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학부/정보대학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고려대학교/학부


파일:고려대학교 로고_웜그레이.svg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高麗大學校 情報大學
Korea University College of Informatics

파일: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상징.png
상징색
노란색
상징물
정보의 순환을 의미하는 뫼비우스의 띠와 정보대학아스키코드의 조합
보조 상징물
정보대학아스키코드를 패턴화
FM
첨단정보
단과대 학번
32
연혁
1983년 이과대학 전산과학과 설립
2002년 정보통신대학 독립
2014년 정보대학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소개
2.1. 역사
2.2. 관련 조직
2.3. 시설
2.4. 교수진
2.5. 교육과정
2.6. 정보대학 조직변경
3. 학부
3.1.1. 다양한 전공 선택트랙
3.1.2. 자체적 커리큘럼
3.1.3. 장학금과 등록금
3.1.4. 이중전공과 부전공
3.1.5. 진로
3.1.6. 연구
3.3. 융합전공
4. 분리된 학과
5. 학생회
5.1. 1대
5.2. 2대
5.3. 3대
5.4. 4대
5.5. 2019~2020
5.6. 5대
5.7. 6대
5.8. 7대
5.9. 8대


1. 개요[편집]



파일:고려대학교우정정보관.jpg

고려대학교 우정정보관

고려대학교정보대학. 정대, 정보대로 줄여 부르며 현재는 고려대학교의 이공계를 대표하는 단과대학으로 자리잡고 있다.

2022년 기준 고려대의 컴퓨터분야 신입생은 205명[1]으로, 규모가 아주 큰 편이다. 2개의 학사과정, 4개의 주관 융합전공, 5개의 대학원과정, 10개의 부설연구소, 9개의 사업단이 있다.

특히 고려대학교 정보대학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야의 조직과 연구규모가 크다. 재학생도 마찬가지로 상당수가 인공지능분야를 진로로 택한다. 반대로 보안분야는 사이버국방학과쪽과 비교해 다소 작은편이다.


2. 소개[편집]



2.1. 역사[편집]


정보대학 역사
1983
이과대학 전산과학과(정원 35명) 설립
이과대학 전산과학과
1992
공과대학 전파공학과(정원 50명) 설립
이과대학 전산학과
공과대학 전파공학과
1996
사범대학 컴퓨터교육과(정원 20명) 설립
이과대학 컴퓨터학과
공과대학 전기전자전파통신공학부
사범대학 컴퓨터교육과
2000
정보보호대학원 설립
2002
정보통신대학 출범
정보통신대학 컴퓨터학과
정보통신대학 전파통신공학과
사범대학 컴퓨터교육과
2006
컴퓨터학과, 전파통신공학과 통합
학과, 분야 구분없이 수강하는 트랙제도시행
정보통신대학 컴퓨터·통신공학부
사범대학 컴퓨터교육과
2008
뇌공학과 설립(정원 50명)
2011
사이버국방학과(정원외 30명) 설립
정보통신대학 컴퓨터·통신공학부
사범대학 컴퓨터교육과
정보보호학부 사이버국방학과
2012
우정정보관 완공[2]
2014
정보통신대학을 정보대학으로 개편
컴퓨터·통신공학부를 컴퓨터학과로 개칭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정보대학 사이버국방학과
2019
컴퓨터교육과 연구실 자연계생활관으로 이전
2021
데이터과학과 신설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정보대학 데이터과학과
2023
정운오IT관 완공 예정


2.2. 관련 조직[편집]


파일:정보대학.png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조직도
2020년 기준 2개의 학사과정, 4개의 주관 융합전공, 5개의 대학원과정, 10개의 부설연구소, 9개의 사업단이 있다. 관례적으로 컴퓨터학과(전파통신공학과 포함), 뇌공학과, 정보보호대학원(사이버국방) 1중대, 2중대, 3중대라고 봐도 무방하다.

우선 컴퓨터학과로 입학한 학생들이 대학원은 3곳으로 나눠져 진학하는 구조이다. 또한 70명의 전임교수들이 국책 연구사업 수주나 유사 연관 분야 합동 연구를 위해 흩어지고 합치는 사례가 많다. 컴퓨터학과와 정보보호대학원(사이버국방)이 협력한 SW중심대학사업 외에도 뇌공학 연구사업을 위해 통신 신호를 연구하시던 전파통신공학 교수님이 뇌공학과와 협력하여 신경 신호 연구하게 되는 사례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정보보호대학원과 컴퓨터학과 간 교수 이동도 자주 있어, 서로 뭉치고 흩어지는 집단이다. 최근 출범한 AI대학원도 컴퓨터학과 교수님과 뇌공학과 교수님이 함께 겸직 형태로 되어있는 사례다. [3] 이러한 학부 과정 학생 수에 비해 많은 교수 수는 컴퓨터학과 학생들의 대학원 선택에 있어 자교 혜택을 받으며 진학 할 수 있는 지도교수가 다양하다는 이점이 있다.


2.3. 시설[편집]


건물은 컴퓨터학과, 뇌공학과, 정보보호대학원이 우정정보관, 과학도서관, 미래융합관[4], 자연계생활관, 로봇융합관을 사용하고 있다. 학과별 뭉쳐있기도 하고 비슷한 연구분야 교수님들끼리 뭉쳐있는 경향은 있으나 항상 그런것은 아니다. 예외적으로 교육분야 연구하시는 컴퓨터학과 교수님은 사범대쪽에 계시기도 한다.

