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시·남양주시 버스 목록/폐선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구리시·남양주시 버스 목록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1. 개요
2. 일반버스
2.1. 남양주 버스 1 (1기 노선)
2.2. 구리 버스 1-2
2.3. 남양주 버스 1-3
2.4. 구리 버스 1-5
2.5. 남양주 버스 1-7
2.6. 구리 버스 1-8
2.7. 남양주 버스 1-8 (★)
2.8. 남양주 버스 2
2.8.1. 양지리 - 청량리 (명진운수)
2.9. 남양주 버스 3
2.10. 구리 버스 3
2.11. 남양주 버스 3-1 (1기 노선)
2.12. 남양주 버스 3-1 (2기 노선)
2.13. 남양주 버스 3-3
2.14. 남양주 버스 5 (1기 노선)
2.15. 남양주 버스 5 (2기 노선)
2.16. 남양주 버스 5 (3기 노선)
2.17. 남양주 버스 5-1 (★)
2.18. 남양주 버스 5-3
2.19. 남양주 버스 5-5
2.20. 남양주 버스 6
2.21. 남양주 버스 6-3, 6-5
2.22. 남양주 버스 7
2.23. 남양주 버스 7-1
2.24. 남양주 버스 7-2
2.25. 남양주 버스 7-3
2.26. 남양주 버스 7-5
2.27. 남양주 버스 7-6
2.28. 남양주 버스 7-8
2.29. 남양주 버스 8
2.29.1. 광릉내 - 토평동 (1기 노선, 경기버스)
2.29.2. 호평동, 평내동 순환 (2기 노선, 대원운수)
2.30. 남양주 버스 8-1 (1기 노선)
2.31. 남양주 버스 9-1
2.32. 남양주 버스 9-3 (★)
2.33. 남양주 버스 9-5 (★)
2.34. 남양주 버스 9-7
2.35. 남양주 버스 9-9
2.36. 남양주 버스 10 (1기, 삼용버스)
2.37. 남양주 버스 10 (2기, 경기고속)
2.38. 남양주 버스 10-1
2.39. 남양주 버스 10-3
2.40. 남양주 버스 10-6
2.41. 남양주 버스 11
2.41.1. 호평동 - 미금중 (2기 노선, 경기고속)
2.41.2. 수택동 - 인창동 (2기 노선, 경기고속)
2.42. 구리 버스 11-1
2.43. 남양주 버스 12-3 (★)
2.44. 남양주 버스 90, 13, 2015, 2017
2.45. 구리 버스 16
2.46. 남양주 버스 25, 26
2.47. 남양주 버스 30-1
2.48. 남양주 버스 30-2
2.49. 남양주 버스 30-3
2.50. 남양주 버스 30-4
2.51. 남양주 버스 30-7
2.52. 남양주 버스 30-9
2.53. 남양주 버스 30-17, 30-18
2.54. 남양주 버스 30-19
2.55. 남양주 버스 땡큐32
2.56. 남양주 버스 34
2.57. 남양주 버스 38
2.58. 남양주 버스 38-1
2.59. 구리 버스 52
2.60. 구리 버스 53
2.61. 남양주 버스 55-1
2.61.1. 원차산 - 군장리 (1기 노선, 대원운수)
2.61.2. 호평동 - 진접택지지구 (2기 노선, 대원운수)
2.63. 남양주 버스 58-3
2.64. 남양주 버스 66
2.65. 남양주 버스 71-2
2.66. 남양주 버스 72
2.67. 남양주 버스 73
2.68. 남양주 버스 74
2.69. 남양주 버스 78 (시내버스)
2.70. 남양주 버스 78-1
2.71. 남양주 버스 80
2.72. 남양주 버스 88-1
2.73. 남양주 버스 91-1
2.74. 구리 버스 96-1
2.75. 남양주 버스 99 (1기 노선, 경기운수)
2.76. 구리 버스 112-2 (2기 노선, 경기여객)
2.77. 남양주 버스 165 (경기고속, 대원운수, 1기 노선)
2.78. 남양주 버스 165-3
2.79. 구리 버스 166
2.81. 남양주 버스 167-2
2.82. 남양주 버스 169 (1기 노선, 대원운수)
2.84. 남양주 버스 1115-2
2.85. 남양주 버스 1119
3. 좌석버스
3.1. 남양주 버스 101
3.2. 남양주 버스 133
3.3. 남양주 버스 138 (★)
3.4. 남양주 버스 138-1 (★)
3.5. 남양주 버스 330
3.6. 남양주 버스 330-1
3.7. 남양주 버스 330-2
3.8. 남양주 버스 330-3
3.9. 남양주 버스 650
3.10. 남양주 버스 705
3.11. 남양주 버스 707-1
3.12. 남양주 버스 708, 708-1
3.13. 남양주 버스 990
4. 직행좌석버스
4.1. 남양주 버스 105-2
4.2. 남양주 버스 765-1
4.3. 남양주 버스 766
4.4. 남양주 버스 1000-2, 1000-3
4.5. 남양주 버스 1115-7
4.6. 남양주 버스 1640
4.7. 남양주 버스 2000-2
4.8. 남양주 버스 7007-2
4.9. 남양주 버스 7008
4.10. 남양주 버스 8002-2
4.11. 남양주 버스 8012 (1기 노선, 대원운수)
5. 광역급행버스
5.1. 광역급행버스 M2104
6. 마을버스
6.1. 구리 버스 2-1
6.2. 구리 버스 6-1
6.2.1. 1기
6.2.2. 2기
6.3. 구리 버스 6-2
6.4. 구리 버스 6-3
6.5. 남양주 버스 2-1
6.6. 남양주 마을버스 33
6.7. 남양주 마을버스 62
6.8. 남양주 마을버스 65
6.9. 남양주 마을버스 70
6.10. 남양주 마을버스 77
6.11. 남양주 마을버스 78
6.12. 남양주 버스 83
6.13. 남양주 마을버스 100, 100-1, 100-2



1. 개요[편집]


구리시·남양주시 버스 목록 중 폐선된 버스 노선들을 기재하였다. 폐선된 노선들이 많다보니, 별도로 분리되었다.

번호만 같을 뿐, 현재 운행 중인 노선과는 무관한 노선이 많다. 그리고 구리시 관할 노선의 경우 여기서도 강조 표시로 구분하는데, 구리시를 기점으로 삼는 관외 노선도 같은 처리를 한다.

또한 경기고속, 명진여객, 진흥고속, 대원교통 등 에서도 구리시, 남양주시의 노선을 다수 운행했기에 각 시 군(경기도 광주시, 의정부시, 가평군, 서울특별시)의 폐선노선 목록을 참고하는것이 좋겠다.

지역면허가 변경된 노선에는 뒤에 (★)을 표기한다.


2. 일반버스[편집]



2.1. 남양주 버스 1 (1기 노선)[편집]


명진운수에서 퇴계원 - 길동 간을 운행하던 노선이다. 이 노선의 좌석 버전이 아래에 나오는 101번이었다. 101번도 일찍 자취를 감춘 편이나 정작 이 쪽이 더 먼저 사라졌다. 현재 운행 중인 1번은 원래 9-3번이었던 버스가 번호만 1번으로 바뀐 것이다. 남양주 버스 1 문서 참고. 명진여객의 1-1번의 본선은 평안운수 1번이 아닌 이 쪽이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2.2. 구리 버스 1-2[편집]


파일:경기여객1-2.jpg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구리 버스 1-2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3. 남양주 버스 1-3[편집]


파일:bus-20170213-155829-001.jpg
파일:남양주시 CI_White(1998-2023).svg 남양주시 일반형버스 1-3번
기점
경기도 남양주시 오남읍 양지리(양지리차고지)
종점
서울특별시 강동구 길동(길동사거리)
종점

첫차
-
기점

첫차
-
막차
-
막차
-
평일배차
10~15분
주말배차
15~20분
운수사명
남양주교통
인가대수
미상
노선
양지리 - 장현 - 오남읍사무소.농협.현대.삼신아파트입구 - 진건고등학교 - 사능본동.석화촌 - 금곡역.어룡마을입구.주유소 - 금곡GS.신성A - 금곡예비군훈련장.충일A - 양정동주민센터 - 도농역.동화중고교.부영A - 롯데백화점 구리점.구리역 - 교문사거리 - 구리시청.구리아트홀 - 워커힐 - 천호역 - 강동역 - 상일초등학교 - 길동사거리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남양주 버스 23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3번의 옛 노선 번호. 2005년에 현재의 23번으로 번호를 바꿨다.

2.4. 구리 버스 1-5[편집]


파일:1-5_1517.jpg
2005년식 BS106 NGV.
파일:구리시 CI_White.svg 구리시 일반형버스 1-5번
기점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진벌리(진벌리차고지)
종점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강변역)
종점

첫차
-
기점

첫차
-
막차
-
막차
-
평일배차
60~120분
주말배차
90~150분
운수사명
경기여객
인가대수
미상[1]
노선
진벌리차고지 - 경복대학 - 휴먼시아16단지 - 어린이비젼센터.신영지웰아파트 - 남양휴튼아파트 - 연평대교.이마트 - 연평3리마을회관 - 연평2리.와촌입구 - 용신초등학교 - 사릉역 - 퇴계원사거리 - 사노리나들목 - 건영.성원A - 구리고용복지플러스센터.인창중앙공원 - 돌다리.구리전통시장 - 교문사거리 - 구리시청.구리아트홀 - GS챔피언스파크.동사골 - 워커힐 - 광나루역.극동A - 광장동현대아파트 - 강변역(A섹션)

2004년 10월 27일에 세진버스에서 1001번 직행좌석버스의 오남읍 구간 대체[2]를 목적으로 인가를 반으로 나눠 개통한 노선으로 당시 운행구간은 양지리 - 오남읍 - 사릉 - 뱅이삼거리 - 퇴계원 - 동구릉 - 배탈고개 - 광나루역 - 강변역으로 오남과 진건에서 강변역까지 가장 빨리 가는 시내버스[3]로서 큰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5대로 개통하여[4] 노선의 비중이 적었고 이 때문에 1-5번 신설을 노려 시내버스로 전환됐던 1115-3번[5][6]에 탈탈 털리게 되고[7][8] 그 와중에 1-8번이라는 100% 중복되는 노선을 2대 떼어서 운행하기도 했다. 이쯤 되면 세진버스가 확실히 막장.

