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도읍

덤프버전 :



파일:안성시 CI.svg 안성시
공도읍
孔道邑 | Gongdo-eup




광역자치단체
경기도
기초자치단체
안성시
행정표준코드
4080122
관할 법정리
11리
하위 행정구역
71행정리 321반
면적
31.94㎢
인구
60,745명[1]
인구밀도
1,882.56명/㎢
정치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 안성시

김학용 (4선)
경기도의원 | 제1선거구

양운석 (재선)
안성시의원 | 가 선거구

최승혁 (초선)

최호섭 (초선)

행정복지센터
공도4로 8 (만정리 793-1)
공도읍 행정복지센터
1. 개요
1.1. 역사
2. 교통
2.1. 버스교통
2.2. 도로교통
2.3. 철도교통
3. 상권
4. 교육
5. 주요 관광지
6. 법정리 일람
6.1. 건천리
6.2. 마정리
6.3. 만정리
6.4. 불당리
6.5. 승두리
6.6. 신두리
6.7. 양기리
6.8. 용두리
6.9. 웅교리
6.10. 중복리
6.11. 진사리
7. 동부지역과의 교류
8. 평택시와의 관계
9. 기타


1. 개요[편집]


경기도 안성시 서부에 위치한 . 읍 행정복지센터는 만정리에 있다. 평택시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배후지로 인구가 급증한 지역이다. 공도읍의 인구가 안성시 전체 인구의 약 1/3 정도를 차지하며, 안성시내[2]보다 공도읍의 인구가 더 많다.[3] 사실상 공도읍은 2005년 일반구 설치 이전 용인시의 기흥읍과 비슷한 포지션이라고 볼 수 있다.[4] 또한 안성시에서 평균연령이 가장 낮은 지역이기도 하다. [5] 더불어서 예전에는 공도초등학교 뒷편으로 승두천을 따라서 논밭, 배밭, 포도밭이였던 곳들이 개발되면서 아파트 증가 속도도 매우 빠르지만 입주율도 안성시에서 가장 높은 지역. 교통망이 안성에서도 가장 편한 지역이기 때문에[6] 안성시내보다 평택시내와 훨씬 가깝다는 특성때문에, 생활권도 평택에 묶여있다. 더불어서 안성 최초의 대형 마트인 롯데마트가 들어온 지역도 공도읍 양기리. 하지만 이 인구를 수용하는 도로가 38번 국도(서동대로) 하나[7]뿐이라, 출퇴근 시간대는 지옥의 교통체증을 보여준다. 대개 막히는 구간은 퍼시스 사거리[8]에서 내리사거리(내리고가차도에서 내려오는 곳). 해당 지역은 2016년부터 도로 확장 공사를 시작했으나 8년 가까이 완공하지 못하고 있어 시민들의 불편함을 야기하고 있다. 2013년 전후로는 평택시와 안성시가 합작으로 평택대학교 ~ 진사리 입구 구간의 도로 확장 공사를 실시했는데, 평택시가 맡은 부분과 안성시가 맡은 부분의 공사기간이 서로 달라 평택에선 넓어졌는데 안성은 그대로라 병목현상이 더 심해졌던 적도 있다. 현재는 평택과 안성 모두 편도 3차로로 확장이 완료되었지만 아직도 교통체증이 심각한 수준이다.

지역 단위 농협 중 안성에서 가장 큰 농협 역시 공도에 위치하고 있다. 공도농협과 원곡농협이 합병하면서 생긴 서안성농협인데, 농협 입구에 농부인의 동상이 세워져있다. 조합원 수라든가 관할 권역에서의 인구라든가 이미 안성 시내와는 비교가 불가능한 규모. 그런데 문제는 조합원 간 계파 문제가 심해서 내분이 유난히 다른 농협보다 많고, 여러 사건도 많다는 거. 하지만 돈도 가장 많다.

