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령관

덤프버전 :


  • 한자: 敎育司令官
  • 영어: Education and Training Commander

1. 개요
2. 특성
3. 해당 직위
4. 관련 틀


1. 개요[편집]


교육사령부를 지휘하는 사령관으로 보통 육해공 중장이 보임된다. 해공군은 간혹 소장이 보임되기도 한다.


2. 특성[편집]


기행부대에서는 군수사령부와 더불어 가장 높은 편이다. 단 육군은 규모가 커서 군수사령관이 중장일 뿐 공군과 해군에서는 소장이 군수사령관이다.[1] 사관학교장과 계급은 같지만 순수 장교만 육성하는 사관학교와 달리 장교 뿐만 아니라, 부사관, 병까지 모두 육성하는 교육사령부 특성상 교육하는 인원은 월등히 많은 편이다. 특히 육군교육사령관은 1년에 20만이 넘는 인원이 자기 휘하 부대에 들락날락한다. 육군에서는 한직으로 취급되어 교육사령관이 되면 더 이상 진급 가능성이 없다고 봐도 된다.

대한민국 해군대한민국 공군의 경우, 2004년 9월말 교육사령관이 중장 보직으로 격상되었다. 다만 해, 공군은 중장의 수가 몇 명 되지 않기 때문에 사고, 비리 등으로 중장 자리에 결원이 생기면 다른 중장 보직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급한 교육사령관 보직에 소장이 보임되거나[2] 현 교육사령관을 중장 2차 보직으로 보낸 뒤 소장을 중장으로 진급시켜 교육사령관에 앉히는 경우도 있다.[3] 또한 한직인 육군과는 달리 해/공군에서는 참모총장으로 영전하는 사례도 있다. 해군의 경우 남해일, 정옥근 제독이 교육사령관에서 참모총장으로 진급하였고, 정호섭 제독은 교육사령관 후 2차 중장 보직을 지내다 참모총장이 되었다. 공군은 박종헌 장군처럼 교육사령관을 지낸 뒤 참모총장으로 영전한 사례가 있으며, 이왕근 장군처럼 교육사령관 역임 후 작전사령관이나 참모차장 등 2차 중장 보직을 역임한 뒤 진급하는 일도 있다. 2021년에는 성추행 피해 공군 부사관 사망 사건으로 인해 참모총장이 사임하여 대장 계급에 결원이 발생하여 교육사령관의 거취가 불투명해졌다.

많은 훈련병들의 직속상관관등성명에 들어간다.


3. 해당 직위[편집]



  • 미군
    • 미 육군: Commanding General, U.S. Army Training and Doctrine Command ★★★★
    • 미 해군: Commander, Naval Education and Training Command ★★
    • 미 해병대: Commander, Marine Corps Training and Education Command ★★
    • 미 공군: Commander, Air Education and Training Command ★★★

  • 자위대: 자위대/교육훈련을 참고할 것.
    • 육상자위대: 상응할 만한 직책이 없다.[4]
    • 해상자위대: 육자대와 마찬가지로 각 간부학교나 후보생학교는 해상막료장 직속이고 신대원교육대는 각 지방대에 속해 특별히 교육사령관이 없다. 다만 교육항공집단(★★★)처럼 해군 항공대를 양성하는 교육사령부가 있다.
    • 항공자위대: 항공교육집단(航空教育集団)사령관 ★★★


4. 관련 틀[편집]



