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 남씨

덤프버전 :


5대 선문 세가
파일:gusulanshi.jpg}}}
파일:yunmengjiangshi.jpg}}}
파일:lanlingjinshi.jpg}}}
파일:qishanwenshi.jpg}}}
파일:qinghenieshi.jpg}}}
고소 남씨
운몽 강씨
난릉 금씨
기산 온씨
청하 섭씨


파일:gusulanshi.jpg}}}
고소 남씨의 상징
권운문(卷雲紋)



1. 개요
2. 특징
2.1. 금욕적인 생활
2.2. 4천 줄 가규
3. 선부(仙府)
4. 구성원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姑蘇藍氏
Gūsū Lánshì

BL 소설 마도조사에 등장하는 현문 세가. 가문 상징은 권운문(卷雲紋). 시조는 남안(藍安).[1] 가훈은 우아하고 올바르다는 뜻의 '아정(雅正)'. 규훈석에 가규 4천여 줄이 새겨져 있다.

사일지정 이전 기산 온씨가 현문 세가들의 세력을 억누를 때 공격받아 운심부지처가 전소되었다가 사일지정이 끝난 이후에 난릉 금씨에게 금전적인 지원을 받아 복구한다. 작중 시점 기준으로 종주는 청형군/남계인(종주 대리) → 남희신(현).

2. 특징[편집]


선문 세가마다 각자 장점이 있는데, 고소 남씨는 음률에 능한 것으로 유명하며, 퉁소고금 같은 악기를 사용한다. 그 때문에 남가의 수사들은 고금을 다루는 금수가 많으며, 고금을 타며 영혼과 대화하는 문령에도 일가견이 있다. 가문 특유의 술법으로 현살술[2]과 금언술[3]이 있다.

남씨 자제들은 길게 늘어뜨려지는 말액을 둘러 이마를 가리는데 이는 '자신을 구속'하라는 뜻이고, 객경이나 문하생처럼 남씨에 위탁한 외성 수사는 말액에 권운 문양이 없다. 소설 상에서는 말액을 푸는 것은 오직 은애하는 사람의 앞에서만 가능하다고 서술되어 있다.

하얀 옷을 입기 때문에 신선 같은 풍모라고 평가하는 다른 사람들과 달리 위무선은 남씨의 옷차림이 피마대효 같다고 욕했다.

미남자가 많이 배출되기로 유명하다. 특히나 작중 시점에서 당대의 고소 쌍벽인 남희신과 남망기는 남달리 출중해 형제가 각각 선문 세가 공자 용모 순위 1위와 2위에 올랐다. 시조 남안부터 시작해 대대로 순애보에 로맨티스트인 듯하다.

작중 언급에 따르면 평균적으로 근력이 매우 센 걸로 보인다.[4] 바로 하단의 '금욕적인 생활'이라는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고소 남씨는 채식 위주로 식사하기 때문에 단백질 반찬을 찾기가 어려운데 그런 와중에도 근력이 상당한 것으로 봐서는 가문 자체가 괴력을 타고 난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원래도 기본적으로 강한 근력이 위무선 사후 13년 후에는 가규를 어기면 물구나무를 서서 아정집을 베껴 쓰는 벌로 한층 더 강화되며 자연스럽게 근력 단련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2.1. 금욕적인 생활[편집]


규칙이 매우 엄격해 일과 휴식 시간을 정확하게 지킨다. 남씨 자제들은 묘시(아침 5시∼7시)에 기상해 해시(밤 9시∼11시)에 취침하는데, 위무선남망기와 함께 모계산 도륙 현무 동굴에 갇혔을 때 남망기가 자고 일어나는 걸 보면서 현재 시간이 얼마나 됐는지, 그리고 얼마나 시일이 흘렀는지를 파악할 수 있을 정도로 몸에 배어 철저하다.