그러다보니 안성시 입장에선 남아있는 구 양성현 일대 중 최후의 보루라고 볼 수 있는 지역으로, 이미 알짜배기 동네[9]가 평택시에게 넘어가고, 난해한 지형으로 발전하기 힘들어진 양성면, 원곡면을 제외하고 유일하게 발전한 곳이 이 일대인데, 이 곳마저 평택시로 넘어간다면 안성시에겐 남는 건 작은 시내와 넓은 논밭밖에 없으니 그야말로 꿈도 희망도 없어진다. 하지만 공도읍 주민들도 생활 반경은 오히려 평택이 더 가까운지라(...) 지자체에겐 여러모로 애증의 결합체다. 상기한 평택-안성간 도로 확장 공사도 이런 지자체의 태도와 연관이 매우 깊다.


1.1. 역사[편집]


  • 1914년 3월 1일: 부군 통폐합으로 안성군에 편입됨.
  • 1914년 4월 1일: 동년 2월 29일까지 양성군에 속해있던 공제면, 도일면, 덕산면, 구룡동면, 구천리면, 영통면의 일부를 통합하고 공제면과 도일면의 머리글자에서 유래한 공도면으로 명명함.
  • 1983년 2월 15일: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 관할구역 변경 및 면설치등에 관한 규정] 에 의하여 공도면 소사리가 평택군 평택읍에 편입.
  • 2001년 6월 1일: 공도면이 공도읍으로 승격.
  • 2011년 6월 20일 : 공도읍사무소 신축 및 도로명 주소 사용에 따라 "공도4로 8"로 소재지 변경.


2. 교통[편집]


평택시의 어지간한 시가지들과 비교해봐도 평택 도심과 상당히 가깝다. 평택역과는 진위면, 포승읍, 안중읍보다도 가깝고 고덕면, 송탄 지역과 엇비슷한 거리에 떨어져 있고 평택시청이 있는 쪽은 송탄보다도 더 가깝다. 물론 읍에서 가장 동쪽에 위치한 마정리와 양기리는 예외. 읍의 중심지에서 시내버스를 타고 가도 약 15분이면 평택 시청, 25분이면 평택터미널에 도착하는데, 진사리에 위치한 스타필드 안성에서 안성시내까지 30분이 넘게 걸린다.

2.1. 버스교통[편집]


이곳을 지나는 안성시 시내버스는 보통 숫자 7과 연계된다. 그런데 워낙 교통이 좋은 지역이라 평택시에서 관할하는 시내버스도 많이 다니고, 번호 분배상 문제(…)로 인해 다른 면의 번호와 연계된 버스도 존재한다. 배차가 문제지만(…). 더불어서 직행버스 정류장은 총 세 곳(대림동산, 공도시외버스정류장, 주은풍림아파트)이며, 이는 안성1·2·3동에서 직행버스가 정차하는 터미널·정류장(안성종합버스터미널, 시민회관, 한경대)[10]보다 그 수가 많다. 평택~안성간 노선 덕분에 공도읍 버스배차도 인구에 비해 지나치게 많다. 이외에도 공도읍에서 이천시 장호원터미널까지 가는 38번 시내버스가 있었다. 이후 2004년에 단축되고 2008년에 폐선되었다.

특히 용이동, 월곡동, 죽백동에서 출발한 평택 버스가 합류하는 진사리는 아예 평택 노선이 더 많고, 그 중에 50번과 70번만큼 배차가 좁은 노선이 많아서 버스도 엄청나게 자주 온다. 그렇기에 이 곳만 지나는 노선은 제외한다.

평택시 소속 버스들은 2023년 평택 시내버스 개편으로 인하여 폐선되거나 노선이 변경되었다.


2.2. 도로교통[편집]



2.3. 철도교통[편집]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된 평택부발선(평택-안성선)이 공도읍을 경유하며 총 세개의 역(진사역-공도역-양기역)이 설치 될 것이라는 의견이 있었으나, 평택안성선 설치에 그리 좋은 반응을 보이지 않았던 평택시를 설득하지 못하고, 용역 B/C값이 낮게 측정되어 사실상 보류되었다.

그러나 스타필드 안성이 착공을 하자 대규모 교통난을 우려한 한국철도시설공단이 다시 사전 타당성조사 보완용역을 발주하였다.

그리고 결국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평택부발선이 최종확정되었다. 또한 평택부발선이 예비타당성 조사 심사 대상으로 선정되었고 만약 계획 중 공도역이 반영되었고 준공된다면 진사리 남부 혹은 승두리 동남부 등 여러 위치가 신설되지 않을까 거론이 많지만 아직까지 공식적인 확정은 없다.

