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버스 대촌71

덤프버전 :





파일:대촌71.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지선버스 대촌71번
기점
광주광역시 남구 구소동(구소)
종점
광주광역시 서구 양동(양동시장역(천변))
종점

첫차
06:20
기점

첫차
07:30
막차
21:20
막차
22:10
배차간격
150~200분(1일 6회)
운수사명
을로운수
인가대수
1대
노선
구소 - 학촌 - 화장앞/뒷길 - 시산 - 마현 - 석교삼거리 - 용두입구 - 서창치안센터 - 불암- 대동고 - 풍암저수지 - 원광대한방병원 - 백운초교(남) - 우진아파트 - 천교 - 양동시장역(천변)


2. 개요[편집]


을로운수에서 운행 중인 지선버스 노선 중 하나.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33번(신창동 - 제2광천교 - 돌고개 - 까치고개 - 풍암지구 - 서창동 - 구소)이 전신이다. 풍암지구가 개발되기 전부터 회재를 넘어 매월동, 서창동을 거쳐 구소동으로 가던 나름대로 역사가 깊은 노선이다. 나중에(시기 미상) 광천동에서 기점으로 변경되고 2004년에 다시 양동시장에서 회차하는 것으로 최종 변경되었다.

  • 2006년 개편 때 번호가 대촌71번으로 바뀌었으며, 신암마을을 경유하지 않고 바로 회재로 가도록 바뀌었다.


4. 특징[편집]


  •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중 이용객 수(순수 이용객, 환승 이용객, 광역환승 이용객)가 뒤에서 3위다. 그래서 1대로만 운행해 배차간격도 2시간 반이 넘는다.

  • 풍암지구(신암마을) 경유 노선들이 하나같이 신암마을을 거쳐 우회하는데 비해, 이 노선만큼은 신암마을 아파트단지를 거치지 않고 바로 회재로를 직진한다.

  • 회재로 직선화도로로 가지 않고, 여전히 구도로(불암길)을 경유한다.(불암마을 정류장을 경유하는 유일한 노선)

  • 송정99번, 대촌270번과 더불어 용두입구~학촌 구간을 운행하는 세 노선 중의 하나며, 이 세 노선 모두 1대로만 운행하므로 운행시간표를 보고 이용해야 한다.[1][2][3]

  • 위 사진처럼 행선지에 서창농협이 있는데, 해당 농협은 서구 서창동 소재 서창농협 서창지점을 의미한다. 금호동에 소재한 서창농협 정류소[4]는 서창농협 본점이다. 헷갈리지 말아야한다.

  • 을로운수 최초의 개선형 그린시티 차량이 운행 중이었으나, 그 차량은 금남55번으로 가고 드디어 이 노선도 2020년 10월 11일부터 20년식 카운티 뉴브리즈 디젤 차량이 투입되었다. 같은 회사에서 운행하는 봉선76번도 같이 출고된 동일 차종으로 대차되었다. 광주시내버스 노선 중에서 수요가 극히 적은 노선의 준중형화가 이제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 구소동 종점에서 조금만 아래로 가면 나주시 산포면 경계를 지나서 내촌 정류장이 나오는데, 시간만 맞는다면 여기서 나주교통의 남평행 202번 농어촌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4.1. 시간표[편집]


광주 버스 대촌71번 운행시간표
일자 불명 / 출처
횟수
구소
양동시장역(천변)
1
06:20
07:30
2
09:20
10:50
3
12:40
14:20
4
16:30
17:30
5
19:00
20:00
6
21:20
22:10



5. 연계 철도역[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00:40:05에 나무위키 광주 버스 대촌7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특히 이 구간은 길이 매우 좁고 굴곡이 심해서, 농어촌 버스인마냥 저속 운전한다. 어느 정도냐면 이 구간을 지나가는 동안 40km/h를 넘은 적이 없다. 그 정도로 운전하기 꽤 어려운 곳인지라 겨울철에는 버스가 결행하는 경우가 많다.[2] 결행 시 혹은 버스를 놓칠 경우, 학촌까지 걸어나와서 대촌70번을 이용하거나 반대쪽으로는 용두입구까지 걸어나와서 매월61번, 대촌69번 등 다른 노선을 이용할 수는 있으나 이 노선들도 자주 오는 노선이 아니며 도보구간이 꽤 길기에 시간적 여유가 없거나 동절기 눈오는 날 결행할 때가 아니라면 그냥 시간 맞춰서 저 오지노선들 타는게 낫다.[3] 세 노선을 모두 끌어모으면 배차간격이 30~60분가량으로 좁혀지긴 한다. 사실 '용두 입구~학촌' 구간을 가는 버스를 탈 일이 생긴다면 시골 도로의 진수를 맛보는 거에 위안을 삼도록 하자.[4] 이 정류소를 지나는 노선은 매월 16번, 진월 17번, 진월 75번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