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청

덤프버전 :





파일:경상북도 휘장.svg
경상북도청
慶尙北道廳 | Gyeongsangbuk-do Provincial Government

파일:신도청.jpg






본청

동부청사


슬로건
경북의 힘으로 새로운 대한민국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도청대로 455 (본청)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용흥로 90 (동부)[1][2]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display: none; display: 대한민국"
행정구
]]

광역시도
경상북도
직원 수
1,403명[3]
예산
12조 820억 원 (2023년)
도지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철우 (재선)[4]
부지사
김학홍 (행정)
이달희 (경제)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3. 본청
3.1. 동부 청사
4. 조직
4.1. 휘하 시/군청
4.2. 산하기관
4.2.1. 지방공기업
4.2.2. 지방출연기관
4.2.3. 지방출자기관
5. 역대 도지사
6.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6.1. 안동 본청
6.2. 동부청사
6.2.1. 버스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경상북도도청. 주소는 안동시 풍천면 도청대로 455(갈전리 1155).

도청사와 더불어 도의회, 도교육청, 도경찰청, 도체신청, 도소방본부 등 각급 유관기관도 함께 이전했다.


2. 역사[편집]


1896년 13도제에 따라 설치되었다. 일제강점기 대구 경상감영공원의 선화당 건물에 들어섰다. 1966년에 대구시 북구 산격동(현 대구광역시청 산격청사)으로 이전하였다.

1981년 대구시가 대구직할시로 승격, 경상북도에서 분리되며 도청이 경상북도 관할 내에 위치하지 않게 되었다.

2008년 도청신도시 조성 예정지가 안동시-예천군으로 확정되었고, 2016년 2월 22일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에서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갈전리로 이전했다. 구 도청 부지는 논의 끝에 청사 공간 부족으로 곤란을 겪고 있는 대구광역시청의 별관으로 이용하기로 결정했으며, 도 관련 기관은 경북남부건설사업소[5]만 산격동 옛 청사에 남아 있다. 경상북도청 후적지 활용 논란 문서 참조.

새로 이전한 안동시-예천군 일대에는 신도시인 경상북도청신도시를 건설하고 있다.


3. 본청[편집]



경상북도청 신청사는 청와대와 유사한 형태로 지어져 조감도를 접한 네티즌들에게 충격과 공포를 안겨 주기도 하였다. 거기에 조선시대 황궁우와 환구단 구조를 기본으로 한 듯한 디자인으로 설계되었다.

그야말로 한국 최고의 호화청사로 불리며 건설비용만 4,000억 원 이상이었으며 하천, 연못 조성 등 청사 이외의 시설에도 무려 140억 원을 사용한 청사다. 이전까지 호화청사로 유명했던 성남시청(약 3,220억 원), 용인시청(약 1,900억 원)의 건설비용을 크게 넘어섰다.[6] 경북도는 신도청사 건립비용을 메우기 위해 2018년 대구시 북구 산격동에 위치한 옛 경상북도청 터를 문화체육관광부에 2,111억원에 매각하였다.기사 경북도는 현재 대구 북구 학정동 도농업기술원과 인근에 위치한 도공무원교육원도 추가 매각 할 계획인데 매각 대금은 각각 최소 1,500억, 871억원을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대구에 위치한 옛 경북도교육청 부지 역시 법제처 협의 후 매각 할 계획이다.기사

다만 이런 청사를 짓게 된 이유 자체가 한옥 스타일로 지으면서, 한옥 관련 명장무형문화재들을 대거 초빙하여 짓기로 했기 때문에 이런 허가가 나온 것이다. 그냥 유리궁전 스타일로 짓는다 하면 기획재정부가 무조건 반대로 일관하는데, 한옥 스타일로 건축하면서 무형문화재 기술 전수 등 전통 보전이라는 카드를 경북도가 꺼내들자 기재부가 승인을 내준 것이다.


3.1. 동부 청사[편집]


파일:용흥청사.jpg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용흥로 90 (과거 용흥중학교)
경상북도 면적이 전국에서 가장 큰데다 태백산맥으로 인해 본청과의 접근성이 다소 떨어지는 경북 동부지역(포항시, 경주시, 영덕군, 울진군, 울릉군)[7]의 해양관광, 항만물류, 에너지, 원자력을 비롯한 동해안권의 민원행정서비스, 해양수산업무를 담당할 제2청사가 논의되었다.

2018년 1월 '환동해지역본부'로 포항시 남구 지곡동에 위치한 포항테크노파크에 임시로 입주하였다가 도민들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2019년 3월 1일부로 경상북도 동부청사로 개칭, 폐교된 용흥중학교 건물을 개조하여 입주하였다. 현재는 독도재단도 건물 내 입주하였다.


파일:경북도청 동부청사.jpg
포항시 북구 흥해읍 이인리 포항경제자유구역에 사업비 250억 원을 들여 동부청사 정식 건물이 2021년 말 완공될 예정이었으나 2023년 초로 연기됐고 2021년 6월 15일 기공식을 개최했다.#


4. 조직[편집]


해당 홈페이지로.


