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작자리

덤프버전 :


현대 88개 별자리 목록
국제천문연맹 공인


[ 펼치기 · 접기 ]

고래
고물
공기펌프
공작
궁수
그물
극락조
기린
까마귀
나침반
날치
남십자
남쪽물고기
남쪽삼각형
남쪽왕관
도마뱀
독수리
돌고래
두루미
마차부
망원경
머리털
목동
물고기
물뱀
물병
바다뱀
방패
백조
뱀주인
봉황
북쪽왕관
비둘기
사냥개
사자
살쾡이
삼각형
세페우스
센타우루스
시계
쌍둥이
안드로메다
에리다누스
염소
오리온
외뿔소
용골
육분의
이리
인디언
작은개
작은곰
작은사자
작은여우
전갈
제단
조각가
조각칼
조랑말
직각자
처녀
천칭
카멜레온
카시오페이아
컴퍼스
큰개
큰곰
큰부리새
테이블산
토끼
파리
팔분의
페가수스
페르세우스
현미경
헤라클레스
화가
화로
화살
황새치
황소
[국제천문연맹의 공인을 받지 못한 별자리]

파일:국제천문연맹 로고.svg
황도 12궁 / 밑줄 : 프톨레마이오스의 48개 별자리 /
※ 공인되지 않은 별자리의 경우 공식적인 한국어 명칭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알파벳 순서를 따른다.




공작자리
Pavo / Pav


파일:external/www.botproductions.com/chart_pav.gif

학명
Pavo
약자
Pav
주요 별 수
7
가장 밝은 별
Peacock (α Pav, 1.91 등급)
가장 가까운 별
SCR 1845-6357 (12.6 광년)
인접 별자리
망원경자리, 제단자리, 극락조자리, 팔분의자리, 인디언자리
관측 가능 여부
X*
*이론상 마라도에서 α성 Peacock을 관측 가능하나 사실상 불가능하다.

1. 개요
2. 상세
2.1. 항성
2.2. 딥 스카이 천체



1. 개요[편집]


Pavo / Pav

공작자리남반구별자리로 위치상 대한민국에서는 관측이 불가능하다.[1]


2. 상세[편집]


공작자리는 1598년 암스테르담에서 페트루스 플란키우스와 요도쿠스 혼디우스라는 두 측량가가 공동 제작한 35cm 천구의에서 처음 설정되었으며, 1603년 요한 바이어의 '우라노메트리아'에 수록되어 인정받게 된 것이 기원이다.

공작자리는 남반구 일부 지역에서 남쪽 방향을 찾는 데 쓰는 일종의 지표로 사용되기도 했으며, 호주에서는 이 별자리의 일부를 '소스 냄비'라고 부르기도 한다.

가장 밝은 별인 알파성 피콕을 제외하고는 모두 어두운 별들로 이루어져 있다. 형태상으로는 연결한 모습이 알파벳 W자를 그리고 있으며, 이 때문에 성도에 따라서는 수컷 공작이 날개[2]를 펴고 암컷에게 구애하는 모습으로 그리기도 한다.

별자리의 유래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으나, 네덜란드의 두 탐험가가 처음 만들고 이후 요한 바이어가 그 기록을 바탕으로 성도에 표시하면서 정식 별자리로 인정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 별자리의 델타성이 유명한데, 이 별은 우리 태양계에서 가까운데다 태양을 닮았으면서도 더 진행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잘 알려진 천체로는 카파성이 있으며, 이 별은 처녀자리 W유형의 변광성이다.

관련된 신화 자체는 없지만 공작은 그리스 신화의 여신 헤라를 상징하는 동물이다. 아르고스 신화를 이 별자리의 탄생설화로 여기기도 하는 만큼 독특한 일화는 없다시피 하다. 또한 극락조와 마찬가지로 대항해시대 이후 유럽에서 귀하게 여겨졌던 만큼, 당시 공작 무역이 활발했던 시대적 상황 또한 이 별자리에 공작이라는 이름이 붙게 된 이유 중 하나로 추측된다.

현재는 우리나라에서 사실상 관측이 불가능하지만 지구세차운동으로 남극성의 위치가 팔분의자리에서 카멜레온자리를 지나 용골자리로 바뀔때쯤이면[3] 우리나라에서 이 별자리의 전체를 관측할수도 있을 것이다.

보이저 2호가 현재 이 별자리 방향으로 항해하고 있다.

2.1. 항성[편집]