사이버국방학과의 컴퓨터실은 과학도서관에 있으며, 컴퓨터학과 컴퓨터실은 정보관에도 있고 과학도서관에도 있다. 기존 컴퓨터실은 정보관에 있지만, 애플이 기증한 컴퓨터학과 실은 과학도서관에 있다. 컴퓨터학과 수업시간이 아니면 개방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가끔 가보면 사용하는 학생은 많지 않다. macOS에 익숙하지 않으면 이용하기가 상당히 성가실 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보통 공용 PC보다는 개인노트북을 더 선호한다. 최근에도 정보관 하나 더 지으려고 교수님들이 여기저기서 기업 찾아다니며 기부금 뜯어내고 계시는 중이다.

정운오IT·교양관이 공사중인데 정운오 교우의 가족이 기부한 금액에 그 동안 컴퓨터학과에서 건물 신축을 위해 모금한 돈을 합치고 여기에 추가로 학교가 돈을 얹어 신축 중인 건물이며, 정보대학, 스마트보안학부 및 반도체공학과가 주된 사용자이고 이공계 교양수업도 열릴예정이다.

2.4. 교수진[편집]


정보대학 교수진
ML = 머신러닝
DL = 딥러닝
NLP = 자연어처리, 딥러닝의 한 분야
CV = 컴퓨터비전, 딥러닝의 한 분야
RL = 강화학습, 머신러닝의 한 분야
감태의
의료AI
강재우
AI신약개발, BioNLP, ML
김현철
ML, 지능 인포메틱스
박성빈
하이퍼미디어, P=NP
박세준
추론학습
석홍일
의료AI
육동석
DL, ML, 음성인식
이병준
RL, 산업용AI
이상근
NLP
이원규
데이터마이닝
임희석
NLP, 데이터마이닝
정순영
데이터베이스, 빅데이터
정연돈
데이터베이스, 빅데이터
정원주
신호통계, NLP
최성준
DL, 로보틱스
김동주
뇌공학, 뇌손상
김상희
뇌공학, 정서인지
민병경
뇌공학, 뇌파
성준경
DL, 뇌공학
이종환
인공신경망, 뇌신호처리
정지채
인체통신
한재호
영상지능
Christan Wallraven
지능형 로봇
Klaus-Robert Muller
ML, Brain-computer interface
김승룡
CV
김진규
CV
김현우
CV
김상필
CV
이성환
CV
김정현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가상현실
김창헌
그래픽스
정원기
그래픽스
한정현
증강현실
인호
블록체인
유헌창
분산컴퓨팅
유혁
운영체제
구건재
아키텍쳐
김영근
아키텍쳐
서태원
아키텍쳐
정성우
아키텍쳐
김효곤
무선데이터
민성기
고속통신
백승준
지능통신시스템, IoT
이재훈
초고주파시스템
이주섭
극고주파
주창희
RL
오학주
소프트웨어 분석
차성덕
소프트웨어 공학
이희조
보안
허준범
보안


2.5. 교육과정[편집]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학수번호
과목명
학수번호
과목명
학수번호
과목명
학수번호
과목명
COSE111
전산수학I
COSE211
이산수학
COSE382
확률및랜덤과정
COSE423
볼록최적화입문
COSE112
전산수학II
COSE281
공학수학
COSE405
컴퓨터학콜로키움
COSE406
개별연구
COSE490
전산학특강
인공지능, 데이터
COSE213
자료구조
AICE301
인공지능과 윤리
AICE401
인공지능 응용과 이해
COSE214
알고리즘
COSE361
인공지능
COSE416
인공지능과자율주행자동차
COSE362
기계학습
COSE436
인터렉티브시각화
COSE371
데이터베이스
COSE461
자연어처리
COSE372
데이터베이스시스템
COSE471
데이터과학
COSE363
정보와 정보학
COSE485
정보이론과 추론학습
DATA301
데이터실험설계및분석
COSE472
정보검색
DATA302
기초컴퓨터비전이론 및 응용
COSE474
딥러닝
DATA303
고급기계학습
DATA401
데이터시각화
DATA304
빅데이터분석
DATA403
강화학습
DATA405
데이터프리젠테이션
DATA407
데이터과학응용
창업
COSE389
기업가정신과리더쉽
COSE455
스타트업프로젝트 관리
COSE392
창의적소프트웨어창업방법론
COSE489
캡스톤디자인
DATA306
디자인사고
COSE401
현장실습및창업실습
그래픽스
COSE331
컴퓨터그래픽스
COSE434
게임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
COSE101
컴퓨터프로그래밍I
COSE212
프로그래밍언어
COSE312
컴파일러
COSE419
소프트웨어검증
COSE102
컴퓨터프로그래밍II
COSE215
계산이론
COSE352
소프트웨어공학
아키텍처
COSE221
논리설계
COSE341
운영체제
COSE444
클라우드컴퓨팅
COSE222
컴퓨터구조
COSE322
시스템프로그래밍
COSE421
임베디드시스템
COSE321
컴퓨터시스템설계
COSE415
저전력컴퓨팅
통신
COSE242
데이터통신
COSE342
컴퓨터네트워크
COSE441
인터넷프로토콜
COSE283
회로이론
COSE380
디지털신호처리
COSE446
모바일네트워크
COSE284
전자기학
COSE385
신호및시스템
COSE483
무선회로설계
COSE395
사물인터넷설계
COSE432
인간컴퓨터상호작용입문
보안
COSE354
정보보호
COSE451
소프트웨어보안
ISEC303
역공학기법
COSE484
무선보안
ISEC302
기초해킹실습
ISEC401
고급해킹실습
ISEC304
시큐어코딩
뇌공학
BNCS301
뇌및인지과학개론
BNCS303
뇌및의공학입문
BNCS315
뇌인지과학실습
BNCS304
생명물리학


