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은행

덤프버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사라진 은행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eaeaea> 현존은행 ||<bgcolor=#ddd> 사라진 은행 ||
||<bgcolor=#545045> KB국민은행 ||<colbgcolor=#fff,#191919>
구)국민은행
한국주택은행
한국장기신용은행
동남은행
대동은행
||
||<bgcolor=#00b140> 농협/NH농협은행 ||
축산업협동조합
인삼협동조합
낙농업협동조합
||
||<bgcolor=#0067aa> 우리은행 ||
한국상업은행
한일은행
평화은행
한빛은행
||
||<bgcolor=#7ac142> SC제일은행 ||
한국저축은행
구)제일은행
||
||<bgcolor=#008375> 하나은행 ||
한국외환은행
서울은행
한국신탁은행
충청은행
보람은행
구)하나은행
||
||<bgcolor=#000062> 한국씨티은행 ||
한미은행
경기은행
||
||<bgcolor=#0b1966> 신한은행 ||
조흥은행
동화은행
강원은행
충북은행
구)신한은행
||
||<-2><bgcolor=#fff,#203741> 정렬은 지로코드 순. ||
||<-2><bgcolor=#cd313a> 같이 보기: 대한민국의 금융기관 ||



경기은행
京畿銀行 | Kyungki Bank

파일:경기은행 로고.svg
1997년부터 사용한 마지막 CI[출처]
은행 코드
036
종목 코드
006320
상장 시장
유가증권시장[1]
SWIFT 코드
KKBKKR22[2]
노동조합
한국노총 금융노련
PC 통신
-[3]
웹 사이트
www.kyungkibank.co.kr[4]

1. 개요
2. 역사
3. 기업 정신
4. 역대 은행장
5. 지점 내역
6. 여담
7. 자회사
8. 참고 문헌



1. 개요[편집]


파일:경기은행 CI(1980-1997).svg
1980년부터 1997년까지 사용한 CI[5]
과거 경기/인천 지역을 거점으로 했던 지방은행. 본점은 인천광역시 남동구 인주대로 585(구월동 1127-1)에 있었다. 상징물은 호랑나비.


2. 역사[편집]


1969년 경기도 지역을 영업 구역으로 하는 인천은행으로 창립했으며 1972년에 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하며 경기은행으로 행명을 변경했다. 현재 기준으로는 인천에 본점을 둔 경기은행이라는 게 다소 특이해 보일 수 있지만 당시에는 인천이 경기도에 속해 있어서 자연스러웠던 것이다. 인천시가 직할시 승격과 함께 경기도에서 분리된 것은 1981년이다.

설립 초기 경기도 자체가 사실상 서울특별시와 밀접한 관계였던 터라 서울에 본점을 둔 대형 시중은행들과의 경쟁에서 그다지 재미를 보지 못했다. 그렇다고 서울과 별로 접점이 없는 곳에서 잘 나간 것도 아닌 게, 이쪽은 낙후된 지역이 많은 데다가 지역농협 및 우체국이 버티고 있었다. 그래서 다른 지방은행들에 비해 지역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이 낮았다.


파일:external/www.namdong.go.kr/%EA%B2%BD%EA%B8%B0%EC%9D%80%ED%96%89%EC%A3%BC%EB%B3%80%EB%AA%A8%EC%8A%B5(1992).jpg

가장 높은 빌딩이 경기은행 구월3동 본점. 1992년 당시의 전경이다.[6]
1976년 인천시 중구 사동 구 인천상공회의소 회관으로 이전 후 1988년 6월 경기은행장학회를 세우고 8월 총수신 1조 원을 달성했고 10월 CD 공동망업무를 개시했다. 1989년 경인리스금융을 세우고 1992년 구월동 신사옥으로 이전하며 SWIFT 시스템을 가동 후 1993년 종합온라인시스템 'BANCS'를 구축한 뒤 신경기상호신용금고를 세웠다. 1996년 문서관리 통합사무자동화 시스템을 개발 후 경은경제연구소를 세워 세를 불려갔다. 이러한 업적에도 불구하고 기업이 많은 인천광역시에서의 기업 여신과 고금리 신탁으로 근근히 영업하던 와중, 1997년 외환 위기로 직격탄을 맞았다. 기업들이 죄다 쓰러지면서 부실화된 채권이 급증했고, 신탁에 지급해 줄 이자는 많다 보니 손실이 엄청나게 불어난 것이다.