1756년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에 의해 24개의 별이 그리스 문자로 지정되었는데, 이중 μ(뮤) 별과 φ(파이) 별은 1번과 2번으로 나뉘어 있어 두 개고, ξ(크사이)와 ψ(프사이)는 지정되지 않았다. 그러다가 1879년 미국의 천문학자 벤자민 굴드가 χ(카이)별을 지정 해제시키고 ξ 을 새로 만들었다.
  • α Pav(Peacock, 피콕): 1.94등급으로 공작자리에서 가장 밝으며, 이 별자리의 북동쪽 끝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질량과 직경은 태양의 6배, 밝기는 태양의 2200배나 되는 B형의 준거성으로, 지구와의 거리는 약 179광년이다.
  • β Pav: 3.42등급으로 두 번째로 밝으며, 태양 질량의 2.51배나 된다. 현재 주계열 단계를 끝내고 거성으로 진화하는 준거성 단계를 밟고 있다. 분광형은 A5 IV이고, 지구와의 거리는 135광년이다.
  • δ Pav: 3.56등급으로, G형[4]의 준거성왜 이 별자리는 주계열성이 없고 준거성만 가득하지?으로, 질량은 태양의 99.1% 수준으로 거의 일치하고, 밝기는 1.24배 로 약간 더 밝아 태양과 매우 유사한 것이 특징이다. 지구로부터의 거리는 약 19.9광년으로 가까운 편에 속한다.[5]
  • λ Pav: 겉보기 등급이 4.00~4.26까지 변하는 변광성으로, 카시오페이아자리 γ 형 변광성에 속한다. 분광형은 B2Ve로 청백색을 띄고 있으며, '전갈자리-켄타우로스자리 성협' 이라는 OB 형 성협의[6] 일원이다. 지구로부터의 거리는 약 1400광년이고, 광도는 태양의 8450배나 된다.
  • κ Pav: 겉보기 등급이 9.1일을 주기로 3.91~4.78등급까지 변하는 변광성으로, '처녀자리 W 형 변광성'[7]에 속한다. 동시에 이런 부류의 변광성 중 가장 밝게 보이는 별이기도 하다. 이 별의 분광형은 F5~G5 정도로 추정되며, 지구와의 거리는 약 590광년이다.
  • NU Pav: 겉보기 등급이 4.91에서 5.26까지 변하는 변광성으로, 주기는 약 60일이지만 항상 지켜지지는 않는 준규칙 변광성에 속한다. 현재 분광형 M6 III의 적색 거성으로, 광도는 태양의 7400배나 된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460광년이다.

2.2. 딥 스카이 천체[편집]


공작자리는 은하수로부터 제법 떨어져 있어 산개성단 등 은하계 내부 천체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한 개의 구상성단이 존재하는데, 그것이 밤하늘에서 손에 꼽을 정도로 밝은그러나 한국에서는 볼 수 없어 많이 알려지지 않은NGC 6752 이다. 그 밖에도 몇몇 은하들이 존재한다.
  • NGC 6752: 겉보기 등급이 5.4에 불과한 매우 밝은 구상성단으로, 밤하늘에서 4번째로 밝은 구상성단이다[8]. 이 구상성단은 지름이 약 100광년에 100,000개 이상의 별로 이루어졌으며, 나이는 117억 8천만 년 정도로 추정된다. 이 구상성단은 지구와의 거리가 13,000광년으로 가까운 편에 속하기도 한다.[9][10]
  • NGC 6744: 겉보기 등급 9.14의 중간나선은하로 지구에서 3100만 광년 떨어져 있다. 허블의 은하 분류상으로는 SAB(r)bc 형이며, 처녀자리 초은하단에 속해 있다.
  • 콘도르 은하(NGC 6872): 겉보기 등급 10.69의 막대나선은하[11], 직경이 52만 2천 광년으로 발견된 가장 큰 나선은하 중 하나이다. 모습은 작은 중심핵 주위로 비정상적으로 긴 나선 팔 2개가 양쪽으로 뻗혀 있는 모습이다. 현재 IC 4970 렌즈형은하와 상호작용중이며, NGC 6872의 작용에 의해 IC 4970은 길쭉하게 늘여졌다. 이 은하는 지구로부터 2억 1200만 광년 떨어져 있다.
파일:NGC 6872.jpg
  • NGC 7020
  • IC 5052: 10.6등급의 막대나선은하로, 지구로부터 약 2500만 광년 떨어져 있다. 우리가 보는 방향은 이 은하를 수직 방향으로 바라보고 있어 은하면을 직접 볼 수 없으며, 그에 따라 자세한 허블 분류상의 위치도 불확실하다.[12] 이 은하의 또다른 특징은 특정 은하단이나 은하군에 속하지 않은 배경 은하라는 것이다.[13]

  • ORC1 : ORC는 Odd Radio Circle'의 약자로, '기묘한 전파서클'을 의미한다. ORC는 전파만으로 관측 가능한 천체로 알려져 있어 그 장소를 가시광선, 적외선, X선 등 다른 파장의 전자파로 관측해도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찾을 수 없다. 최근 재관측을 통해 ORC1의 원 지점을 확인했다. 약 10억 광년 떨어져있는 은하로 밝혀졌으며 생성요인은 확인이 되지 않았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13:08:16에 나무위키 공작자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론상 마라도에서는 알파성을 관측할수 있지만 뜨는 높이가 0° 1' 정도로 지평선에 붙어있는 수준이라 사실상 불가능하다.[2] 정확히는 꼬리깃.[3] 대략 4000년 후.[4] G8 IV형[5] 태양과 유사하다고 할 만한 별들 중에서는 가장 가깝다.[6] O형 주계열성B형 주계열성이 많이 분포한 성군을 의미한다. 참고로 이 전갈자리-켄타우로스자리 성협은 지구로부터 가장 가까운 성협이다.[7] 제 2형 세페이드 변광성의 일종으로, 분광형 F6~K2형에 주기는 10~20일 정도인 변광성이 여기에 속한다.[8] 이보다 밝은 구상성단으로는 NGC 5139, NGC 104, 메시에 22 뿐이다[9] 13,000광년이 먼 것 아니냐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대부분의 구상성단들은 은하 헤일로의 은하면으로부터는 먼 곳이나 은하 중심부에 포진해 있어 보통의 경우 지구로부터 수만 광년 혹은 그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부분의 극단으로는 살쾡이자리의 NGC 2419가 있는데, 지구와의 거리가 무려 30만 광년이다.[10] 이보다 더 가까운 구상성단은 M 4, M 22, NGC 6544, NGC 6397, NGC 6366, 2MASS-GC01 뿐이다.[11] 허블 분류상 SB(s)b pec 형[12] 단지 SBd형이라는 것까지만 알 수 있다.[13] 그러나 NGC 6744의 영향을 받기는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