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버스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직행좌석버스




1. 개요[편집]


광역버스에 대한 법제화된 정의는 없으나, 일반적으로 2개 이상의 시·도를 통과하는 노선을 운행하며 주변 도시와 대도시의 도심을 연결하는 버스를 가리킨다.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에 따른 직행좌석형 시내버스나 좌석형 시내버스도 여기에 해당하며 예전부터 운행되어 왔다. 2004년 7월 서울시에서 버스 운행체계를 간선버스·지선버스·순환버스 등의 기능별 노선으로 개편할 때 기존의 좌석버스와 직행좌석버스를 광역버스로 분류하지만, 법령상으로는 일단 이 광역버스들도 전부 직행좌석버스 또는 일반좌석버스에 해당된다.

2. 종류[편집]



2.1.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역버스(서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 인천광역시 시내버스[편집]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광역버스 노선

{{{#fff,#1f2023 [[틀:인천광역시 광역버스|
광역
]]ㆍ[[틀:인천광역시 좌석버스|
좌석
]]ㆍ[[틀:인천광역시 급행간선버스|
급행간선
]]ㆍ[[틀:인천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ㆍ[[틀:인천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ㆍ[[틀:인천광역시 마을버스|
마을
]]
[ 펼치기 · 접기 ]
서울역

[[광역급행버스 M6724|

M6724
]]


인천공항

강남역

[[광역급행버스 M6405|

M6405
]]

[[광역급행버스 M6439|

M6439
]]
(역삼역)

[[광역급행버스 M6450|

M6450
]]
(삼성역)

기타

[[광역급행버스 M6628|

M6628
]]
(신촌역)

[[광역급행버스 M6751|

M6751
]]
(공덕역)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4%"
7700
(화곡역)
{{{#!wiki style="margin: -6px 0"
인천공항행 노선 :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및 한정면허 노선
강남역행 노선 : 종점 뿐만 아닌 중간 정류장으로 경유하는 경우 포함
7700 : 별도의 등급과 운임 체계를 사용하는 간선급행버스 노선
검정 바탕에 하늘색 번호 : 국토교통부광역급행버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역버스(인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3.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편집]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

{{{#fff,#1f2023 [[틀:세종특별자치시의 BRT|
BRT
]]ㆍ[[틀:세종특별자치시의 광역버스|
광역
]]ㆍ[[틀:세종특별자치시의 간선버스|
간선
]]ㆍ[[틀:세종특별자치시의 지선버스|
지선
]]ㆍ[[틀:세종특별자치시의 마을버스|
마을
]]ㆍ[[틀:세종특별자치시의 두루타버스|
두루타
]]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목록


1000번, 1001번, 1004번, 1005번이 있다.


2.4. 양산시 시내버스[편집]


파일:양산시 CI_White.svg

[ 펼치기 · 접기 ]
리무진버스
KTX울산역 방면
3000
3100
직행좌석버스
배내골
부산 - 양산 - 울산
1000
2100
2300
양산 - 부산
1100
1200
1300
1500
일반버스
8
10[b]
11[b]
12[a]
13[d]
16
17[b]
순환20-1[b]
21[a]
23[a]
24
25
25-1
26
32
32-1
33
52[b] [d]
56[b] [d]
57[b] [d]
58
59
60[b]
61[b]
87[b]
113[b]
128
128-1
137[c] [d]
138[c] [d]
마을버스
웅상
웅상1
웅상1-1
웅상2[b]
웅상3
웅상4[b]
웅상5
웅상5-1[b]
웅진7
웅진8
웅진10
웅진11
법서14
웅진15[b]
웅진15-1
웅진16
법서17[b]
법서18
웅진21
웅진22
웅진25
동면
양산
하북
법서1
법서1-1
양산2
지산1
도시형버스
도시형 버스1[b] [d]
도시형 버스2[b] [d]
도시형 버스3[b] [d]
도시형 버스4[b] [d]
도시형 버스5[b] [d]
도시형 버스6[b] [d]
도시형 버스7[b] [d]
도시형 버스8[b] [d]

[a] 심야노선 운행 노선, [b] 환승시간 60분 적용 노선, [c] 환승시간 180분 적용 노선, [d] 환승횟수 2회 적용 노선




부산광역시와 울산광역시의 위성도시라는 특성으로 인해, 지방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수도권에 맞먹는 정도의 광역버스 노선이 존재한다. 광역버스라고 불릴 만한 노선은 1000번대 노선들인 직행좌석버스와 리무진버스를 합친 8개 노선이며, 이외에 일반적인 시내버스들을 포함하면 17개가 된다.



