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버스 1187, 1187-1

덤프버전 :






파일:1187번 5222.jpg


파일:C0kYFMM.jpg

1187번.
1187-1번.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지선버스 1187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광주 1187 노선도.png

기점
광주광역시 서구 덕흥동(덕흥동)
종점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원효사)
종점

첫차
06:20
기점

첫차
06:20
막차
22:00
막차
22:00
배차간격
23~30분
운수사명
대원시내버스, 동화운수, 삼원운수
인가대수
8대[1]
노선
덕흥동 - 유덕동행정복지센터 - 극락초교 - 광천 e편한세상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신세계백화점 - 그린파크 - 북광주수협 - 광주역(동) - 중흥1동행정복지센터 - 금남로4가역 - 국립아시아문화전당(구.도청) - 동구청 - 법원입구 - 장원초교(서) - 제4수원지 - 충장사(남) - 무등산국립공원(원효사)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지선버스 1187-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광주 1187-1 노선도.png

기점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원효사)
종점
광주광역시 동구 장동(전남여고)
종점

첫차
07:38
기점

첫차
07:00[2]
막차
17:20[3][4]
막차
16:30[5]
평일배차
미운행
주말배차
20~25분
운수사명
세영운수
인가대수
3대[6]
노선
무등산국립공원(원효사) - (1187과 동일) - 동구노인종합복지관 - ( ← 동구청 ← 문화전당역 ← 국립아시문화전당(구.도청) ← 5.18민주화운동기록관 ← ) - 전남여고


2. 개요[편집]


광주 도심과 무등산국립공원 원효사를 잇는 노선이자 228번, 419번, 518번과 더불어 노선번호 부여법칙을 따르지 않는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18번 시내버스(신창동 - 광주역 - 전남여고 - 농장다리 - 원효사)가 전신이다. 당시에는 호남대 광산캠퍼스에서 구.도청을 거쳐 무등산으로 올라가던 777번 좌석버스가 있었기 때문에, 배차간격이 50~60분으로 크게 길었다.

  • 광주시에서 좌석버스가 쇠퇴해감에 따라 777번도 이런 흐름을 버티지 못하며 입석버스로 전환되는 동시에 노선이 크게 변하게 되었다.

  • 2004년 개편 때 777번의 종점이 지산유원지로 바뀌고, 18번은 구.도청으로 단축된 동시에 번호가 1187번으로 바뀌었다. 이 때는 10개 회사가 모두 운행하기도 했다.



  • 광천동 회차지 문제로 인해 2017년 노선 개편안에서 덕흥동까지 연장할 계획이 있었다. 관련 기사 그러다가 광천동 차고지가 패쇄되는 2017년 8월 28일부터 덕흥동에서 회차한다고 한다. 하지만 광천동 ~ 덕흥동 구간은 공차운행한다. 화순교통 때문에 그런 조치를 한 듯 싶다.

  • 2018년 3월 2일 노선이 덕흥동으로 공식 연장되었다.

  • 2019년 7월 4일부터 농성지하차도 확장으로 차선이 짧아져, 농성교차로에서 좌회전해와 그린파크 방향으로 갈 수가 없게 되었다. 그로 인해 원효사 방향만 유스퀘어→현대자동차→광천초교→농성1동주민센터→그린파크로 경로가 변경되었다.[7] 그러다 2020년 5월 1일부로, 양방향 정상 운행으로 환원하였다.[8]

  • 2020년 6월 27일부터 원효사 방향에 한해 기존 건강협회 사거리에서 좌회전 후 무정차로 통과하였던 농성파출소(2055)와 서구청(2050) 정류장을 추가로 정차한다.

  • 2020년 8월 둘째 주에 발생한 광주지역 집중호우의 여파로 '충장사 ~ 원효사' 구간의 일부 도로가 유실 및 파손됨에 따라 1187번은 8월 12일 부터 단축 운행에 들어갔다가, 8월 22일 19시를 기해 정상 운행에 들어갔다. 본래 주말에만 운행하던 1187-1번의 경우 같은 사유로 2020년 8월 16일부터 운행이 중단되었으나 8월 29일부로 운행이 재개되었다.