1번에 이어 세진버스는 2005년 8월 22일 1-8번과 함께 KD 운송그룹 경기고속에 이 노선을 팔게 되고 세진버스 차고지인 양지리에서 금곡리로 차고지를 연장[9]했으며 같은 회사 노선인 1115-3번을 흡수한 후 상당히 성장하게 되는데 당시 경쟁관계였던 명진여객 1-1번을 견제하려 했기 때문. 뱅이나루터부터 완전히 중복됐으므로 퇴계원부터 경쟁이 시작됐고 구리 인창동에서도 나름 활약을 하게 된다.[10]

도농동까지 올라갔다가 내려오고서 구리를 이리 저리 도는 9번에 비해 많이 빨랐다는 점에서 오남, 진건 주민들에게는 좋은 노선이었지만 1-1번과의 경쟁 때만 좋았지 명진여객 인수 이후로는 사람이 그리 많지는 않았다. 그러다가 2008년에는 진벌리영업소가 생겨 다시 연장했으며[11]오남 주민들이 11번처럼 고속도로 경유 강변역 노선을 만들어달라는 민원으로 인가를 쪼개 급행 버전인 100번을 분리 신설하기도 했었다.(100번은 해당문서 참조) 이 외에도 여러 노선들이 진벌리 차고지로 입주한 터라 당시 광릉내 - 경복대학 셔틀노선인 3번(선진상운)을 견제하기에 이르렀다.[12]

2010년 4월에 진접지구 노선개편[13]을 할 때 노선을 변경하여 진접택지지구 경유 및 7-5번과 노선이 교차되어 7-5번이 가던 퇴계원역을 경유하게 되나 이는 1-5와 7-5가 같이 잉여로 전락하는 패착이 되었다.[14]

노선 변경시기에 경기고속에서 경기여객[15][16]으로 바뀌었고 한동안은 기존 코스대로 다녔으나 9번, 100번과의 중복문제가 있어 결국 양진로(86번 국지도)로 운행하도록 조정되었다. 다만 이 시기에 수요처인 진건과 오남을 포기한 탓에 수요가 급감하였고[17] 진접지구 - 사릉역 경춘선 환승수요나 근근히 주워먹는 수준이 되었다. 결국 15분이던 배차간격이 슬금슬금 늘어나더니 어느 순간부터는 경기운수가 손을 털고 막판에는 6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막장운행을 선보였다.[18], 결국 2012년 4월 1일부로 운행 중단이 확정되었다. 이 노선을 폐선하면서 진접지구 - 사릉역 구간 대체 명목으로 72번의 인가를 재활용하여 5-1번(진접지구 - 사릉역)이 신설되었다.


2.5. 남양주 버스 1-7[편집]


파일:남양주시 CI_White(1998-2023).svg 남양주시 일반형버스 1-7번
기점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진벌리(진벌리차고지)
종점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강변역)
종점

첫차
-
기점

첫차
-
막차
-
막차
-
평일배차
20~30분
주말배차
30~40분
운수사명
경기운수
인가대수
미상
노선
진벌리차고지 - 휴먼시아16단지 - 어린이비젼센터.신영지웰아파트 - 남양휴튼아파트 - 연평대교.이마트 - 오남고등학교 - 오남읍 - 진건고등학교 - 사릉한신아파트 - 신월리 - 신월IC - 관사앞, 일신건영아파트 - 퇴계원사거리 - 사노리나들목 - 건영.성원A - 구리고용복지플러스센터.인창중앙공원 - 돌다리.구리전통시장 - 교문사거리 - 구리시청.구리아트홀 - GS챔피언스파크.동사골 - 워커힐 - 광나루역.극동A - 광장동현대아파트 - 강변역(A섹션)

경기운수에서 1-5번을 공동배차하던 초기에 부여한 별도 노선 번호. 사릉역 경유 이전에 1-5번으로 통합되었으므로 운행경로는 사릉역 경유 이전의 것으로 적어두었다

2.6. 구리 버스 1-8[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구리 버스 1-8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7. 남양주 버스 1-8 (★)[편집]


파일:남양주시 CI_White(1998-2023).svg 남양주시 일반형버스 1-8번
기점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금곡리(금곡리차고지)
종점
서울특별시 강동구 길동(길동사거리)
종점

첫차
-
기점

첫차
-
막차
-
막차
-
평일배차
40~60분
주말배차
60~120분
운수사명
세진버스
인가대수
미상
노선
금곡리 - 오남고등학교 - 오남읍 - 진건고등학교 - 사릉한신아파트 - 신월리 - 신월IC - 관사앞, 일신건영아파트 - 퇴계원사거리 - 사노리나들목 - 건영.성원A - 구리고용복지플러스센터.인창중앙공원 - 돌다리.구리전통시장 - 교문사거리 - 구리시청.구리아트홀 - GS챔피언스파크.동사골 - 워커힐 - 광나루역.극동A - 광장동현대아파트 - 강변역(A섹션) - 천호역 - 길동사거리

관련 게시물

세진버스에서 인가만 받아놓고 운행하지 않다가 민원에 의해 1-5번과 동일한 노선으로 변경, 1-5번 차량 5대 중 2대를 분리하여 2005년 2월 15일 개통한 노선이다.

동년 8월 22일 1-5번과 함께 경기고속으로 매각되었고 BH090 차종으로 운행되다가 1115-3번과 함께 1-5번으로 통합되면서 폐선된다. 노선 인가는 길동까지 가도록 받아두었기 때문에 강변역까지 굴리는 것은 불법단축운행이었고, 결국 KD가 인수한 이후에는 길동까지 가게 되었다만 오래 못 가서 1-5번 증차를 위해 없어졌다.


2.8. 남양주 버스 2[편집]



2.8.1. 양지리 - 청량리 (명진운수)[편집]


당시 좌석버스였던 202번과 경로가 같은 일반시내버스 노선이었다. 다만 워낙 오래전에 없어져서 아는 사람은 적다.


2.8.2. 별내동 - 강변역 (경기운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남양주 버스 2(폐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남양주시 CI_White(1998-2023).svg 남양주시 일반형버스 2번
기점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별내하우스토리후문)
종점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강변역)
종점

첫차
-
기점

첫차
-
막차
-
막차
-
평일배차
20~30분
주말배차
30~40분
운수사명
경기운수
인가대수
7대
노선
별내하우스토리후문 - 대원칸타빌, 모아미래도, 유승한내들 - 현대아이파크 1차 후문 - 샛말, 신안인스빌 - 쌍용예가 - 상하수도관리센터 - 퇴계원사거리 - 사노리나들목 - 건영.성원A - 구리고용복지플러스센터.인창중앙공원 - 돌다리.구리전통시장 - 교문사거리 - 구리시청.구리아트홀 - GS챔피언스파크.동사골 - 워커힐 - 광나루역.극동A - 광장동현대아파트 - 강변역(A섹션)

별내신도시를 위해서 3개월 간 다닌 노선이었다. 7-5, 9, 202번을 감차해서 신설했으며 BS106, BS090 디젤차가 투입되었다.[19] 차량 관리문제[20], 1155번 구간 대체 문제[21]로 인해서 폐선되었고 차량은 일부가 9, 202, 5-1번에 투입되었지만 대부분이 말소되어 다시 성남, 광주 등으로 넘어갔다.

이후 노선인가는 명진여객으로 넘어가서 1-2번으로 변경되어 현재도 잘 다니고 있다. 다만 1-2번은 초기에는 차량수급 문제 때문에 4대가 1시간에 1대씩 다니는 위엄을 보여주었다가 다시 7년간 잘 운행했다.

2020년 1월부터 뜬금없이 갈매지구 경유로 바뀌고, 업체도 경기여객으로 바뀌더니 코로나 19까지 덮치면서 배차간격이 60~120분을 거쳐 1일 4회로 늘어나면서 파행운행을 하다가 끝내 폐선되었다.


2.9. 남양주 버스 3[편집]


2000년대 후반 진접 일대를 운행했던 노선.

현 3번은 구리시 면허지만 대원운수 시절엔 별개의 노선이 따로 있었다.[22] 운행업체는 선진상운으로 2006년에 경복대학 남양주캠퍼스 개설 때 신설된 노선이다.

당시 중말교차로부터 경복대학교로 이어지는 현재의 경복대로 길이 새로 닦이면서, 원래의 진벌리 방면 노선은 현재 3-1번과 같은경로로 운행하는 노선밖에 없었고, 경복대학 남양주캠퍼스가 2006년에 개교하면서 연계교통의 필요로 개통된 노선이다.[23]

공식 인가대수는 1대.[24] 이 노선이 생기고 나서 경복대 연계 뿐만 아니라 근처 지역 연계까지 용이해져 인기가 좋았으나, 2008년 초에 KD 운송그룹진벌리에 차고지를 지어 입성함에 따라 비중이 낮아졌고 2009년에 21번이 연장됨에 따라 폐선되었다.

여담으로 이 3번이 다닐 때 선진상운(현 경기버스) 소속 신참기사들이 이 노선으로 견습을 다닌 일이 많았다. 정확히는 당시 이 노선을 운행했던 기사가 고참이었고, 그 기사가 신참기사들 견습을 많이 시킨 것.

구리 3번과는 무관한 노선이며, 경복대학 남양주 캠퍼스 셔틀노선이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2.10. 구리 버스 3[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구리 버스 3(폐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11. 남양주 버스 3-1 (1기 노선)[편집]


167-1번의 옛 노선번호이다. 경기버스에서 운행하던 노선과 별개의 노선.


2.12. 남양주 버스 3-1 (2기 노선)[편집]


경기버스에서 운행하던 노선과 별개의 노선으로 땡큐31으로 변경되었다. [25]


2.13. 남양주 버스 3-3[편집]


  • 운행 노선: 광릉내 - 봉선사입구 - 국립수목원
선진상운 시절에 운행하였으며 국립수목원 주차장에서 회차한 노선. 토요일만 운행하는 맞춤버스 형태의 노선이였다. 주로 8번 차량을 차출해서 운행했다.

선진상운이 KD 운송그룹에 인수되고 21번과의 중복 때문에 폐선되었다.


2.14. 남양주 버스 5 (1기 노선)[편집]


파일:남양주5번.jpg
1기 노선.

  • 1기 운행 구간
    • 토평동 - 구리여고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상봉역 - 청량리

현재의 노선과는 전혀 다른 노선으로, 구리시 면허 50번대 노선[26]의 시초격이었다. 원래 토평동에서 출발해 청량리까지 가던 시외완행버스가 전환된 것을 시작으로 교문 아파트단지와 구리시청을 경유하는 5-1(51), 수택동에서 인창동을 끼고 돌아가서 서울로 나가던 5-2(52) 등이 여기서 분리된 것이다. 1번, 3번 등과 함께 명진운수 터줏대감 노선이었던 것이 1999년 대원운수로 바뀌었다가, 2001년 55번 계열을 운행하던 진화운수와 5번 계열을 운행하던 KD 간의 협정을 통해 상호 중복되는 노선 하나 씩을 없애기에 이르는데 진화 측에서는 55-1을, KD 측에서는 5번을 없애게 된다. 물론 그마저도 얼마 가지 않아 진화운수 구리영업소가 대원여객으로 매각되었고 5번이 부활할 일은 없어보였으나... 2005년에 부활한다.


2.15. 남양주 버스 5 (2기 노선)[편집]


  • 2기 운행 구간
    • (용정리 - 사릉 - 진관리 -) 구리농수산물시장 - 교문사거리 - 상봉역 - 청량리

2005년에 갑자기 농수산물시장 - 배탈고개 - 교문사거리 - 청량리 간을 운행하는 노선으로서 재탄생하기에 이른다. 이는 유사한 구간을 운행하는 5-2(52)가 202번과의 경쟁관계였는데 5-2를 서포트해주기 위한 것인데, KD 측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파격적인 노선 연장을 하기에 이른다. 바로 용정리차고지에서 출발해서 사릉한신 일대를 돌고 진관IC를 통해서 47번 국도를 이용해 퇴계원을 쌩까고 구리로 가는 것으로 개발해낸 것.