3. 상권[편집]


공도읍은 크게 상권이 세 곳으로 나뉘어져 있다.[11]

첫째는 안성IC 주변 진사리-평택시 용이동 상권이다. 과거에는 소나무숲이 우거진 전형적인 농촌의 모습이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진사리에 여러 공공주택이 생겨나고, 건너편 평택 용이동에는 대규모 도시개발지구와 평택대학교가 생겨나 최근 몇년사이 급격하게 상권이 커진 지역이다. 또한 2020년 진사리 일원에[12] 스타필드 안성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안성점이 개장돼서 공도읍 뿐만 아니라 경기 최남부의 중요상권 중 하나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

둘째는 과거부터 공도의 중심지 역할을 해온 승두리, 만정리 중심의 공도읍내 상권이다.[13] 대부분의 평택시계에서 공도읍으로 들어가면 풍림아파트를 지나 우측 이큐맥슨제약 간판을 따라가면 보인다. 행정-의료-교육 서비스를 이곳에서 이용할 수있으며, 읍의 정중앙에 위치하여 교통이 매우 편리하다. 과거엔 승두리 북동부가 주요 상권이었으나, 2010년을 전후로 공도지구의 개발이 본격화되며 만정리 남부로 주요상권이 이동했다.

셋째는 롯데마트 안성점을 중심으로 문기-대림동산을 잇는 양기리 상권이다. 안성 유일의 롯데마트스타벅스, 유니클로, 롯데시네마, 다이소 등 간단한 여가생활이 가능한 수준이며, 안성시내에서 평택 방면으로 가는 경우에 가장 먼저 보이는 공도읍 상권이다.[14]

특이하게 38번 국도를 중심으로 발전한 지역답게 50, 70, 370, 380번 버스로 공도읍 주요 상권을 전부 돌아다닐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15]

4. 교육[편집]


초등학교는 공도초등학교, 만정초등학교, 양진초등학교, 문기초등학교, 용머리초등학교[16]가 있으며, 2025년 승두리 7-1일원에 초중통합학교가 개교 예정이다.

중학교는 공도중학교, 만정중학교, 양진중학교가 있으며, 양기리 산 8-11 일원에 문기중학교가 2004년 개교 예정이었으나, 학생 수 감소를 이유로 사실상 무산되었다.

고등학교는 일반 국공립계 경기창조고등학교가 있다. 고교 비평준화지역으로 내신성적에 따라 고등학교를 진학하며, 경기창조고 고입내신 커트라인은 2017년 기준 160점 정도이다.

평택 생활권인 지역답게 읍사무소를 기준으로 가까운 고등학교 상위 10곳(읍내에 위치한 경기창조고 제외)을 나열하면 8곳이 평택에 위치한 고등학교이다. 안성시 행정구역에 위치한 고등학교는 두원공업고등학교안성여자고등학교 단 두 곳.

대학교는 한국폴리텍대학 반도체융합캠퍼스가 존재하며, 황교안 자유한국당 당대표가 졸업한 "수도침례신학교 안성캠퍼스"라는 학교가 존재하였으나 침례신학대학교에 흡수통합되어 2009년 2월 28일 폐교되었다.[17]

5. 주요 관광지[편집]




6. 법정리 일람[편집]



6.1. 건천리[편집]


공도읍내와 매우 멀리 떨어져있으며 아래의 진사리, 중복리와 더불어 사실상 평택 생활권 내에 들어있다. 건천보건진료소가 있다.


6.2. 마정리[편집]


e편한세상을 짓는 대림산업이 소유하고 있었던 부지였기에 아직까지 대림동산이라 불려지는 곳이며, 과거 자연농원(現 에버랜드)이 이 마정리에 들어오려 했지만, 안성 토박이들의 뭇매를 맞고 용인시로 계획을 바꾸었다고 한다.[18] 이후 전두환 정권 시절부터 전원주택 단지로 조성되어 현재는 전원주택과 원룸들이 밀집되어 있기도 하다.