결국 1998년 6월 29일 퇴출은행으로 지정된 후 한미은행에 P&A로 인수되었고, 기존 법인은 청산절차를 거쳐 2012년 소멸됐다. 구월3동 본점 건물은 퇴출 후 성업공사(현 한국자산관리공사)가 소유했다가 1999년 6월 18일 매각대금 360억 원에 한미은행이 사들여 인천영업부로 개편되어 일반 지점보다 상위 점포로 분류되며 전산센터 역시 이 곳에 개설되었다. 2004년 한국씨티은행 출범 후 2017년까지 영업했다.

금융결제원 홈페이지 금융기관 코드 조회를 하면 경기은행의 퇴출 당시 지점망이 그대로 뜬다.[7] 엑셀 파일을 다운받아 보면 경기은행 코드인 36번으로 시작하는 한국씨티은행의 지점들이 있는데, 이를 통해 경기은행의 퇴출 직전 지점 현황을 파악할 수 있고 해당 지점명을 홈페이지에서 검색했을 때 027 코드로 함께 뜨는 지점망을 보면 현재의 흔적을 얼추 알 수 있다.

과연 이름에 걸맞게 경기도 곳곳에 지점이 있었는데 안성시[8], 여주시, 가평군, 이천시, 동두천시 등지에도 지점이 1개 정도는 있었다.[9] 그러나 한미은행과의 통합 과정에서 채산성이 안 맞다는 이유로 모두 폐쇄되었고[10] 그 결과 현 한국씨티은행은 해당 지역에 점포를 갖고 있지 않다. 현재 남아 있는 경기은행 출신 지점을 통틀어 봐도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일부 대도시를 제외하면 정말 찾기가 어려울 정도로 경기은행의 자취는 찾아보기가 어렵고, 개중에는 일반 상업공간으로 바뀌거나 재개발로 흔적조차 지워진 경우가 있다. 퇴출 당시 194개 점포 중에서 한미은행으로 정식 편입된 게 104개였는데, 어찌 된 영문인지 엄청나게 줄어들었다.


3. 기업 정신[편집]


  • 행훈: 인화와 단결, 성실한 봉사

  • 행가: 작사는 한상억, 작곡은 최영섭이 맡았다.
(1절)아름다운 한반도의 정기 모인 곳 / 문화도 찬란하다 빛나는 역사
이 땅위에 복된 터전 이루기 위해 / 그 이름 경기은행 여기 솟았네
(후렴)봉사하자 성실하게 한데 뭉쳐가는 길 / 창창하다 경기은행 영원 영원 빛난다
(2절)슬기로운 예지로써 쌓아 올린 탑 / 나날이 번영한다 뻗어나간다
나라 위해 아로새긴 눈부신 보람 / 오늘도 경기은행 희망에 찼네


4. 역대 은행장[편집]


  • 이상윤 (1969~1971)
  • 유제국 (1971~1976)
  • 이문탁 (1976~1979)
  • 이필선 (1979~1980)
  • 성승모 (1980~1987)
  • 이상호 (1987~1993)
  • 주범국 (1993~1997)
  • 서이석 (1997~1998)


5. 지점 내역[편집]


