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에 관한 칙어

덤프버전 :

1. 개요
2. 내용
3. 기타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교육칙어(敎育勅語 きょういくちょくご), 교육에 관한 칙어(敎育ニ關スル勅語)는 1890년부터 1948년까지 사용된 일본(사실상 일본 제국)의 교육방침이다. 일반적으로 '교육칙어'라고 줄여 부르지만, 정식으로는 '교육에 관한 칙어'라 해야 옳다.

특히 대일본제국 헌법 시기 본토와 식민지 조선 소학교에서 이걸 외우게 시켜 천황에 대한 충성심을 기르도록 하였다. 일본군 버전으로 군인칙유가 있었고 군인칙유에선 상관의 명령=천황의 명령이라며 상관과 천황에게 복종할 것을 강조했다. 1941년에는 군인칙유의 연장선상에 있는 행동규정인 전진훈(戰陣訓)도 나왔다. 그리고 교육칙어는 군인칙유와 더불어 1948년 6월 19일에 중의원에서 배제, 일본 참의원에서 실효가 결의되었다. 일본의 교육기본법도 교육칙어에서 말미암은 교육을 배제하는 취지로 만들어졌다.


2. 내용[편집]


(ちん(おもフニ(皇祖皇宗(こうそこうそう(くに(はじムルコト宏遠(こうえん(とく(ツルコト深厚(しんこうナリ

(臣民(しんみん((ちゅう((こう億兆(おくちょう(こころ(いつニシテ世世(よよ(((セルハ((國體(こくたい精華(せいかニシテ教育(きょういく淵源(えんげん(また(じつ(ここ(ぞん

(なんじ臣民(しんみん父母(ふぼ(こう兄弟(きょうだい(ゆう夫婦(ふうふ相和(あいわ朋友(ほうゆう[ruby(相信

, ruby=あいしん)]シ恭儉(きょうけん(おのレヲ(博愛(はくあい(しゅう(およホシ(がく(おさ(ぎょう(なら(もっ知能(ちのう啓發(けいはつ德器(とっき成就(じょうしゅ進)(すすん公益(こうえき(ひろ世務(せいむ(ひら(つね國憲(こっけん(おもん國法(こくほう(したが一旦緩急(いったんかんきゅうアレハ義勇公(ぎゆうこう(ほう(もっ天壌無窮(てんじょうむきゅう皇運(こううん扶翼(ふよくスヘシ

(かく(ごとキハ(ひと(ちん忠良(ちゅうりょう臣民(しんみんタルノミナラス(また(もっ(なんじ祖先(そせん遺風(いふう顯彰(けんしょうスルニ(ラン

((みち(じつ(皇祖皇宗(こうそこうそう遺訓(いくんニシテ子孫臣民(しそんしんみん(とも遵守(じゅんしゅスヘキ(ところ

(これ古今(こきん(とおシテ(あやまラス(これ中外(ちゅうがい(ほどこシテ(もとラス

(ちん(なんじ臣民(しんみん(とも拳々服膺(けんけんふくようシテ(みな(その(とく(いつニセンコトヲ庶幾(こいねが

明治二十三年十月三十日   御名御璽


짐이 생각건대 황조황종(皇祖皇宗)[1]

이 나라를 열어 굉원(宏遠)[2]한 덕을 세움이 심후(深厚)[3]하도다.

우리 신민이 지극한 충과 효로써 억조의 마음을 하나로 하여 대대로 그 아름다움을 이루는 바가 우리 국체(國體)[4]

의 정화(精華)인 바, 교육의 연원 또한 실로 여기에 있다.

그대들 신민은 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제에게 우애하며, 부부 간에 서로 화목하고, 붕우 간에 서로 신의하며, 스스로는 공손하고 겸손하며, 박애를 여러 사람에게 미치고, 학문을 닦고 기술을 익혀 그로써 지능을 계발하고, 덕과 재능을 성취하며, 나아가 공익을 넓혀 세상의 의무를 다하고, 항상 국헌을 중시하고 국법에 따라, 일단 유사시에는 의용(義勇)[5]

으로 봉공(奉公)[6]하여 그로써 천양무궁(天壌無窮)한 황운(皇運)을 지켜야 한다.