그래서 사릉에서 인창동, 청량리 이동 시 시간상으로 1-5, 202, 7-5번과의 차별성이 있었고, 퇴계원을 안 가서 훨씬 빨랐다.[27] 그러나 생각보다 승객들에게 큰 반향이 없었고, 이후 타 노선을 증차시키기 위해서 폐선된다.


2.16. 남양주 버스 5 (3기 노선)[편집]


파일:5_newbs090_1376.png
수도권 전철 경춘선 사릉역 개통에 따라 대원운수에 의해 2010년 12월에 신설된 노선. 이후 경기운수로 넘어갔고 2020년 3월에 남양주 버스 땡큐60번으로 개편되고 노선이 연장되었다.


2.17. 남양주 버스 5-1 (★)[편집]


파일:SANY0399.jpg
해당 면허는 2859호로 전환되었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구리 버스 51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경기여객으로 이관되었고 51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


2.18. 남양주 버스 5-3[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남양주 버스 5-3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수도권 전철 4호선진접선 연장 개통으로 먼저 5-2번이 개통되었지만 많은 불편이 있어 4월 5일에 분리 신설되었다.

하지만 연계노선 재개편으로 인해 5월 30일에 폐선되고 이노선의 일부인 오남우회로 구간은 땡큐70이 이어 받게 되었다.

2.19. 남양주 버스 5-5[편집]


토평동 - 장자대로 - 정각사 - 교문사거리 - 청량리 노선.
BH090으로 운행하였으나 2000년대 중후반 조용히 폐선.

현재 다니는 노선과는 다른 노선이며, 이 쪽은 5-1, 5-2번과 관련이 있었다.


2.20. 남양주 버스 6[편집]


사진

  • 운행 노선
    • 초창기: 독정리 - 퇴계원 - 교문사거리 - 망우리 - 청량리
    • 후기: 독정리 - 배양리 - 남양주 제2청사

현재 노선과는 다른 노선이다. 초창기에는 청량리까지 운행하다가 지금의 167-1번마냥 서울 구간이 모조리 단축된 것은 물론 큰 폭에서 변동이 있었으나 얼마 가지 않아 폐선되었다고 전해진다.


2.21. 남양주 버스 6-3, 6-5[편집]


파일:external/www.nyjtoday.com/17593_12834_5531.jpg
출처

  • 6-3: 마석역 - 심석중.고교 - 마석중흥아파트 → 마석주공아파트 → 너구내고개 → 천마산입구 → 묵현교차로 → 화도읍사무소 → 마석중흥아파트 → 이후 역순
  • 6-5: 차산리차고지 - 청구아파트 - 창현초교 - 두산1~2차아파트 → 원병원 → 롯데마트 → 마석역 → 심석중.고교 → 마석중흥아파트 → 송라초교 → 두산1~2차아파트 → 이후 역순

'화도 외곽순환버스'라는 타이틀을 걸고 경기운수에서 99번 폐선분 카운티를 가져와 2012년 3월 5일에 신설되었다. 관련 기사 1 관련 기사 2

저조한 수요 때문에 얼마 가지 않아 폐선되었다. 6-3번은 대략 지금의 168번과 비슷하다고 보면 되고, 6-5번은 중복은 딱히 없고 1-4번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28]

2.22. 남양주 버스 7[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남양주 버스 7(폐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07, 7-1, 7-2, 7-3(73), 7-4, 7-5, 7-6, 7-7, 7-8(88), 7-9(88-1) 등의 파생노선을 남겼던 대진운수 그 자체였던 노선. 삼용버스의 30번을 생각하면 쉽다. 참고로 포천 버스 7도 이 노선에서 파생된 노선이다.

광릉내 - 경동시장 본선 외에도 직동리, 내촌, 어냄이, 매화동, 갈매동을 출발하는 지선노선과 어냄이, 팔현리, 금곡리에서 장현으로 오는 지선노선, 광릉내에서 일동, 현리, 서파, 마명리경유 내촌, 검단리, 진벌리로 가는 지선노선 등 수많은 지선노선도 있었다.


2.23. 남양주 버스 7-1[편집]


파일:대진운수 7-1번.jpg

  • 운행노선: 광릉내 - 장현 - 퇴계원 - 동구릉 - 농수산물시장 - 배탈고개 - 돌다리 - 도농사거리 - 남양주제2청사

선진상운에서 운행했던 노선으로, 1대로 운행하던 노선. 폐선당시에는 시내버스중 진접에서 유일하게 배탈고개를 지나 돌다리 동쪽(구리역, 도농역)으로 가는 노선이였으며, 남양주시청 제2청사 내부를 거쳐 회차하였다. 2000년대 중반 폐선.


2.24. 남양주 버스 7-2[편집]


  • 운행 노선: 광릉내 - 장현 - 퇴계원 - 동구릉 - 돌다리 - 구리여고 - 교문A - 정각사입구

선진상운에서 운행했던 노선으로, 1대 33회 운행했다고 한다. 에어로 타운 1대로 다녔다고는 하는데, 편도로 50분 거리(1번 기준)를 1일 33회 운행한 것은 말이 안 되기는 하나 만일 차량이 2~3대일 경우, 또는 운행 횟수가 33이 아니라 13일 경우 말이 되긴 하다.[29]


2.25. 남양주 버스 7-3[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남양주 버스 73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6. 남양주 버스 7-5[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남양주 버스 7-5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7. 남양주 버스 7-6[편집]


7-6
퇴계원
동구릉·57사단·신내동·상봉역·청량리역
경동시장


퇴계원 아파트단지 입주[30]민 편의와 구리농수산물도매시장 접근성 향상[31]을 위해 개통된 노선으로 1156번과 동일하게 퇴계원을 경유하고 사노동과 동구릉을 거쳐 북부간선도로를 경유해 나가는 특이한 노선이다. 물론 예나 지금이나 북부간선로의 교통정체는 악명높았고, 707번이 경춘북로 따라서 직진만 하며 워낙 잘 다녔던 탓에 얼마 안 가 인가만 살아있는 유령노선이 되었다.


2.28. 남양주 버스 7-8[편집]


남양주 버스 88번의 옛 번호이다. 2005년에 88번으로 변경되었다.


2.29. 남양주 버스 8[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남양주 버스 8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9.1. 광릉내 - 토평동 (1기 노선, 경기버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남양주 버스 73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9.2. 호평동, 평내동 순환 (2기 노선, 대원운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남양주 버스 8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원운수에서 운행했던 호평동, 평내동 순환노선.
운행노선은 호평동차고지 - 평내호평역 - 호평고등학교 - 천마산입구 - 평내호평역 - 백봉초등학교 - 장내중학교 - 평내동주민센터.

호평.평내지역 순환 마을버스 운행은 주민들이 오래 전부터 요구해온 것이었고, 경춘선 전철이 개통되면서 요구는 더욱 거세진다.[32] 그러다 시에서 운행을 허가한 소식까지 왔는데 위 각주에 달린 기사에서 나왔듯이 개통 예정 시기였던 6월 말을 넘겨 2달 이상 미뤄질거라 했는데 신생업체 사정이고 뭐고 할거 없이... 빼도박도 못한다는데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33]

결국 마을버스를 절대 취급하지 않는 KD 운송그룹의 원칙에 따라 2011년 8월 9일에 개통되었다.

문제는, 이웃 동네 오고 가는데 타는 노선의 배차간격이 꽤 길다는 것. 초기에 중형차량이 투입되다가 소형차량으로 모두 교체됐는데 안타깝게도 노선의 수요가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오히려 165번을 타고 가는 것이 더 편한 수준. 결국 조용히 운행이 중단됐다.

2.29.3. 도농동, 가운동 순환버스 (3기 노선, 대원운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남양주 버스 8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30. 남양주 버스 8-1 (1기 노선)[편집]


  • 운행 경로: 시우리 - 덕소 - 도농역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망우리 - 상봉동 - 청량리

현재의 8-1번과는 별개노선이며, 문호리-청량리간을 운행한 8번의 가지치기 노선. 8번과 함께 명진운수에서 운행했고 이후 8번은 금강고속 으로 매각되었는데, 8-1번은 금강고속에서 폐선했는지, 명진운수에서 폐선했는지는 불명.


2.31. 남양주 버스 9-1[편집]


파일:남양주9-1.png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남양주 버스 91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남양주 버스 9의 수자원공사 경유 노선과는 다른 노선이다.

2.32. 남양주 버스 9-3 (★)[편집]


파일:대원운수9-3.jpg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구리 버스 93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33. 남양주 버스 9-5 (★)[편집]


파일:9-5OLD1.jpg
해당 면허는 현재 75-1번에 있다.


2.34. 남양주 버스 9-7[편집]


파일:100_5151_174806sorkqkq_com (1).jpg



2.35. 남양주 버스 9-9[편집]


유성운수에서 개통한 양지리 - 장현 - 강변역 노선. 아래 문서 참고.
동구동 한진그랑빌 - 강변역 노선은 여기로.


2.36. 남양주 버스 10 (1기, 삼용버스)[편집]


삼용버스의 간판 30번 시리즈의 변형판으로, 30번과 달리 화도읍 남부(녹촌리, 창현리, 차산리)를 커버하는 성격을 띠고 있었다. 오래 전에 자취를 감추고 90년대 후반에 유사한 30-1이 주로 창현지구를 누볐다가 대원운수에서 65번으로 운행하기에 이른다.

마석순환버스 중 맹골이나 금남리로 빠지는 노선이 2000년대 초반에 뜬금없이 '30-'가 아니라 10-2, 10-3, 10-5 등의 번호를 달고 다녔던 이유가 바로 여기서 파생된 것이기 때문.

80년대 후반 망우리고개[34]


2.37. 남양주 버스 10 (2기, 경기고속)[편집]


  • 운행 경로: 천마산입구 - 호평동 - 평내동 - 남양주시청 - 금곡 - 73사단 - 도농역 - 돌다리 - 동구릉 - 퇴계원 - 사릉

1996년 명진운수에서 신설한 노선이었다. 1996년 6월 20일 구리시의회 회의록 일부에 따르면 95년 말부터 구리시와 남양주시가 상호 협의하여 사릉 차고지 - 금곡동 종점 - 훈련장 - 남양주 2청사 - 도농역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배탈고개 - 퇴계원 - 뱅이 - 사릉 차고지로 되돌아오는 순환형 시내버스를 신설하기로 결정했다.

그래서 1996년 4월에 개통되었는데, 관리상 효율성과 수익을 핑계삼아 임의로 금곡 - 사릉 - 뱅이 - 퇴계원 관사앞 구간을 임의로 빼버리고 남양주시청 - 금곡 - 73사단 - 도농역 - 구리역 - 돌다리 - 배탈고개 - 동구릉 - 퇴계원(관사) 구간을 왕복하는 형태로 바꿔버리기에 이른다. 인가대수도 내선/외선 각 3대씩 총 6대였으나 금곡-퇴계원 반복운행으로 바꿔버리면서 불법 감차를 해서 4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또한 전 차량 에어로타운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당시 해당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마을버스로 오인되곤 하였다.[35] 그리고 수석동과 토평동을 오가던 기존 3-2번을 10번과 남양주제2청사 - 퇴계원 구간을 공유하게 하고 번호도 10-1번으로 변경시켰으며[36], KD 인수 이후에도 파생 노선들[37]이 생겨났다. 그렇게 한동안 남양주의 10번 시리즈는 옛 미금시 지역에서 구리를 거쳐 퇴계원까지 가는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38]

한편 2000년까지 10번과 유사한 의정부 시내버스 노선으로 명진여객에서 운행하는 1-2번이 있었는데, 의정부(구터미널)부터 광전IC까지는 1-1번과 같이 가다가 중간에 별내면 덕송리, 광전리를 찍고 합류한 뒤에 교문사거리에서 돌다리, 도농을 거쳐 금곡까지 운행했다. 이 쪽은 2001~2002년을 전 후로 폐선되었다.

