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

덤프버전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광역시 관내 종합병원
[ 펼치기 · 접기 ]





파일: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 로고.png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
啓明大學校 大邱東山病院
{{{-1 {{{#ffffff 'KEIMYUNG UNIVERSITY DAEGU DONGSAN HOSPITAL'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display: none; display: 대한민국"
행정구
]]

개원
2019년 4월 9일[1]
병원장
정우진
소재지
대구광역시 중구 달성로 56 (동산동)
종류
종합병원 (대학병원)
병상 수
223병상[2]
웹사이트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 공식웹사이트
블로그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 블로그
인스타그램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 인스타그램
진료예약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 진료예약 사이트



파일: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 CI.png

1. 개요
2. 역사
2.1. 연혁[3]
3. 역대 병원장[4]
4. 상세
4.1. 장점
4.2. 단점
5. 진료과목
6. 층별안내
6.1. 외래관
6.2. 입원병동
6.3. 별관
6.4. 후생관
7. 건물 및 구성



1. 개요[편집]


{{{#!wiki style="text-align:center"

높은 수준의 진료와 환자 행복을 실현하는 최상위 종합병원}}}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소속의 분원으로, 계명대학교 동산병원의 옛 본원이었다.

2019년 4월, 달서구 신당동으로 이전한 계명대학교 동산병원은 본원의 전신과 의료 시스템을 가지고 성서 새병원 시대를 개막했고, 계명대학교 동산병원의 이전에 맞춰 기존에 위치한 중구 동산동 필지는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이라는 명칭으로 2차 병원(종합병원)으로 개원하게 된다.

비록 종합병원일지라도 의료 인프라는 옛날 3차 병원(상급종합병원)에 걸맞게 갖춰져 있으며, 입원병상 223병상, 특수병상 24병상(수술실 4병상, 응급실 14병상, 물리치료실 6병상)으로 구성되어 있다.[5]

병원 건물[6] 옥상에는 멀리서도 잘 보이는 거대한 시계탑과 기독교 십자가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은 모태인 제중원 시절부터 동산기독병원, 동산의료원을 거쳐 현재 대구동산병원까지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환자 진료에 힘써왔고, 특히 동산동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 부지 내에는 선교사 사택과 청라언덕 의료, 선교, 교육 역사 박물관이 있어 기독교와의 유래가 깊다.


2. 역사[편집]


대구시 내에서 병원 역사가 깊기로 유명하다. 모태를 따지고 들어가면 1899년 10월 우드브리지 존슨 선교사가 세운 제중원[7]으로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제중원을 시작으로 소아 재활을 비롯한 여러 환자의 진료를 보았다. 1930년 2월 영아 건강상담 및 진료, 우유 급식을 위한 대구복지기관인 영아보건소를 설립하였으며, 이후 1950년 7월, 6.25 전쟁 당시 부상 경찰관을 대상으로 의수족을 제공하고, 재활 진료를 위한 경찰병원으로서 운영하게 된다.

특히, 포탄 등으로 지체 장애가 발생한 환자가 많아 의수족부를 별도로 설치하여 재활에 힘썼고, 전쟁 휴전 후 1953년 10월, 한국 월드비전(한국 선명회)의 기부로 60병상 규모의 소아병동을 신축하게 된다.[8] 6.25 전쟁으로 인해 전쟁 고아가 많이 발생했고, 영양 섭취가 고르지 않아 아동의 사망율이 높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고아원 아동을 대상으로 무료 진료를 실시하였다.

1962년 6월, 조앤 포 선교사에 의해 대구 최초로 물리치료실을 개설하고, 그로부터 30년 후 1992년 4월, 대구광역시 최초로 재활의학과가 개설되게 된다.

근대부터 현대까지 3손가락 안에 꼽히는 대학병원의 타이틀을 유지했을만큼 한 때 대구경북 지역 최상급의 병원이었지만, 현재는 본원 이전과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2차 병원급으로 규모가 줄어들어 타 대학병원보다 미흡한 점이 있으나, 환자 케어 및 서비스가 좋아서 재진율이 높다.