4.1. 휘하 시/군청[편집]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의 기초자치단체 청사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15><tablewidth=100%><bgcolor=#7B2997> [[시(행정구역)|{{{#fff '''자치시'''}}}]] ||
||<width=20%><bgcolor=#5CB546><-3> [[경산시|[[파일:경산시 CI_White.svg|height=25]][br]{{{#ffffff 경산시}}}]] ||<bgcolor=#0055A2><width=20%><-3> [[경주시|[[파일:경주시 CI_White.svg|height=25]][br]{{{#ffffff 경주시}}}]] ||<bgcolor=#0033A0><width=20%><-3> [[구미시|[[파일:구미시 CI_White.svg|height=25]][br]{{{#ffffff 구미시}}}]] ||<bgcolor=#E60012><width=20%><-3> [[김천시|[[파일:김천시 CI_White.svg|height=25]][br]{{{#ffffff 김천시}}}]] ||<bgcolor=#00A63D><width=20%><-3> [[문경시|[[파일:문경시 CI_White.svg|height=25]][br]{{{#ffffff 문경시}}}]] ||
||<-3> [[경산시청|{{{#5CB546 경산시청}}}]] ||<-3> [[경주시청|{{{#0055A2 경주시청}}}]] ||<-3> [[구미시청|{{{#0033A0 구미시청}}}]] ||<-3> [[김천시청|{{{#E60012 김천시청}}}]] ||<-3> [[문경시청|{{{#00A63D 문경시청}}}]] ||
||<bgcolor=#00A73C><-3> [[상주시|[[파일:상주시 CI_White.svg|height=25]][br]{{{#ffffff 상주시}}}]] ||<bgcolor=#2C4B9C><width=20%><-3> [[안동시|[[파일:안동시 CI_White.svg|height=25]][br]{{{#ffffff 안동시 ,,도청,,}}}]] ||<bgcolor=#009944><-3> [[영주시|[[파일:영주시 CI_White.svg|height=25]][br]{{{#ffffff 영주시}}}]] ||<bgcolor=#004098><-3> [[영천시|[[파일:영천시 CI_White.svg|height=25]][br]{{{#ffffff 영천시}}}]] ||<bgcolor=#63CEEA><-3> [[포항시|[[파일:포항시 CI_White.svg|height=25]][br]{{{#ffffff 포항시}}}]] ||
||<-3> [[상주시청|{{{#00A73C 상주시청}}}]] ||<-3> [[안동시청|{{{#2C4B9C 안동시청}}}]] ||<-3> [[영주시청|{{{#009944 영주시청}}}]] ||<-3> [[영천시청|{{{#004098 영천시청}}}]] ||<-3> [[포항시청|{{{#63CEEA 포항시청}}}]] ||
||<-15><bgcolor=#ADA900> [[군(행정구역)|{{{#fff '''자치군'''}}}]] ||
||<bgcolor=#0081CC><-3> [[고령군|[[파일:고령군 CI_White.svg|height=25]][br]{{{#ffffff 고령군}}}]] ||<bgcolor=#16913E><-3> [[군위군|[[파일:군위군 CI_White.svg|height=25]][br]{{{#ffffff 군위군}}}]] ||<bgcolor=#005BAC><-3> [[봉화군|[[파일:봉화군 CI_White.svg|height=25]][br]{{{#ffffff 봉화군}}}]] ||<bgcolor=#E60012><-3> [[성주군|[[파일:성주군 CI_White.svg|height=25]][br]{{{#ffffff 성주군}}}]] ||<bgcolor=#E68DBB><-3> [[영덕군|[[파일:영덕군 CI_White.svg|height=25]][br]{{{#ffffff 영덕군}}}]] ||
||<-3> [[고령군청|{{{#0081CC 고령군청}}}]] ||<-3> [[군위군청|{{{#16913E 군위군청}}}]] ||<-3> [[봉화군청|{{{#005BAC 봉화군청}}}]] ||<-3> [[성주군청|{{{#E60012 성주군청}}}]] ||<-3> [[영덕군청|{{{#E68DBB 영덕군청}}}]] ||
||<bgcolor=#1D2088><-3>  [[영양군|[[파일:영양군 CI_White.svg|height=25]][br]{{{#ffffff 영양군}}}]] ||<bgcolor=#00AD48><-3> [[예천군|[[파일:예천군 CI_White.svg|height=25]][br]{{{#ffffff 예천군}}}]] ||<bgcolor=#E60012><-3> [[울릉군|[[파일:울릉군 CI_White.svg|height=25]][br]{{{#ffffff 울릉군}}}]] ||<bgcolor=#1D2088><-3> [[울진군|[[파일:울진군 CI_White.svg|height=25]][br]{{{#ffffff 울진군}}}]] ||<bgcolor=#F5C81F><-3> [[의성군|[[파일:의성군 CI_White.svg|height=25]][br]{{{#ffffff 의성군}}}]] ||
||<-3> [[영양군청|{{{#1D2088 영양군청}}}]] ||<-3> [[예천군청|{{{#00AD48 예천군청}}}]] ||<-3> [[울릉군청|{{{#E60012 울릉군청}}}]] ||<-3> [[울진군청|{{{#000 울진군청}}}]] ||<-3> [[의성군청|{{{#F5C81F 의성군청}}}]] ||
||<bgcolor=#004EA2><-5> [[청도군|[[파일:청도군 CI_White.svg|height=25]][br]{{{#ffffff 청도군}}}]] ||<bgcolor=#009554><-5> [[청송군|[[파일:청송군 CI_White.svg|height=25]][br]{{{#ffffff 청송군}}}]] ||<bgcolor=#00B0EB><-5> [[칠곡군|[[파일:칠곡군 CI_White.svg|height=25]][br]{{{#ffffff 칠곡군}}}]] ||
||<-5> [[청도군청|{{{#004EA2 청도군청}}}]] ||<-5> [[청송군청|{{{#009554 청송군청}}}]] ||<-5> [[칠곡군청|{{{#00B0EB 칠곡군청}}}]] ||