1999년 대원운수 인수 이후 평범하게 다니는듯 했다가[39] 호평동 천마산 입구까지 연장되고 대형차들이 들어왔는데 돌다리 가는 사람들이 많기는 했지만 당시 호평동 안쪽 동네는 라인아파트 말고는 아파트라는 게 없고 한적한 시골에 허허벌판이라 위에서 언급한 마을버스와의 경쟁과 마을버스 회사 폐업 & 노선 폐지 이후[40] 잠시 동안만 효과가 있었고 결국 다시 중형차로 돌아가고 배차간격까지 길어졌다. 게다가 165번의 팀킬도 한 몫을 했다.

이후 금곡에서 청학리를 오가는 10-5번이라는 노선이 2002년 11월에 생기더니 그게 순화궁로 개통에 힘입어 2004년 3월에 당고개역으로 연장되고 이후 금곡에서 출발하던게 호평동으로 일원화 되자 그나마 다니던 10번은 완전히 묻히게 된다.[41] 그리고 어느 시점부터 경기고속으로 운송사까지 바뀌었고 BH090 1대가 운행했다.

결국 2006년에 조용히 폐선됐다. 마지막 운행 당시에 노선은 퇴계원에서 뱅이다리 건너서 사릉(진건)까지였다. 참고로 기점에서 종점까지 55번 타고 25분 안쪽인 거리. 구간 수요를 주워먹기라도 해야되는데 배차간격이 시원찮아서 그나마도 못 했다.

현재 운행하는 대원운수 10번과는 무관한 노선으로, 진접 - 당고개 구간의 10번은 10-5번에서 따온 노선이다.

2.38. 남양주 버스 10-1[편집]


  • 수석동을 들어가던 노선. 이후 8-2번으로 재편되었다가 현재는 38번 수석동 지선이 되었다. 남양주 버스 10-1, 3, 6 문서 참조.


2.39. 남양주 버스 10-3[편집]




2.40. 남양주 버스 10-6[편집]




2.41. 남양주 버스 11[편집]



2.41.1. 호평동 - 미금중 (2기 노선, 경기고속)[편집]


남양주 버스 6 참고. 이쪽도 폐선 직전에는 광주면허 시내버스였다. 2005년 폐선.

운행 경로: 천마산입구 - 호평 - 금곡 - 73사단 - 도농 - 빙그레 - 미금중


2.41.2. 수택동 - 인창동 (2기 노선, 경기고속)[편집]


2005년경에 잠시 다녔던 경기고속 시내버스 노선이었다. 경기광주 버스 11 구리실내체육관 앞을 유일하게 경유하던 버스 노선이었으나 지독한 승객 과소로 오래 유지하지 못했다. 여기서 인창동/교문동 택지지구에서 천호동.길동을 가던 11-1번이 파생되기도 했으나 둘 다 조용히 폐선됐으며 현재 구리실내체육관은 구리 버스 7번이 연계해 주고 있다.


2.42. 구리 버스 11-1[편집]


  • 운행 경로: 중랑공영차고지 - 갈매동 - 화랑대역 - 57사단 - 배탈고개 - 교문R - 세무서 - 구리여고 - 밀알교회 - 워커힐 - 천호동 - 길동

광주시 버스 목록/폐선에서 11-1번 항목을 참고. 경기도 광주 관할인 경기고속에서 신설한 노선이라 이 쪽에 기재하였다. 2006년에 1119번을 감차해서 신설했다. 이후 2008년에 경기여객으로 이관되었고, 다니나 싶었지만 조용히 폐선.


2.43. 남양주 버스 12-3 (★)[편집]


파일:남양주시 CI_White(1998-2023).svg 남양주시 일반형버스 12-3번
기점
경기도 의정부시 신곡동(신곡중학교)
종점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노원역 9번 출구)
종점

첫차
-
기점

첫차
-
막차
-
막차
-
평일배차
15~20분
주말배차
20~30분
운수사명
대원운수
인가대수
7대
노선
신곡중학교 - 추동아파트 - 서해아파트 - 장암주공5단지 - 장암역 - 수락산역 - 마들역 → 상계주공7단지 → 상계초등학교 → 노원역 9번출구.롯데백화점 노원점 → 도봉면허시험장→ 이후 역순

1999년 대원운수에서 신설한 노선이다. 남양주시 시내버스임에도 정작 남양주시는 들어가지도 않았다.[42] 다른 12번대 노선들[43]과 달리 혼자 경기도 면허로 된 노선이었으며 그런 탓에 다른 노선들과 달리 노원역에서 끊기는 노선이었다. 직접적인 경쟁 노선은 동일한 구간을 운행하던 20-3번, 72-1번이다.

2005년 경기고속, 2006년 평안운수 순으로 이관되었다. 이후 내용은 의정부 버스 12-5 참조. 다만 중간에 노선이 변경된 탓에 대원운수ㆍ경기고속 시절과 지금의 운행구간은 다르다. 대원운수/경기고속 시절에는 신곡중학교에서 출발하던게 공차회송 문제 때문에 2006년에 녹양동으로 연장되어 잘 다니다가 뜬금없이 양주자이아파트 연장, 다시 경민대학 변경, 민락1지구 변경 등을 거치며 지금처럼 노선이 크게 바뀌었다.


2.44. 남양주 버스 90, 13, 2015, 2017[편집]


파일:남양주시 CI_White(1998-2023).svg 남양주시 일반형버스 90, 13, 2015, 2017번
기점
경기도 남양주시 도농동(도농역)
종점
경기도 남양주시 이패동(남양주시 체육문화센터)
종점

첫차
-
기점

첫차
-
막차
-
막차
-
평일배차
20~30분
주말배차
30~40분
운수사명
대원운수
인가대수
미상
노선
도농역 - 지금동주민센터 - 한화아파트 - 남양주시체육문화센터

2011년, 2013, 2015, 2017년 슬로우푸드대회장과 도농역을 잇는 임시 셔틀노선. 운행 구간은 도농역-지금동주민센터-한화아파트-슬로푸드행사장(체육문화센터)였다. 13년도 운행기록, 15년도 운행 기록)


2.45. 구리 버스 16[편집]


경기여객이 대원운수에서 분리되고서운행예정이였던 구리시 순환버스. 다 썩어가던 마석순환버스 출신 로얄미디로 운행하려다 개통이 취소되었고 차량은 진벌리차고지에서 방치되다가 폐차되었다.
기점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수택동차고지
구리여고ㆍ구리시청ㆍ배탈고개ㆍ농수산물시장ㆍ구리역ㆍ대림,영풍아파트
수택동차고지
40


2.46. 남양주 버스 25, 26[편집]


별내지구 커뮤니티센터 셔틀버스. 남양주 버스 25, 26 문서 참조. 결국 커뮤니티센터가 유료 셔틀버스 운행을 시작하면서 폐선되었다.


2.47. 남양주 버스 30-1[편집]


현재의 마석지선인 30-1번과는 다르며, 30번이 마석종점까지 운행할때 차산리까지 연장운행한 노선이다. 현재는 65번으로 재편되었다.


2.48. 남양주 버스 30-2[편집]


현리 - 청평 - / 차산리 - 마석 - 평내 - 금곡 - 도농 - 돌다리 - 구리농수산물시장. 흔한 30번의 가지치기 노선, 삼용버스 도산과 동시에 소리없이 사라진다.


2.49. 남양주 버스 30-3[편집]


가평 - / (상동 -) 현리 - / 청평 - 대성리 - 마석 - 평내 - 금곡 - 도농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구리시청 - 덕현아파트. 흔한 30번의 가지치기 노선, 삼용버스 도산과 동시에 없어진다.


2.50. 남양주 버스 30-4[편집]


30-4
마석
금곡·도농·LG백화점·돌다리·교문사거리
망우리고개



2.51. 남양주 버스 30-7[편집]




2.52. 남양주 버스 30-9[편집]



2.53. 남양주 버스 30-17, 30-18[편집]




2.54. 남양주 버스 30-19[편집]




2.55. 남양주 버스 땡큐32[편집]


남양주 버스 땡큐32 문서 참조.


2.56. 남양주 버스 34[편집]


  • 마석 - 수레로 - 하남을 다니던 34번이 도곡리로 노선이 단축되면서 30-15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 자세한 건 남양주 버스 30-15 문서 참조.


2.57. 남양주 버스 38[편집]


38
마석
백월리·월문리·덕소·도농·돌다리·상봉역
청량리


현 30-15와 166번을 섞어놓은 노선이라 이해하면 빠르다. 당연하지만, 수요처가 없는 노선 특성상 소리없이 증발.


2.58. 남양주 버스 38-1[편집]


파일:남양주38-1.png



2.59. 구리 버스 52[편집]





2.60. 구리 버스 53[편집]


53
수택동
구리 농수산물시장 - 동구릉 - 배탈고개 - 망우역
청량리


남양주 버스 202를 견제하기 위해 야심차게 개통한 노선으로 전차량 저상버스로 운행했다. 수택동차고지에서 구리 버스 1115-6이 다니는 왕숙천로를 경유한것이 특징. 인지도나 배차간격면에서 202번이 워낙 넘사벽인지라 별 힘도 쓰지 못했고 결정적으로 유성운수를 인수하는 바람에 쓸모가 없어져 조용히 2010년에 폐선.


2.61. 남양주 버스 55-1[편집]



2.61.1. 원차산 - 군장리 (1기 노선, 대원운수)[편집]


1기 노선은 원차산-군장리 구간이었고 30~40분 간격으로 운행되었다가 30-16으로 번호가 바뀌었다.[44] 경춘선 전철 개통 때 마석 서쪽 구간은 남양주 버스 6이 되었고 원차산리 구간은 남양주 버스 7번이 되어 둘로 분리되었다.


2.61.2. 호평동 - 진접택지지구 (2기 노선, 대원운수)[편집]


2기 노선은 호평동-진접지구 구간이었는데 호평.평내택지와 남양주시청에서 오남, 진접지구를 한번에 잇는 성격을 띠었으나 통학 수요가 발생할만한 경복대를 가지 않은 점, 오남에서는 유동인구가 적은 우회도로를 경유하는 바람에 수요를 건지기 애매했다.

배차면에서도 전철이든 버스든 사릉에서 1회 환승하는 패턴보다 나을 게 없어서 차량들이 얼마 못 가 본래 노선인 55번으로 돌아가 버리고 조용히 폐선되었다. 여담으로 금곡우체국(사릉입구) - 진접지구 구간은 165-3번 최후의 구간과도 유사했다. 자세한건 남양주 버스 55-1 문서 참조.


