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버스 진곡196

최근 편집일시 :






파일:JK196_NB090.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외 요금표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지선버스 진곡196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광주 진곡196 노선도.png

기점
광주광역시 광산구 고룡동(진곡산단)
종점
전라남도 나주시 대호동(동신대학교, 정렬사사거리)
종점

첫차
06:00
기점

첫차
06:00
막차
22:00
막차
22:00
평일배차
17~24분
주말배차
24~30분
운수사명
라정시내버스
인가대수
10대[1]
노선
진곡산단 - 한국알프스 - 수완진흥더루벤스 - 장덕마을 - 농수산물유통센터(서) - 운남삼성아파트 - 월곡시장 - 광산중 - 송정IC - 광산구청 - 광주송정역 - 송정초교 - 부대후문 - 상선 - 동곡 - 용봉입구 - 노안남초교 - 동신대학교 - 정렬사사거리



2. 개요[편집]


라정시내버스에서 운행 중인 시계외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555번 좌석버스가 전신이다. 1983년에 광주시 최초의 좌석버스로 신설된 555번은 구 5번(송정리-방림동)의 좌석버스 버전으로, 송정리(현 도산동 종점)에서 증심사까지 상무대로를 통해 시내로 진입했다. 이후 1997년 7월에 노선번호를 기점-경유지-종점에 맞추면서 511번으로 바뀌었으며, 1998년 10월에 다시 555번으로 환원되었다.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이 생기기 전까지 5번, 6번, 21번, 160번, 583번, 666번, 777번[2] 등 무수히 많은 노선[3]들과 함께 송정리와 광주를 이어주던 빗자루 노선이었다. 광주 1호선조차도 555번과 유사한 선형으로 노선이 계획됐을 정도로 수요가 많았다.


  • 555번은 나주까지 경로를 연장하였고, 이때부터 나주와의 악연은 시작되었다. 문제는 반대급부로 광주역까지만 다니던 160번도 문흥지구에 차고지를 만들어서 노선을 연장했던 것. 그런데 160번은 당시 고급좌석버스에나 썼던 BH115H, 에어로 스페이스 LD 등으로 다녔는데도 일반시내버스 요금을 받아 승객들이 점점 160번으로 몰리기 시작했다.

  • 결국 시내일반버스로 전환되었고, 5번과 666번이 칼질당하기 시작하고 지하철 개통 후 광송간도로의 패자의 지위를 잃기 시작하면서 555번은 사양길을 걷기 시작한다.


  • 이후 잉여노선이 되어 존재감이 사라지고, 아주 잠깐동안 상무02번, 문흥39번[4]과 통합돼버리는 운명을 겪다가, 다시 도산동 종착으로 환원된다.[5] 이후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의 송정리 구간이 개통되면서 하남으로 연장되었는데, 지하철이 닿지 않는 하남지역 주민들이 지하철을 이용하기 위해 송정29번마을버스로 몰리면서 송정196번은 이를 분담하는 노선으로 탈바꿈하게 된 것이다.


  • 굴곡 개선을 위해 2011년 4월 30일 개편 때 '광산구청 - 광주송정역 - 신동사거리 - 도산역 - 공군부대 - 상선' 구간이 '광산구청 - 광주송정역 - 금강1길 - 송정초교 - 도산동주민센터 - 송정호반 - 공군부대후문 - 상선'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5년경에 다시 차량 재분배를 하여 라정시내버스가 단독 배차를 하게되었다.

  • 2016년 10월 22일에 문흥18번과 함께 진곡산단으로 연장되었다.

  • 2017년 2월 25일 개편 때 권역을 송정196에서 진곡196으로 바뀌었고, '정렬사사거리 - 금성고 - 성북육교 - 나주경찰서 - 나주버스터미널' 구간이 단축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그런데 진곡산단으로 연장된 만큼 단축된 수준이라 사실상 운행거리는 '체육공원 - 터미널' 시절과 큰 차이는 없다.


4. 특징[편집]


  • 좌석버스 시절에는 수요가 많았다가 일반버스로 전환되고 노선 개편을 거쳐서 수요가 줄었다는 점은 부산301번과 흡사하다.

  • 원래는 광신고속 160번과 경쟁했던 노선으로 추가요금을 받지 않았으나, 지하철 승객이 증가해 시외 요금을 받게 되었다.

  • 도로체계로 인해 160번과 다르게 동신대 방향으로 갈 때는 노안면 내부 구간(구. 노안역)을 경유하지 않으므로, 노안면 내부로 들어갈 승객은 160번을 이용해야 한다.

  • 160번과는 다르게 13번 국도에서 천천히 운행한다. 160번보다 5분 먼저 출발해도 얼마 못 가 따라잡힐 정도.

  • 회차는 나주 동신대 교내에 있는 버스 주차장에서 한다.


4.1. 시외 요금표[편집]


거리비례요금을 받을 때 방향에 따라 약간 다르다. 광주에서 나주를 갈 때는 일단 그냥 승차, 하차시 앞문에서 태그를 해서 추가요금을 받는다. 반대로 나주에서 광주를 갈 때는 자기가 갈 행선지(나주인지 광주인지)를 말하면 그에 맞게 요금을 따로 낸다. 일부 전남권 노선이 무지막지하게 긴 경우를 제외하고는 (화순방향의 200번대 중 사평, 능주등지 방향이나 228번(구.지원151), 지원152번 등 같은 방식으로 받는다. 괄호 안은 교통카드 요금

  • 성산마을 ~ 노안남초교 = 성인: 1,500원(1,350원), 청소년 : 1,100원(900원)
  • 동산마을 ~ 산정(나주) = 성인: 1,600원(1,450원), 청소년 : 1,150원(950원)
  • 천동입구 ~ 정렬사사거리 = 성인: 1,800원(1,650원), 청소년 : 1,250원(1,050원)


5. 연계 철도역[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12-25 10:20:50에 나무위키 광주 버스 진곡196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23:51:12에 나무위키 광주 버스 진곡196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공휴일 9대.[2] 좌석 시절에는 내상로로 다녔다.[3] 이후 160번을 견제하기 위해 만들어진 60번, 이후 1001번이 추가되면서 광송간 도로의 빗자루 전쟁은 더욱 가속되었다.[4] 당시엔 송정39번으로, 오늘날의 송정19번과 도플갱어급으로 닮은 노선이었다.[5] 사유는 광신고속의 반발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