2.6. 정보대학 조직변경[편집]


고려대학교의 전폭적인 투자로 컴퓨터학과의 규모가 이과대 내에서 비대하게 커지게 되었다. 더불어 1998년 발표된 고등교육법 시행령으로, 2000년대 초 고려대학교는 단과대학 단위의 학부제 모집을 시행하게 되었다. 신입생들은 1학년 성적이 나쁘면 희망했던 컴퓨터학과가 아닌 이과대학의 다른학과로(수학,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배정되는 점을 많이 두려워했다. 이런이유로 별도의 단과대인 정보통신대학으로 독립하게 되었다. 현재 이과대학이 6개반 4개 학과인 이유는 현재 이과대학 소속인 수학, 물리, 화학, 지구과학 이외에도 컴퓨터학과와 생물학과가 소속해 있었다. 이때 공과대학에서 전파통신공학부가 함께 독립하여 정보통신대학을 설립했다.

2005년 정보통신대학의 전파통신공학과가 전기전자공학부와 통합되어 전기전자전파공학부로 공과대에 합병된 시절이 있었다. 이때 학생들의 반발로 학부모들이 학교에서 시위를 했으며 이때 생긴 학부모회가 이어지고 있다(고려대 3대 학부모회[5]). 2006년 신입생부터 다시 정보통신대학 컴퓨터·통신공학부로 모집하게 되었다. 이때부터 컴퓨터와 전파통신분야 중 원하는 강의를 제약 없이 마음대로 선택하여 이수하는 트랙제가 운영되었다.

2014년 고려대학교 ICT 특성화 대학[6] 사업추진으로 정보통신대학 컴퓨터·통신공학부, 사범대학 컴퓨터교육과의 학과차원 통합과 정보보호학부의 단과대차원의 동합이 진행되었다. 통합의 목적은 산재되어있는 ICT 학과 및 교수의 결합과 몸집 불리기이다. 통합 최초 안은 정보통신대학 컴퓨터·통신공학부, 사범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정보보호학부, 공과대학 전기전자공학부 총 네 곳이 통합 논의대상이었다. 고려대 이과대학 출신의 교수가 대부분인 컴퓨터·통신공학부, 정보보호학부, 컴퓨터교육과는 각 학과 간의 큰 의견차 없이 원만하게 통합이 진행되었으나, 공과대학 전기전자공학부와의 의견 불일치로 통합논의가 지연되어 결국 전기전자공학부를 제외한 세 곳만 통합하게 된다. 통합결정안을 전기전자공학부와의 논의로 기한에 촉박하게 교육부에 제출했으나, 교육부는 고3 수험생 입시혼란 등의 시간적인 부족을 문제로 일시적으로 반려했다. 교육부 반려통보 이후 일부 컴교과 학생들은 교수님께 학과통합을 해 달라고 단체로 메일 내는 경우도 있고[7], 학생들은 통합에 대체로 찬성하는 입장이었으나 시간적 여유가 부족으로 세부적인 사안 미결정에 대해 우려하는 경우도 있었다. 당시 컴퓨터·통신공학부는 학과명 결정 문제가[8], 사이버국방학과는 사이버국방학과 소속 학생들의 개인정보보호 문제가 크게 이슈된 논점이었다. 학생회 측에서는 통합에는 동의하였지만 학생총투표가 없다는 이유에 단순절차적인 문제로 반대 시위를 하기도 했다.

3. 학부[편집]



3.1. 컴퓨터학과 #[편집]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소개영상

KU Lecture 컴퓨터학과

백야컴과[9]

[10]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는 창의적 사고력을 갖춘 소프트웨어 인재 육성, 산업체 수요 밀착형 교육을 통한 맞춤형 연구 인력 양성, 그리고 소프트웨어 기반 융합기술 발전을 선도할 수 있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지도자 양성을 추구합니다. 이를 위해 혁신적인 교육 프로그램 운영과 국제적인 수준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미래 정보 융합 시대를 개척하는 세계적 수준의 학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소개

영문명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흔히 고컴으로 줄여 부른다.

3.1.1. 다양한 전공 선택트랙[편집]


컴퓨터학과, 전파통신공학과, 컴퓨터교육과가 합쳐진 학과로 다양한 분야 중 원하는 강의를 제약 없이 마음대로 선택하여 이수하는 트랙제가 운영되었다. 여러개의 학과가 합쳐진 대규모의 학과인 만큼 강의도 다양하다. 개설강의가 다양해 절대 다 들을 수 없으며 이수 다양한 과목 중 원하는 과목을 이수체계도와 선수과목을 참고하여 자유롭게 이수함에 따라 전공 내 세부 트랙 및 앞으로의 진로를 정할 수 있었다.