2.1. 연혁[9][편집]


1899년 10월 1일
재단법인 미국예수교 북장로파 대한선교회 유지재단에서 제중원 설립
1905년
종합병원으로 발족
1906년
제중원을 현 동산의료원 위치로 이전
1911년
제중원을 동산기독병원으로 개명
1924년 5월 5일
동산기독병원 내 간호부 양성소(계명대학교 간호대학 전신) 설립
1933년
연와 방화건물 신축(700평, 80병상)
1953년
소아병동 신축(3층 306평)
1955년
외래진료소, 기숙사 식당 신축(200병상)
1967년 6월 24일
입원병동(300병상) 신축, 간호학교 낙성
1967년
동산간호전문대학 개교
1967년 7월 25일
재단법인 대구동산기독병원 유지재단 설립허가
1970년 3월 26일
외래진료소 준공(2,300평, 337병상)
1978년 10월 8일
계명대학교 이공대학에 의예과 신설
1979년 8월 11일
응급병동 준공(552평), 의료기관 개설 변경(560병상)
1980년 10월 2일
의과대학 설치인가
1980년 10월 19일
재단법인 대구동산기독병원 유지재단 해산
학교법인 계명기독대학과 합병으로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동산의료원으로 개칭
1981년 2월 2일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동산의료원 개원
1982년 9월 11일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으로 발족
1988년 1월 26일
암치료센터, 신장병센터, 중앙수술부, 중앙집중치료부 통증치료실 준공
1989년 6월 22일
재단법인 동산의학연구재단 설립
1990년
동산간호전문대학 폐교
1990년 3월 1일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신설
1991년 3월 11일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경주동산의료원 개원
1994년 3월 1일
간호대학 승격
1999년 10월 1일
개원 100주년 기념식
의료선교박물관 개관
2000년 5월 20일
의과대학, 간호학부, 의과학연구동 신축기공(성서캠퍼스)
2011년 4월 4일
응급병동 개소
2014년 12월
보건복지부 '상급종합병원' 지정
2019년 4월 9일
새병원 이전(성서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동산동 부지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으로 종합병원 개원
2019년 4월 15일
새병원 개원(계명대학교 동산병원(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35))


3. 역대 병원장[10][편집]


역대
성명(재임 기간)
초대 병원장
손대구(2019. 4. ~ 2020. 2.)
2, 3대 병원장
서영성(2020. 3. ~ 2023. 2.)
4대 병원장
정우진(2023. 3. ~ 현재)


4. 상세[편집]


파일: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 구 교수연구동.jpg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 구 교수연구동 전경

성서로 이전한 본원인 상급종합병원 계명대학교 동산병원과 함께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산하 종합병원으로서 운영되고 있다.

현재 서문시장역 앞에 위치한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은 1906년부터 위치했던 동산동에 세워져있고, 계명대학교 동산병원동산동에 위치한 부지에서 운영되고 있다가 2019년 4월에 달서구 호산동 계명대학교 옆으로 신축 이전하였다.

그 후, 그 자리에 2019년 4월 9일, 규모를 축소한 종합병원으로 계명대학교 '대구' 동산병원이 새로 문을 열게 된다.[11]

2020년 코로나19 대유행 사태 당시 코로나19대구광역시 치료 거점 병원으로 선정되어 사실상 출입금지구역이 되었다. 원래는 처분했어야 할 건물이지만, 처분이 안되어 동산의료원 측에선 재정부담이 엄청났었던 골치덩어리였는데... 31번 확진자를 비롯한 신천지 집단감염의 여파로 계명대 동산병원을 비롯하여 대구의 핵심 병원 응급실들이 모두 폐쇄 당하고 대구파티마병원과 이 건물만 살아 남았었다. 말 그대로 새옹지마. 이 병원 없었으면 밀라노와 같은 참사가 날 뻔 했다.[12]

2020년 6월 15일부로 다시 일반진료를 재개했고, 2023년 현재 2차 종합병원의 제기능을 다 하고 있다.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개원으로 인해 216병상으로 허가병상이 줄어 들었지만, 코로나19 감염병 전담병원 운영 당시 일시적으로 1,000병상이 추가로 가동되어 1,216병상을 가동했었다.