식사도 채소 위주이며 자극적인 향신료는 피하고 간을 강하게 하지 않으며, 평소 먹는 식사뿐만 아니라 가연을 열 때도 연회 음식이 간소하다. 식사 전에 주어지는 맑은 국물 요리는 위무선이 '약탕'이라고 부를 정도로 맛이 없는 것[5]으로 묘사된다.

남녀유별에 엄격해 남자 수사와 여자 수사의 학습 구역과 휴식 구역이 철저하게 분리되었고, 야렵에 나갈 때도 남자끼리 아니면 여자끼리 나가지 혼성으로 가는 일은 없다. 아예 다른 성별의 수사를 만날 기회 자체가 없다보니 소년 시절의 위무선은 고소 남씨에는 여성 수사가 없는 것으로 착각했으며, 십여년동안 유일하게 본 고소 남씨의 여성 수사가 대범산에서 자신에게 사과를 줬던 둥근 얼굴의 낭자였을 정도다.

2.2. 4천 줄 가규[편집]


가문마다 각기 가훈이 있지만 고소 남씨는 다른 세가들보다 훨씬 많고 길다.

중복되는 규정은 하나도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무선이 소년 시절 운심부지처에 수학하러 왔을 때는 규훈석에 새겨진 가규가 3천여 줄이었는데, 모현우의 몸에 헌사된 후 남망기에게 잡혀 운심부지처에 다시 왔을 때는 10여년 사이에 4천여 줄로 늘어나 경악한다. 남씨의 이런 가규를 정리한 책이 <아정집>으로, 남계인이 수정해서 문집으로 엮었음에도 매우 두껍다. 공식 굿즈 운심부지처 가규 필사집에서 총 101가지의 가규가 공개되었다.[6] 해당 가규의 조항이 언급된 경우 괄호 안에 표기.

* 운심부지처 내 음란 행위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살생 금지 (제 3조)

* 운심부지처 내 밤놀이 금지

* 운심부지처 내 떠들기 금지

* 운심부지처 내 달리기 금지

* 운심부지처 내 나무 타기 금지

* 운심부지처 내 허리 굽기 금지

* 운심부지처 내 무단 결석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조퇴 금지

* 운심부지처 내 맨발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사기 행위 금지

* 운심부지처 내 도박 행위 금지

* 운심부지처 내 불장난 금지

* 운심부지처 내 도둑질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소란 금지

* 운심부지처 내 물장난 금지

* 운심부지처 내 휘파람 금지

* 운심부지처 내 폭음, 폭식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어깨동무 금지

* 운심부지처 내 뛰어 쫓아가기 금지

* 운심부지처 내 말액을 함부로 사용해선 안 된다.

* 운심부지처 내 희롱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약자 괴롭히기 금지

* 운심부지처 내 타인을 무시하기 금지

* 운심부지처 내 방종한 행위 금지

* 운심부지처 내 돈 빌리기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수업 지각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질투 금지

* 운심부지처 내 흉시 연화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주시 연화 금지

* 운심부지처 내 활시 연화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식사 중 젓가락 핥기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젓가락을 겹쳐 놓는 것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잡동사니 소각 금지

* 운심부지처 내 귓속말 금지

* 운심부지처 내 교제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야간 통행 금지

* 운심부지처 내 타인을 위협하기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시험에 통과하지 못하는 것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어지럽히기 금지

* 운심부지처 내 공공 기물 파손 금지

* 운심부지처 내 강자가 약자를 업신 여기는 것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소음 조장 금지

* 운심부지처 내 걷는 중 독서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이유 없이 다투는 것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억지 부리기 금지

* 운심부지처 내 규율 무시하는 것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윗사람을 존경하지 않은 것 금지

* 운심부지처 내 허위 날조 금지

* 운심부지처 내 타인에게 영향 주는 것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아무데서나 침 뱉는 것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선정적인 것 전시 금지