데이터과학, 인공지능, 딥러닝, 자연어처리, 볼록최적화입문, 데이터베이스, 기계학습, 정보검색, 알고리즘, 정보와 정보학, 계산이론, 자료구조, 공학수학, 인터렉티브시각화, 컴퓨터그래픽스, 미디어처리, 게임프로그래밍, 기업가정신과리더십, 창의적소프트웨어창업방법론, 컴파일러, 정보보호, 소프트웨어보호, 무선보안, 정보이론과 추론학습, 전자기학, 무선통신, 통신회로, 무선회로설계, 초고주파공학, 프로세서구조, 클라우드컴퓨팅, 사물인터넷설계, 신호및시스템, 무선회로설계, 임베디드시스템 등 다양한 과목이 있다. 크게 나누면 컴퓨터교육, 데이터, 뇌공학, 통신, 그래픽스, 언어학, 네트워크, 컴퓨터구조, OS, 정보보호 정도로 갈래를 나뉠 수는 있으나, 데이터만해도 데이터베이스, 딥러닝, 언어처리 세부항목으로 다양하게 나뉘기에 큰 의미는 없다.


3.1.2. 자체적 커리큘럼[편집]


  • 폭넓은 교양과목 선택권
컴퓨터학과정보대학으로 독립되어 기존 소속되어있던 이과대학과 별도의 자체적 커리큘럼이 가능하다. 물리학실험, 화학실험을 수강하지 않아도 된다.[11] 이과대에서 나온 초기에는 이과대와 동일한 기본과정을 이수했으나, 점진적으로 화학을 선택으로 바꾸고 물리도 선택으로 바꾸고 1학년 교양수학도 컴퓨터전공에 맞춘 교육과정을 배우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AI같은 컴퓨터과학 분야 쪽으로 진로를 계획하고 있다면 높은 수준의 수학을 해야 한다.무선통신쪽 진로를 생각하는경우 수강하지 않아도 되는 물리를 실컷 해야한다. 컴퓨터학과는 C, Java, OCaml, Python, C++등 다양한 언어가 사용된다. 미리 배우고 온다고 나쁠 것은 없지만, 선택하는 세부전공에 따라 주로 사용하는 언어가 다르다. 수험생이라면 그 시간에 영어와 수학공부하는 것이 대학입시와 대학생활에 더 도움될 것이다.
  • 자체적 졸업요건
여러 문제가 많은 공학인증도 할 필요가 없다. 학생들에게 선택권을 더 많이 주기 위해 애초부터 도입하지 않았던 것이며, 현재 많은 학교에서 공학인증을 폐지하려고 노력 중이나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과거 고려대 졸업요건이던 한자시험도 2011년 고려대학교 본부에서 단과대학에 자율권을 주자 법과대와 정보대가 가장먼저 폐지했다. 반면 통일성을 중시하는 공과대는 몇몇학과 교수님들이 한자시험 의무를 주장하여 2014년까지 한자능력시험 2급은 공대 졸업요건이었다.[12]


3.1.3. 장학금과 등록금[편집]


  • 14년 홍보자료에 의하면 장학금 수혜율은 90% 넘어갔다. 지금도 장학금 지급에는 차이가 없지만, 아니 예전보다 기부금도 훨씬 많아 체감상 오히려 장학금을 더 많이준다. 연구력, 교육내용으로 홍보하지 굳이 장학금으로 홍보하진 않는다.

  • 원래 이학계열등록금으로 저렴한 등록금이었지만, 공학계열로 바뀌면서 130만원 가량 높은 등록금을 납부한다. 2006년 학부제인 컴퓨터·통신공학부의 등록금 결정 시 이학계열인 컴퓨터학과와 공학계열인 전파통신공학과가 함께 모집하게 된 것으로, 학교 측은 수입을 늘리기 위해 공학계열 기준으로 등록금을 책정했다. 당시에는 많은 반대와 시위가 있었지만 여러 차례 학생회가 바뀌는 동안 기존 계열보다 높은 등록금으로 굳어지게 되었다. 이학계열로 분류된 통합전의 컴퓨터교육과보다 130만원 가량 비싼 등록금을 납부한다.


3.1.4. 이중전공과 부전공[편집]


컴퓨터학과 이중전공을 합격하면 컴퓨터학과 수업을 들을 수는 있다. 하지만 모든 수업이 이중전공 학생들에게 개방되는 것은 아니다. 본전공 학생만 들을 수 있고 이중전공 학생이면 못 듣는 제한된 수업이 많다.

컴퓨터학과로 이중전공 붙기도 상당히 어렵다. 컴퓨터학과에서 다른학과로 이중전공 나가는 케이스는 매우 드문 케이스인 반면에, 다른 학과에서 컴퓨터학과로의 이중전공 지원자는 매년 많다. 경영학과와 더불어 가장 인기있는 학과이며, 학점 커트라인도 많이 높고 이중전공에 합격하기 위해 별도의 스펙도 준비해야한다. 학점, 스펙 챙기고 자기소개서 쓰고, 면접보고 합격해야 컴퓨터학과 이중전공을 할 수 있다.