4.1. 장점[편집]


비록 2차 병원급인 종합병원이지만, 상급종합병원계명대학교 동산병원과 연계된 진료를 통해 차원 높은 진료를 받을 수 있다. 계명대학교 동산병원과 대구동산병원이 같은 진료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환자도 계명대학교 동산병원으로 전원 시 따로 별도의 서류를 준비할 필요가 없고, 의료진은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내에 동산병원 의료진의 진료기록과 대구동산병원 의료진의 진료기록을 별도로 분리해서 볼 수 있어서 의료진에게는 편리성을, 환자에게는 효율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응급 환자의 경우, 상태가 위중하다고 판단될 시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 환자정보 조회 시스템 연계를 통해 즉각적인 처방과 진료를 볼 수 있도록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다. 또한, 2차 병원으로서 별도의 진료 의뢰서 없이 시스템 상의 타과 의뢰 및 협진 요청이 가능해서 진료와 검사, 수술 등 대기시간이 짧고 환자의 빠른 치유가 가능하다.

지리적으로는 초역세권의 편리한 교통편(대구 도시철도 2호선 청라언덕역,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서문시장역)을 자랑하고, 대구 도심의 중심에서 보기 힘든 넉넉한 주차공간을 자랑한다.[13]

내원객이 고령층이다보니 고령의 환자를 위한 진료과가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이를테면 신장내과 - 신장 혈액투석 시스템이 체계적으로 잡혀있으며, 안과 - 백내장 및 노안 진료가 왕성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대구동산병원은 입원형 호스피스 병동 구축과 가정형 호스피스 지원 체계가 갖춰져있어 삶이 얼마 남지 않은 시한부 환자를 위해 쾌적한 입원 생활을 누릴 수 있게 하였다.


4.2. 단점[편집]


바로 건너편에 위치한 서문시장과 함께 달성로의 교통을 마비시키는 주범이다. 대구 중앙에 위치해있기 때문에 접근성은 좋지만 대구동산병원 앞 도로[14]는 눈, 비 등으로 도로 사정이 안 좋거나, 출퇴근 러시아워 시간일 땐 항상 혼잡한 곳 중 하나였다.

과거에도 대구 북부에서 대중교통으로 금호강을 건너 시내로 가려면 무조건 통과해야 하는 도로였으므로, 어마어마하게 밀렸다. 병원 앞 도로를 빠져나가서 직진 후 바로 우측으로 돌면 중앙로 시내가 코 앞인데도 체감상으로는 이 구간을 빠져나가는데 엄청 시간이 걸린다는 느낌이 들 정도.

이는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완공 이후 전철역을 통한 접근성이 높아졌고, 도로도 기존 4차선에서 6차선으로 확장되며 그나마 나아졌다지만, 그래도 도로는 밀리긴 한다.[15]


5. 진료과목[편집]


가정의학과, 내과(감염, 류마티스, 신장, 심장, 소화기, 혈액종양, 호흡기), 마취통증의학과, 비뇨의학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신경과, 안과, 영상의학과, 외과, 이비인후과, 응급의학과, 정형외과, 진단검사의학과 #[17]

특수진료가능분야: 성인 중환자실, 난임시술(인공, 체외), 가정형, 입원형 호스피스 전문기관, 지역응급의료기관, 코로나19검사 실시기관, 신장 혈액 투석


6. 층별안내[편집]



6.1. 외래관[편집]


층수
외래관
6층
비뇨의학과(체외충격파쇄석실), 교수 연구실
5층
비뇨의학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4층
가정의학과, 신경과, 이비인후과, 정형외과, 통증클리닉(마취통증의학과)
3층
내과(감염, 류마티스, 신장, 심장, 소화기, 혈액종양, 호흡기), 건강증진센터, 소화기내시경실, 기립경검사실, 소화기기능검사실, 심장초음파실, 심전도실, 운동부하검사실
2층
안과, 외과, 진단검사의학과(채혈실)
1층
조제실(약제팀), 주사실, 원무심사팀, 입퇴원 수속, 수납 창구