지점명
주소
본점/인천동부영업본부
인천직할시 남동구 구월동 1127[11]
경수영업본부/수원지점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1124[12]
가평지점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읍내리 463-2 외
능곡출장소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토당동 866-1
원당지점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주교동 620-5[13]
고양행신출장소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 757-2
샘터마을출장소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 973
화정지점
경기도 고양시 화정지구 A블럭 64-1
과천지점
경기도 과천시 별양동 1-15[14]
과천시청출장소
경기도 과천시 중앙동 1-3
광명지점
경기도 광명시 광명동 158-86
광명시청출장소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 222-1
철산동지점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 385
광명북출장소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 56-9외
하안지점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 36-2
경안지점
경기도 광주군 광주읍 역리 27-87외
구리지점
경기도 구리시 수택동 404-7
구리시청출장소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562-1외
군포지점
경기도 군포시 당동 777-3[A]
산본지점
경기도 군포시 산본동 1147[15]
김포북변지점
경기도 김포군 김포읍 감정리 676
김포지점
경기도 김포군 김포읍 사우리 183-5
남양주지점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158-10[A]
평내출장소
경기도 남양주시 평내동 203-2외
동두천지점
경기도 동두천시 생연동 586-6
괴안지점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괴안동 130[16]
소사동지점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소사본동 82-1[17]
송내지점 부천남출장소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송내동 554외
송내지점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송내동 344-7
심곡본동지점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심곡본동 701
부천지점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심곡본동 550-10
원종동지점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원종동 228-8
도당동지점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도당동 284-1
부천서지점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상동 328-10
송내역전지점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상동 454-1
상동출장소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상동 459-2
원미지점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심곡동 181-13
부천중앙지점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심곡동 168-8
심곡지점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심곡동 3351-37
역곡지점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역곡동 80-5
부천서중동출장소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중동 1186
분당지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246-4
분당지점 야탑출장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53-6
분당지점 이매촌출장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 120-7
성남지점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 3436-13
단대동지점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 11
모란출장소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 26-5
성남중앙지점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 4-81
곡선동출장소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권선1지구 5블럭
권선남출장소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권선동 1185-1
권선지점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권선동 964-15외
매교동지점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매교동 4-1
세류동출장소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세류동 544-35
호매실출장소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호매실동 395-21
수원종로지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신풍동 305-2
연무동지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연무동 245-32
영화동지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영화동 297-2
정자동지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자동 27-10
파장동지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파장동 594-2
화서지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화서동 71-51
매탄동지점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매탄동 1217
남문지점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영동 5-1외
동수원지점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원천동 79-5
시흥지점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 315-12
은행동지점
경기도 시흥시 은행지구 54블럭
시화지점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1735-5[18]
정왕동출장소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시화지구 56-3
안산지점
경기도 안산시 고잔동 528-3
본오동지점
경기도 안산시 본오동 872-2
상록수지점
경기도 안산시 사동 1344
사동출장소
경기도 안산시 사동 1471-13
선부동지점
경기도 안산시 선부동 1085
반월지점
경기도 안산시 원곡동 994
원곡지점
경기도 안산시 원곡동 846
안성지점
경기도 안성군 안성읍 대천리 57
관양동출장소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 1406-47외
평촌지점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호계동 1044-8
하남지점
경기도 하남시 신장동 427-78
강남지점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681-17
강남역지점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825외
여의도지점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24
영등포지점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5가 258외
서울영업본부/서울지점
서울특별시 종로구 관훈동 197-28[A]
강화지점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신문리 10-2
계양출장소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 1084-2
계양구청출장소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 905
계산동지점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 944-5
병방출장소
인천광역시 계양구 병방동 317-3
작전동지점
인천광역시 계양구 작전동 614-5
작전동지점
인천광역시 계양구 작전동 866-4
효성동지점
인천광역시 계양구 효성동 24-29
주영백화점출장소
인천광역시 부평구 갈산동 171[19]
갈산출장소
인천광역시 부평구 갈산동 361-4
부개출장소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개택지개발지구 3-1
부평지점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 199-24
부평구청출장소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 442-1
부평남지점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 642외
부흥지점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 10-523외
동암지점
인천광역시 부평구 십정동 356-4
동암역전지점
인천광역시 부평구 십정동 419-1
서구청출장소
인천광역시 서구 연희동 산7외
가좌동지점
인천광역시 서구 가좌동 30-48
주안공단지점
인천광역시 서구 가좌동 548-14
경서동지점
인천광역시 서구 경서동 689
검단지점
인천광역시 서구 마전동 697-6
석남동지점
인천광역시 서구 석남동 510-9
신현동지점
인천광역시 서구 신현동 272
연희출장소
인천광역시 서구 연희2지구 14블럭
송도출장소
인천광역시 연수구 동춘동
연수현대출장소
인천광역시 연수구 동춘동 928
선학동지점/뉴서울아파트출장소
인천광역시 연수구 선학동 352
연수지점
인천광역시 연수구 연수동 592-5
연수구청출장소
인천광역시 연수구 청학동 500
경동지점
인천광역시 중구 경동 954
중구청출장소
인천광역시 중구 관동1가 9
인천서부영업본부/신포지점
인천광역시 중구 사동 9-1
인하대병원출장소
인천광역시 중구 신흥동3가 7-206
신흥동지점
인천광역시 중구 신흥동2가 502
동인천지점
인천광역시 중구 인현동 26-5[A]
하인천출장소
인천광역시 중구 항동1가 2-16외
연안부두지점
인천광역시 중구 항동7가 58-46
인천세관출장소
인천광역시 중구 항동7가 1-18
국제여객터미널출장소
인천직할시 중구 항동7가 1-2


6. 여담[편집]


  • 본점을 두 번 이전했는데 첫 번째로 1976년 1월 5일 인천광역시(당시에는 경기도 인천시) 중구 사동 9-1번지에 입주했으나 원래 여기가 인천상공회의소 회관인 것을 일부만 분할 매입한 어정쩡한 형태였다. 이후 378억 원을 들여 1988년 6월 14일에 대지 3,315평, 연건평 14,348평, 지하 3층, 지상 20층, 옥탑 3층 규모의 본점 신축 공사를 개시, 1992년 1월 28일 남동구 구월동 1127-1번지에 직접 신축한 건물을 쓰게 된다. 참고로 옛 사동 본점은 경기은행 신포지점으로 전환된 후 한미은행을 거쳐 한국씨티은행 신포지점이 됐으나, 대규모 지점 통폐합을 거치면서 2017년에 끝내 폐쇄됐다.

