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당증

덤프버전 :

진료과
내과
관련증상
고혈압, 빈맥, 의식 저하 및 혼수
관련질병
당뇨병, 인슐린 과소 투여, 인슐린종, 부신기능부전, 과다 음주

高血糖 Hyperglycemia

1. 개요
2. 상세
3. 치료



1. 개요[편집]


당뇨병의 대표적 증상 중 하나. 체내에서 분비하는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저항성이 커 제대로 혈당관리가 안 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증상이다. 물론 아드레날린 문제로 글루카곤이 끊임없이 많이 나와도 생긴다.


2. 상세[편집]


인체는 항상 혈당을 일정 수치 내로 유지해야 한다. 이것을 담당하는 호르몬이 글루카곤인슐린인데, 혈당을 올리는 호르몬은 여러 종류인 반면(글루카곤, 당질코르티코이드 등), 혈당을 내리는 호르몬인슐린 뿐이라서 인슐린이 결핍되면 혈중 포도당 농도가 높아지게 된다.

당장 느끼는 증상은 눈이 약간 따갑거나 시리다든가[1], 머리가 띵하고 졸음이 몰려오고, 심한 경우 어지럽기도 하다. 그런데 물론 고혈당도 심할 경우 혼수상태에 이를 수 있으나 저혈당에 비해서 당장 느껴지는 증상은 적고, 저혈당처럼 응급처치를 하지 않으면 당장 생명이 위험한 상황도 아니기 때문에 방치하기가 생각보다 쉽다. 때문에 본격적인 3다증상 다음, 다식, 다뇨가 오기 전에는 대부분의 환자들도 본인이 당뇨병인 줄 모르고 사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당뇨병 전체의 진행도를 봤을 때는 고혈당으로 급성증상이 온다면 저혈당보다도 더 좋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고혈당이 당뇨병의 가장 큰 무서움인 합병증을 몰고 오는 위협적인 증상이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합병증만 해도 망막병증, 심혈관계 질환, 인체말단조직 파괴와 괴사, 신부전 등이 있고, 종국에는 온몸에 성한 곳이 거의 없는 상황에 이르고 만다. 물론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하는 경우 그렇다.

당뇨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기로는 만성 질병이지만 무조건 천천히 오는 것은 아니고, 정상 범위에 있던 사람이 갑자기 정상치의 몇 배에서 수십 배까지 치솟으며 급성으로 오는 경우도 있다. 이럴 경우에는 극도의 피로감, 탈진, 급격한 시력 저하가 와서 눈앞 1미터도 잘 보이지 않고[2] 운전이나 일상 생활은 커녕 걷지도 못하고 심하면 실신하는 상태가 된다. 이땐 즉시 병원에 가서 집중 치료를 받아야 한다. 심하면 입원을 해야 되는 경우도 있다.

고혈당 증상은 높은 혈당으로 피가 걸쭉해진 탓에 혈관에 주기적인 타격을 입히고 말초 신경을 서서히 죽이기 때문에 당뇨병 환자는 몸의 말단부, 특히 을 조심해야 한다. 당뇨가 중등도 이상으로 진행된 상황에서 발에 상처를 입은 것을 일찍 파악하지 못하고 오래 내버려둔다면 심한 경우 발, 더 심한 경우 하지를 잘라내야 한다. 그래서 당뇨병 환자들은 상처를 입지 않기 위해 여름에도 쪼리슬리퍼를 신지 않고 대개 운동화나 구두를 신고 다니는데, 이때 양말도 같이 신기 때문에 여름에 꽤나 고역이다. 피의 당도가 높아지면 세균도 잘 자라기 때문에 상처가 나면 감염이 쉬이 일어나며, 감염이 없다고 해도 상처가 잘 낫지 않는다. 당연히 피부도 나빠진다.[3]


3. 치료[편집]


당뇨병 발병의 요인은 유전, 식습관, 체중, 나이 등 여러 가지가 거론되지만 아직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진 않았으며 유전과 나이는 극복할 수 있는 게 아니고 원인을 모르니 치료약도 없다. 먹는 약이든 주사든 증상을 완화시킬 뿐이다. 즉, 완치는 어렵고 대증 치료라는 것.

고혈당은 일차적으로는 인슐린을 주사하거나[4] 혈당강하제, 인슐린분비촉진제 등의 경구제를 통하여[5] 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일시적인 치료일 뿐, 평상시 꾸준한 혈당 검사와 식단조절, 금주, 금연, 적당량의 운동 등을 통하여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04:24:50에 나무위키 고혈당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표현들은 실제 느끼는 것과 다를 수도 있다. 실제로 느껴보면 뭐라고 표현할지 애매하다.[2] 맨눈 시력 1.0이던 사람이 급성 당뇨 발병으로 고혈당 상태가 되면서 며칠 사이 시력이 0.4 이하로 떨어진 일도 있다. 렌즈나 수정체가 망가지는 것이 아니라, 센서 역할을 하는 망막 혈관에 영양과 산소가 충분히 가지 못하여 잘 안 보이게 되는 것. 다행히 이런 급성 시력 저하는 치료를 하면 상당 부분 회복된다. 그런데 고혈당으로 신장이 망가지는 건 회복이 안 된다.[3] 물론 혈당을 모범적으로 관리하면 그런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4] 대부분은 1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5] 주로 2형 당뇨병 환자들의 치료법이다. 물론 2형 당뇨병도 심해지면 인슐린 투여를 시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