6.2. 입원병동[편집]


층수
입원병동
8층
85병동(호스피스병동)
7층
75병동
6층
62병동(소아병동)
5층
52병동, 중환자실
4층
수술실, 수술환자 보호자대기실, 심혈관조영실
3층
인공신장실, 간호부, 기도실, 기획홍보팀, 마펫홀, 병원장실, 부원장실, 운영팀, 원목실, 의료질관리팀, 전담간호사실
2층
물리치료실, 감염관리실, 중앙공급실, 진단검사의학과, 시설팀
1층
영상의학과(CT, MRI, X-ray), 영양팀, 응급실, 호흡기환자진료센터, 판독실

6.3. 별관[편집]


층수
별관
5층
간호사 전산교육장
4층
대강당, 제니스휴로마(편의시설), 노동조합 사무실
3층
전화예약센터, 직원식당, 임상연구심의위원회 IRB, 원무심사팀(심사파트)
2층

1층
보안실, 세미나실
지하
전기실

6.4. 후생관[편집]


층수
후생관
3층
의료기소모품
1층
대구은행, 우체국

7. 건물 및 구성[편집]



대한민국





1~30
31~60
61~90
91~120




121~150
151~180
181~210
211~240




241~270
271~300
301~330
331~360




361~390
361~390
391~420
421~450




451~480
451~480
491~520
521~550
[ 1~30호 목록 ]
1
서울 남대문로 한국전력공사 사옥
2
서울 구 경기고등학교
3
서울 이화여자고등학교 심슨기념관
4
대구 효목동 조양회관
5
구 대구사범학교 본관과 강당
6
청주 내덕동 청주대성고등학교 구 본관
7
천주교 청주교구 옥천성당
8
대한성공회 진천성당
9
청주 문화동 일·양 절충식 가옥
10
강경 구 연수당 건재 약방
11
서울 구 국회의사당
12
구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13
서울공업고등학교 본관
14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파이퍼 홀
15
대구 동산병원 구관
16
광주 전라남도청 구 본관
17
광주 서석초등학교 본관·별관·체육관
18
대전 충청남도청 구 본관
19
구 산업은행 대전지점
20
구 조흥은행 대전지점
21
태백 철암역두 선탄시설
22
철원 노동당사
23
구 철원 제일교회
24
철원 얼음창고
25
철원 농산물검사소
26
철원 승일교
27
화천 인민군사령부 막사
28
진안성당 어은공소
29
구 호남은행 목포지점
30
구 목포공립심상소학교
파일:문화재청흰로고.png




파일: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 전경_전체.jpg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 전경(구 계명대 법인건물 시점)
123년의 역사를 비롯하여 근현대사를 아우른 병원이기 때문에 병원 건물이 군데군데 매우 낡아 있다. 1950년대 초에 촬영한 병원 전경 사진이 지금과 거의 똑같은 모습으로 존재하고 있는 것만 봐도 말 다했다.

파일:대구동산 전경.jpg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 전경(서문시장 상가 옥상 시점)
그런데 여기에는 사실 뒷사정이 숨어있다. 동산의료원 건물. 그 중 위 사진 전면의 3층짜리 적벽돌 건물은 국가등록문화재 제15호로 지정되어서 함부로 손을 댈 수 없다.[18]

보통 병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보수 및 증축을 반복하면서 발전하고 규모가 커지는데, 동산의료원은 문화재로 지정되어서 좋게 말하면 예전의 모습을 그대로 보존하고 나쁘게 말하면 발전 없이 상대적인 낙후만 거듭하고 있는 것이다. 문화재로 지정된 부분을 제외하고 새롭게 짓는다면 괜찮을지 모르겠는데 아직까지 병원이 개발한다는 소식은 들려오지 않는다.

참고로 원래는 위 사진 전면의 제중관 정문에 오래된 포치 형태의 출입구가 있었지만,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건설로 인해 현재 병원 원내에 위치한 청라언덕 의료선교박물관 부지에 이전 후 전시해 두었다.