* 운심부지처 내 낙서 금지

* 운심부지처 내 비교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시험 부정 행위 금지

* 운심부지처 내 담 넘기 금지

* 운심부지처 내 담 넘어 외출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여성 수사 놀래키기 금지 (제 7조)

* 운심부지처 내 까닭 없이 비웃기 금지

* 운심부지처 내 단정치 못한 앉은 자세 금지

* 운심부지처 내 경내 살생 금지

* 운심부지처 내 경내 음주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사적인 싸움 금지

* 운심부지처 내 밥 세 그릇 이상 금지

* 운심부지처 내 편식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젓가락으로 그릇 두드리기 금지

* 운심부지처 내 단정치 못한 옷차림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지저분한 얼굴 금지

* 운심부지처 내 헝클어진 머리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연지, 분 바르기 금지

* 운심부지처 내 가슴, 유방 노출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정교하지 못한 칠현금(거문고) 연주 금지

* 운심부지처 내 기괴한 복장 금지

* 운심부지처 내 꽃과 나무 꺾기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아무 곳에서나 식사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수업 중 졸기 금지

* 운심부지처 내 공개적인 장소에서 신발 벗기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사악한 무리와 어울리기 금지 (제 52조)

* 운심부지처 내 방탕하고 그릇된 책 읽기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음호부 제작 금지

* 운심부지처 내 교실 내 질서 어지럽히는 것 금지

* 운심부지처 내 타인에게 빚을 지고 갚지 않는 것 금지

* 운심부지처 내 타인의 물품 강탈 금지

* 운심부지처 내 타인의 말 가로채기 금지

* 운심부지처 내 걸으며 음식 섭취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젓가락을 수직으로 놓기 금지

* 운심부지처 내 금은장신구 착용 금지

* 운심부지처 내 뒷담화 금지

* 운심부지처 내 걸으면서 큰 소리로 대화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식탁에서 멀리 떨어지기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식사 도중 일어서기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술을 숨기고 몰래 음주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선비와 매일 밤낮 함께하기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차를 마실 때 소가 물 마시는 것처럼 마시기 금지

* 운심부지처 내 그릇에 있음 음식을 남기기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일가의 명사가 목욕하는 것 엿보기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연회에서 나란히 앉기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신시(오후 3시 ~ 5시)에 간식, 과일 일체 섭취 금지

* 운심부지처 내 가연에서 웃어른보다 먼저 수저 들기 금지

* 운심부지처 내 당일 야간 순찰자를 제외한 야간 외출 금지

* 운심부지처 내 위영을 멀리하라!

아정집


3. 선부(仙府)[편집]


파일:Yunshenbuzhichu.png}}}
애니메이션
선부는 고소(姑蘇, 지금의 장쑤성 쑤저우시)성 밖 깊은 산속에 있는 운심부지처(雲深不知處).[7] 정자가 엇갈리게 배치된 운치 있는 원림은 적송과 교목 등 숲이 울창하고, 꽃도 목련, 치자, 하얀 국화처럼 청초하고 우아한 품종만 조금씩 있다. 운심부지처에는 긴 누창 담이 있어 일곱 걸음마다 벽에 투조로 도안을 조각한 창이 있는데, 이는 남씨 조상들의 일생을 묘사한 것으로 그 중에서 가장 오래되고 유명한 누창은 시조 남안의 일생을 묘사한 '가람', '습악', '도려', '귀적' 네 개이다. 경내에 있는 그 밖의 장소는 아래와 같다.

  • 한실: 고소 남씨 역대 가주의 거처.

  • 정실: 남망기의 거처. 그동안 다른 사람들이 함부로 출입하지 않았기에, 대범산에서 모현우의 몸에 헌사된 위무선을 끌고 온 남망기가 정실로 데려가라고 하자 남씨 자제들이 놀란다.

  • 난실: 자제들을 교육하는 공간.

