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고등여학교

최근 편집일시 :



[ 펼치기 · 접기 ]
현 제도(新制)
구제(舊制)
소학교
심상소학교(~1941) · 국민학교의 초등과(1941~)
중학교
고등소학교(~1941) · 국민학교의 고등과(1941~) · 체신강습소 보통과 · 청년학교 보통과 · 실업보습학교
고등학교
고등학교 심상과 · 심상중학교 · 고등중학교 예과 · 고등여학교 · 실업학교 · 사범학교(3년제) · 사범학교 예과 · 체신강습소 고등과 · 철도교습소 중등부 및 보통부 · 청년학교 본과
단기대학 · 고등전문학교
고등학교 고등과 · 대학 예과 · 고등사범학교 · 청년학교 교원양성소 · 도서관직원양성소 · 고등체신강습소 본과
대학
대학
대학원
대학원 (연구과)
당시 구제전문학교단기대학 · 고등전문학교 과정에 상당하지만 공식 학위가 나오지 않는 고등교육기관.
하위 틀: 일제강점기 교육기관






舊制高等女學校




1. 소개[편집]


메이지 유신 이후 2차대전 패전 이전까지 일본 제국의 본토와 각 식민지에 설치되어 있던, 여학생을 대상으로 한 중등교육기관을 말한다. 현재의 여자중학교여자고등학교에 해당된다.

본래 고등여학교는 일본인을 위한 학교였고, 조선인을 위한 학교로는 여자고등보통학교가 따로 있었으나[1], 1938년 양자 모두 고등여학교로 통일시켰다.

당시 과목은 1, 2학년 때 수신, 국어 및 한문, 외국어[2], 역사, 지리, 수학, 박물, 도화, 창가, 체조 10과목이었고, 3학년에서 창가가 빠지는 대신 물리 및 화학이 추가되고 4학년에는 실업이 추가돼 11과목이었다가 5학년에서 박물이 빠지고 법제와 경제가 추가되었다. 당시의 박물은 현재의 생명과학과 지구과학이었다. 여기에 구제고등여학교는 가정 과목이 추가돼 11~12과목이었다. 조선어는 수의과목이었다.

연령대는 보통 13~14세였으나, 늦게 들어간 경우도 많아 16, 17살에 1학년인 경우도 은근 많았다.

2. 목록[편집]


'공립'이란 단어가 없으면 사립학교이다. 여자고보였던 학교는 #표시. 목록출처는 일어위백.


2.1. 경기도[편집]




2.1.1. 경성부[편집]


  • 경성제1공립고등여학교
  • 경성제2공립고등여학교: 現 수도여자고등학교. 수도여자중학교도 있었으나 폐교되었다.
  • 경성제3공립고등여학교: 現 창덕여자중학교, 창덕여자고등학교.
  • 경성무학공립고등여학교: 現 무학중학교, 무학여자고등학교. 무학중은 본래 무학여자중학교였으나, 남녀공학으로 전환되었다.
  • 경기공립고등여학교# : 現 경기여자고등학교. 경기여자중학교도 있었으나 중학교 입시 폐지와 함께 폐교되었다. 평준화 이전 경기여중고는 한국 최고의 명문학교였고, 공부 잘 하는 여학생은 경기여중고를 거쳐 서울대학교로 진학하는 게 당연한 코스였다. 이것을 KS마크라고도 했다. (남학생은 경기중학교-경기고등학교-서울대학교)
  • 용곡고등여학교
  • 진명고등여학교#: 現 진명여자고등학교. 진명여자중학교도 있었으나 폐교되었다.
  • 숙명고등여학교#: 現 숙명여자중학교, 숙명여자고등학교. 본래 숙명여자대학교와 함께 숙명학원에 속해 있었으나, 숙명여중고는 2013년 명신여학원이라는 재단으로 독립했다.
  • 이화고등여학교#: 現 이화여자고등학교. 본래 이화여자중학교도 있었으나 중학교 입시 폐지와 함께 폐교되었다. 이화학당으로 시작, 1943년에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의 재단(학교법인 이화학원)[3]이화여자전문학교의 재단(학교법인 이화학당)[4]이 분리되었다.
  • 배화고등여학교#: 現 배화여자중학교, 배화여자고등학교. 배화여자대학교는 1978년에 개교되었다.
  • 동덕고등여학교#: 現 동덕여자중학교, 동덕여자고등학교. 동덕여자대학교는 1950년에 개교되었다.