2.62. 남양주 버스 56[편집]


남양주 버스 58번 신설에 따라 폐선.


2.63. 남양주 버스 58-3[편집]


파일:남양주58-3_1.jpg

남양주 버스 땡큐58-3으로 번호변경

2.64. 남양주 버스 66[편집]


남양주 버스 6 문서 참고.


2.65. 남양주 버스 71-2[편집]


2010년 71번이 순환버스 형태로 노선이 연장된 후 분리된 노선 중 하나. 하지만 수요부족으로 71-1번만 남아 그것이 71번으로 환원되고 이 노선은 폐선되었다. 남양주 버스 71 문서 참조.

결국 6대까지 증차해서 다니던 71번은 예전보다 더 한 잉여가 된다.


2.66. 남양주 버스 72[편집]


남양주 버스 72 문서 참조.

2.67. 남양주 버스 73[편집]


남양주 버스 73 문서 참조.

2.68. 남양주 버스 74[편집]


남양주 버스 74 문서 참조.


2.69. 남양주 버스 78 (시내버스)[편집]


이 문서를 참고.


2.70. 남양주 버스 78-1[편집]


이 문서를 참고.


2.71. 남양주 버스 80[편집]


이 문서를 참고.


2.72. 남양주 버스 88-1[편집]


파일:선진상운 7-9번.jpg

  • 운행 노선: 금곡리 - 장현·퇴계원·인창동·돌다리·상봉역·청량리역 - 경동시장

88번의 금곡리 지선. 원래 노선번호는 7-9였으나 선진상운 시절 88-1로 변경. 이후 금곡리가 진접지구 개발구역에 수용된 뒤로도 다니다가 폐선. 배차간격이 굉장히 아스트랄했는데, 두 대가 25~50분 간격으로 붙어서 다니다보니 중간에 배차가 2~3시간씩 벌어지는 일이 생겼다.


2.73. 남양주 버스 91-1[편집]


  • 91번의 수자원공사 경유 지선이었으나 91번이 배양리를 들어가게 바뀌고, 9번이 이 역할을 대신하면서 폐선되었다. 자세한 건 남양주 버스 91 문서를 참고.

2.74. 구리 버스 96-1[편집]


파일:구리96-1.png
  • 구리시 최촌마을에서 출발해 동구릉로와 아차산로를 통해 바로 강변역으로 운행하던 노선으로 96번 감차에 힘입어 2020년 상반기 중 폐선되었다. 구리 버스 96 문서를 참고.


2.75. 남양주 버스 99 (1기 노선, 경기운수)[편집]


운행경로: 사릉차고지 - 진건초등학교 - 진건읍사무소 - 사릉역 - 진관사거리 - 배양리 - 수자원공사 - 양정동사거리 - 도농역

현재 운행하는 다산신도시 - 구리역 과는 별개노선.

9번의 보조노선인 9-9번으로 2008년 6월 2일에 신설되었다. 9번의 경기유리 경유 노선이 시초이며 당시 운행구간은 9번과 비슷했으나 남양주환경사업소(경기유리)와 장자대로를 경유하는 점만 달랐으며 차량구성도 경기운수에서 대차를 앞둔 구형차량들로 구성되었으나[45]

2009년 1월 31일 노선이 변경되었는데 양지리 - 진접택지지구(당시는 공사중) - 장현 - 오남우회도로[46] - 양정사거리 등으로 9번과는 다른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버스가 부족한 오남우회도로(오남체육공원) 일대에서 단비같은 존재였고 경춘선 개통 전 진접지구에서 도농역으로 가장 빠르게 갔다는 점, 진접에서 도농을 연계하는 제대로 된 노선이 생긴점에서 메리트는 뚜렷했지만 배차간격이 짧지는 않아 불편함이 컸다. 대충 20~40분 간격으로 다녔을 정도. 사실 수요가 폭발적으로 많은 게 아니라 경기운수로 바뀌면서 증차는 사실상 무산되었다. 동년 봄 부터는 전 차량이 새로 뽑은 글로벌900 좌석차량으로 대차되어 운행됐다.

2011년 5월 이후 91번이 연장되면서 큰 타격을 입어 얼마 못 가 기종점이 단축되어 99번이 되었다. 처음엔 9-9번 출신 글로벌900 F/L 차량으로 운행하다가 얼마 못 가 카운티로 대차했다.[47] 배양리 구간이 다르기 때문에 없앨 수는 없어 10-1, 10-3, 10-6처럼 벽지노선으로 연명했다.

하지만 노선을 단축한 뒤에도 수요가 적다보니 배차가 들쑥날쑥하다 결국 2012년 3월에 조용히 폐선되었다. 수자원공사 경유 구간은 91번이 이원화 운행을 하게 되었다. 99번에 투입됐던 차량은 6-3번(마석역 - 천마산입구), 6-5번(차산리 - 중흥아파트) 등으로 흩어졌다.

현재 구 9-9번의 일부를 대체하는 노선은 9번[48], 23번, 91번 등이다. 특히 91번은 진접에서 도농까지 빠르게 가주다가 예전 99번보다 더 안 오는 수준으로 전락했다.



2.76. 구리 버스 112-2 (2기 노선, 경기여객)[편집]


파일:dsc_0944_ph_kzzz-1.jpg
현재는 말소된 1999년식 BS106L.출처
  • 운행 노선: 도곡리 차고지 - 팔당역 - 팔당대교 - 미사동 - 천호역 - 올림픽대교 - 강변역
경기고속 노선이던게 경기여객을 거쳐 경기상운으로 이관 후 2010년에 폐선되었다. 폐선전엔 경기여객의 유일한 아웃 구리노선이었다.[49]

위의 노선으로 재신설 되기 전 로얄스타를 새로 뽑아서 팔당 - 하남아파트단지 - 올림픽대로 - 잠실역을 운행하던 직행좌석버스로 운행하기도 했었다만 2003년에 정리되었다. 현재의 하남 버스 9302와 비슷한 형태였으며 BH090으로 운행하였다.


2.77. 남양주 버스 165 (경기고속, 대원운수, 1기 노선)[편집]


파일:남양주165-1.jpg
지금의 165번은 원래 -1이 붙은, 여기서 파생되어 나온 노선이다. 남양주 버스 165 문서 참조.


2.78. 남양주 버스 165-3[편집]


  • 남양주 버스 165-3 문서 참조. 舊 대원교통 2016(2230) 대체노선. 별개의 노선이긴 하다.


2.79. 구리 버스 166[편집]


파일:대원운수 166번.jpg

  • 운행 노선: 도곡리 - 덕소역·도농역·구리역·상봉역 - 청량리

2000년대 초반 잠깐 등장했던 직행좌석버스 1166번을 없애고 나서 만든 노선이다. 당시 서울면허 166번, 이후 지선 2229번이 중앙선 전철 청량리-덕소 구간 개통 전까지만 해도 가축수송이어 이를 보완하고자 개통했으나, 중앙선 전철의 덕소 구간 개통으로 타격을 받고[50] 2007년에 166-1을 분리시키고 2008년에 167번이 생기더니 급격히 잉여화되고 2009년에 경기여객으로 넘어갔다가 그 해 가을에 폐선된다. 마현부락(현재 다산정약용유적지) 까지 연장운행하는 인가가 있었으나 실제 운행 했는지는 불명. 2022년 9월 5일부로 167번의 덕소-청량리를 대체하여 남양주 면허로 일부구간이 변경된채 부활했다. 남양주 면허의 166번[51]


2.80. 남양주 버스 167[편집]


계속되는 노선 연장으로 청랑리 - 덕소 - 대성리로 왕복 100km[52]가 넘는 노선이 돼 운행에 차질이 생기고 각 구간마다 수요차이가 심해 166번, 58-3번으로 분할됐으며 2022년 9월 4일을 마지막으로 폐선되었다.


2.81. 남양주 버스 167-2[편집]


  • 운행 노선: 구암리 - 시우리·덕소·도농역·구리역·상봉역 - 청량리
명진운수 3-2번이 전신이다. 초창기에는 월문리에서 출발했다가 시우리를 거쳐 현 63번과 동일한 경로로 삼봉리까지 간 다음 45번 국도를 타고 올라가 답내리, 구암리까지 가는 것으로 연장되었으나 연선 인구가 적고 당시엔 88-3번뿐만 아니라 62번도 비교적 잘 다니던 편이라 경쟁력이 없었다.


2.82. 남양주 버스 169 (1기 노선, 대원운수)[편집]


  • 운행 노선: 차산리 - 창현.마석지구·호평.평내지구·금곡·73사단·양정역·덕소역 - 도곡리

잉여로 유명한 168번이 한때 하남 풍산지구까지 다니던 리즈시절에 덕소 단축판 버전으로 2010년 하반기에 개통되었으며, 저상버스로 다녔었다. 2010년 12월에 경춘선 전철 운행개시에 따른 노선개편으로 없어졌다.(2017년 9월 11일에 신설된 169번과는 별개)


2.83. 남양주 버스 202-1[편집]


7-5번이 169번으로 변경되면서 대체노선으로 신설된 노선. 2018년 11월 14일부터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2019년 7월 GBIS에서도 삭제되어서 폐선이 확실해졌다. 202번 첫차가 오남우회도로를 경유하면서 대체한다.


2.84. 남양주 버스 1115-2[편집]


파일:attachment/P508506.jpg

대원운수에서 운행하 시내버스.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이래저래 막장인 노선이었다.

원래 삼용버스직행좌석버스 1990번(마석-강변역)이었던 것을 KD 운송그룹이 차산리 영업소[53]를 인수해오면서 번호를 1115-2번으로 바꾸게 된다. 그러나 수요가 적었는지 도시형으로 전환하여 운행하는데, 이마저도 재미를 못 보고 모두 중형차량으로 바뀐다. 문제는 이용하려 그래도 배차간격이 길어서 그냥 좌석버스 타고 잠실역을 가거나 금곡에서 자주 오는 9-1번을 타는 게 나았다.

그러다, 상당히 파격적인 변화가 있었는데, 남양주 시내버스[54]로는 최초로 강변북로를 경유하게 된 것. 주변에서 호응이 꽤 좋은 편이었으나 잘 안오는 문제(15~25분 간격)는 여전했고 출퇴근 시간대에 검배길[55]의 지정체가 심했기 때문에 이 역시 성공을 못 하고 결국 도로 직행좌석버스로 다시 전환한다.

그러면서 마석지구를 경유하는데 수요가 저조한 건 마찬가지였고 마석지구 수요가 조금 느는 듯 싶었으나 주민들의 민원[56]으로 또 다시 시내버스로 전환됐다. 서울 버스 108, 서울 버스 773, 경기광주 버스 303도 좌석-시내-좌석-시내를 거치긴 했다.

수난은 계속되는데 2006년 11월에 도시형으로 2차 전환된 직후[57]광나루역을 경유하는 것까진 괜찮아 보였는데, 얼마 안 있어 강변북로 경유를 폐지하고 구리여고, 장자못호수공원(토평지구) 경유로 바뀌어 다른 9번대 노선들의 보조 역할을 하게 된다. 당시 운행댓수는 10대 언저리로 제법 다니는 편이었다.