규정상 부전공이 컴퓨터학과인 서울캠퍼스 학생은 컴퓨터학과 수업을 수강할 수 있으나, 이중전공도 워낙 인기여서 부전공을 받지 않는다. 또한 규정상 컴퓨터학과를 포함한 서울캠퍼스의 일부 학과[13]는 세종캠퍼스 학생을 이중전공, 부전공으로 선발하지 않는다.

2021년 6월 25일, 이중전공 신청자 99명이 합격하는 사태가 발생하였고[14], 이에 대해 학과 내외에서 학생들의 반발이 심한 상태이다. 다만 학교측은 이에 대해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한 학년의 정원은 130명 가량인데, 한 학기 이중전공생이 100명 가까이 되어버리면서, 이중전공생이 본전공생보다 많아져버릴 수도 있는 상황이 되어버렸다. 이에 수강신청도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고, 수업의 질도 보장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해당 사태를 정상화하고 스스로의 교육권을 보장받기 위해, 정보대에선 온라인으로 대자보 연서명을 진행하였고, 정보대 학생회에서도 발빠르게 정보대학 측과 면담을 가졌다. 이에 따라 2022학년도 2학기부터 컴퓨터학과 이중전공 지원요건으로 '컴퓨터프로그래밍Ⅰ'과'컴퓨터프로그래밍Ⅱ'를 모두 이수해야한다는 조항이 신설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고대신문 보도 참조.


파일:컴과이중2.png


3.1.5. 진로[편집]


졸업 후 진로는 크게 산업계, 학계, 정부기관으로 나뉜다. 산업계로는 창업하기가 쉬워 스타트업도 많은 편이며, 융합전공 소프트웨어벤처에서 창업교육을 받을 수 있다. 학사취업은 반도체와 모바일분야 수요가 많아 삼성전자로 가장 많이 간다. 그 외에도 SKT 같은 통신사, 구글, 네이버, 카카오 같은 IT기업, 한국은행, 코리안리, 신한은행 같은 금융권도 취향에 따라 많이 간다. 프로그래밍이 마음에 안 들면 전공을 살려 정부기관(행정고시 전산직, 공기업)으로 진로를 택해 관련 정책을 만들거나 사기업에 하청주는 업무를 하는 방법도 있다. 회계사라던가 행정고시 재경직처럼 전공과 무관한 분야로 갈 수도 있지만, 그런 경우에는 컴퓨터학과로서의 이점은 없고 그냥 평범한 고려대학교 학과 중 하나로 취급 받는다고 보면 된다.


3.1.6. 연구[편집]


학과별 대학평가는 아래와 같다. 연구비 사정도 좋아 대학원생도 금전적 지원을 많이 받는 편이다. 고려대학교 내 타 이과계열 학과에 비해 자교 대학원으로 진학하는 경우가 유의미하게 많은 편이나, 꼭 자교뿐만아니라 다른 컴퓨터 관련 대학원으로 진학하는 경우도 많다. 병역문제와 돈문제 해결 각이 나오면 외국 유학을 가기도 한다.

컴퓨터과학분야 QS 세계 대학 랭킹
Computer Science & Information Systems

2014 세계순위
2015 세계순위
2016 세계순위
2017 세계순위
2018 세계순위
2019 세계순위
2020 세계순위
36위

카이스트
39위

카이스트
36위

카이스트
33위

카이스트
34위

카이스트
40위

카이스트
36위

카이스트
42위

서울대
42위

서울대
40위

서울대
38위

서울대
40위

서울대
45위

서울대
48위

서울대
51-100

고려대
51-100

고려대
51-100

고려대
51-100

고려대
51-100

고려대
51-100

고려대
51-100

고려대
101-150
포항공대
51-100

포항공대
51-100

포항공대
51-100

포항공대
101-150
포항공대
101-150
포항공대
51-100

성균관대
101-150
성균관대
51-100

성균관대
101-150
성균관대
51-100

성균관대
101-150
성균관대
101-150
성균관대
101-150
포항공대
151-200
연세대
101-150
연세대
101-150
연세대
51-100

연세대
101-150
연세대
101-150
연세대
101-150
연세대


151-200
한양대
151-200
한양대
101-150
한양대
151-200
한양대
151-200
한양대
151-200
한양대


251-300
경희대
201-250
경희대
201-250
경희대
201-250
경희대
201-250
경희대
251-300
경희대


301-400
서강대
301-350
서강대
251-300
서강대
301-350
서강대
351-400
서강대
401-450
중앙대


301-400
부산대
351-400
부산대
301-350
경북대
351-400
세종대
401-450
세종대
401-450
세종대




401-500
중앙대
351-400
중앙대
401-450
이화여대
451-500
중앙대
401-450
서강대




401-500
이화여대
401-450
이화여대
401-450
경북대
451-500
건국대
451-500
경북대




401-500
경북대
401-450
건국대
451-500
건국대
451-500
경북대
501-550
GIST




401-500
세종대
401-450
세종대
451-500
부산대
551-600
이화여대
501-550
건국대




401-500
영남대
451-500
아주대


551-600
부산대
551-600
이화여대






451-500
충북대




551-600
부산대






451-500
GIST




같은 등수구간 내 학교 배열 순서는 ABC순서


3.2. 데이터과학과 #[편집]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데이터과학과 소개영상