4. 특징[편집]


  • 1187번은 광주광역시의 유명 관광지이자 상징 중 하나인 무등산의 해발 고도가 1,187m이라서, 이를 상징하기 위해 붙여진 번호다.

  • 무등산으로 가는 노선들은 많지만, 1187번대를 제외하면 전부 증심사로 간다.

  • 산수오거리에서 원효사까지 상당히 깊숙히 들어가는 덕분에 행락철에는 많은 등산객들로 인산인해를 이룬다. 주말에 타게 된다면 가능한 이른 시간에, 기점과 가까운 유스퀘어, 광천동 쪽에서 타는 것을 권장한다. 이로 인해 주말에는 주말에 운행하지 않는 3대를 가져와서 임시노선인 1187-1번을 운행한다.

  • 버스가 자주 안 오는 임동 자동차거리와 양동 주공아파트 지역에서 시내를 이어주는 역할도 한다.

  • 금남로 일대에 행사가 있어 통제될 경우 보통 금남로4가역 ~ 예술의거리입구 ~ 전남여고 ~ 동부노인복지회관 구간으로 우회한다. 다만, 2017 충장축제 때 수창초교 정문까지 통제됨에 따라 롯데백화점 광주점을 거치지 않고 대인광장 ~ 동부소방서 ~ 전남여고 ~ 동부노인복지회관 구간으로 우회했다.

  • 1187-1번도 주말에 행사가 있을 경우 조정되는데, 전남여고>동부소방서>대인광장(2곳)>롯데백화점>5가역, 4가역>예술의거리입구>전남여고 순으로 루프한다.

  • 이 노선도 산을 오르내리는 노선인 만큼 급커브가 상당히 많은 노선. 대신에 산수오거리에서 출발하여 무등산으로 올라가는 도로 구간은 드라이브 명소로 손에 꼽는 명구간인 만큼 혼잡한 도심을 벗어나 자연을 느끼기에 안성맞춤인 노선이다. 그러나 급경사 구간을 오르내리는 만큼 눈 내리는 날에는 '덕흥동 ~ 산수오거리' 구간만 운행하며 1187-1번의 경우 아예 결행한다.

  • 윗 노선 틀에서 1187번과 1187-1번은 해당 4개사가 각각 운행한다고 써져 있지만, 무등산 정상 개방 등의 성수기 때는 대창운수, 을로운수 등 전혀 관련이 없는 회사도 지원 운행하는 경우도 있다.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광주 도시철도 1호선 : 문화전당역, 금남로4가역[9], 금남로5가역, 농성역
  • 일반 철도역 : 광주역(ITX-새마을, 무궁화호, 통근열차)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23:38:27에 나무위키 광주 버스 1187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대원시내버스 2대, 동화운수 3대, 삼원운수 3대.[2] 첫차를 포함해 2, 3회차(07:20, 07:40) 출발 차량은 편도 운행[3] 정상 개방 시 18:20[4] 오후 4시 30분 출발 차량 부터는 편도 운행.[5] 순환형 노선이기 때문에 단정하기 어렵다. 원효사 출발 16:05 차량이 막차이니 주행 시간을 고려하여 참고하자. 카카오버스 앱에서는 막차가 518민주화운동기록관 정류소를 16:33에 통과하는 것으로 조회된다.[6] 정상 개방 시에는 추가 증차 운행한다.[7] 우회운행 구간은 무정차, 덕흥동 방향은 그대로 운행[8] 하지만 특성상 건강협회사거리에서 노선버스에 한해서 좌회전이 허용(그 외에는 좌회전 금지)되지만 상공회의소는 정차하지 않는다.[9] 이상 2개역 1187-1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