양기리에 위치한 롯데마트 건너편으로 상가들이 생겨나고 있으며, 유니클로 - 스타벅스DT - 안성인삼농협 등이 위치해있다.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대림 한숲원아파트
가족공원길 86
222세대
1997년 3월
안성 대림전원
장미길 12
49세대
1999년 5월
안성 베르빌아파트
장미길 32
218세대
2001년 8월
임광그대가 1단지
마정강변길 31
250세대
2007년 4월
임광그대가 2단지
마정강변길 33
194세대


6.3. 만정리[편집]


공도읍 상권의 중심지이며, 공도읍에서 가장 공공주택 단지가 많다. 또한 한국폴리텍Ⅱ대학 반도체융합캠퍼스, 공도중학교, 만정중학교, 만정초등학교, 경기창조고등학교가 주변 아파트들과 인접해있다. 공도도서관, 안성시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공도읍사무소, 119안전센터, 지구대가 밀집되어있기도 하다. 안성에서 유일한 버거킹 매장이 있다.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안성 부영아파트
만수로 31
788세대
2001년 8월
공도 정보아파트
공도로 116-7
54세대
2004년 4월
한일타운
공도로 149
274세대
2005년 3월
안성공도금호어울림 1단지
송원길 64
474세대
2007년 10월
안성공도금호어울림 2단지
도화길 87
254세대
2007년 12월
안성공도금호어울림 3단지
공도5로 40
344세대
2008년 1월
경기도시공사참아름2단지아파트
송원길 10
1,039세대
2008년
공도참아름5단지아파트[19]
공도5로 6
517세대
2008년
KCC스위첸아파트
공도로 150
1,101세대
2010년 5월
디자인시티 블루밍
공도로 140
1,378세대
2010년 8월
그랜드캐슬아파트
송원길 41-11
116세대
2015년 7월
E-TRINITY공도센트럴파크
만정리 351-4
680세대
2023년 4월
라포르테 공도
덕봉서원로 126-17
986세대
2025년 6월 입주 예정


6.4. 불당리[편집]


경부고속도로를 경유한다. 예전 낙농업 축사들로 가득했던 안성팜랜드 넘어 불당리 63번지에 공제초등학교가 존재하였으나 학생수의 급격한 감소로 인하여 1996년 2월 28일 폐교되었다.[20] 공제초등학교의 기록물은 현재 만정리 공도초등학교에서 보관중이다.


6.5. 승두리[편집]


경부고속도로 안성IC의 본 주소이며 공도우체국과 주민자치센터, 서안성농협 공도중앙지점 등이 있다. 공도시민청이 2025년 6월 준공예정이다. 이 곳에 초중등통합학교 신설이 추진중이다.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안성 공도 우방 아이유쉘
공도로 116-26
715세대
2020년 8월
쌍용 더 플래티넘 프리미어[21]
승두리 73
1,696세대
2023년 12월 입주 예정
효성 해링턴 플레이스 안성 공도
승두리 582-6
703세대
2024년 5월 입주 예정
공도 서희스타힐스
승두리 589-4
786세대
2024년 6월 입주 예정

평택부발선 불당리와 함께 공도역(가칭)의 유력 후보지 중 한 곳이다.


6.6. 신두리[편집]


안성팜랜드와 농협안성교육원이 위치한 곳. 예전에는 거봉 포도밭과 배밭, 목장 마을이였다. 한천과 안성천을 건너면 미양면으로 갈 수 있다. 신두리는 대신두리, 소신두리 마을을 합친 곳이다. 평택제천고속도로가 경유한다.


6.7. 양기리[편집]


안성 유일의 롯데마트인 롯데마트 안성점과 롯데시네마 안성점이 있다. 예전에는 대림동산으로 유명했던 곳. 신두리, 마정리, 양기리가 학군인 문기초등학교가 있으며, 그 유명한 여호와의 증인 한국 본부인 워치타워가 위치해있지만, 이 사실을 아는 주민들은 그리 많지 않다.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송정그린빌아파트
양기길 46
860세대
2001년 12월
안성공도서해그랑블
양기길 28
976세대
2019년 8월
안성 우방 아이유쉘 에스티지
양기리 302-2
948세대
2025년 1월 입주예정
안성공도서해그랑블 2차
양기리 300
1,066세대
분양 예정


6.8. 용두리[편집]


