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덤프버전 :

분류




파일:조선 전기 국왕 용보.svg 경복궁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17호
경복궁
景福宮 | Gyeongbokgung Palace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세종로)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궁궐
면적
432,703㎡
건축시기
조선시대, 1395년 11월 27일(628주년)[1]
지정연도
1963년 1월 21일
관리
문화재청 경복궁관리소
링크
공식 홈페이지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external/chulsa.kr/1ce2d1dc327f2490183f3837dc6c2f83.jpg

경복궁 전경[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Gyeongbokgung_map.jpg
〈북궐도〉, 혜촌 김학수, 1975년 作
1. 개요
2. 구조 및 지리
6. 기타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하늘에서 바라본 경복궁 영상

《시경(詩經)》 주아(周雅)에 있는 ‘이미 술에 취하고 이미 덕에 배부르니 군자는 영원토록 그대의 크나큰 복(景福)을 모시리라.’라는 시(詩)를 외우고, 새 궁궐을 경복궁(景福宮)이라고 이름 짓기를 청하오니, 전하와 자손께서 만년 태평의 업(業)을 누리시옵고, 사방의 신민으로 하여금 길이 보고 느끼게 하옵니다.

정도전, 《태조실록》 8권, 태조 4년(1395년) 10월 7일 정유 2번째기사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세종로)[3]에 있는 조선시대의 궁궐 중 하나이자 조선의 정궁(법궁)이다. 사적 제117호로 지정받았다. 태조가 조선을 건국하고 한양 천도를 단행[4]하면서 조선 시대에 가장 먼저 지은 궁궐이다.

1592년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275년간[5] 방치되다가 19세기에 흥선대원군 주도로 중건되었다. 당시에는 7천여 칸이라는 거대한 규모를 자랑하는 건축물로 거듭났었지만 구한말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수천 칸의 전각이 헐리고 매각되며 조선총독부 청사와 같은 다른 건물이 들어서는 등 궐내가 크게 훼손되었다. 1990년에 이르러서는 고작 36동의 건물(고종 재위 당시의 7% 수준)만 남았고 지금도 계속 복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사라진 전각들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여 최근 복원한 전각들도 원형이라는 보장은 없으며, 후일에도 완전한 경복궁의 모습을 볼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2. 구조 및 지리[편집]



파일:경복궁 대한민국 이집트.png

경복궁 위성사진[6]
파일:북궐도형 (4).jpg
북궐도형(北闕圖形), 1907년 제작[7]
원래는 신진사대부가 계획한 궁궐이기 때문에 '검이불루 화이불치'(검소하되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되 사치스럽지 않다.)라는 유교 이념을 반영하여 이전 왕조들의 궁궐에 비해 화려한 장식 없이 수수하고 검소한 형태로 지어졌었다. 배치는 유교적인 관점에 따라 삼문삼조의 형태로 되어 있었다.

임진왜란 전 조선 전기 동안 조선 왕조의 법궁[8]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경복궁은 법궁으로서의 권위를 나타내기 위해 엄정한 기하학적 공간 분할, 반듯한 축선 상의 건물 배치, 정연한 대칭 구조로 설계되었다.[9] 이궁인 창덕궁(+창경궁)과 양궐 체제를 갖췄는데, 임금들은 각자의 취향에 따라 두 궁궐을 번갈아 가며 사용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이후 그 자리만 출입이 금지된 채 200여년 동안 재건되지 못하다가 흥선대원군이 재건해 지금까지 전해오고 있다. 참고로 흥선대원군이 지은 경복궁과 임진왜란 당시 소실된 경복궁의 모습은 다소 차이가 있다. 세종이 왕자 시절 2층에서 자다가 병이 났다는 등 다층 건물에 대한 기록이 눈에 띈다. 또한, 근정전에 청기와를 얹었다는 언급 등 차이점이 보이며, 임진왜란 이전에 조선 왕실에서 제작했다는 석가탄생도 등에서 묘사된 건축 양식을 통해 그 당시의 경복궁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무엇보다 최대 규모 5,000칸까지 서서히 확장되었던 이전 건물과 다르게 흥선대원군은 단숨에 7,400칸짜리로 중건했다. 단숨에 1.5배 크기가 된 것이다.