2.5. 계룡시 시내버스[편집]


파일:계룡시 CI_White.svg

[ 펼치기 · 접기 ]
급행좌석

좌석

일반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2%"
300



  • 2002(대전역 동광장 - 신도안) - 경익버스 : 대전시내버스 202번과 교차운행. 다만, 계룡시 구간을 벗어나는데 종점인 해미르아파트 기준으로 1시간 이상이 소요된다. 대대적인 노선개편이 필요한데 시에서는 개편할 생각이 없는 듯 하다. 이는 노선 선형이 기존의 202번을 그대로 따라가는데 기인한다. 금암동 구석구석을 훑고 지나가는데 이를 빨리 통과하려면 계룡역 출발을 기준으로 계룡시 원도심인 엄사까지의 최단 루트는 계룡역-계룡홈플러스-계룡대로-스타벅스 앞 신호에서 좌회전 후 엄사면 진입으로, 상당히 직선화되어 있는 반면 2002번은 202번과 마찬가지로 시내 한복판을 빙빙 둘러간다. 이는 심히 표정속도를 낮추는 문제점이므로 개선이 필요하지만 시에서는 개편의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대전권 최초로 고급좌석 차량을 사용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이지만, 표정속도 및 고속화도로 미경유 문제로 1001번 버스가 직행좌석버스에 좀 더 가깝다. 여담으로 오히려 직행좌석에 가까운것이 아이러니하게도 외곽버스 46번이다. 서대전IC에서 나가자마자 4번국도를 일직선으로 달려서 계룡역, 금암쪽을 전혀 들리지 않고 계룡대까지 내달린다. 종점부근에서도 군인아파트 부근과 인근 마을을 약깐 돌 뿐 농촌지역에서 장시간 이리저리 헤짚고 다니지도 않는다. 4번국도 연선에서는 승하차인원이 거의 없어 무정차 통과가 흔하며 탑승객도 많지 않아 전원 착석이 가능하니 생긴것만 초록색 외곽버스지 사실상 직행좌석버스다.

2.6. 대전광역시 시내버스[편집]


  • B1(1001)(대전역 - 오송역) - 대전BRT : 고급좌석 차량을 투입하고 자동차전용 고속화도로를 경유하여 대전권에서 직행좌석버스의 특징에 가장 부합하는 노선이다. 다만 세종특별자치시 BRT의 일부이기 때문에 세종시 내에서는 도시철도와 같이 정차역이 많다.
  • 1002(충대농대 - 반곡동) - 대전교통 > 대전승합 : 광역버스 등급으로 운행하지만 도시형 입석차량을 투입하고 요금도 일반 시내버스와 동일하다. 그러나 반석역 ~ 세종터미널 간 도로에서 BRT 차로로 무정차한다는 점 때문에 광역버스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현존하는 두 노선 모두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의 광역버스 노선체계인 1000번대 노선을 따라 개설되었으며, 따라서 세종특별자치시 BRT나 세종시 시내버스의 차고지를 공용한다. 세종시 광역버스가 도시형 입석차량을 투입하기 때문에 두 노선 모두 초기계획에서 저상버스를 사용할 예정이었으나, B1번이 자동차전용도로를 경유하여 입석이 금지되면서 고급좌석 차량을 사용 중이다.

그 외에도 대전복합터미널에서 출발하여 공주, 금산으로 가는 노선 등 근거리 시외버스가 실질적인 광역급행버스의 역할을 한다.


2.7. 청주시 시내버스[편집]


B3번이 있다.


2.8. 광역급행버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역급행버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9. 광주광역시 시내버스[편집]


공식적으로 광역버스라 불리는 버스는 없으나, 급행좌석버스 좌석02번광주광역시의 중심지를 지나며 동곡 ~ 전력거래소(나주혁신도시) 구간에 한해 13번 국도49번 지방도를 무정차로 운행하면서 시 경계를 넘나들기 때문에 광역버스의 정의에 가장 가깝게 운행한다. 요금도 타 시내버스 노선에 비해 비싸다.


2.10. 전라남도 시내버스[편집]


신안군의 경우 1004번, 2004번, 3004번을 노선등급을 광역버스로 해놓았다. 해당 노선에 들어가는 차량들은 좌석형 시트에 안전벨트를 적용하였으며, 입석금지를 시행한다.

순천과 여수를 오가는 여수 330번, 순천 960번, 광양과 여수를 오가는 광양 270번이 광역시내버스라는 이름으로 운행중이다.

이외에 광역버스는 아니지만 광역버스 꼴을 갖춘 노선으로 전라남도 시내/농어촌버스로는 드물게 광주대구고속도로를 경유해 무정차 구간이 매우 긴 담양 311번, 49번 지방도13번 국도를 따라 무정차 구간이 긴 편인 나주 1160번 등이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23:33:38에 나무위키 광역버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