공도초등학교, 용머리초등학교가 위치해 있으며, 공도 버스터미널과 공도 건강생활지원센터, 서안성체육센터가 자리잡고있다. 서안성 스포츠파크가 서안성체육센터 바로 뒷 편에 조성될 예정이며, 야구장 2개, 축구장 2개, 테니스장, 풋살장, 족구장, 배드민턴장 등이 계획되어있다.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태산1차아파트
벚꽃길 36
593세대
1999년 10월
주은풍림아파트
서동대로 4079
2,615세대
2002년 8월
산수화아파트
벚꽃길 73
357세대
2003년 9월
안성공도우미린더퍼스트
공도로 51-17
1,358세대
2018년 7월
안성공도 센트럴카운티
용두리 522-1
533세대
2023년 11월
안성공도 센트럴카운티 에듀파크
용두리 522-4
433세대
2024년 7월 입주예정


6.9. 웅교리[편집]


안성팜랜드와 만정리(공도읍내)를 지나다니는 길목에 위치한 동네이다. 웅교리의 땅을 조금만 파면 불당리에서 웅교리까지 배가 들어온 ‘갯토’의 흔적이 있다.

6.10. 중복리[편집]


주소상으론 공도읍이지만 오히려 평택 시가지, 천안시 성환읍과 더 가깝다. 안성천만 건너면 바로 성환읍 안궁리가 나오지만, 사실 성환읍내와도 꽤 거리가 있는 편. 연계되는 버스도 평택 버스 9, 9-1, 9-2가 유일하다. 서쪽으로 조금만 가면 1번 국도가 나온다.


6.11. 진사리[편집]


평택 시가지와 연담화된 지역으로 길 하나를 사이에 두고 평택시 용이동과 마주보고 있다. 공도읍의 나머지 지역과는 경부고속도로와 안성IC로 단절돼있어 인근 주민들에게 사실상 평택으로 인식되는 지역이다. 단적인 예로 공도읍 진사리에 비교적 최근 신축[22]이 된 삼성 디지털프라자, 현대자동차 전시장, LG 베스트샵 등등 모두 엄연히 안성시 행정구역임에도 불구하고 "평택점" 심지어는 "평택점" 등의 지점명을 사용하고 있다. 천주교 진사리 성당은 아예 평택 소속이고, 버스도 용이동이나 월곡동, 죽백동을 향하는 평택 버스는 대부분 정차한다.[23] 오히려 안성 버스는 안성 70번, 370번, 380번만 선다.

원래 이 곳은 90년대 중반까진 솔밭이였으나 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아파트 단지가 들어오면서 소규모 아파트단지를 형성했고, 그러면서 차례차례 상가나 도서관, 건물들이 차츰차츰 지어지고, 길건너 용이동도 개발되기 시작하면서 공도읍내와는 별개로 발전해가는 중이다.

이 곳에 경기 남부에서 가장 큰 복합쇼핑몰인 '스타필드 안성'이 2020년에 개장했다. 안 그래도 38번 국도는 안성 나들목으로 인해 출퇴근길 상습 정체구간인데, 이 근처에 사는 주민들에겐 아침 저녁으로 헬게이트가 열리고 있다. 영화관으로 메가박스 안성스타필드점이 있다.

평택부발선 공도역(가칭)의 유력 후보지 중 한 곳이다.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안성공도우림아파트
진사길 27
940세대
1998년 7월
주은청설아파트
진사길 32
2,295세대
2000년 1월
삼성아파트
진건중길 14
348세대
2002년 10월
안성공도우림루미아트
진건중길 15-10
550세대
2004년 7월
쌍용스윗닷홈
진건중길 15-13
776세대
2005년 5월
안성수창해뜨레
진건중길 86-9
213세대
2019년 4월
해링턴플레이스 진사
진사리 44
992세대
2026년 3월 입주 예정


7. 동부지역과의 교류[편집]


