아 · 루마니아 ·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모나코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몰타 · 바티칸 · 벨기에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불가리아 · 산마리노 · 세르비아 · 스웨덴 · 스위스 · 스페인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아르메니아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 · 안도라 · 알바니아 · 에스토니아 · 영국 · 오스트리아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조지아 · 체코 · 코소보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아메​리카
가이아나 · 과테말라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멕시코 · 베네수엘라 · 벨리즈 · 볼리비아 · 브라질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아이티 · 에콰도르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우루과이 · 자메이카 · 칠레 · 캐나다 · 코스타리카 · 콜롬비아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 · 파라과이 · 페루
아프​리카
가나 · 가봉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미비아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레소토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말라위 · 말리 · 모리셔스 · 모리타니 · 모잠비크 · 베냉 · 보츠와나 · 부룬디 · 부르키나파소 · 상투메 프린시페 · 세네갈 · 세이셸 · 소말리아 · 시에라리온 · 앙골라 · 에리트레아 · 에스와티니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잠비아 · 적도 기니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지부티 · 짐바브웨 · 차드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케냐 · 코모로 · 코트디부아르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탄자니아 · 토고
오세​아니아
나우루 · 뉴질랜드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바누아투 · 사모아 · 솔로몬 제도 · 키리바시 · 통가 · 투발루 · 파푸아뉴기니 · 팔라우 · 피지 · 호주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2em">
[ 문화 ]
일반
한국의 문화 · 한류 · 콘텐츠 · 전통문화 · 민속놀이 · 신화 · 요괴 · 명절#한국의 명절 (설날 · 추석) · 성씨 · 대한민국 표준시 · 세는나이 · 예절 · 문화 검열 · 성문화
관광
한국의 관광 · 축제 · 국립공원 · 문화재 · 국보 · 보물 · 무형문화재 · 사적 · 명승 · 천연기념물 · 민속문화재 · 등록문화재 · 세계유산 · 세계기록유산 · 인류무형문화유산
언어 · 문자
한국어 (표준어 · 방언) · 한국어의 높임법 · 한글 · 한글만능론 · 한자 (정체자 · 약자 · 한국의 한자 사용)
건축
건축 · 한옥 · 궁궐 · · 무덤 · 사당 · 서원 · 향교 · 사찰 · 마천루 · 서낭당 · 신사
의복 · 무기
한복 · 백의민족 · 갑옷 · 무기 · 한선
음식
음식 · 한정식 · 한과 · 전통음료 · 전통주 · 지리적 표시제 · 한민족의 식사량
스포츠
스포츠 · 태권도 · 씨름 · 택견 · 수박 · 국궁 · 족구 · e스포츠
문예 · 출판
문학 · 베스트셀러 · 웹소설 · 판타지 소설
미술 · 만화
현대미술 · 한국화 · 고화 · 만화 · 웹툰 · 애니메이션 · 만화 검열
게임
비디오 게임 · 온라인 게임 · MMORPG · 게임계의 문제 · 게임규제
음악
음악 · K-POP · 힙합 · 트로트 · 국악 · 판소리 · 사물놀이 · 아리랑 ·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
영화 · 연극
영화 · 천만 관객 돌파 영화 · 뮤지컬
방송
방송 · 드라마 · 예능 프로그램 · 웹드라마 · 웹예능 · 인터넷 방송
기타
한국형 · 한국적 · K- · 고요한 아침의 나라 · 변질된 유교적 전통 · 명절증후군 · 한국기원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1 16:34:54에 나무위키 결혼/통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기사[2] 정확히는 사실혼에 해당하는 동거를 의미. 단순히 결혼이나 출산을 전제하지 않은 젊은 세대의 동거 자체는 늘어나고 있지만 동거 관계에서 출산과 육아가 이루어지는 비율은 낮다. 이 점에서는 일본과 비슷하다. 다만 2018년까지 2.0% 정도를 유지하던 혼외자 비율이 2021년에는 2.9%까지 증가하는 등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3] 최근 시점인 2022년에도 출생아 중 첫째아 수가 전년 대비 5.5%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둘째아와 셋째아 이상이 각각 16.8%, 20.7%씩 크게 하락하면서 전체 통계를 끌어내리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4] 특정 1년간 신고한 총 혼인건수를 당해 연도의 연앙인구(7월 1일 기준 인구수)로 나눈 수치를 1,000분율로 나타낸 것[5] 세는나이 기준으로 환산 시 1.5를 더하면 된다.[6] 다음 년도보다 유독 혼인건수가 많은데 통계작성이 시작된 것이 원인으로 추정. 실제로는 1971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더 적었을 것이다.[7] 기존 최저기록. 일제강점기 때에는 출생아 수가 적어서 아직 결혼 적령기의 사람이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8] 월별 집계 시작[9] 동성동본 결혼이 합법화되면서 혼인건수가 크게 올라갔다.[10] 혼인건수가 40만건 이상인 마지막 해이자 혼인건수가 가장 많았던 해.[11] 쌍춘년이라는 속설로 혼인건수가 많이 늘었다.[12] 황금돼지해라는 속설로 혼인건수가 200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였다.[13] 세계금융위기와 신종플루 여파로 혼인건수가 급감하였다.[14] 세계금융위기와 신종플루가 끝나고 일시적인 경제 회복으로 혼인건수가 반등했다.[15] 2012년 흑룡해 출산을 준비하기 위해 혼인건수가 반짝 상승했다.[16] 한국이 최근에 마지막으로 혼인건수가 증가한 해이다.[17] 혼인건수가 30만건 이상인 마지막 해.[18] 신혼 부부 통계 작성 시작[19] 1971년의 기존 최저기록을 48년만에 경신했다.[20] 2월 하순부터 코로나19의 확산으로 혼인건수가 급감했다.[21] 혼인건수가 20만건 이상인 마지막 해.[22] 이 해 역시 작년과 동일한 이유로 혼인건수가 급감했으며,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10만건대를 기록했다.[23] 코로나19 관련 규제가 대부분 해제된 영향으로 낙폭이 전년 대비 크게 줄어들었다. 1991년생 이후 세대의 상대적으로 많은 인구도 영향이 있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