  • 강남역 1번 출구 뒷쪽 빌딩 1층에 강남역지점이 있었는데, 2007년경까지 간판이 그대로 남아 있었다. 일단 인근에 한미은행 지점이 있었기 때문에 자연히 경기은행 강남역지점은 폐쇄되었고, 해당 건물이 장기간 임대되지 않아 그렇게 되었던 것. 2008년경부터 SK텔레콤 강남지점이 위치하고 있으며 다른 SK텔레콤 지점과 다른 입구나 창구 구조에서 은행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었다. 2019년 기준 이 자리는 스타벅스가 되었다.

  • 부천대학을 비롯한 몇몇 학교에서 재학생들에게 적금 통장을 만들게 하면서 더 이자를 준다든지 하며 손잡았다가 퇴출되면서 제대로 보상도 하지 않아 몇몇 재학생이 학교 측에서 시위하는 일이 있었다.

  • 퇴출 직전까지도 이를 막기 위한 로비가 있었는데 퇴출되기 불과 25일 전이었던 1998년 6월 4일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여당인 새정치국민회의 후보로 출마해 당선된 임창열 당시 경기도지사에게 서이석 경기은행장이 뇌물로 1억 원을 건네는 일까지 있었고 결국 두 명 모두 구속, 수감됐다. 사실 임창열 경기지사는 불과 몇 달 전까지만 해도 경제부총리를 지낸 인물로 아직 정부 내의 경제/금융 관련 부처에 상당한 영향력이 있었던 데다 무엇보다도 집권 여당 공천으로 경기도지사에 당선되었던지라 충분히 경기은행 퇴출을 막기 위해 로비를 시도할 수 있는 인물이었다. 그래서 경기은행 측이 가장 먼저 로비 대상으로 삼았던 것. 사실 당시 퇴출시켜야 할 정도로 부실한 은행은 상당히 많았지만[20] 규모가 큰 시중은행을 퇴출시켰다가는 도리어 경제 상황이 더 악화될 우려가 있었기에 당시 금융 당국과 정부는 비교적 규모가 적었던 지방은행을 퇴출시키기로 방침을 정했었다. 그래서 퇴출설이 나도는 지방은행들은 하나같이 해당 지역의 유력 인사에게 로비를 하여 금융 당국으로 전달이 되긴 했지만, 당시 김대중 대통령과 이헌재 금융감독위원장이 원칙론을 강조하면서 로비를 차단한 탓에 여당 소속이자 전임 경제부총리라는 임창열 경기지사도 경기은행 퇴출을 막지 못했던 것.[21] 임창열 경기지사는 집행유예로 풀려난 뒤 나중에 사면되었지만, 서이석 전 행장은 안양교도소에서 복역하던 중 2003년 8월 21일에 지병인 심근경색으로 옥사하였다. 여담으로 서이석 전 행장은 1974년 경기은행에 입행하기 전에 씨티은행 서울지점에서 근무한 바 있는데, 이후 경기은행이 한미은행에 넘어가고 한미은행은 씨티그룹에 넘어가는 아이러니한 일이 일어났다.

  • 퇴출에도 불구하고 살아남은 직원들은 현재 한국씨티은행의 차장급 이상으로 재직 중인데, 특히 상고 졸업 후 바로 입행한 케이스도 상당수 있다. 이 당시 남직원들은 고등학교 졸업 직후 입행하여 약 1년 간 근무한 후 군 입대 휴직을 했다고 한다. 그런데 개중에는 전역하고 와 보니 은행이 없어져 있고 고용 승계가 안 되어 있더라는 청천벽력같은 케이스를 경험한 경우도 있다. 반면 퇴출 직전이었던 1998년 5월에 전역해서 복직한 고졸 직원들은 상당수가 고용 승계되었고 그중에는 차장급까지 오른 이들이 제법 있는데, 이들은 어찌 보면 1990년대 대한민국 경제의 마지막 수혜자이다.