사실상 없다. 시의 동부에 위치한 죽산면, 일죽면으로 가기 위해선 38번 국도를 지나는 방법밖엔 없는데, 문제는 여가생활을 하기 위해 굳이 동부지역을 갈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당장 경부고속도로를 통해 동서남북 어디든 쉽게 갈수 있으며, 거리 또한 같은 지자체인데도 불구하고 너무 멀다. 공도읍사무소를 기준으로 일죽면사무소까지의 직선거리는 약 28.9km인데, 이 반경이내에 천안시청, 아산시청, 평택시청, 용인시청, 오산시청이 들어가는 것은 물론이고 심지어는 경기도청이 위치한 수원시까지 닿는 거리이다. 다른 쪽 방면으로는 고속도로나 자동차전용도로도 많아서 같은 거리라도 더 빠르게 도달할 수 있다. 쉽게 설명하자면 서울특별시청에서 인천광역시청까지의 거리가 이보다 가깝다. 공도와 죽산은 이름만 같은 안성일 뿐, 사실상 다른 지자체라고 봐도 된다.


8. 평택시와의 관계[편집]


가까운듯 먼 사이다. 두 지역간의 악연은 8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평택군과 안성군은 경기 제 10선거구로 동일한 선거구로 묶여 두명의 국회의원을 두고있었는데, 당시 의원이었던 이자헌(민주정의당)과 유치송(민주한국당)의원 모두 평택 출신이었다. 두 국회의원 모두 경력있는 국회의원들이었고, 동쪽으로 치우쳐져 발전해가는 평택군을 위한다는 명목으로 안성 지역 주민들에겐 사전 통지와 주민 투표없이 일방적으로 공도면 소사리와 원곡면 용이리, 죽백리, 청용리, 월곡리의 행정구역 15.8㎢(약 500만평)을 평택으로 강제 편입시켰다.

안성IC 일대는 과거 모두 안성의 행정구역이었으나 현재에는 바로 건너편이 평택으로 넘어가, 38번 국도를 사이에 두고 서로 지역명을 내걸은 표지판을 대문짝만하게 걸어 미묘한 신경전이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공도가 평택의 위성도시 역할을 하면서 급속도로 성장했고, 평택 생활권인 것과 더불어 외지인의 유입이 많아 현재는 이러한 감정들이 많이 수그러들었다.

과거 네 자리수 지역번호를 사용하던 시절, 공도는 안성의 지역번호인 0334가 아닌 평택의 지역번호인 0333을 사용했다.


9. 기타[편집]


안성시 공도면 소사리가 1983년 평택군 평택읍으로 편입된 후 1986년 평택시 소사동이 되었다. 소사리가 안성에 그대로 잔류했었다면 현 공도읍의 인구는 7만여명을 초과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2015년에 한 학생이 안성시청 민원게시판에 '공도읍의 인구가 안성1, 2 ,3동의 인구를 초과하며 공도읍이 안성지역에서 손꼽히는 주거지역인데, 읍이라는 명칭이 외부인에게는 낙후된 이미지를 주기 때문에 인구증가를 필요로 하는 안성시에 좋은 영향을 미칠리가 없으며, 공도읍의 도시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읍'을 '동'으로 승격하고 2개의 동으로 운영하는 것이 낫다' 는 민원을 제기하였다.

그러나 안성시에선 '동' 승격보다는 인구가 7만 명 이상으로 늘면 공도읍사무소를 공도출장소로 발전시키는 방향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공도읍 내에서도 동으로 승격하면 농어촌 혜택이 사라지기 때문에 승격을 바라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아직까지는 공도읍에 농지가 많으며, 전국의 중에서 인구 수가 12위 정도로, 1~8위 읍의 인구가 8만 이상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동 승격은 아직 머나먼 이야기이다.

안성시는 도농복합시이기에 읍이 무조건 하나는 있어야 한다. 공도가 분동 승격을 하기 위해서는 다른 면이 읍 승격 조건을 채워야 하는데 그나마 가장 가능성이 높은 대덕면마저 승격 조건 인구에 4,000명 이상 모자르기에, 대덕면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추가적으로 들어와 인구 2만을 달성하지 않는 이상 공도의 동 승격은 아직 어렵다고 볼 수 있다.