무제한데이터[15]

영문명 Department of Data Science. 2021학년도부터 정보대학 소속으로 신설하게 되는 학과이다. 4차 산업혁명 시기 빅데이터의 처리 및 분석의 중요성이 강화되고, 인공지능 기술 등이 발달하면서 해당 분야에 보다 집중하는 학과를 신설하게 되었다. 신입생은 30명 정원으로 선발이다. 기존 컴퓨터학과와 교육과정이 크게 다르지는 않지만, 컴퓨터학과 정원을 30명 늘리는 것 보다 30명 정원의 학과를 신설하는 것이 교육부 공무원들을 설득하기 더 쉬워 행정상 별도의 학과를 신설했다. 학과 신설 관련 보도자료, 고대신문 관련 기사

교수는 컴퓨터학과 교수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생회도 똑같은 정보대학 학생회이다. 교육과정도 컴퓨터학과와 80%정도 일치하며, 수업도 별도의 분반이나 구분 없이 컴퓨터학과와 같은 수업을 같이 듣는다. 또한 별도의 이중전공 신청 없이 수학과, 통계학과 수업을 수강할 수 있는 혜택이 있다. 80% 일치하지만 20% 다른 점은 컴퓨터학과와는 달리 '미적분학및연습Ⅰ'과 '통계수학' 중 하나의 과목을 필수 이수해야하며, 두 과목 모두 미적분학을 배우며 강화학습, 데이터분석 및 설계, 데이터 시각화 등의 일부 자체 전공과목도 일부 개설된다.


3.3. 융합전공[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고려대학교/학사제도/융합전공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정보대학 주관 융합전공으로는 소프트웨어벤처, 정보보호, 뇌인지과학, 인공지능이 있다.
원래 융합전공이 그렇듯이 융합전공으로 입학은 불가하고 우선 정보대학 컴퓨터학과로 입학하고 2학년 진학 후 신청할 수 있다.
  • 뇌인지과학 : 대학원 과정인 뇌공학과의 선수과정이다. 뇌공학대학원 주도하는 융합전공이며, 뇌공학과에서 강의를 개설하고 뇌공학 관련 수업을 들을 수 있다. 뇌공학분야를 희망할 경우 컴퓨터학과로 입학해 뇌인지과학 융합전공을 신청하자!
  • 정보보호 : 정보보호는 보안분야 희망생들이 수강한다.
  • 인공지능 : 인공지능은 컴퓨터학과 학생들에게도 인기 분야이다. 컴퓨터학과는 좋은 강의를 다른학과 줄 리가 없다. 인공지능 융합전공보다 컴퓨터학과의 인공지능 수업이 더 좋다는 평이 많으니, 차라리 컴퓨터학과 이중전공을 하자!
  • 소프트웨어벤처 : 창업교육을 받는 융합전공이다. 정보대와 경영대가 합동으로 만든 교육과정으로 IT분야 스타트업에 뛰어들 학생들이 주로 신청한다. 융합전공 신청을 하지 않아도 창업관련 수업은 컴퓨터학과 학생이라면 누구나 다 들을 수 있게 되어있지만, 해외연수와 정부지원금도 있고 동아리마냥 자기들끼리 기수놀이도 하므로 창업희망하는 컴퓨터학과라면 권장한다. 창업수업은 아무래도 창업교육이다보니 산업계에서 활동하고있는 현업자의 교육이 필요하여 특강형식이나 외부강사가 오는 경우도 많다. 컴퓨터학과 분위기상 대부분의 교수들은 학부 졸업하고 절대 대기업 가지 말라 권한다. 항상 창업하거나 아니면 대학원와서 연구하라고 권한다. 그정도로 창업을 권한다.


4. 분리된 학과[편집]



4.1. 사이버국방학과[편집]


정보대학 소속으로는 컴퓨터학과사이버국방학과가 있었지만, 사이버국방학과는 학생들의 개인정보 등의 문제로 다시 분리되었다. 사이버국방학과는 유사한 IT계열이지만, 단과대학과 학생회가 다르다. 종종 같이 수업을 듣거나 팀을 구성하여 단체로 대회에 나가거나 교류행사를 하는 정도이다. 교수진은 사이버국방학과와 많이 겹치며 강의를 컴퓨터학과 수업 1개, 사이버국방학과 수업 1개를 개설하시는 교수님도 여럿 계시다. 전공수업 들을때 모르는 얼굴이 친구가 없어보이면 이중전공생이고, 친구가 있어보이면 사이버국방학과 학생이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고려대학교/학부/스마트보안학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9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9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5. 학생회[편집]


2014년 새로 정보대학이 설립되면서 정보통신대학이 신입생을 받지 않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정보통신대학 학생회가 제15대를 마지막으로 정보대학 학생회로 통합되었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유튜브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페이스북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인스타그램

5.1. 1대[편집]



제1대 정보대학 학생회 〈본(本)〉 (2015년 3월 28일~2015년 11월 7일)
학생회장
전명우 (컴퓨터12 · 남)
부학생회장
전용석 (컴퓨터14 · 남)

5.2. 2대[편집]



제2대 정보대학 학생회 〈본(本)〉 (2015년 11월 8일~2016년 11월 10일)
학생회장
김현우 (컴퓨터14 · 남)
부학생회장
최승훈 (컴퓨터15 · 남)

제2대 정보대학 학생회 선거 결과 (2015년 11월 5일)
선거관리위원장
전명우 (컴퓨터12 · 남)
투표율
27.27% ( ?명 / ?명 )
선본명
〈본(本)〉
항목
찬성
지지선본없음
기권
무효
득표수
133표
15표
2표
2표
득표율
88.67%
10.00%
1.33%
1.35%

2016년 하반기부터 정보통신대학 학생회장의 졸업으로 인해 학생회장 자리가 궐위가 되었고, 이후 정보통신대학 학생회는 정보대학 학생회로 통합되었다.


