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면삼각형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비유클리드 기하학




천문학
Astronomy


[ 펼치기 · 접기 ]
배경
기본 정보
우주 · 천체
천문사
고천문학 · 천동설 · 지동설 · 첨성대 · 혼천의 · 간의 · 아스트롤라베 · 올베르스의 역설 · 대논쟁 · 정적 우주론 · 정상우주론
천문학 연구
천문학과 · 천문학자 · 우주덕 · 천문법 · 국제천문연맹 · 한국천문학회 · 한국우주과학회 ·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천문지도사) · 우주항공청 · 한국천문연구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한국과학우주청소년단 · 국제천문올림피아드 ·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 ·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 · 한국천문올림피아드 ·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 전국청소년천체관측대회
천체물리학
천체역학
궤도 · 근일점 · 원일점 · 자전(자전 주기) · 공전(공전 주기) · 중력(무중력) · 질량중심 · 이체 문제(케플러의 법칙 · 활력방정식 · 탈출 속도) · 삼체문제(라그랑주점 · 리사주 궤도 · 헤일로 궤도 · 힐 권) · 중력섭동(궤도 공명 · 세차운동 · 장동#천체역학 · 칭동) · 기조력(조석 · 평형조석론 · 균형조석론 · 동주기 자전 · 로슈 한계) · 비리얼 정리
궤도역학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정지궤도 · 호만전이궤도 · 스윙바이 · 오베르트 효과
전자기파
흑체복사 · 제동복사 · 싱크로트론복사 · 스펙트럼 · 산란 · 도플러 효과(적색편이 · 상대론적 도플러 효과) · 선폭 증가 · 제이만 효과 · 편광 · 21cm 중성수소선 · H-α 선
기타 개념
핵합성(핵융합) · 중력파 · 중력 렌즈 효과 · 레인-엠든 방정식 · 엠든-찬드라세카르 방정식 · 타임 패러독스
우주론
기본 개념
허블-르메트르 법칙 · 우주 상수 · 빅뱅 우주론 · 인플레이션 우주론 · 표준 우주 모형 · 우주원리 · 암흑물질 · 암흑에너지 · 디지털 물리학(모의실험 가설) · 평행우주 · 다중우주 · 오메가 포인트 이론 · 홀로그램 우주론
우주의 역사
우주 달력 · 우주배경복사(악의 축) · 재이온화
위치천문학
구면천문학
천구 좌표계 · 구면삼각형 · 천구적도 · 자오선 · 남중 고도 · 일출 · 일몰 · 북극성 · 주극성 · 24절기(춘분 · 하지 · 추분 · 동지) · 극야 · 백야 · 박명
시간 체계
태양일 · 항성일 · 회합 주기 · 태양 중심 율리우스일 · 시간대 · 시차 · 균시차 · 역법
측성학
연주운동 · 거리의 사다리(연주시차 · 천문단위 · 광년 · 파섹)
천체관측
관측기기 및 시설
천문대 · 플라네타리움 · 망원경(쌍안경 · 전파 망원경 · 간섭계 · 공중 망원경 · 우주 망원경) · CCD(냉각 CCD) · 육분의
관측 대상
별자리(황도 12궁 · 3원 28수 · 계절별 별자리) · 성도 · 알파성 · 딥 스카이 · 천체 목록(메시에 천체 목록 · 콜드웰 천체 목록 · 허셜 400 천체 목록 · NGC 목록 · Arp 목록 · 글리제의 근접 항성 목록) · 스타호핑법 · 엄폐 · 록맨홀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 · 천문학 관련 정보


파일:20160712215538!Spherical-triangle.png
1. 개요
2. 성질
3. 공식
3.1. 구면직각삼각형의 공식
3.2. 구면삼각형의 사인 법칙
3.3. 구면삼각형의 코사인 법칙


1. 개요[편집]


· spherical triangle

구면 위에 그려진 삼각형을 말한다. 비유클리드 기하학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지는 도형인데, 지구라는 현실적 대상과 매우 밀접하기 때문.


2. 성질[편집]


  • 구면 위에 그려진 삼각형의 경우, 내각의 합은 삼각형의 넓이에 비례한다. 정확하게는 다음 관계식에 따른다.
    • [math(\displaystyle \textsf{내각의 합}=\pi\times\left(1+4\times\frac{\textsf{삼각형의 넓이}}{\textsf{구의 표면적}}\right))]
즉, 구면을 평면으로 근사시킬 수 있을 만큼 삼각형이 매우 작거나, 반대로 구의 곡률이 0에 근사될 정도로 큰 구의 삼각형일 경우, 그 면적의 비중이 0에 수렴하므로 내각의 합은 [math(\pi)], 즉 180도다. 이론상 최대치는 [math(5\pi)], 즉 900도로, 전술한 조건에서 삼각형을 그리고 그 외부를 삼각형이라 정의한 경우의 합이다. 다만 후술하듯이 내각의 합이 [math(3\pi)]까지만 생각하는게 보통이다.
또한 이 공식을 변형하면 구면삼각형의 넓이를 다음과 같이 유도할 수 있다. 다음 공식에서 [math(r)]은 구면의 반지름, [math(\displaystyle \sum_{n=1}^{3}\theta_n)]는 내각의 합이다. 증명은 가우스 보넷 정리[1]에서 유도된다.
  • [math(\displaystyle S=r^2\left(\sum_{n=1}^{3}\theta_n-\pi\right))]
증명
n각형의 외각에 대한 가우스-보넷 정리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iint_M k dM+\int_{\partial M}x_g dS+(n\pi-\sum_{i=1}^n \theta_i)=2\pi\chi(M))]

