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

덤프버전 :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5.18 민주화운동

[ 펼치기 · 접기 ]
전개
5.17 내란 · 배경 및 전개 · 계엄군의 학살
관련 인물
및 단체

진압 및
왜곡 관련

전두환 · 노태우 · 정호용 · 황영시 · 이희성 · 최세창 · 박준병 · 하나회 · 주영복 · 신군부 · 지만원 · 김대령 · 이주천 · 서석구 · 김진태 · 이종명 · 김순례
저항 관련
윤상원 · 박남선 · 정상용 · 조비오 · 박관현 · 윤한봉 · 김완섭 · 광주시민 · 투사회보 · 시민군
목격자
위르겐 힌츠페터 · 헤닝 루모어 · 인요한 · 김영택 · 김사복 · 조갑제 · 정동영 · 서청원 · 서정갑 · 심재철
피해자
사상당한 경찰과 시민 · 김경철
사건 사고
5.18
관련

주남마을 버스 총격 사건 · 광주교도소 습격 조작 사건 · 전두환의 김대중 내란음모 조작 사건
광주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 ·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 · 서울 미국문화원 점거농성 사건
일반
임을 위한 행진곡/논란 · 광주 폭격 시도 논란 · 전두환 손자 폭로 사건 (전우원)
왜곡 관련
5.18 민주화운동/왜곡 (북한개입설 · 무장폭동설) · 광주민주화운동 진보편향 명칭설 · '5.18 광수' 날조 논란
5.18 연고대생 북한간첩설 · 5.18 북한개입설 보도사건 (채널A · TV조선) · 자유한국당 공청회 5.18 망언 논란 · 전두환 회고록
기타
창작물에서의 묘사 · 5.18 사적지 · 광주민주화운동진상조사특별위원회 · 5.18 특별법 · 5.18 관련 의문점 · 임을 위한 행진곡 · 화려한 휴가 · 택시운전사 · 오월의 노래 · 오월의 청춘 · 검정 고무신과 함께 하는 기영이의 5.18 여행 · 관련 자료김남주




파일:광주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jpg
사건 당시 사진[1]

1. 개요
2. 전개 과정
3. 사건 이후
4. 참고 외부 자료
5. 유사 사례


1. 개요[편집]


1980년 12월 9일 5.18 민주화운동의 진압에 대한 미국의 책임을 규탄하겠다며 사회운동가들이 광주 미국문화원[2]에 불을 지른 방화 사건. 이후 우후죽순 일어나는 1980년대 반미 운동의 서막을 알린 사건이다. 광주지역의 가톨릭 사회운동가들이 주축이 되었다.

2. 전개 과정[편집]


"광주가 아직 살아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으나 역량은 턱없이 부족하고 적은 수로 할 수 있는 일을 찾아야 했다. 5.18의 배후인 미국을 상징하는 미국문화원을 타격해 국내외에 알려내자고 제안한 것이 계기가 됐다.

사건 관련자 임종수의 증언#


5.18 당시 몇몇 광주 시민들은 민주주의 국가인 미국이 자신들의 항쟁을 지지하고 전두환을 몰아낼 것이라고 기대했지만 미국은 도움은커녕 계엄군의 진압에 대해 별다른 문제의식이 없었다. 그도 그럴 것이 미국은 한국뿐만 아니라 다른 아프리카나 남미 등지의 몇몇 친미 독재 정권에 대해서 비슷한 태도를 취했다. 이들 모두는 냉전 시대에 제1세계에 소속되었기 때문에 그들이 무너지면 공산화가 진행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으며 대한민국은 미국의 동맹국이지 그들의 생각과 달리 미군이 지배하는 속국이 아니기 때문에 내부 정치상황에 대해 미국이 이래라 저래라 할 권한도 의무도 없는 것이 현실이었고 내 편을 들어주지 않았다고 테러를 가하는 것은 넌센스였다.

미국의 행태는 민주화운동 세력과 운동권에게는 커다란 충격과 배반감을 안겨주었다. 특히 5.18을 온 몸으로 겪은 광주의 사회운동가들에게는 더욱 그랬다.[3] 그러나 5.18 민주화운동에서 보여준 미국정부의 침묵(혹은 묵인)은 수많은 이들에게 엄청난 충격으로 다가왔는데 미국에 대한 기대가 헛된 짝사랑에 불과했다는 것인 줄 알아 배신감에 휩싸인 운동권, 민주화운동가들은 미국과 미국으로 대변되는 자유민주주의의 이상에 대한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4]

그리고 그 중에 가톨릭농민회 광주분회의 회원들이 있었다. 회원이었던 정순철, 김동혁, 임종수는 12월 6일 회합을 가지고 미국에 대한 항의와 규탄을 위해 12월 9일 광주 미국문화원의 방화를 공모했는데 여기에 가톨릭농민회 회원 윤종혁과 박시형이 합류했다. 5명의 일행은 12월 9일 밤 9시 30분 경에 휘발유, 석유, 펜치 등을 들고 미국문화원 건물로 향했다. 당시 광주 미국문화원 건물은 옛 전남도청(현 아시아문화전당) 옆에 있었고 기와지붕으로 된 단층 건물이었다. 다섯 중 셋은 망을 보기로 하고 나머지 둘(정순철, 임종수)은 불을 지르기 위해 건물 지붕으로 올라갔다. 당시 미국문화원 건물은 기와 형태로 지붕을 만들어 놓았는데 방화자들은 기왓장을 몇 장 빼내고 건물 안에 기름을 부었으며 시멘트 포대 종이를 말아 불을 붙여 떨어뜨리자 건물 곳곳에 불이 타올랐다. 방화 후 일행은 모두 현장을 무사히 빠져나가 약속한 장소에 합류하고 일단 헤어졌다.