5.3. 3대[편집]



제3대 정보대학 학생회 〈공정〉 (2016년 11월 11일~2017년 11월 18일)
학생회장
최승훈 (컴퓨터15 · 남)
부학생회장
채병주 (컴퓨터16 · 남)

제3대 정보대학 학생회 선거 결과 (2016년 11월 8일)
선거관리위원장
김현우 (컴퓨터14 · 남)
선본명
〈공정〉
항목
찬성
반대
기권
무효
득표수
107표
8표
0표
1표
득표율
92.24%
6.90%
0.00%
0.86%

5.4. 4대[편집]



제4대 정보대학 학생회 〈날개〉 (2017년 11월 19일~2018년 11월 21일)
학생회장
이건우 (컴퓨터16 · 남)
부학생회장
이상엽 (컴퓨터17 · 남)

제4대 정보대학 학생회 선거 결과 (2017년 11월 16일)
선거관리위원장
최승훈 (컴퓨터15 · 남)
투표율
25.04% ( 150명 / 599명 )
선본명
〈날개〉
항목
찬성
반대
기권
무효
득표수
131표
9표
10표
0표
득표율
87.33%
6.00%
6.67%
0.00%

5.5. 2019~2020[편집]



2018년 11월 22일 ~ 2020년 10월 8일

2019 정보대학 비상대책위원회
단위
대표
비고
비상대책위원장
김민수 (컴퓨터17·남), 김재민 (컴퓨터18·남), 박홍빈 (컴퓨터19·남)

1반 대표
박홍빈 (컴퓨터19·남)

2반 대표
조유정 (컴퓨터19·여)

3반 대표
김류빈 (컴퓨터19·남)



제5대 정보대학 학생회 선거 결과 (2018년 11월 20일)
선거관리위원장
이건우 (컴퓨터16 · 남)
투표율
25.99% ( 165명 / 637명 )
선본명
〈내일〉
항목
찬성
반대
기권
무효
득표수
122표
29표
13표
1표
득표율
73.93%
17.57%
7.87%
0.60%
유권자수
대비 득표율

19.15% (득표율이 20%를 넘기지 못해 당선자 없음)

2020 정보대학 비상대책위원회
단위
대표
비고
비상대책위원장
박홍빈 (컴퓨터19·남), 이윤지 (컴퓨터20·여)

1반 대표
박진형 (컴퓨터20·남)

2반 대표
최소정 (컴퓨터20·여)

3반 대표
이윤지 (컴퓨터20·여)

4반 대표
허찬 (컴퓨터20·남)


2018년 11월 5대 학생회장단 선거 찬성율 미달로 무산
2019년 4월 1차 재선거 후보자 없음으로 무산
2019년 11월 2차 재선거 후보자 없음으로 무산
2020년 4월 3차 재선거 후보자 없음으로 무산

2020 정보대학 상임위원회 (2020년 10월 9일~2020년 11월 28일)
단위
대표
비고
상임위원장
이윤지 (컴퓨터20·여), 김류빈 (컴퓨터19·남)

1반 대표
박진형 (컴퓨터20·남)

2반 대표
최소정 (컴퓨터20·여)

3반 대표
이윤지 (컴퓨터20·여)궐위
[16]
4반 대표
허찬 (컴퓨터20·남)

동아리연합회장
김류빈 (컴퓨터19·남)


2020년 10월에 정보대학 학생회칙 개정에 따라 비상대책위원회라는 단체가 소멸되었고 상임위원회 체제로 변경되었다.


5.6. 5대[편집]



제5대 정보대학 학생회 〈정, 들다〉 (2020년 11월 29일~현재)
학생회장
이윤지 (컴퓨터20 · 여)
부학생회장
최용욱 (컴퓨터19 · 남)
집행부장
김류빈 (컴퓨터19 · 남) 이경하 (컴퓨터21 · 남)
교육/사무국장
이경하 (컴퓨터21 · 남)
소통/복지국장
최소정 (컴퓨터20 · 여)

2021 정보대학 상임위원회
단위
대표
비고
학생회장
이윤지 (컴퓨터20·여)

부학생회장
최용욱 (컴퓨터19·남)

컴퓨터학과 1반 대표
박진형 (컴퓨터20·남)궐위
[17]
컴퓨터학과 2반 대표
최소정 (컴퓨터20·여)

컴퓨터학과 3반 대표
궐위
[18]
컴퓨터학과 4반 대표
허찬 (컴퓨터20·남)

데이터과학과 대표
김재훈 (데이터과21·남)

동아리연합회장
김류빈 (컴퓨터19·남)