파일:육군교육사령부 부대마크.svg
대한민국 육군
육군교육사령부 사령관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external/flagspot.net/kr%5Em3.gif ||
||<width=20%> 초대
||<width=20%> 2대
||<width=20%> 3대
||<width=20%> 4대
||<width=20%> 5대
||
||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
|| 21대
|| 22대
|| 23대
|| 24대
|| 25대
||
|| 26대
|| 27대
|| 28대
|| 29대
|| 30대
||
|| 31대
|| 32대
|| 33대
|| 34대
|| 35대
||
|| 36대
|| 37대
|| 38대
|| 39대
|| 40대
||
|| 41대
|| 42대
|| 43대
|| 44대
|| 45대
||
|| 46대
|| 47대
이영계 || 48대
한기호 || 49대
박성규 || 50대
황인무 ||
|| 51대
류제승 || 52대
김종배 || 53대
나상웅 || 54대
장재환 || 55대
제갈용준 ||
|| 56대
최영철 || 57대
윤의철 || 58대
박상근 || || ||
||<-5><bgcolor=#130074> ※ 초대~00대 : 소장 · 00대~현재 : 중장 ||
||<-5><bgcolor=#130074>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파일:해군교육사_부대마크.png
대한민국 해군
해군교육사령부 사령관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003399> 파일:external/flagspot.net/kr~n3.gif ||
||<width=20%> 초대
간용태 ||<width=20%><bgcolor=#87CEEB,#003318> 2대
권정식 ||<width=20%><bgcolor=#87CEEB,#003318> 3대
김경섭 ||<width=20%><bgcolor=#87CEEB,#003318> 4대
허대범 ||<width=20%><bgcolor=#87CEEB,#003318> 5대
하종근 ||
||<bgcolor=#87CEEB,#003318> 6대
박광용 ||<bgcolor=#87CEEB,#003318> 7대
안성모 ||<bgcolor=#87CEEB,#003318> 8대
유병호 ||<bgcolor=#87CEEB,#003318> 9대
한상기 ||<bgcolor=#87CEEB,#003318> 10대
변무근 ||
|| 11대
남해일 || 12대
박인용 || 13대
서양원 || 14대
정옥근 || 15대
김정두 ||
|| 16대
손정목 || 17대
정호섭 || 18대
구옥회 ||<bgcolor=#87CEEB,#003318> 19대
문병옥 || 20대
박경일 ||
|| 21대
정진섭 || 22대
김판규 ||<bgcolor=#87CEEB,#003318> 23대
윤정상 || 24대
이범림 || 25대
이성환 ||
||<bgcolor=#87CEEB,#003318> 26대
김현일 || 27대
강동훈 || || || ||
||<-5><bgcolor=#000080>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대한민국 공군
공군교육사령부 사령관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0066cc> 파일:external/flagspot.net/kr%5Ea3.gif ||
|| 초대
|| 00대
김용수 || 00대
|| 00대
정용후 || 00대
이양호 ||
|| 00대
조근해 || 00대
|| 00대
|| 00대
|| 00대
||
|| 00대
|| 00대
|| 00대
|| 14대
|| 15대
||
||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
|| 21대
|| 22대
유병구 || 23대
|| 24대
천기광 || 25대
이영하 ||
|| 26대
황원동 || 27대
윤재원 || 28대
박상묵 || 29대
박종헌 || 30대
김용홍 ||
|| 31대
성일환 || 32대
김형철 || 33대
김영민 || 34대
김정식 || 35대
강구영 ||
|| 36대
이왕근 || 37대
노병균 || 38대
허창회 || 39대
최현국 ||<bgcolor=#D4F4FA,#2d2f34> 40대
최근영 ||
||<bgcolor=#D4F4FA,#2d2f34> 41대
노승환 ||<bgcolor=#D4F4FA,#2d2f34> 42대
신옥철 ||<bgcolor=#D4F4FA,#2d2f34> 43대
박한주 ||
||<-5><#2F9AFF>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06:30:43에 나무위키 교육사령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미군의 경우 군 규모가 크다 보니 교육사령관이나 군수사령관이 모두 육군대장, 공군은 육군과 마찬가지로 군수사령관만 대장이나 교육사령관만 중장, 해군해병대는 교육사령관이나 군수사령관이 소장 하는 일이 많다.[2] 이 경우 한직이 되는 경우가 많은데, 그것도 그냥 한직이 아니다. 공군의 경우 보통 수송기 조종사가 만렙을 찍을 경우 받는 보직 중 하나가 공군교육사령관인데, 15비 단장을 맡은 뒤 교육사령관이 된 노승환 장군이 이런 케이스다 (노 장군의 주기종은 알려진 바가 없지만 15비 단장을 맡았을 정도면 수송기를 탔을 가능성이 높다).[3] 해/공군 사관학교장도 마찬가지로 중/대장 중에 비리 등으로 결원이 발생할 경우 급한 자리에 현 사관학교장을 2차 보직으로 보내고, 상대적으로 덜 급한 자리인 사관학교장으로 1차 보직으로 주는 경향이 강하다. 성일환 대장이 공군사관학교장을 역임한 후 공군참모총장이 되었다.[4] 육상자위대간부후보생학교와 간부학교(군사대학), 각 사단별 신대원교육대(신병교육대), 각종 특기학교 등이 있는데 이들은 어떤 사령부 휘하에 모이는 것이 아니라 방위대신 직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