방화 직후 처음 사건이 보도되었을 때 언론은 이 사건의 원인이 '전기누전으로 인한 화재'라고 밝혔다. 즉 의도적인 방화임을 언론에서 알지 못한 것. 이들은 타 도시에서도 똑같은 수법으로 거사를 치르고자 했으나 농민대회를 준비하던 임종수가 검거됨으로써 덜미를 잡혔다. 임종수가 자포자기하는 심정으로 사건의 전말을 털어놓고 만 것이었다. 그리하여 김동혁과 박시형은 체포되었고 정순철과 윤종형은 도망갔다. 이후 이들은 경찰에 의해서 체포되었는데 정순철은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과 관련해서였다. 사건 관련자들은 미국문화원에 불을 지른 이유는 5.18의 진상규명과 전두환 일당을 비호한 미국의 책임을 묻기 위해서라고 말했으나 경찰은 당시 관행대로 대학생임을 감안해 과다한 형량이 되지 않도록 이들의 행위를 그저 우발적 행동으로 다루었다.[5] 그리고 사건의 파급력을 걱정하여 수사과정도 극비리로 진행하였다. 사건 관련자 임종수가 미국문화원 지붕 위로 현장검증을 나갔을 때 이 사실을 알지 못한 문화원 직원이 의심하자 옆의 경찰들이 조사차 이곳으로 왔다고 말할 정도였다. 덕분에 이 사건은 묻혔다. 이후 재판에서 임종수는 징역 2년 6개월, 정순철은 징역 5년 6개월, 나머지는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일반인이었다면 사건의 성격 특성상 이 정도로 가벼울 수는 없었을 것이다. 미국 문화원에는 미군부대와 달리 공부하러 오는 대한민국의 일반 시민과 학생도 많았기 때문이다.

3. 사건 이후[편집]


이 사건의 여파로 2년 후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이 터졌다. 사건 관련자였던 정순철은 3천만 원의 거금이 달린 현상수배범이 되었는데 그의 지명수배 전단을 본 김현장이 힌트를 얻어 사건의 발생에 영향을 끼쳤다고 한다.

사건 관련자 5명 중 김동혁과 정순철은 고문 후유증으로 세상을 떠났고 윤종혁은 함평군의원을 지냈으며 박시형은 농부가 되었고 임종수는 광주시청 공보실 공무원으로 일하고 있다.

사건 이후 광주 미국문화원은 광주지역 운동권의 단골 시위 장소가 되었다. 1982년에는 방화가 다시 일어났고 1985년에는 대학생들이 점거 농성을 벌이기도 했으며 1988년에는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학생이었던 안내상이 시한폭탄을 설치했으나 불발되었고 이후 자수하는 사건도 벌어졌다. 1980년대 내내 30건이 넘는 시위 밎 방화가 그곳에서 발생했고 1989년 5월 광주 미국문화원은 잠정 폐쇄되었다.

4. 참고 외부 자료[편집]


사건 관련자들의 증언


5. 유사 사례[편집]


  •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6] (1982)
  • 대구 미국문화원 폭발 사건 (1983)
  • 서울 미국문화원 점거농성 사건 (1985)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23:38:00에 나무위키 광주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사진 왼쪽의 불타고 있는 차량이 1986년에 출시된 대우 르망인 것을 보아 이 사진이 촬영된 날짜는 1980년 이후 추가 방화가 일어났던 1987~89년 사이일 것이다. [2] 광주광역시 동구 황금동에 있었으며 현재는 철거되어 주차장이 들어섰다.[3] 사실 1970년대까지 한국의 운동권, 반독재 민주화운동의 주류는 미국식 자유민주주의 체제에 대한 믿음이 확고했다. 특히 인권외교를 표방한 지미 카터 정권이 박정희 정권과 대립하면 모양새를 보면서 미국에 많은 희망을 가졌다. 실제로 5.18 이전 운동권에서는 자유주의 계열의 존 롤스의 책을 주로 읽었고 일부가 종속이론을 관심을 가지는 정도였으며 카를 마르크스의 사상이나 사회주의를 학습하는 사람은 극소수였고 반미 구호는 눈씻고 찾아봐도 없었다.[4] 이러한 인식 아래 80년대 운동권은 반미와 사회주의 사상에 관심을 가졌으며 초보적인 수준의 마르크스 원전 읽기를 시작으로 레닌주의, 마오쩌둥 사상, 주체사상, 신좌파, 종속이론 등 전세계의 오만가지 혁명이론을 수입해서 한국 현실에 맞게 재조립하기 시작했고 거진 7~8년간의 이론 투쟁 끝에 결국 운동권은 민족해방을 내세우는 주류 NLPDR과 노동자계급혁명을 주장하는 비주류 PD로 재편되었다.[5] 참고로 경찰의 이러한 행위는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 이후에도 똑같이 일어났다. 이 사건에서도 관련자들의 방화는 5.18과 연관이 있었건만 경찰은 이 연관관계를 거부했다.[6] 하지만 이쪽은 운동권에 의한 것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