그러다 대원운수로 이관되고 좀 정착이 되는 듯 싶었는데, 노선이 많이 비슷한 93번이 뜬금 없이 2009년말에 호평동에서 구암리를 거쳐 대성리로 연장되고 나서는 1119번과 더불어 엄청나게 줄어들었다.[58]내거나 2011년 9월 19일부터는 한마음길(덕현한가람A) 경유로 바뀌었다.[59] 그 무렵에 차산리영업소에 가스 충전소가 설치되었고 기존에 다니던 BM090과 BH090이 BS090 F/L 천연가스버스로 대차되었다.

2013년 현재 하루 16번만 다닌다.1115-2번 시간표(2013년 3월 평일 기준). 회원만 볼 수 있다. 대충 1시간~1시간 20분 간격.

2014년 3월 24일부터 168번과 통합된다.(뭐 사실상 폐선이지만..) 애물단지같았던 노선이 결국 이렇게 끝이난다. 다만 168번과의 통합은 사실 알고 보면 1115-2번의 너구내고개 구간만 계승하고 차량 댓수만 168번이 흡수하는 형태고 사실 이 노선을 제대로 대체할 수 있는 버스는 93번이다.

폐선 이후 차량은 2014년부터 2016년까지 모두 성남 대원버스로 넘어갔고 기존 면허들은 전부 NEW BS090 디젤과 FX116으로 대차되었다.

2.85. 남양주 버스 1119[편집]


파일:080228_1119_BS106L.jpg

경기운수에서 운행하던 노선으로 구암리와 길동을 잇던 노선이다.

  • 운행경로: 대성리 - 구암리 - 평내동 - 금곡동 - 부영아파트 - 돌다리 - 구리시청 - 워커힐 - 광나루역 - 천호역 - 길동

경기고속에서 직행좌석버스로 개통 이후[60] 세진버스 1-4번을 견제하기 위해 일반시내버스로 형간전환해서 운행하였다. 전환과 동시에 신차도 사고 길동으로 연장되어서 1-4와 똑같이 다녔을 정도이다.

그러나 세진버스가 경영난으로 선진그룹에 먹히면서 KD에 1, 1-4를 매각하자 낙동강 오리알 신세로 전락했다. 그 좋은 가스차도 광주 17번으로 뺏기고 낡은 99~02년식 차량 위주로 다녔다. 그리고 감차도 많이 당했다. 이후 2007년에 신차가 들어오지만[61] 얼마 못가서 타지에 있던 차량(04년 10월 도입분)과 맞바꿨다.

이렇게 해서 다니다가, 2010년 4월에 1115-7과 함께 경기운수로 이관되었다.[62]

경기운수로 이관되고 얼마 못가서[63] 임의결행으로 이어졌고, 결국 2010년 10월경 GBIS에서 삭제되면서 모든 차량이 1-5번으로 이동하고 폐선되었다.

한편 이 노선에 다니던 03~04년식 디젤차량은 면허만 남양주 면허로 바꾸고 다니다가 03년식은 2013년에 2007년식 글로벌900 가스차로, 04년 10월 도입분은 2015년 가을에 NEW BS106 디젤로 대차되었다.

3. 좌석버스[편집]



3.1. 남양주 버스 101[편집]


사릉 - 퇴계원 - 교문사거리 - 광장동 - 길동 간을 운행하던 좌석버스로 원래 퇴계원 - 길동 간을 운행하던 1기 1번 버스의 좌석형이었다. 이후 광장동 단축이 되고서 얼마 못 가 폐선.

1993-94년 사이로 추정되는 천호역 앞, 5호선이 한창 공사중이다.


3.2. 남양주 버스 133[편집]


  • 운행 노선: (다락터 -) 현리 / 가평 / 설악 - 청평 - 대성리 - 마석 - 금곡 - 돌다리 - 상봉역 - 청량리

1330번의 일반좌석형으로 경기고속에서 이걸 인수해 3300번이라는 직행좌석버스로 운행했다가 얼마 못가서 폐선하고 경기(광주)면허 765번으로 다시 개통되어 운행했다. 이마저도 경춘선 개통의 여파로 인해 30번에 통합되어 사라졌다. 삼용버스에서 운행.


3.3. 남양주 버스 138 (★)[편집]



대진운수에서 포천교통, 명진여객 등 타 회사와 공동배차로 운행하다가 대진운수 운행분을 2004년 포천교통으로 매각. 이 때문에 경기버스에 의정부 차적이 존재하고 있다.

3.4. 남양주 버스 138-1 (★)[편집]



선진상운에서 포천교통, 명진여객 등 타 회사와 공동배차로 운행하다가 선진상운 운행분을 2004~2005년경 포천교통으로 매각

3.5. 남양주 버스 330[편집]


파일:남양주330번.jpg
사고가 나있는건 무시하자

운행 노선: 마석 - 금곡 - 도농 - 돌다리 - 상봉역 - 청량리.

내방리, 백월리 등에서 청량리로 가는 지선도 운행하였다. 삼용버스에서 운행.


3.6. 남양주 버스 330-1[편집]


현재 수동면 노선인 330-1과는 다르게 330번의 차산리 연장버전으로 운행된 노선. 삼용버스에서 운행.


3.7. 남양주 버스 330-2[편집]


  • 운행 노선: 가평 - 청평 - 대성리 - 마석 - 금곡 - 돌다리 - 구리농수산물시장

가평에서 목동을 거쳐 용수목까지 운행하는 지선과 청평에서 유명산으로 가는 지선도 있었다. 삼용버스에서 운행. 1330-2, 1330-3번이 이 노선을 대체한다.


3.8. 남양주 버스 330-3[편집]


  • 운행 노선: 마석 - 금곡 - 73사단 - 돌다리 - 상봉역 - 청량리.
330번과의 차이는 진안사거리대신 훈련장을 경유. 삼용버스에서 운행.


3.9. 남양주 버스 650[편집]


  • 운행 노선: 천마산 - 호평동 - 양정동 - 구리역 - 상봉역 - 청량리역

삼용버스에서 직행좌석버스로 개통시킨 노선이었으나 대원교통 765번 견제 인해 한동안 일반시내 요금을 받았다고 한다. 그러다 2001년경에 결국 대원운수로 넘어간 이후 좌석버스로 격상해서 운행하다 폐선되었다. 대원운수 65번의 좌석형 버전.


3.10. 남양주 버스 705[편집]


  • 운행 노선: 어냄이 - 양지리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신내동 - 상봉역 - 청량리 - 경동시장

대진운수에서 운행하던 노선. 2000년경 폐선되었다.


3.11. 남양주 버스 707-1[편집]


  • 운행 노선: 내촌 - 광릉내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신내동 - 상봉역 - 청량리 - 경동시장

현 707번을 내촌으로 연장시킨 노선이다. 707-1번 고정차량은 없었고 707번 차량이 내촌 행선판을 꼽고 연장운행하는 형태였다.

7번 내촌지선(내촌-광릉내-청량리)와 대부분 중복되는 노선이라, 잠시 7번 내촌지선이 폐지되었을때 대체성격으로 운행하였고, 거의 대부분의 기간은 운행하지 않았다. 즉 7번 내촌지선이 다니거나 707-1번이 다니거나 둘중하나만 다니는 식.

참고로, 707번이 진벌리에서 내촌으로 연장되면서 이 노선이 부활하나 싶었지만, 진벌리, 진접 주민들의 민원끝에 다시 환원되었다.


3.12. 남양주 버스 708, 708-1[편집]


  • 운행노선: 광릉내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배탈고개 - 교문사거리 - 광나루역 - 강변역

대진운수에서 운행하던 노선. 2000년경 폐선되었다. 708-1번은 708번의 구리농수산물시장을 경유버전.


3.13. 남양주 버스 990[편집]


  • 운행노선: 문호리 - 양수리 - / 시우리 - 덕소 - 도농동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 망우리 - 청량리

삼용버스에서 운행.


4. 직행좌석버스[편집]



4.1. 남양주 버스 105-2[편집]




4.2. 남양주 버스 765-1[편집]


파일:attachment/남양주 버스 65/765-1.jpg

구) 9205(차산리 - 서울역)가 2006년 12월에 신내동으로 잘리면서[64] 차산리 - 청량리 구간을 대체하기 위해서 신설된 노선이다. 무려 시외부 출신 전문형 스윙도어차가 들어가서 화제가 된 적이 있었다.[65]2010년까지 그럭저럭 다니다가 이후 경춘선 전철이 개통된 이후에 급격한 수요감소로 2011년 3월부로 766과 같이 폐선된다.

이 노선이 없어지고서 동사 65번이 이 노선이 다니던 구간을 이어받고 인가분을 흡수해서 다니게 되었다.

4.3. 남양주 버스 766[편집]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SDC11014.jpg

대원운수에서 운행했던 직행좌석버스 노선. 남양주시 호평동과 동대문역을 잇는 노선이다.

호평동차고지에서 출발하여, 평내호평역과 평내동, 호평동을 한바퀴 돈 다음, 경춘로를 타고 금곡, 도농, 구리시를 거쳐 망우로, 종로를 경유하여 동대문역까지 운행했다.

광역급행버스 운행 당시 운행경로는 평내농협 - 장내마을 - 금곡동 구 종점 - 금곡역 - 무정차 - 청량리역 - 제기동역 - 신설동역 - 동대문역이다.

2009년 8월, 1기 광역급행버스 M2104로 운행을 개시했다. 인가댓수는 13대. 배차간격은 15~25분이었다.

1차 개설 노선중 가장 실패한 노선. 1일 평균 승객 뒤에서 1위다. 출퇴근시간대는 경춘로 연선 광역버스가 다 그렇듯이 그럭저럭 태웠지만, 평시간대에는 거의 공기수송을 하는 상황. 광화문이나 종로까지 노선이 이어졌으면 제법 수요가 날 법도 한데 문제는 당시 규정상 종점으로부터 5km 이내까지만 정류소를 설치할 수 있다는 것. 광화문까지 노선을 연장하려면 전통적인 대수요처인 청량리역을 과감히 포기해야 하는데 그게 어디 쉽나.

게다가 청량리에서부터 남양주방향으로 버스 중앙차로를 이용하는데 구리, 남양주 지역 중앙차로는 추월차로가 거의 없는 편이라 시간단축효과도 다른 광역급행버스에 비해 미비한 편이었다. 도농, 구리 등을 안 서도 시간을 다 까먹는 수준.[66]

결국 2010년 11월 15일에 직행좌석버스로 전환했고, 번호도 766번으로 변경하는 동시에 전 정류장 정차로 변경하였다.

경춘선 전철이 개통하면서 2010년 12월 10일에 '중흥S클래스 - 한림로얄펠리스 - 호평동.중흥아파트 - 호평체육문화센터 - 평내호평역 - 평내동.중흥아파트 - 평내고'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경춘선에 수요를 많이 뺏기면서 전철 개통 2달 반이 지난 2011년 3월 2일에 폐선되었다, 이 때 차량은 1670번, 1700번 등에서 아주 잘 다니다가 현재는 전부 차령만료로 퇴역했다.[67]

4.4. 남양주 버스 1000-2, 1000-3[편집]





4.5. 남양주 버스 1115-7[편집]


파일:1115-7.jpg
1276호는 두 번 대차되어 500-2번에서 FX116 하모니 디젤차량으로 운행중이다.