이와 같이 된다면 하나하나 짐의 충량한 신민이라 부를 뿐만 아니라, 족히 그대들 선조의 유풍(遺風)을 현창(顯彰)[7]

할 수 있으리라.

이러한 도는 실로 우리 황조황종의 유훈(遺訓)으로[8]

자손인 천황과 신민이 함께 준수해야 할 것들이다.

이는 고금을 통하여 그릇되지 않고, 이를 중외(中外)에 베풀더라도 도리에 어긋나는 바가 없느니라.

짐은 그대들 신민과 더불어 이를 항상 잊지 않고 지켜서 모두 한결같이 덕을 닦기를 바라는 바이다.

메이지 23년(1890) 10월 30일

어명어새


전전(1945년 이전)에 사용했던 문어체로 쓰였다. 현대 일본인도 근대 일본어학의 교육을 받지 않았다면 쉽게 읽을 수 없다.[9] 1947년 현행헌법 시행 이후부터 일본 황실에서는 궁내청 사이트나 일본 언론에 공개되는 덴노의 연설이나 기자회견문 등은 이런 문어체가 아닌 모두 평이한 경어체로 작성하고 있다. 일본 제국 시대에는 덴노의 공식 발언을 칙어(勅語)라고 하였으나, 1947년 현행헌법 시행 이후부터 말씀(おことば)이라고 하면서 덴노의 발언도 평이한 경어체로 바꾸었다. 덴노가 사용하는 1인칭 대명사로 짐(朕) 대신 저(わたくし)를 사용한 것도 이 무렵부터.


3. 기타[편집]




  • 1980~90년대에 관리교육이 이루어진 역사가 짧은 사립학교에 다닌 일본 학생들에게 강요하도록 했다.

  • 2017년 2월, 오사카에서 모리토모 학교 비리 사건이 터졌다. 모리토모 학원 유치원에서 강당에 욱일기를 걸고, 말의 뜻도 모를 어린이들에게 교육칙어를 암송하게 하는 시대착오적 작태가 보도되었다. 이 소름끼치는 일을 자행한 유치원 원장은 야스쿠니 신사에 참배도 하고 헌법 개정에도 찬성하고 원장실에 메이지 덴노&쇼켄 황후 부부 사진도 놓는 강경 극우파. 게다가 이 유치원이 포함되는 교육재단에서 새로 세우는 초등학교는 아베 신조의 부인 아베 아키에가 명예 교장을 맡게 되는데, 아베 아키에는 "이 유치원에서 하는 훌륭한 교육을, 초 중학교에도 이어갈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하며 일본의 우경화를 훌륭히 증명해냈다.[10] 해당 보도가 나오고 하루 이틀 지나 해당 초등학교홈페이지에서 명예 교장 아키에를 소개하는 페이지에서 잽싸게 삭제했고, 아키에는 이후 행사에서 이에 대해 아무 언급을 하지 않았다.

4.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06:31:09에 나무위키 교육에 관한 칙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천황의 역대 조상. 황조는 아마테라스부터 진무 덴노까지, 황종은 스이제이 덴노부터다.[2] 넓고 멂[3] 덕이 깊고 두터움[4] 코쿠타이. 일본제국 천황 하의 통치 체제를 말한다.[5] 충의와 용기[6] 나라를 떠받듦[7] 밝게 나타냄[8] 그러니까 위에서 제시된 윤리가 일본 황실에서 나왔다는 것이다.[9] 구글 번역을 돌리면 메이지 23년 10월 30일만 제대로 번역한다.[10] 게다가 이 신설 초등학교는 국유지를 학교 부지로 매입했는데, 말도 안 되는 싼 가격으로 매입에 성공했다고 한다. 아베 신조는 "부정은 없었다."고 잘라 말했지만, 모든 상황과 정황은 그렇지 않다는 게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