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축구전용구장

(♥ 0)

||


파일:드래곤던전항공.jpg

전남 드래곤즈
광양축구전용구장
Gwangyang Football Stadium
위치전라남도 광양시 백운로 1641 (금호동)
준공1993년 3월 4일
애칭드래곤 던전
좌석 수10,073석
최다 관중23,152명
(2010년 3월 7일 vs 울산)
경기장 형태축구전용구장
전광판1세트 (문자, 최첨단 동영상 표출 가능)
소유포스코그룹[1][2]
운영(주)전남드래곤즈[3]


1. 개요
2. 역사
3. 교통
5. 같이보기



1. 개요[편집]


전남 드래곤즈의 홈구장.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건설한 축구전용구장이다. 애칭은 드래곤즈(용)에서 따온 '드래곤 던전'이다.

동광양 주민에게는 광양전용구장이 공설운동장 역할을 한다.


2. 역사[편집]


본래는 포스코 광양제철소 직원들의 체육 활동을 위해 포스코에 의해 건설한 구장이었고 1993년과 1994년에 포항제철 아톰스가 출장 경기를 하는 정도로 사용되었지만, 1995년에 전남 드래곤즈K리그에 참여하면서 홈구장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4]

파일:전남드래곤즈90년대경기장.jpg

포항스틸야드와 함께 중소도시의 가장 이상적인 구장 형태로 각광받고 있다. 광양시의 인구는 15만 명이고 인근의 순천, 여수를 합친다고 해도 70만 명 정도인데 초창기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전성기 시절에는 인구수 대비 관중 수에서 언제나 1위에 랭크되어 있고 평균 관중동원 능력도 최상위권에 든다. 바로 옆동네가 경남이기에 하동, 진주에서 많이 찾았다. 2010년대 이후로는 전남의 성적이 중하위권을 맴돌고 K리그2로 강등 당한 이후 승격을 하지 못하면서 예전의 만원 관중은 그야말로 옛날 옛적의 일이 됐다.

스틸야드가 원정의 무덤이라는 소리까지 듣는데 비해 여기는 그렇지 않다. 일단 해병대가 없다 또한 부분적인 리모델링이 계속되고 있긴 하나 전체적인 빈티지한 분위기가 특징인 구장이기도 하다. 오히려 소도시의 경우 대부분 종합 운동장을 홈구장으로 쓰는 다른 구단과 달리 전남은 소도시인데도 나름 아담한 전용 구장을 갖추고 있는지라 유럽 중소 도시 구단 느낌이 나기도 한다.


2022 시즌 시작 전에 구장 내 모든 좌석을 교체하는 대대적인 작업을 하면서 분위기가 많이 개선됐다.#
그러나 좌석 간격이 좁은 편이라 덩치가 작거나 어린이가 아닌 이상 불편하다는 이야기가 많다.

또한, 포항스틸야드처럼 지붕을 증축하면 더욱 이상적인 구상이 될 것이지만 예산 문제로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3. 교통[편집]


이렇게 경기장 자체는 나쁠 것이 없으나 접근성과 주변시설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스포츠 전문 잡지 스포츠온에서 선정한 대한민국 최악의 경기장 5위 내에 드는 수모를 당했다. 여기도 스틸야드처럼 제철소 안에 경기장이 있기 때문이다. 다만 포항의 경우 포항시 시내버스의 빗자루 배차에 해당하는 900번, 308번이 경기장 바로 앞을 지나가는 데다 결정적으로 포스코 본사 바로 앞에 있기 때문에 대중교통을 이용해도 크게 이용에 불편함은 없으나[5] 광양의 경우 이마저도 불편해서 접근성이 나쁠 수밖에 없다.

외지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면 리그 홈경기에 한해서(FA컵 등 기타 경기는 제외) 여수, 순천시까지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했다. 구단 웹 사이트의 경기장 문단에서 관련 내용을 찾아볼 수 있었다. 그러나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한국프로축구연맹이 관람 형태를 무관중으로 전환한 후 구단에서 운행을 중단했다. 유관중 재시행 이후인 2023년까지도 운행하지 않고 있다.

* 제철1문: 9, 87, 88
* 제철복지관: 87
* 제철보건소: 11-2, 88

* 제철운동장 / 제1정문:
88번 버스(광양교통, 광영고, 용지), 88번 버스(조선옥, 용지), 11-1(매화아파트.궁기)

* 금당쇼핑:
10번 버스(광양교통.창덕A.우림A.백운쇼핑), 10번 버스(매화A-창덕A-우림A-백운쇼핑), 86번 버스(옥곡정류장-궁기)


4. FIFA U-17 월드컵[편집]


경기 일자결과원정라운드관중
2007년 8월 19일16:00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2:1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D조 1차전8,500
19:00파일:일본 국기.svg 일본3:1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8,500
2007년 8월 22일17:00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1:1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D조 2차전4,500
20:00파일:일본 국기.svg 일본0:3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4,500
2007년 8월 25일 16:00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1:1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C조 3차전5,500
2007년 8월 29일 20:00파일:가나 국기.svg 가나1:0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16강전5,500
2007년 8월 30일 17:00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2:1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4,500


5. 같이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구단 기본 정보포스코 | 전남 드래곤즈 | 광양제철고등학교
구단 세부 정보선수단 | 역대 감독 | 유니폼
구단 역사역사역사 | ACL 기록
영광의 순간1997 FA컵 | 2006 FA컵 | 2007 FA컵
현재 시즌2021 시즌
경기장 관련 정보광양축구전용구장 | 순천팔마종합운동장
클럽하우스백운생활관
기타팀 컬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9-28 04:38:28에 나무위키 광양축구전용구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보통 기업구단의 경우 경기장을 건설, 기부채납 후 시가 이를 무상임대 하는 방식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참고로 현행법 상으로 기업이 경기장 소유하는건 가능하다. 다만 경기장을 소유하게 되면 세법상 비업무용 부동산으로 분류되는데 비업무용 부동산은 지방세법과 법인세법상 중과세 대상이 되어서 부동산 유지비가 폭등하게 된다. 때문에 기업 혹은 구단이 직접 소유하는 것보다 지자체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임대해 쓰는게 기업 입장에서는 훨씬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소유하지 않는 것이다. 경기장 항목 참조.[2] 다만 전남 드래곤즈는 기부채납은 아니지만 지방세 과세를 감당하고 있다. 비슷하지만 다르게 포항 스틸러스의 경우 기부채납이 아니면서 준공당시 관리위탁협약을 체결해 제세공과금과 유지ㆍ관리비 등 제반비용도 포스코가 부담하는 대신 포항시는 축구장이 공공시설이라 점을 감안해 지방세 과세를 유예받고 있어 재정적 부담없이 경기장을 소유하고 있다. # # #[3] 이쪽은 포스코그룹 소유의 경기장이라고 한다.영상 14분 17초부터.[4] 맨 처음에는 그냥 제철소 옆에 관중석도 없이 축구장만 덩그러니 있던 구장이었다. 그러다 그라운드에 관중석을 설치하는 등 전용 구장으로 건설한 특이 사례다. 완공하고도 2년간은 조명이 없다가 전남 드래곤즈가 참가하고 나서야 조명탑을 세웠다.[5] 주변 부대 시설이 없는 건 매한가지라서 미리 시내에서 먹을 것을 사가야 한다. 경기장 내의 매점을 이용해도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