현재의 행정구역으로는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위치해 있다.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은 경복궁역이며, 5번 출구로 나가면 바로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 안쪽으로 들어갈 수 있다. 그리고 안국역이나 광화문역에서도 걸어갈 수 있다. 경복궁 앞길에는 각종 관청이 있어 육조 거리라고 불렸으며, 이 길이 오늘날의 세종대로다.[10] 당대에도 국가의 중심 거리였기 때문에 육조 거리는 지금의 세종대로의 폭과 거의 같은 폭으로 조성되었다고 한다. 현재 세종대로 중앙에는 광화문광장이 있다. 주변에는 청와대, 헌법재판소, 정부서울청사, 주한미국대사관, 세종문화회관 등이 있으며, 인사동길도 경복궁에서 꽤 가깝다.


3. 역사 및 복원[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경복궁/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건축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경복궁/건축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관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경복궁/관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기타[편집]


  • 징비록(드라마)에서는 백성들에 의해 불타 잿더미가 되며, 광화문은 문루가 모두 박살난다.
  • 2018년 2월 7일, 서울역사박물관은 2016년 공개구입 후 보존처리를 완료한 '경복궁도'를 최초 공개했다. 임진왜란으로 소실되기 이전 경복궁내 건물(전각)들의 배치 모습을 그린 족자이다. # 임진왜란으로 소실되기 이전의 경복궁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자료로는 경복궁도(국립중앙도서관), 경복궁전도(삼성출판박물관), 경복궁지도(장서각), 조선국왕성지도(일본 와카야마 시립박물관) 등이 있다.
  • 흥선 대원군 시절 경복궁 재건에 기원을 둔 경기 민요인 경복궁타령이 있다. 합창을 위해 편곡된 것도 있다.
  • 자금성 내에 한자 표기까지 똑같은 이름의 전각이 존재한다. 자금성 내 동북쪽 가장자리에 있다. 관련 포스팅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ages.wikia.com/Kof97koreabg.gif}}}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7〉의 한국 스테이지 배경으로 나온 건춘문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7〉의 한국 스테이지 배경이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경복궁/info.jpg}}} ||
애플 지도에 청'화'대로 잘못 적힌 경복궁[11]
2012년 9월 20일에 애플 지도에서 청화대로 오기되었다.

7. 관련 문서[편집]


[1] https://sillok.history.go.kr/id/kaa_10410007_002 [2] 왼쪽 뒤편에 작게 보이는 파란색 기와지붕 건물이 청와대이다. 그리고 현재 광화문 앞에 월대가 복원이 되어 지금과 조금 다른 차이가 있다.[3]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번지 일대[4] 천도하기 전에는 개성 수창궁에서 기거했고, 천도한 뒤 경복궁이 다 지어지기 전까지는 한양부 객사를 임시 궁궐로 사용했다.[5] 대중성에 비해 다른 궁궐보다 생각보다 역사가 그렇게 길지 않다. 창덕궁이 훨씬 더 긴 시간 동안 조선의 정궁으로 사용되었고 원형 보존성도 이쪽이 더 높다. 게다가 경복궁은 19세기에 와서 아예 새로 지은 것이다. [6] 촬영된 지 다소 시간이 지난 사진이라 현재와는 약간 다르다. 사진 속에서는 향원정 일대 보수공사가 아직 진행 중이고, 계조당 복원 공사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전이며, 광화문 월대 복원 공사와 그 앞의 사직로 곡선화 공사가 아직 시작되지 않은 모습이다. 2023년 3월 이후 향원정 보수는 완료되고 계조당은 마무리 공사에 들어갔고 10월 부로, 광화문 앞 도로를 일부 수정하여 월대가 복원되었다.[7] 경복궁의 완전한 모습을 그린건 아니다. 건물의 실내 용도만 그린것이다 보니 지붕의 모양을 알수는 없는데다가 내부 모습은 어떤지, 계단은 어떤 모양인지, 공포는 어떻게 생겼는지 등의 세부 사항은 전혀 알 수 없다.또 실제 건물의 배치가 틀린것도 있는것도 있는데다가 작성 당시인 1907년에 10%가량의 건물은 경운궁 중건으로 인한 이건 및 화재로 사라져서 금무(今無) 즉 이제는 없음으로 표시된 것도 많다. 그래도 이것이 다른 자료보다는 가장 정확하다보니 경복궁 복원시 1차 자료로 기준이 된다.[8] 법궁이 사무를 볼 수 없는 경우 역할을 이어받는 보조 궁궐 이궁, 궁 밖으로 나가서 기거할 행궁 등 여러 궁궐 중 왕이 평상시에 직접 사무를 보는 중심 궁궐이다.[9] 출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6[10] 의 이름도 세종로다.[11] 추가로, 국립민속박물관의 위치도 잘못 찍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경복궁 건춘문 문서의 r20
, 5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경복궁 건춘문 문서의 r2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03:13:01에 나무위키 경복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