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클래스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도급순위가 산정되는 민간 건설사의 브랜드
파일:래미안 로고.svg
파일:힐스테이트 BI_상하.svg
파일:자이 심볼.svg
파일:더샵 BI_2020.svg
파일:푸르지오 심볼(2019.3).svg
파일:롯데캐슬 BI_상하.svg
파일:e편한세상 BI.svg
파일:아이파크 BI_2021.svg
파일:SK뷰 BI_2010.svg
파일:포레나 BI.svg
파일:베르디움 BI(2019).svg
파일:데시앙 로고.svg
파일:디에트르 BI(1).png
파일:코오롱하늘채 BI_2018.svg
파일:중흥S-클래스 심볼.svg
파일:리슈빌 BI.png
파일:한신더휴 리뉴얼 BI.png
파일:센트레빌 BI_상하.svg
파일:어울림 BI.svg
파일:서희스타힐스로고.png
파일:풍경채현로고.png
파일:우미 린 심볼.svg
파일:동원로얄듀크 BI_상하.svg
파일:사랑으로부영 BI(상하)_2015.svg
파일:두산위브 BI.svg
파일:한라비발디 국문 BI(2012).svg
파일:쌍용 더 플래티넘 BI.svg
파일:스위첸 BI.svg
파일:해링턴플레이스 심볼.svg
파일:반도유보라 BI_상하.svg
파일:금강펜테리움 BI 심볼.png
파일:신세계 빌리브.png
파일:수자인 BI.png
파일:에일린의 뜰 로고.png
파일:양우내안에 BI.png
공기업의 브랜드
파일:안단테 BI.svg



파일:골드클래스.svg

행복 위에 지은 집!





1. 개요[편집]


골드클래스(GOLD CLASS)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에 본사를 둔 건설회사이자 골드클래스㈜, 보광건설, 보광종합건설아파트 브랜드이다.


2. 상세[편집]


아파트 건설업을 주로 하는 골드클래스㈜는 전라남도 보성군에서 설립되었으며 원래 호반건설의 관련회사로 호반아파트 시공과 관급공사를 주로 맡았지만 2007년에 상호명을 리젠시빌[1]산업에서 골드클래스㈜로 변경하고 같은 이름의 아파트 브랜드도 런칭하면서 독립했다.

골드클래스 브랜드로 광주전남지역에 많은 아파트를 건설하면서 성장했으며 2010년대 중반부터는 호남을 넘어 전국 각지에 진출하였다.

여전히 본사는 전남 보성군 보성버스터미널 앞에 있는데, 로드뷰를 통해 찾아보면 회사 규모에 비하면 매우 작고 허름한 2층짜리 가건물인걸 확인할 수 있다. 반면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동에 위치한 광주본사는 농성역앞에 위치한 6층짜리 빌딩[2]으로 사실상 광주본사가 본사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테헤란로에 서울지사도 위치해있다.

여담으로 언론사도 가지고 있는데, 전남매일이라는 지역신문사를 보유 중이다.


3. 비판[편집]



파일:무등산 골드클래스.jpg

파일:골드클래스 어반시티.jpg
무등산 골드클래스
남구주월 골드클래스 어반시티
아파트 측벽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초대형 크기의 골드클래스 로고 사인을 설치하고 있으며 샛노란색과 파란색 계열 페인트를 조합한 다소 촌스러운 색채 디자인[3]과 에어컨 실외기 외부 노출형 구조[4][5], 어린자녀를 둔 수요자들에게 선호되지 않는 지상 주차장을 여전히 적극 사용하는 등 시대를 역행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6]

하지만 그와 정반대로 분양가는 상당히 높게 책정하는 것으로 유명한데, 2021년 3월 분양한 ‘동대구역 골드클래스’는 발코니 확장비를 4천만원으로 책정해놓고 이를 선택하지 않을 시 마루 대신 흔히 ‘장판’이라 부르는 모노륨으로 시공하는 배짱을 보여주었고, 2022년 3월 분양한 광주 화정 골드클래스 2차는 발코니 확장비만 무려 1억 원에 달하면서 큰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4. BI/전용 색상[편집]


BI
(2007~)
파일:골드클래스.svg

Pantone Hexachrome Black C
Pantone 499 C
Pantone 729 C
Pantone 601 C


5. 지역별 단지 현황[편집]


한국토지주택공사(대한주택공사)가 시행한 아파트는 [LH]를, 민간임대로 운영 중인 아파트는 [민간임대]를 표기한다.

오피스텔[OT]를, 도시형 생활주택[도생]을, 연립주택[연립]을 표기한다.[7]

아파트와 오피스텔이 혼재된 주상복합단지의 경우, 따로 표기하지 않고 세대수만 각주로 분리해서 작성한다.[8]

생활숙박시설[생숙]을 표기한다.