제5대 정보대학 학생회 4차 재선거 결과 (2020년 11월 27일)
선거관리위원장
김류빈 (컴퓨터19 · 남)
투표율
33.50% ( 201명 / 600명 )
선본명
〈정, 들다〉
항목
찬성
반대
기권
무효
득표수
185표
8표
8표
0표
득표율
92.04%
3.98%
3.98%
0.00%
유권자수
대비 득표율

30.83%


5.7. 6대[편집]



제6대 정보대학 학생회 선거 결과 (2021년 11월 27일)
선거관리위원장
이윤지 (컴퓨터20 · 여)
투표율
32.63% ( 202명 / 619명 )
선본명
〈Bridge〉
항목
찬성
반대
기권
무효
득표수
190표
4표
8표
0표
득표율
94.06%
1.98%
3.96%
0.00%
유권자수
대비 득표율

30.69%


5.8. 7대[편집]



제7대 정보대학 학생회 선거 결과 (2022년 11월 23일)
선거관리위원장
김재훈 (데이터과21 · 남)
투표율
27.11% ( 183명 / 675명 )
선본명
〈시울〉
항목
찬성
반대
기권
무효
득표수
163표
15표
6표
0표
득표율
88.59%
8.15%
3.26%
0.00%
유권자수
대비 득표율

24.15%

제7대 정보대학 학생회 〈시울〉 (2022년 11월 23일~현재)
학생회장
진준민 (데이터과22 · 남)
부학생회장
노규주 (컴퓨터22 · 여)
집행부장
김창빈 (데이터과22 · 남)
교육/사무국장
최진혁 (컴퓨터22 · 남)
문화/복지국장
호수빈 (컴퓨터22 · 여)

2022-23 정보대학 상임위원회
단위
대표
비고
학생회장
진준민 (데이터과22·남)

부학생회장
노규주 (컴퓨터22·여)

컴퓨터학과 1반 대표
조윤지 (컴퓨터22·여)

컴퓨터학과 2반 대표
신정윤 (컴퓨터22·남)

컴퓨터학과 3반 대표
김대홍 (컴퓨터22·남)

컴퓨터학과 4반 대표
이재승 (컴퓨터22·남)

데이터과학과 대표
윤민서 (데이터과21·남)

동아리연합회장
배민성 (컴퓨터21·남)



5.9. 8대[편집]



2023-24 정보대학 상임위원회
단위
대표
비고
학생회장
TBD

부학생회장
TBD

컴퓨터학과 1반 대표
김민재 (컴퓨터23·남)

컴퓨터학과 2반 대표
김동욱 (컴퓨터23·남)

컴퓨터학과 3반 대표
홍재민 (컴퓨터23·남)

컴퓨터학과 4반 대표
김가희 (컴퓨터23·여)

데이터과학과 대표
김창빈 (데이터과22·남)

동아리연합회장
배민성 (컴퓨터21·남)


[1] 컴퓨터학과 115명 + 데이터과학과 30명 + 사이버국방학과 30명 + 스마트보안학부 30명[2] 당시명칭 우정정보통신관[3] 물론 AI대학원 소속이 아닌 AI연구하시는 컴퓨터학과 교수님도 계시다[4] 뇌공학과 교수들이 따낸 지원비가 미래융합관 올리는데 일부 사용되었다[5] 학부모회 중에서 가장 강력한건 의대[6] 고려대주도 사업 명칭은 ICT특성화대학 사업이지만, 정부 주도 사업 명칭은 SW중심대학이다[7] 13년도에 통합 실패하여 14년도에 다시 재통합 진행할 것이라는 소문이 돌아, 컴교 14학번은 노리고 입학했다는 말도 있었다. 통상 컴교 떡상코인이라고 말한다.[8] 처음 안건에는 소프트웨어학과였지만, 학과명의 권위가 떨어진다는 이유로 반대가 많았다. 소프트웨어면 코딩노예 양성학과냐, 교수들 자존심도 없냐는 등 막말도 오갔다.[9] 2021년 3월 24일 투표 결과 발표에 따라 창조컴과에서 백야컴과로 변경되었다.[10] 컴퓨터학과와 전파통신공학과가 합쳐지기 전 전파통신공학과 FM은 삐삐전파였다.[11] 원하면 수강할 수 있다. 더 원하면 양자역학도 수강 할 수 있다.[12] 결국 통일성을 무시한채 건사환과 산업공학과 제외하고 한자시험 폐지[13] 경영학과 등[14] 사전 공지된 바에는 35명 선발 예정이었으나, 별도의 공지 없이 전원 선발하였다. 기준은 3.75학점 이상이었으며, 평년에는 학점 컷이 4.1~4.2정도였음을 고려하면, 굉장히 기준이 낮아진 것이다.[15] 2월 20일 진행한 새터에서 정보대 학생회가 데이터과학과의 임시 FM구호로 정한 것으로, 당시 21학번들의 상당한 호평을 받았다. 이후 3월 24일 정보대학 학생총투표를 통해 "무제한데이터"로 확정되었다.이왜진[16] 회장 선거 출마로 인한 사퇴[17] 개인 사정으로 인한 사퇴[18] 현 학생회장이 3반 대표직을 사퇴하고 당선됨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14:49:22에 나무위키 고려대학교/학부/정보대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