충남과 경기도의 경계에 위치한 덕분에 날씨가 맑은 날엔 천안시, 아산시의 북부를 한눈에 볼 수 있다. 서남쪽으로 아산시 둔포면에 있는 테크노밸리와 국수봉, 영인면에 있는 고룡산, 음봉면에 있는 연암산과 용와산이 보인다. 동남쪽으론 천안시에 위치한 월봉산-성거산-위례산-부소산이 보이며, 동쪽으론 같은 안성에 위치한 서운산-미양산-보체산-왕골산까지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1] 2023년 9월 주민등록인구[2] 안성1동+안성2동+안성3동[3] 공도의 인구가 시내보다 많았다가 당왕지구와 아양지구의 인구 유입이 가속화되자 시내가 공도의 인구를 추월했었다. 그러나 불과 2년만인 2023년 5월 공도가 다시 추월하였다.[4] 기흥읍의 경우도 이웃한 큰 도시 수원의 배후지이자 경부고속도로 수원IC에 인접하였고, 구 42번 국도(중부대로)와 23번 지방도(용구대로)가 만나는 등의 편리한 교통으로 용인시내 못지 않게 번화한 곳으로 손꼽혔다. 대부분의 안성행 버스가 통과하는 안성의 관문과도 같은 구실을 하는 공도와 마찬가지로 기흥(신갈동) 또한 대부분의 용인행 노선버스가 통과하는 관문의 구실을 했다.[5] 2023년 5월 기준 40.9세[6] 평택으로 가는 시내버스가 평택시내로 가는 50번이 7분, 38번 국도를 쭉 타고 평택터미널로 바로 들어가는 70번이 10분 배차간격으로 빗자루질을 하며, 안성터미널발 시외버스의 중간 정류소인 공도터미널이 있기도 하고, 38번 국도와 경부고속도로를 끼고 있어서 그런지 교통망이 좋다.[7] 평택제천고속도로가 공도읍을 관통하고 있기는 한데, 공도읍 내에 나들목이 없다.[8] 퇴근 시간대 상당수의 차량이 공도읍내로 진입한다.[9] 용이리, 죽백리, 청용리, 소사리, 월곡리가 1983년에 평택시로 강제편입되었다. 당시 배 과수원과 논밭이었던 소사동, 용이동, 죽백동 등은 현재 전부 신도시로 개발된 상황. 그나마 평택세무서와 앞 배다리저수지만이 예전의 모습들을 보여주고 있다.[10] 그나마도 한경대, 시민회관은 일부 시간대만 정차한다. 시외에서 직행좌석환승할인적용되는 성남, 수원, 동탄 노선은 전시간대 정차[11] 다만 인근 천안 성환읍내와는 달리 재래시장이 없는 동네이다. 이는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도 마찬가지 재래시장 혹은 전통시장으로 갈려면 평택시내 혹은 안성시내로 나가서 이동해야한다. 다만 공도읍의 재래시장 역할은 만정리의 서안성하나로마트와 마정리 양기리 주변의 롯데마트 안성점이 그 대체역할을 하고 있다.[12] 안성IC 바로 옆, 평택시계로는 우림아파트에서 안성 나들목 진입도로[13] 승두리, 만정리[14] 안성 시내에서 평택으로 가는 길은 공도에 도착하기 전까지 중앙대학교 다빈치캠퍼스 정문 일대와 내리사거리 모박사를 제외하고는 논밭이다.[15] 진사리에서 50번 버스만 타도 환승 없이 다 돌수 있다...[16] 용두리에 위치해 있다는 이유로 국회의원 김학용이 용머리초등학교로 명명했다.[17] 버스 노선에나 남아있는 정도.[18] 땅을 잘 팔지 않는다고 소문난 안성 토박이들이기 때문에... 뭐 현재까지도 안성시 최대 실수로 남아 있다. 만약 에버랜드가 안성에 들었다면...[19] 참아름 2단지와 5단지만 존재하는 이유는 공도지구 형성 당시 지금의 어울림 1,2,3단지 자리에 모두 경기도시공사가 시공한 임대아파트들이 들어오려 했으나 기존 1,3,4단지 부지를 금호건설에 내주었기 때문이다.[20] 공제초등학교가 있을때까지 웅교리, 신두리 학생들은 목장길을 따라 고무다리길로 공제초등학교를 다녔다.[21] 안성 최고층[22] 2020년 기준[23] 평택 버스 3사인 협진여객, 서울고속, 평택여객의 기점이 용이동차고지, 월곡동차고지, 죽백동차고지라 대부분의 버스는 이 곳을 경유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06:23:55에 나무위키 공도읍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