  • 1999년작 영화 해피 엔드의 주인공 서민기가 경기은행의 은행원으로 일하다 외환 위기로 실직자가 되었다는 설정을 가지고 있다.[22]


7. 자회사[편집]


  • 경기리스금융: 2000년 '썬캐피탈'로 명칭을 변경했다가 2002년 화인캐피탈로 매각된 후 2004년 그 회사와 합병됨.
  • 신경기상호신용금고: 1998년 폐업.
  • 경은경제연구소


8. 참고 문헌[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02:46:34에 나무위키 경기은행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출처] 경기은행협의회(구 경기은행 해직자협의회)[1] 1998년 퇴출 전까지 상장되어 있었다.[2] 영문 명칭인 Kyungki Bank의 이니셜을 따서 KKBK, KR은 대한민국, 22는 지방은행을 의미한다.[3] 정보가 부족해 알려져 있지 않다.[4] 현재는 접속이 불가능하다.[5] 1969년 인천은행으로 설립할 때부터 1980년까지 사용한 이전 로고는 과거 인천광역시 휘장의 모양을 하고 있다.[6] 이 건물 바로 건너편에는 인천광역시에서 가장 큰 종합 공연장인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이 있다. 지금의 관교동과 구월동은 인천의 최대 번화가지만 이 사진이 촬영됐던 1992년은 외곽 지역으로 분류되던 시절이다.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도 이 무렵에는 공사 중이었다. 이 당시 인천에서 종합문화예술회관의 역할을 하던 곳은 주안동의 인천시민회관이었다. 관교동과 구월동은 199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개발됐다.[7] 조흥은행(21), 서울은행(25), 구 씨티은행(53), 보람은행(82) 등은 여전히 코드가 살아있기 때문에 뜨는 거라지만 경기은행은 어찌 된 영문인지 알 수가 없다. 또한 함께 퇴출된 은행 중에서 충청은행(33) 역시 하나은행 리스트로 뜨는 상황.[8] 경기은행 안성지점이 입주했던 건물은 아직도 남아 있다. 카카오맵 로드뷰 경기은행이 없어지고 나서 여러 업체가 입주했던 탓에 은행의 흔적은 발견할 수 없지만 건물 자체는 2020년 현재까지 존속중.[9] 다만 포천시, 연천군 등에는 지점이 없었다. 이게 퇴출 당시의 상황이니, 그 이전에 있었는지는 불명.[10] 한미은행이 경기은행을 즉각 통합한 게 아니라 일단 한미은행 이름을 내걸고 임시적으로 몇 달간 영업하다가 비로소 전산까지 통합되었는데, 바로 이 때 폐쇄된 것이다. 이런 점포의 경우 한미은행 코드가 아예 부여조차 되지 않은 관계로 금융결제원 코드 조회시 036 코드만 있는 것.[11] 현 한국씨티은행 경인영업부.[12] 현 한국씨티은행 경수영업부.[13] 현 KB국민은행 원당지점 터.[14] 그레이스호텔 1층에 소재. 이후 한미은행, 씨티은행을 거쳐 건물 재건축을 앞두고 사라졌다.[A] A B C D 현재 금융기능 대신 일반 상업공간이 되었다.[15] 1998년 퇴출 이후 산본동 1145-4에 위치했던 한미은행과 통폐합. 이후 산본동 1123-2로 이전 후 씨티은행 때까지 이어졌으나, 2017년 폐점.[16] 현 MG새마을금고 남부천지점 터.[17] 이후 한미은행 부천지점이 되었다가, 현재 KB국민은행 소사지점이 자리잡고 있다.[18] 현 SK브로드밴드 시흥고객센터 터.[19] 이마트 부평점 건물 내에 있었으며, 그 사이 사라져 건물 자리에 지웰 에스테이트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흔적조차 사라졌다.[20] 당장 조상제한서라는 별칭으로 유명했던 조흥은행, 상업은행, 제일은행, 한일은행, 서울은행부터가 전부 부실화가 심각한 상태였다.[21] 그러나 청탁이 완전히 차단된 것도 아닌게, 원래 퇴출 대상 5개 은행 리스트에는 충북은행이 들어 있었지만 막판에 충청은행으로 뒤바뀌었다. 둘 다 부실 정도가 심각해 도찐개찐이긴 했지만 일각에서는 한나라당을 탈당해 자유민주연합에 입당하여 당시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이원종 충청북도지사를 배려해 충북은행을 살렸다는 설이 정가에 있었다.[22] 영화 중반 민기가 재취업을 위해 이력서를 작성하던 도중 경기은행에서 근무했다는 내용이 담긴 장면이 스쳐 지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