여담으로 병원 근처의 계성중고교 건물도 대구시 지정 문화재(28호, 29호, 30호)로 지정되어 있어서, 학교가 이전하고 나서도 건물이 계속 남아있게 된다.[19]

대구지역 건축물들 중 일제강점기 때부터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던 곳들 중 하나이기도 하다. 1960년대까지만 해도 외국에서 흔히 볼 수 있던 사람이 문을 직접 열고 닫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었다고 한다.[20] 이런 이유 때문인지 엘리베이터가 흔하지 않았던 1960년대 유년기를 보냈던 대구 지역 사람들은 당시 대구백화점과 함께 이곳을 엘리베이터 타러 가는 곳이었다고 회상하기도 한다. 엘리베이터 제조사도 다양해서, 2000년대 초반만 해도 LG산전, 금성기전[21], 동양[22] 등이 고루 있었지만, 중반 이후 오티스 엘리베이터로 싸그리 대차[23]되어 동양엘리베이터는 별관 2대만 남아있으며, 예외적으로 응급실현대엘리베이터다.[24]

장례식장 건물은 본관과 별도로 분리되어 있으며, 천정이 돔 형식으로 건축되어 있다보니[25] 천정 위로 뜨거운 공기가 가득 차서 여름에 2층을 올라가면 태양을 직격으로 받아서 상당히 덥다.

외래관 8층에는 원래 치과가 있었지만, 치과가 계명대학교 동산병원으로 이전하면서 8층이 비워짐과 동시에 엘리베이터의 8층 버튼 역시 테이프로 막혔다. 2020년 재개원을 하면서 외래관은 현재 1층에서 5층까지 운영하고 있다. 6층과 7층은 교수 연구실로 활용되고 있다.

계명대학교 동산병원의 이사로 인해 예전과는 달리 내부가 많이 바꿔져있다. 이전까지만 해도 접수처에는 번호표와 번호판만 설치해 두어서 번호가 나오면 띵-동하고 깜빡깜빡하고 직접 요리조리 찾아가면서 접수를 했어야만 했다. 지금은 중간에 번호가 나오는 TV가 설치되어 몇번에 내 번호가 나왔는지 확인이 가능해 바로바로 찾아갈 수 있게 되었다.

1층 외래 엘리베이터 옆에는 방문자가 계단을 몇 번 이용했는지 기록이 있는데 일일 평균 700~1,000명 정도로 많다.[26]