5.1. 서울특별시[편집]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길동 골드클래스
서울특별시 강동구 길동
45세대[9]
2022년 2월


5.2. 대구광역시[편집]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수성 골드클래스 더 센텀
대구광역시 수성구 중동
588세대
2021년 12월
동대구역 골드클래스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
392세대[10]
2024년 4월 (예정)
영대병원역 골드클래스 센트럴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831세대[11]
2025년 11월 (예정)
영대병원역 골드클래스 더 센텀
852세대[12]
미정


5.3. 인천광역시[편집]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청라 골드클래스
인천광역시 서구 청라동
192세대
2012년 2월
청라 골드클래스 커낼웨이
269세대
2016년 11월
시티타워역 골드클래스 1차[OT]
428세대
2021년 2월
시티타워역 골드클래스 2차[OT]
388세대


5.4. 광주광역시[편집]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수완 골드클래스
광주광역시 광산구 장덕동
584세대
2013년 9월
수완2차 골드클래스 에듀파크
228세대
2015년 2월
신일곡 골드클래스
광주광역시 북구 삼각동
327세대
2018년 3월
광주 연제 골드클래스
광주광역시 북구 연제동
299세대
2018년 2월
각화동 골드클래스[13]
광주광역시 북구 각화동
716세대
2017년 7월
무등산 골드클래스[14]
광주광역시 동구 소태동
690세대
2018년 9월
남구주월 골드클래스 어반시티
광주광역시 남구 주월동
529세대[15]
2021년 4월
무등산 골드클래스 2차[16]
광주광역시 동구 소태동
772세대
2022년 5월
광주 화정동 골드클래스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동
335세대[17]
2022년 9월
광주 상무역 골드클래스
광주광역시 서구 마륵동
191세대
2023년 11월
방림 골드클래스
광주광역시 남구 방림동
418세대
2024년 1월
광주 화정2차 골드클래스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동
138세대
2025년 1월 (예정)
운암산 골드클래스
광주광역시 북구 운암동
156세대
미정
수랑공원 민간특례사업
광주광역시 광산구 우산동
901세대
미정
주월동 골드클래스[연립]
광주광역시 남구 주월동
24세대
미정


5.5. 울산광역시[편집]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우정 골드클래스
울산광역시 중구 장현동
478세대
2014년 6월
울주 상남지구 골드클래스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
447세대
2017년 9월


5.6. 대전광역시[편집]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오류동 골드클래스
대전광역시 중구 오류동
328세대[18]
미정


5.7. 세종특별자치시[편집]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가락마을 17단지 골드클래스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
508세대
2015년 9월


5.8. 경기도[편집]



5.8.1. 시흥시[편집]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시흥 배곧신도시 골드클래스
시흥시 배곧동
690세대
2016년 6월


5.8.2. 용인시[편집]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강남마을3단지주공아파트[LH]
용인시 기흥구 구갈동
138세대
2004년 11월
용인 역북지구 골드클래스
용인시 처인구 역북동
623세대
2017년 12월


5.8.3. 의왕시[편집]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의왕 백운밸리 골드클래스
의왕시 학의동
420세대
2019년 4월


5.8.4. 광명시[편집]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소하 골드클래스
광명시 소하동
84세대
2016년 9월


5.9. 강원특별자치도[편집]



5.9.1. 원주시[편집]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강원 원주 행구동 골드클래스
원주시 행구동
402세대
2022년 4월


5.9.2. 횡성군[편집]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강원 횡성 골드클래스
횡성군 횡성읍
348세대
2017년 12월


5.10. 충청북도[편집]



5.10.1. 진천군[편집]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광혜원주공아파트[LH]
진천군 광혜원면
318세대
2003년 8월


5.11. 충청남도[편집]



5.11.1. 아산시[편집]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아산 신창 골드클래스 1차
아산시 신창면
미정
미정
아산 신창 골드클래스 2차
미정
미정
아산 신창 골드클래스 3차
미정
미정


5.11.2. 서산시[편집]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서산 골드클래스[민간임대]
서산시 성연면
880세대
2018년 8월


5.11.3. 당진시[편집]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당진 송산지구 골드클래스
당진시 송산면
605세대
미정


5.11.4. 부여군[편집]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부여 쌍북 골드클래스
부여군 부여읍
312세대
미정


5.12. 전라북도[편집]



5.12.1. 전주시[편집]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평화 호반리젠시빌
전주시 완산구 평화동2가
639세대
2002년 4월
동산동 골드클래스[19]
전주시 덕진구 동산동
310세대
2015년 12월
만성법조타운 골드클래스
전주시 덕진구 만성동
1,070세대
2018년 2월
평화 골드클래스
전주시 완산구 평화동2가
396세대
2018년 3월
평화2차 골드클래스 모악산
398세대
2020년 8월
평화3차 골드클래스
225세대
서완산 골드클래스
전주시 완산구 서완산동2가
248세대
2021년 6월
동양아파트 인근 구역 재개발
전주시 덕진구 진북동
654세대
미정

5.12.2. 군산시[편집]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은파 리젠시빌파크
군산시 미룡동
317세대
2007년 2월


5.12.3. 익산시[편집]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송학 리젠시빌
익산시 송학동
346세대
2002년 11월
부송동 리젠시빌
익산시 부송동
440세대
2004년 10월


5.13. 전라남도[편집]