2.2. 강원특별자치도[편집]


  • 춘천공립고등여학교 = 봄내중학교(구.춘천여중) / 춘천여자고등학교
  • 철원공립고등여학교[5]
  • 강릉공립고등여학교 = 해람중학교(구.강릉여중) / 강릉여자고등학교


2.3. 충청북도[편집]




2.4. 충청남도[편집]


  • 대전공립고등여학교
  • 대동공립고등여학교#[6]
  • 조치원공립고등여학교 = 세종중학교(구.조치원여중) / 세종여자고등학교(구.조치원여고)
  • 강경공립고등여학교 =강경여자중학교 / 강경고등학교[7]


2.5. 전라북도[편집]




2.6. 전라남도[편집]




2.7. 경상북도[편집]


  • 대구공립고등여학교 = 대구일중학교(구.대구여중)[8] / 대구여자고등학교
  • 경북공립고등여학교#
  • 김천공립고등여학교
  • 포항공립고등여학교
  • 안동공립고등여학교


2.8. 경상남도[편집]




2.9. 황해도[편집]


  • 해주욱정(旭町)공립고등여학교
  • 해주행정(幸町)공립고등여학교# - 이런 출신 때문에 해주에서는 욱정고녀는 일본인 학교, 행정고녀는 조선인 학교로 알려졌다. 수양산의 이름을 따 일명 수양(首陽)공립고등여학교라고도 하였다.
  • 사리원공립고등여학교
  • 겸이포공립고등여학교
  • 안악공립고등여학교


2.10. 평안남도[편집]


  • 평양공립고등여학교
  • 평양서문(西門)공립고등여학교# - 본래 이름은 평양여자고등보통학교였다. 경기고녀처럼 평남고녀가 되지는 못하고, 서문통 근처에 있다 해서 서문고녀로 바뀌었다.
  • 진남포공립고등여학교
  • 순천공립고등여학교
  • 정의고등여학교(평양)# - 일제 말에는 남산(南山)고등여학교로 잠시 개명되기도 한다.


2.11. 평안북도[편집]


  • 신의주공립고등여학교
  • 신의주남(南)공립고등여학교#
  • 정주공립고등여학교


2.12. 함경남도[편집]



2.13. 함경북도[편집]


  • 청진공립고등여학교
  • 나남공립고등여학교
  • 나남동(東)공립고등여학교#
  • 회령공립고등여학교
  • 성진공립고등여학교
  • 나진공립고등여학교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08:33:04에 나무위키 구제고등여학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고등보통학교 문서 참조.[2]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3] 이화여자고등학교,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 팔렬중학교, 팔렬고등학교를 운영하고 있다.[4] 이화여자대학교, 이대부속유치원, 이대부속초등학교, 이대부중, 이대부고, 이대병설영란여중, 이대병설미디어고를 운영하고 있다.[5] 지금의 철원여자고등학교는 공립이긴 한데 1945~1950년 사이에 철원 땅이 소련군정북한 치하를 겪으면서 역사가 단절되어버렸고, 1979년에 새로 개교한 학교다. 그리고 위치도 철원읍이 아닌 동송읍에 있다.[6] 일어위백에는 대전여고가 대전고등여학교의 후신으로 되어있다.[7] 구 고등여학교가 남녀공학으로 전환(1992.03)한 흔치 않은 사례[8] 다른 고녀들과는 달리 3년제 대구여자중학교(교명변경:1946년 2월) → 남녀공학{대구일중학교}(2002년 3월) 테크를 탄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