[1] 코로나19 전담병원 이후 재개원: 2020년 6월 15일[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3.8. 입원병실 기준[3] 참고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연혁[4] 1899년 제중원에서 시작된 역사는 성서로 이전한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계명대학교 동산병원)이 계보를 이어가고, 동산동에 있는 대구동산병원은 2019년 4월 최초 개원부터 역사를 매김한다.[5] 참조 건강보험심사평가원_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6] 정확히 말하면 구 교수연구동이다. 과거에는 간호대학 건물이었고,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 건물이다. 코로나19 대유행 당시 감염환자의 격리병동으로 사용되었다.[7] 광혜원을 모태로 하는 서울 제중원이 아니다. 약전골목에 세워진 약국 '미국약방'을 전신으로 둔 대구 제중원이다. 당시 서양인 선교사들이 전국 곳곳에 제중원을 세웠다고 한다.[8] 현재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을 타고 서문시장역으로 진입할 때 바로 보이는 아치 형태의 건물. 주황색 적벽돌인 제중관 옆의 건물로, 전면이 유리로 덮여있다.[9] 참고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연혁[10] 1899년 제중원에서 시작된 역사는 성서로 이전한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계명대학교 동산병원)이 계보를 이어가고, 동산동에 있는 대구동산병원은 2019년 4월 최초 개원부터 역사를 매김한다.[11] 계명대학교 동산병원과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이 이름이 거의 비슷하다보니 외지에서 온 환자뿐만 아니라 대구 시민들도 헷갈려하는 사람이 많다. 하루에도 한두명씩 성서에 위치한 동산병원과 동산동에 위치한 대구동산병원을 착각해서 진료 예약 시간을 놓치는 사람들이 보인다. 관련 협력업체뿐만 아니라 국가, 공공기관에서도 '대구에 있는 동산병원'이라고 칭하거나 '계명대 대구 동산병원' 이라고 띄어쓰기를 통해 이야기하면 성서 동산병원인지, 중구 대구동산병원인지 혼동을 많이 한다.[12] 다른 3차 병원들이 기능을 회복할 때까지 파티마 병원 혼자서 응급환자들을 처리해야 했고, 코로나 환자를 전담할 대형 병원시설이 필요했다. 대구동산병원이 3차 병원 역할을 했던 시설이어서, 이론상으론 본원 이전 후 놀고있던 700여 병상을 곧바로 코로나19 전담시설로 운영할 공간적 여력도 되었기에 병원 측이 구국의 결단을 내린 것. 말 그대로 코로나19로 부터 대구, 아니 대한민국을 지켜낸 최후의 보루가 되었다.[13] 성서 동산병원이 신축 이전하기 전만 하더라도 상급종합병원으로서의 역할을 다 하고 있었다. 따라서 현재도 건물과 부지는 상급종합병원 못지않게 크고 넓다. (오죽하면 직원들도 부서를 찾아가다가 한 번씩 길을 잃는다)[14] '달성로'로, 3호선 명덕역에서부터 북구 진입로까지 3호선 라인 밑을 지나가는 도로이다.[15] 특히 정오를 기점으로 교통이 매우 혼잡하다. 이는 서문시장 앞에 불법주차한 차량과 대구 시내버스의 왕성한 왕래 때문.[16] 현재 진료과목명 '심장혈관흉부외과'[17] 이전에 있었던 본관 1층의 핵의학과, 방사선종양학과와 외래관 8층의 치과는 계명대 동산병원으로 이전했다.
기존에 있었던 흉부외과[16]는 2023년 3월, 1명 있던 전문의가 퇴사함으로써 진료과를 운영하지 않고 있다.
[18] 물론, 등록문화재는 중요한 부분을 제외하고는 조금 손질해서 사용할 수는 있다. 뿐만 아니라, 주변에 사적으로 지정된 계산성당대구 달성 등도 있어서 새로 짓는 게 힘들 수도 있다.[19] 다만, 고등학교만 이전했고, 같이 있는 중학교는 그 자리에 남아있다.[20] 서울 명동 사보이호텔에 있는 1957년식 쉰들러 수동문 엘리베이터를 생각해보면 된다.[21] 대구 소재 대학병원 중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과 더불어서 금성기전(미쓰비시)이 강세였다. 경북대학교병원, 영남대학교병원은 금성산전(히타치)이 강세였다. 예외로 10호기 외래직원 오티스 대차전 1996년식 LG산전 LGP가 유일하게 히타치 비슷한 운전반을 적용했다.[22] 금성기전과 함께 동산병원 엘리베이터 양대산맥이었으며, 2010년대까지 대구지역 대형병원 중 파티마병원과 더불어 병원용(침대용) 동양엘리베이터를 볼수 있었던 곳이었다.[23] 서관과 외래직원 2014년식은 희귀하게 ACD가 아닌 기존 시스템 Si1 모델이다.[24] 현재는 운행중지되었으며, 성서에 있는 동산병원은 준공 당시부터 모두 현대엘리베이터다.[25] 과거에는 비행기 격납고 건물이었다. 1층은 사무실, 빈소, 안치실, 영결식장이 있으며, 2층은 매점과 조리실, 빈소가 있다. 3층부터는 폐쇄되어 있다.[26] 성서 동산병원 개원 전까지만 해도 번호표 1,000은 기본, 의자가 모자라서 서있는 사람이 다반수였다. 몇몇 전문의와 교수는 계명대 동산병원에서 진료를 보고 있고, 교차진료를 위해 요일과 시간에 따라 계명대 동산병원과 대구동산병원을 왕래하는 의사도 많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동산의료원 문서의 r23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동산의료원 문서의 r23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05:07:36에 나무위키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