경기운수에서 운행했던 노선으로 2004년 신설 당시에는 경기고속에서 운행했던 노선이다. 면허 이관 시점은 경기버스, 경기운수가 KD 운송그룹에 인수된 출범한 2010년 초이다.

운행구간은 진벌리 - 진접지구 - 오남읍 - 사릉한신아파트 - 퇴계원 - 잠실역으로 100번2000번이 오기전까진 오남권역에서의 유일한 직행좌석버스였다. 사능(진건)에서 잠실을 운행하던 1115-3번의 오남 연장 + 구리 미경유[68] 판으로 2004년에 분리된 게 시초이며 1115-3번은 도시형 전환 후 1-5번과 통합되어 폐선됐다.[69]

2008년에 신설된 오남 - 강변역 급행 노선 100번[70]과 중복되면서 조금 느린 것 같지만[71] 딱히 타격은 없었다.

근데 문제는 2009년 3월 강남역으로 가는 2000번이 이 노선에서 분리 신설된 것으로, 초창기부터 배차간격이 그다지 좋지 못했던 게 더욱 악화됐던 것. 2000번도 마찬가지...가 아니라 더욱 심각했다. 헬게이트 테헤란로를 지나는 건 물론이고, 남양주-강남 직행좌석버스들 중에서 도로 사정이 가장 나쁜 구간만을 골라 다녔기에[72] 이도저도 아닌 상태가 돼버린 것. 그러다 진접지구의 구원투수 남양주 버스 8012[73]이 신설되면서 반쯤 잉여가 돼버렸다.

차량구성은 경기고속 시절에는 2006년에 나온 로얄럭셔리 신형 가스차들[74]이 주력차종이었으나 경기운수로 넘어가면서 04년식 이전의 구형 똥럭 로얄럭셔리(02~03년식)들로 바뀌었다.

2008년부터 아침에 한해 퇴계원을 경유하지 않는 급행으로 운행했다. 운행횟수는 3회. 기사 잠실역 방면 한정이었으며, 따로 노선번호가 부여되지 않아서 급행구간(신월리- 47번국도 - 고속도로 - 토평IC)을 운행하는 동안은 '현재 노선이탈 운행 중입니다.'라는 안내멘트가 계속 나왔다. 급행차량은 '퇴계원 미경유', '잠실역 광역급행' 이라는 2개의 팻말을 꽂고 다녔다. 1115-7번이 2000번에 흡수되면서 이 급행노선은 2000-1이라는 정식 노선번호를 부여받는다.[75]

그래도 오남, 사능에서 잠실로 가던 노선으로 인지도가 있었기에 대충 버텼고, 2013년 3월 4일에 남양주 버스 2000번으로 흡수됐다. 그리고, 2000번은 공동배차로 다니다가 경기운수가 차량을 모두 받아와 단독으로 운행하게 된다.

4.6. 남양주 버스 1640[편집]




4.7. 남양주 버스 2000-2[편집]


광역버스 입석금지제도에 따라 2000번의 단축노선으로 신설.

오남읍사무소~잠실역 구간을 평일 출근시 4회, 퇴근시 2회 전세버스운행으로 신설되었다.

이후 2000번 차량들이 개조를 통해 39석에서 45석으로 좌석이 증가되었다는 이유로 조금씩 감회되다가 폐지.


4.8. 남양주 버스 7007-2[편집]


광역버스 입석금지제도에 따라 7007번의 단축노선으로 신설.

금곡리입구~잠실역 구간을 평일 출근시 2회, 퇴근시 1회 전세버스운행으로 신설되었다가 얼마되지않아 광릉내로 연장되었고,
7007번 차량들이 개조를 통해 39석에서 45석으로 좌석이 증가되었다는 이유로 조금씩 감회되다가 폐지.


4.9. 남양주 버스 7008[편집]


파일:attachment/남양주 버스 74/7008fx.png



4.10. 남양주 버스 8002-2[편집]


광역버스 입석금지제도에 따라 8002번의 단축노선으로 신설.

마석역~잠실역 구간을 평일 출근시 11회 전세버스운행으로 신설되었다.

8002번 차량들이 개조를 통해 39석에서 45석으로 좌석이 증가되었다는 이유로 조금씩 감회되다가 폐지.


4.11. 남양주 버스 8012 (1기 노선, 대원운수)[편집]


대원운수에서 운행하던 간선급행버스 노선으로, 8002번과 동시에 개통한 노선이다.

8002번이 대성리에서 출발한 반면, 8012번은 구암리에서 출발했으며 그 외 구간은 8002번과 같았다.

배차간격이 벌어지는 일이 잦은데다가 결정적으로 구암리영업소가 대성리영업소에 통합되면서 2009년 12월에 8002번으로 통합되었다. 이 때문에 한동안 경기고속+대원운수가 8002번을 공동운영했다.


5. 광역급행버스[편집]


광역급행버스는 국토교통부 관할이지만 편의상 추가한다.


5.1. 광역급행버스 M2104[편집]


위에 766번 문단 참조.


6. 마을버스[편집]



6.1. 구리 버스 2-1[편집]


파일:구리2-1.jpg

2020년 5월 2일에 2번과 통합되었다.


6.2. 구리 버스 6-1[편집]



6.2.1. 1기[편집]


운행 구간: 한진그랑빌 - 동구릉 - 농수산물시장(유턴) - 주공1단지 - 동구초교 - 주공4단지 - 주공6단지 - 보건소 - 구리역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구리시청 - 정각사입구 - 덕현아파트 - 금호1차아파트 - 장자초.중교 - 동양.금호아파트 - 한숲아파트 - 럭키아파트 - 밀알교회 - 구리여중 - 검배사거리 - SK.신일아파트 - 수택고 - 적환장

2005년 12월 16일, 중앙선 전철 개통과 동시에 신설되었다. 7대로 운행하였으며 이후 폐선되었다.


6.2.2. 2기[편집]


운행 구간: 농수산물시장 - 인창주공1단지 - 삼보아파트 - 인창주공4단지 - 인창중.고교 - 구리우체국 - 구리역 - 한양대병원 - 구리시청 - 대명빌리지 - 장자중 - 장자호수공원 - 구.종점 - 벌말 - 토평정수장 - 제2육갑문 - 한강시민공원

2016년 경, 6번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얼마 못가 조용히 폐선하였다.


6.3. 구리 버스 6-2[편집]


운행 구간: 돌섬마을 - 삼성.한일아파트 - 한숲아파트 - 수택3동사무소 - 럭키아파트 - 밀알교회 - 구리여고 - 구.보건소, 남양시장입구 - 돌다리 - 구리역 - 인창주공아파트단지 - 배탈고개 - 삼성아파트 - 개나리아파트

이전에는 1번이었다.

2005년 12월 16일, 중앙선 전철 개통과 동시에 '인창삼성아파트 - 교문사거리 - 돌다리 - 축협' 구간이 '인창삼성아파트 - 도매시장사거리 - 주공1.2.4단지 - 보건소 - 우체국 - 구리역 - 남양신용금고 - 축협'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기사

2012년 후반에 6-3번과 통합되어 5번으로 신설되었다.

2대로 운행했다.


6.4. 구리 버스 6-3[편집]


운행 구간: 돌섬마을 - 삼성.한일아파트 - 한숲아파트 - 수택3동사무소 - 럭키아파트 - 밀알교회 - 구리여고 - 구.보건소, 남양시장입구 - 돌다리 - 구리역 - 인창주공아파트단지 - 배탈고개 - 엘지아파트 - 인창초교 - 인창그린아파트

이전에는 1-1번이었다.

2005년 12월 16일, 중앙선 전철 개통과 동시에 '인창사리(성곡사) - 교문사거리 - 돌다리 - 축협' 구간이 '인창사리 - 인창LG아파트 - 동원아파트 - 배탈고개 - 도매시장사거리 - 주공1.2.4단지 - 보건소 - 구리우체국 - 구리역 - 남양신용금고 - 축협'으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벌말삼거리 - 돌섬마을' 구간이 연장되었다. 관련 기사

2012년 후반에 6-2번과 통합되어 5번으로 신설되었다.

3대로 운행했다.


6.5. 남양주 버스 2-1[편집]


파일:남양주2-1.jpg



6.6. 남양주 마을버스 33[편집]


폐선된 별내동 - 당고개간 33번과는 별개의 노선이며 현재 남양주 6번이 이 노선의 후신이라 볼수있다.

마석 - 성생공단 - 호평동 - 평내동 - 금곡동 - 군장리를 운행.


6.7. 남양주 마을버스 62[편집]


태화상운 에서 운행하였으며 양수리 - 백월리 간을 운행.

56번이 신설되면서 폐선되었다.


6.8. 남양주 마을버스 65[편집]





6.9. 남양주 마을버스 70[편집]


태산운수의 모체인 우정운수의 최초 노선으로 덕송 - 불암동 - 담터 - 화랑대 - 태릉입구 - 석계역 운행으로 추정.

1990년대에 폐지되었다.


6.10. 남양주 마을버스 77[편집]


파일:남양주77.jpg
파일:77_county_8186.png
금곡 단축 이전.
금곡 단축 이후.



6.11. 남양주 마을버스 78[편집]





6.12. 남양주 버스 83[편집]





6.13. 남양주 마을버스 100, 100-1, 100-2[편집]



100: 천마산입구 - 호평동 - 금곡동 - 훈련장 - 도농 - 빙그레 - 미금중
100-1: 천마산입구 - 호평동 - 금곡동 - 훈련장 - 도농 - 돌다리 - 구리농수산물시장
100-2: 평내동 무궁화아파트 - 남양주시청 - 금곡동