5.13.1. 목포시[편집]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목포옥암 골드클래스
목포시 옥암동
462세대
2009년 5월
옥암 3차 골드디움 2차
목포시 옥암동
214세대
2013년 5월
용해 5차 골드디움
목포시 용해동
493세대
2014년 11월
용해 6차 골드디움
325세대
2014년 11월
용해 7차 골드클래스 스타하임
319세대
2015년 8월
연산 8차 골드클래스 에코시티
315세대
2018년 9월
백련지구 골드클래스 9차 리더스뷰
356세대
2021년 5월


5.13.2. 무안군[편집]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무안 남악 골드디움 2차
무안군 삼향읍
340세대
2013년 4월


5.13.3. 여수시[편집]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여수엑스포 골드클래스
여수시 관문동
286세대
2019년 8월
웅천 골드클래스 테라스힐[연립]
여수시 웅천동
262세대
2021년 10월
웅천 골드클래스 더 마리나[생숙]
496실
2025년 5월 (예정)
여수 학동 주상복합 1차
여수시 학동
미정
미정
여수 학동 주상복합 2차
미정
미정


5.13.4. 순천시[편집]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순천 오천 골드클래스
순천시 오천동
646세대
2016년 5월
골드클래스 시그니처
순천시 조례동
413세대
2021년 7월
순천 조례3차 골드클래스
473세대
2023년 12월
순천 왕지5차 골드클래스
순천시 왕지동
미정
미정


5.14. 경상북도[편집]



5.14.1. 구미시[편집]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구미확장단지 골드클래스
구미시 산동읍
890세대
2017년 10월
구미확장단지 골드디움
615세대
2019년 2월


5.14.2. 김천시[편집]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김천혁신도시 골드클래스
김천시 율곡동
512세대
2016년 7월


5.15. 제주특별자치도[편집]



5.15.1. 서귀포시[편집]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서귀포 강정 골드클래스
서귀포시 강정동
212세대
2016년 12월
제주 노인국제휴양관광타운 조성사업
서귀포시 색달동
290세대
미정


6. 외부 링크[편집]




7. 관련항목[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05:26:51에 나무위키 골드클래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호반이 한때 사용했던 아파트 브랜드이기도 하다.[2] 광주출신 건설사였던 광명주택이 사옥으로 짓던 건물인데, 2016년 회사 부도로 골조만 완성한 상태에서 공사가 중단되었다. 보광종합건설이 인수해서 2020년 완공시켰다.[3] 파일:시티타워역 골드클래스.jpg사진은 인천 청라국제도시 골드클래스 오피스텔 투시도와 실물. 이 정도면 사기 아닌지[4] 다만 이 부분은 호불호가 심하게 갈리는 부분이다. 2006년 이후로 허가받은 아파트는 에어컨 실외기를 난간 등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하는 것이 금지되면서 현재 ‘실외기실’이란게 보편화되었는데, 대부분 갤러리창이라고 부르는 루버로 평상시에는 실외기실을 밀폐했다가 에어컨 사용시에만 개페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 갤러리창이 에어컨 실외기에서 뿜어져 나오는 뜨거운 공기를 잘 배출시키지 못하고, 창을 여는걸 깜빡하고 그냥 에어컨을 틀어버리면 실외기실이 뜨거운 공기로 가득 차 실외기가 과열되어 고장나거나 심하면 화재가 발생하는 일도 종종 있다. 그래서 아예 실외기가 바깥에 노출되어있는 예전 방식이 미관상 보기 안좋을 뿐이지 실내에 실외기를 두는 방식보다 훨씬 실용적이라 이를 더 선호하는 사람이 여전히 많다.[5] 희한한건 2010년대 초중반에 지은 골드클래스아파트들이 오히려 실외기를 실내로 감추게 지어졌고 반대로 최근 지어지는 곳들이 실외기가 밖으로 노출되게 지어지고 있다. 골드클래스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6] 여담으로 같은 광주 지역에 기반을 둔 서진건설의 엘리체와 광신종합건설의 광신프로그레스도 비슷한 이미지다.[LH] A B C LH아파트[민간임대] A B 민간임대단지[OT] A B C 오피스텔[도생] 도시형 생활주택[연립] A B C 연립주택[7] 오피스텔과 도시형 생활주택이 혼재된 단지는 병기한다.[8] ex.) 아파트 n세대, 오피스텔 n실[생숙] A B 생활숙박시설[9] 아파트 29세대, 오피스텔 16실[10] 아파트 329세대, 오피스텔 63실[11] 아파트 660세대, 오피스텔 171세대[12] 아파트 776세대, 오피스텔 76세대[13] 문화동각화구역 재개발[14] 지원2-1구역 재개발[15] 아파트 426세대, 주거형 오피스텔 169실[16] 지원1구역 재개발[17] 아파트 243세대, 주거형 오피스텔 92실[18] 아파트 205세대, 오피스텔 123실[19] 본래 전북 건설업체인 송정건설이 건설중인 아파트였으며, 동산동 송정써미트로 지어질 예정이였지만 낮은 분양률로 인해 시공사와 시행사가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2014년 보광건설에게 시공권을 넘긴 후 '동산동 골드클래스'로 완공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