  • 명실: 초혼 전용 각루. 사면의 벽을 특수 소재로 만들고 전서로 주문을 써놓았는데, 안에서 초혼 의식을 진행하던 사람에게 문제가 발생하면 명실의 종이 스스로 울려 비상 상황임을 알린다.

  • 장서각: 수만 권의 고서적과 악보를 모아놓은 건물. 기산 온씨의 종주 온약한의 장남 온욱이 운심부지처를 포위한 후 장서각을 포함한 선부 전체를 불태우라고 위협했을 때 대대로 전해온 장서가 전부 소실되는 것을 막기 위해 남가 사람들이 그 중 일부를 남희신에게 맡겨 도망치도록 했다. 사일지정이 끝나고 난릉 금씨의 지원을 받아 운심부지처를 재건할 때 원래 구도와 똑같이 만들고 장서각 밖에 있던 목련까지 같은 위치에 다시 심었다. 내부 지하에는 금서실이 있다.

  • 냉천: 이름 그대로 차가운 물이 흘러 고인 노천탕. 여러 특효가 있어 남씨의 남자 자제들이 이용했다. 마음을 가라앉히고 성정을 깨끗하게 해주며, 허열을 다스리는 등 특효가 있다.

4. 구성원[편집]




  • 위영(魏婴) (이릉노조(夷陵老祖)) 위무선(魏无羡)[8]







5. 관련 문서[편집]



[1] 승려였으나 한 여인과 사랑에 빠져 환속 후에 악사가 되었다. 그 여인이 죽자 다시 속세와 인연을 끊고 절에 들어가서 도를 닦다가 생을 마쳤다.[2] 3대 가주이자 시조 남안의 손녀이고 유일한 여성 가주인 '남익'이 만든 술법. 고금줄을 휘둘러 상대를 순식간에 베어버리는 기술로, 바위도 단번에 베여질 정도로 강력하다. 정적 암살용으로 만들어져 고소 남씨 내에서도 이 술법에 의견이 분분하다고 한다.[3] 상대방이 말을 하지 못하게 입을 막아버린다. 남씨 사람만이 풀어줄 수 있으며,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술법이 풀리나 억지로 술법을 깨면 목이 쉬어버린다.[4] 소설 4권에서 남망기가 시체 두 구가 들어있는 관, 그 위에 있는 관음상, 관음상 위에 있는 위무선까지 한 손으로 무리 없이 지탱한다. 심지어 이 상태로 오른손으로 고금 줄을 다루기까지 하였다. 아직 소년 시절이었을 때에도 성인 남성 넷이서 간신히 들어올린 막사 천장을 혼자서 들어올리기도 했다. 형인 남희신도 빨래할 때 손에 잡히는 옷마다 찢겨져 나갔다고...[5] 파랗고 누런 채소 잎과 나무껍질, 풀뿌리 들어있으며 씁쓸하고 알 수 없는 약간의 달큰한 맛이 난다고 한다.[6] 오역이나 의역이 다분할 가능성이 있다.[7] 퇴고의 고사로 유명한 당나라 때 시인 가도(賈島)의 시 <심은자불우(尋隱者不遇, 은자를 찾아갔으나 만나지 못함)>에 나오는 구절에서 유래.
松下問童子(송하문동자, 소나무 아래에서 동자에게 물으니)
言師採藥去(언사채약거, 스승은 약초 캐러 가셨다 말하네)
只在此山中(지재차산중, 다만 이 산 속에 계시나)
雲深不知處(운심부지처, 구름이 깊어 계신 곳을 알지 못한다네)
[8] 완결 이후 시점에서 운심부지처에 적을 두고 있으며, 가연에 참여하거나 자제들의 야렵을 종종 지도하기도 하는 등 남망기의 도려이자 고소 남씨 소속으로 인정받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마도조사/등장인물 문서의 r2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마도조사/등장인물 문서의 r2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04:16:57에 나무위키 고소 남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