[1] 폐선 직전 실 운행 댓수는 3대.[2] 오남읍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강변역 구간을 운행했으나 오남읍 구간이 삭제되고 광릉내 출발로 변경.[3] 어디까지나 당시 기준이다. 확실히 금곡, 도농, 구리를 도는 9번에 비해서 빠르기는 했지만 요즘 시대에는 그리 빠른 편이 절대 아니다.[4] 무려 초기에는 1001번을 감편시켜서 굴렸기 때문에 신형 BH116으로 다녔었다. 이 BH116의 절반은 KD가 가져가서 1113번에 투입시켜 차령 끝까지 잘 써먹었고, 나머지 반은 선진그룹에서 1004번 공항버스에 투입했다가 아예 행방불명이 되었다.[5] 강변역 찍고 잠실까지 갔던 그 시내버스 맞다.[6] 이 과정에서 생긴 노선이 1115-6번과 1115-7번. 사실상 구리 - 잠실역 구간 급행과 진접, 오남, 퇴계원 - 잠실역 구간 급행을 두 노선에 맡겨 장거리 수요를 넘기고 1115-3번은 1-5번을 견제하는 시내버스로 중, 단거리 수요를 노리게 되었다.[7] 배차간격이 15~20분 이상 되었으나 상대편이 5대, 40분 간격이니까...더 이상 설명이 필요한가?[8] 심지어 행선판에 진짜 목적지인 잠실역은 괄호 치고 작게 써 놓고 의도적으로 중간 경유지인 강변역을 진짜 종점인양 더 크게 써서 1-5번을 견제했다.[9] 금곡리에 별도의 차고지를 마련했으며 지금은 택지지구 개발 덕분에 진벌리영업소에 합쳐지면서 없어졌다.[10] 효과가 크지는 않았지만 14번(농수산물시장-강변역, 이후 청학리 연장 후 폐선), 9-9번(동구릉-강변역, 99번과는 관련이 없다)으로 두 번이나 말아먹은 거에 비하면 성공했던 셈.[11] 경복대학 수요가 새로 생겨서 체면치레는 했다.[12] 이 3번은 2006년에 경복대학 남양주 캠퍼스가 생긴 후 2008년까지 해당 학교를 이어주는 유일한 노선이었다. 결정적으로는 의정부에서 광릉내로 가는 21번(명진여객)이 09년 1월에 경복대로 연장됨에 따라 폐선.[13] 경기버스, 경기운수를 인수하면서 중복노선 정리의 성격이 강했다.[14] 같은 날 71번은 증차 밎 양방향 순환버스로 변경, 7-3(퇴계원 - 석계역)과 8(광릉내 - 구리여고)의 통폐합이 이뤄지면서 73(진벌리 - 석계역)이 신설되고 92(사릉 - 강변역)번은 8번 대체를 이유로 8번의 코스를 이어받아 진벌리로 연장되었다. 1-5번의 조정은 92번의 풍양출장소 - 사릉 구간의 대체성격도 있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165-3번이 사릉에서 오남우회도로를 경유하여 진접지구로 연장되었다.[15] 경기운수는 1119번 폐선이후 소속 차량들을 이용해 공배를 시작함.[16] 이 때 기존 차들은 116, 119번 등지로 넘어가고 거기서 쓰던 차량들이 들어간다. 이건 1115-7번 양도과정에서 되풀이되었다.[17] 이 노선이 철수하고 99번이 사릉 - 도농역 노선으로 재편되는 바람에 오남우회도로는 7-5번과 91번을 빼면 버스 노선이 사라지고 만다.[18] 심지어 폐선을 앞둔 시기에는 경기여객 차 3대만 60~120분 간격으로 운행하기에 이르렀다.[19] 기존 차는 광주영업소로 넘어가고 거기서 쓰던 차들로 바뀌었다.[20] 사릉차고지 관할인데, 알다시피 별내동 - 사릉간 거리가 멀었고 이 시기만 해도 뱅이터널이 없어서 공치회송 거리는 더 길었다.[21] 2012년 7월에 개편을 맞아서 청학리 - 의정부교도소 - 만가대 - 민락동 구간이 단축되었다.[22] 하지만 대원운수 3번은 구리 - 청량리 노선이었기 때문에 두 노선이 겹치는 곳이 없어 202번처럼 문제가 되지는 않았다.[23] 본 노선이 개통되기 전에는 등,하교시 한정으로 707번 같은 노선이 연장운행을 하기도 했다.[24] 평일은 예비차 1대를 추가하여 2대로 다녔으며, 주말과 공휴일, 그리고 경복대 방학 기간이 1대였다.[25] 그중 연평리를 추가로 경유하는 땡큐32번이 개통했다.[26] 51, 52번은 5-1, 5-2번에서 번호만 바꾼 것이다. 9X번 시리즈도 9-X번에서 번호만 바꾼 것이다.[27] 7-5는 이 당시에도 경춘북로를 경유했지만 이 시기의 경춘북로(47번 국도)는 신내IC 이북부터 진관사거리까지는 왕복 2차로(...)에 상습정체로 악명높았다.[28] 참고로 저 노선이 개통했던 당시에는 너구개고개 - 천마산입구 구간을 맡던 노선은 168번이 아니라 1115-2번이었다. 1115-2도 마찬가지로 수요 저조로 폐선되었고, 그 자리를 168번이 차지하게 된 것이다.[29] 차량이 2~3대일 경우: 50분 거리로 33회면 1650분(약 24시간)이므로 2, 3으로 나누면 대충 12 또는 8시간 정도 된다. 운전기사의 휴식 등을 고려하면 충분히 가능하다. 그리고 운행 횟수가 13일 경우: 대중교통 운행 공백 시간을 제외하고 배차를 고려하면 잘해봐야 06시~21시 사이에 운행을 하게 되는데 15시간(=900분) 동안 13회 운행하면 왕복 100분이므로 식사, 휴식 등을 고려하면 가능한 수치이다.[30] 강남아파트[31]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114942[32] 화도 지역에서의 요구도 있었다.[33] 당초 하남시의 마을버스업체인 삼성교통에서 운행하려 했으나 KD 운송그룹의 극렬한 반발로 취소되고 해당노선으로 개통되었다.[34] 잘보면 165번. 166번. 55번. 금강고속 직행 버스등을 볼수있다.[35] 당장 퇴계원 - 사릉 구간을 다니던 77번도 에어로타운이 다녔다.[36] 다만 10-1번은 대원운수로 바뀌고 나서 다시 노선이 잘려버렸는데, 수석동 지선으로 개편되었다. 10-1번 번호 자체는 2014년에 사라졌지만, 지금도 38번 수석동 지선으로 명맥을 잇고 있다.[37] 10-3(막작골 - 도농동), 10-5(금곡동 - 청학리), 10-6(덕소 - 사릉). 10-2는 뜬금없게도 맹골~마석 간을 운행하는 지금의 30-11번 노선에 부여되어 있었는데 이건 삼용버스 10번의 파생형이다. 결국 30번대로 바뀌었지만.. #[38] 어떻게 보면 땡큐버스 일부 노선들이 10번시리즈 및 파생노선인 11번(→66번)의 후속작이라고 볼 수도 있다. 구리시 중심부를 전혀 지나지 않는 대신 다산신도시를 지나거나 별내신도시에 특화되었으며 모든 노선이 1청사가 있는 금곡까지 가도록 설계되어 있었다. 또한 퇴계원읍을 지나는 노선도 많은 편[39] 기존 에어로타운은 한성버스가 1999년에 매입하여 408번에 투입했지만 업체가 망해서 오래 가지 못 했다.[40] 마을버스가 폐업하고 경기고속이 대체노선으로 11번을 신설했으나 정작 도농동 이후 구간이 편도였던데다가 돌다리를 안 가서 승객이 별로 없었다. 중앙선 전철 개통에 맞춰 뜯어 고쳐서 66번이 생겼다가 경춘선 전철 개통 때 30-16번과 통합되어 6번으로 다니고 있다.[41] 금곡차고지는 이미 2001년에 없어져서 사릉영업소에서 10-5번을 관리했다.[42] 당시 KD 운송그룹은 의정부시 시내버스를 전혀 운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근처 남양주시 시내버스 회사인 대원운수에 노선 편제를 주어 신설한 것이다.[43] 12(의정부 - 종로5가), 12-1(민락동 - 동대문), 12-5(민락동 - 동대문)[44] 다만 30-15번과 더불어 마석순환버스와는 별개로 취급되었다.[45] 물론 전 차량이 구형인 것은 아니었다. 05~06년식(74아 1000)도 소수 다녔다.[46] 이전에는 7-3번(현 73번)이 경유했다.[47] 기존 운행하던 글로벌900 F/L은 대원운수로 넘기고 해당 면허는 카운티에 달았다.[48] 2013년 11월 25일에 91번 대신 9번이 이원화 운행을 맡게 되었다.[49] 이 때문에 대원운수 면허가 경기상운에 있었다가 대폐차를 거치며 말소되어서 이젠 없다.[50] 한술 더 떠서 2229번은 아예 폐선된다.[51] 청소년수련관. 경동시장 경유로 변경[52] 왕복 100km가 넘는 노선은 남양주를 거쳐가는 노선 중 2000-1번, 23번 뿐이었다. 이마저도 2000-1번은 주말엔 운휴상태.[53] 시내 30-1(65), 좌석 330-1(650, 얼마 못 가 폐선)[54] 경기고속에서 운행했기 때문에 경기도 광주 시내버스, 일명 '아웃 광주'[55] 돌다리사거리에서 수택동을 잇는 4차선 도로. 수택.교문동-강변역 노선의 대부분이 이 길을 지난다. 왕복 4차선인데 길가에 주차돼있는 차량들이 많아 혼잡한 편. 현재의 검배로[56] 당시 마석지구에 시내버스라곤 55번판대기 달고다니는 시골버스들이 전부였다.[57] 그 과정에서 평안운수에서 다니던 BM090을 차출해왔다. 평안운수 기존 면허는 모두 BS106(대원여객, 경기고속 출신)으로 교체되었고, 그 중 상당수는 2011~2013년에 말소되었다.[58] 그 과정에서 55, 65-1번에서 쓰던 차를 대, 폐차시키거나 다른 영업소로 보내버리고 그 공백을 대체하기 위해 이 노선에서 차를 빼서 그리로 보내 땜빵시키는 일이 제법 있었다.[59] 그리고 이와 동시에 91번이 장자대로 경유로 변경된다.[60] 참고로 마석에서 출발해서 강변으로 가는 1115-2의 직행좌석버스 버전이다.[61] 디젤차량 2대[62] 운행차량은 기존 디젤차량 그대로 운행했다. 다만 이 과정에서 10-5, 30번과의 차량교환이 조금 있었다.[63] 2010년 여름부터 임의결행 수순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64] 이후 203번으로 다니다가 2007년 4월에 없어지고, 강남으로 가는 241번이 생긴다.[65] 이는 대우버스 파업으로 인해 FX116이 투입 되었어야 하지만 임시로 시외부 출신으로 투입된 것이다[66] 현존하는 빠른 경로로 신경춘로 - 경춘북로를 통해 서울로 진입하는 방안이 있었지만, 개통 당시에는 금강로가 왕복 4차선이어서 출/퇴근 때 정체였고, 결정적으롱 경춘북로가 개통되지 않아서 갈매사거리 이후로는 왕복 2차선이었기 때문에 앞에서 벌어놓은 시간을 여기서 다 까먹어서 의미 없었다.[67] 한동안 전광판을 가리고 다녔는데, 전면 LED는 계속 766으로 나온다. 그러다 현재는 1670, 1700으로 수정되어 잘 나오고 있다[68] 1990년대부터 구리는 안 가야했으나, 수요가 안 나온다고, 과징금 물면서 불법운행을 했다.[69] 1115-3번은 오남읍 - 사릉 - 퇴계원 - 구리시 - 강변역 - 잠실역을 운행했음에도 1-5번을 인수하기 전에는 오남읍 - 강변역을 강조했고, 잠실역 경유는 매우 작게 적어놓았다. 1-5번 견제 목적이었다.[70] 초기엔 경기고속에서 신설했으며 이때는 시내버스였다.[71] 100번은 이 노선 및 2000번과 달리 퇴계원을 경유하지 않고 신월리에서 바로 고속화도로를 탄다.[72] 난개발의 부작용으로 오남-사능을 잇는 도로(진건오남로)도 헬게이트. 퇴계원로도 헬게이트.[73] 얘는 오남ᆞ진건을 모두 쌩까고 간다.[74] 1115-6, 112-3출신이다. 이후 이 차들은 분당, 광교 쪽으로 넘어가거나 일부는 대원버스로도 넘어가기도 했다.[75] 얘 혼자 현재도 잠실에서 시종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