4.2. 산하기관[편집]






4.2.1. 지방공기업[편집]




4.2.2. 지방출연기관[편집]


  • 경북연구원
  • 경상북도포항의료원
  • 경상북도김천의료원
  • 경상북도안동의료원
  • 경북테크노파크
  •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 경북하이브리드부품연구원
  • 경상북도경제진흥원
  • 경북신용보증재단
  • 한국국학진흥원
  • 경북문화재단: 2023년 7월 경상북도콘텐츠진흥원을 흡수했다.
  • 경상북도환경연수원
  • 환동해산업연구원
  • 경북행복재단
  • 경북여성정책개발원
  • 경상북도청소년육성재단
  • 경상북도인재평생교육진흥원
  • 독도재단
  • 경상북도농식품유통교육진흥원
  • 새마을재단
  •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4.2.3. 지방출자기관[편집]


  • 경북통상(주)


5. 역대 도지사[편집]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지사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정현모
제2대
조재천
제3대
신현돈
제4대
이근직
제5대
송관수
제6대
오림근
제7대
조준영
제8대
이호근
제9대
박경원
제10대
김인
제11대
양택식
제12대
김덕엽
제13대
구자춘
제14대
김수학
제15대
김무연
제16대
김성배
제17대
정채진
제18대
이상희
제19대
이상배
제20대
김상조
제21대
김우현
제22대
이판석
제23대
이의근
제24대
우명규
제25대
심우영

제26-28대
이의근

제29-31대
김관용

제32·33대
이철우


파일:경상북도 민선8기 슬로건.svg
일제강점기 및 미군정 경상북도지사






6.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편집]



6.1. 안동 본청[편집]



6.1.1. 시내버스[편집]


경북도청(540590)

* 예천 방면

안동시 시내버스
급행

일반간선

지선

예천군 농어촌버스
농어촌


경북도청(540596)

* 안동 방면

안동시 시내버스
급행

일반간선

지선

예천군 농어촌버스
농어촌


풍천중학교(540637)

* 안동 방면

안동시 시내버스
급행

일반간선

지선

예천군 농어촌버스
농어촌

구담

쌍호


풍천중학교(540638)

* 예천 방면

안동시 시내버스
급행

일반간선

지선

예천군 농어촌버스
농어촌

지보



6.1.2. 시외버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경북도청 시외버스 정류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1.3. 철도[편집]


  • 일반 철도역: 안동역(KTX-이음, 무궁화호, 누리로)


6.2. 동부청사[편집]



6.2.1. 버스[편집]


경상북도동부청사(313020)
일반순환


경상북도동부청사(399092)
일반순환



7. 관련 문서[편집]



8.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1 22:49:02에 나무위키 경상북도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과거 용흥중학교[2] 환동해안지역본부를 동부청사로 격상하여 설치하였다.[3] 국가직 공무원 제외[4] 민선 7·8[5] 학정동에서 옮겨 왔으며, 사업소 부지는 칠곡경대병원에 넘어갔다. 본래 종합건설사업소 본소였으며, 도청 이전 후 북부사업소(북부청사)와 남부사업소(산격동)로 분리됐다.[6] 사실 경상북도청이 건설비용 역대 최대이기는 하지만 광역자치단체 청사임은 감안해야 한다. 성남시용인시는 대도시이기는 하나 기초자치단체임에도 저 금액을 들여 청사를 지었다. 다만 성남시청의 규모는 들인 돈에 비하면 경북도청의 그것에 크게 못 미치는데, 이유는 물론 땅값 차이(...).[7] 이들을 합친 인구수는 약 90만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