여기서 구면의 측지곡률([math(x_g)])은 0. 다각형의 오일러 지표는 1이므로 위의 식은 다음과 같이 바꿀 수 있다.
[math(\displaystyle \iint_M k dM+(n\pi-\sum_{i=1}^n \theta_i)=2\pi)]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iint_M k dM=\sum_{i=1}^n \theta_i+(2-n)\pi)]
그런데, 구면에서의 가우스 곡률 [math(K)]은 구면의 반지름이 [math(r))]일 때 [math(\displaystyle \frac{1}{r^2})]이므로 대입하면
[math(\displaystyle \iint_M \frac{1}{r^2} dM=\sum_{i=1}^n \theta_i+(2-n)\pi)]
[math(r)]은 상수이므로
[math(\displaystyle \frac{1}{r^2}\iint_M dM=\sum_{i=1}^n \theta_i+(2-n)\pi)]
즉 다각형의 넓이를 [math(S)]라고 하면
[math(\displaystyle \frac{1}{r^2}\iint_M dM=\frac{S}{r^2}=\sum_{i=1}^n \theta_i+(2-n)\pi)]
양 변에 [math(r^2)]을 곱해 정리하면
[math(\displaystyle S=r^2\left\{\sum_{i=1}^n \theta_i+(2-n)\pi\right\})]
이것이 구면에서의 다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공식이다.
구해야 할 것은 삼각형이므로 [math(n=3)]을 대입하면 증명하고자 하는 공식이 나온다.
즉 [math(\displaystyle S=r^2\left\{\sum_{n=1}^3 \theta_n-\pi\right\})] ||
여기서 자명하게 다음 성질이 성립한다.
  • 삼각형의 넓이는 단위구 기준 내각의 합에서 [math(\pi)]를 뺀 값이다.[2]
  • 내각의 합은 [math(\pi)]보다 크다.[3][4]
    • 모든 변이 같으나 한 각이 [math(\dfrac{\pi}{3})]보다 큰 임의의 각을 갖는 '정삼각형'이 존재한다. 그 가운데 모든 각이 직각인 정삼각형은 구면을 정확히 8등분해서 얻을 수 있으며 정팔면체가 만들어진다. 120도인 삼각형은 정사면체이며 72도인 삼각형은 정이십면체이다.
    • 오목삼각형이 존재한다. 즉 한 각의 크기가 [math(\pi)]를 초과할 수 있다.
    • 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math(3\pi)]보다 작다. 내각의 합이 [math(3\pi)]가 되는 경우에도 위상기하학적으로는 삼각형이다. 커지는 경우는 [math(5\pi)]까지 가능하지만 [math(3\pi)]를 초과한 경우 구의 표면적을 절반 초과 덮게 된다.
  • 외접원, 내접원, 방접원은 구의 단면이다.
  • 최소 3개의 수심을 갖는다. 하나 이상의 각이 직각인 삼각형은 수심이 4개이다.

3. 공식[편집]



3.1. 구면직각삼각형의 공식[편집]


빗변의 길이가 [math(c)](라디안)인 경우.
[math(\cos c=\cos a\cos b)]

[math(\sin A= \dfrac{\sin a}{\sin c} , \cos A=\dfrac{\tan b}{\tan c} , \tan A=\dfrac{\tan a}{\sin b} )]

[math(\cos A)]를 기술하는 항에서 [math(c=\dfrac{\pi}{2})]일 경우, 로피탈의 정리를 취해 [math(\dfrac{\sec^2b}{\sec^2c}=\dfrac{\cos^2c}{\cos^2b})]로 계산해야 한다.


3.2. 구면삼각형의 사인 법칙[편집]


[math( \dfrac{\sin a}{\sin A}=\dfrac{\sin b}{\sin B}=\dfrac{\sin c}{\sin C} )]


3.3. 구면삼각형의 코사인 법칙[편집]


  • 변에 대한 코사인법칙
[math( \cos c=\cos a\cos b+\sin a\sin b\cos C )]

  • 각도에 대한 코사인법칙
[math(\cos C=-\cos A\cos B+\sin A\sin B\cos c )]

  • 각도의 코사인 법칙과 변의 코사인 법칙을 합한것
[math(\cos c=\dfrac{\cos a\cos b-\sin a\sin b\cos A\cos B}{1-\sin a\sin b\sin A\sin B})]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05:59:43에 나무위키 구면삼각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3차원상의 콤팩트한 2차원 곡면에서 해당 곡면의 가우스 곡률 [math(K)]와 측지곡률 [math(x_g)], 그리고 해당 곡면의 오일러 지표[math(\chi(M))]에 대하여 성립하는 상관관계를 서술한 정리다. 가우스 곡률을 면 전체에 대해서 중적분하고 측지곡률을 측지선에 따라 선적분한 값을 합치고, 여기에 다각형의 외각의 합을 더하면 해당 곡면의 오일러 지표의 [math(2\pi)]배가 나온다.[2] 단위구의 표면적은 [math(4\pi)]이므로 위의 식에 대입하면 자명한 결과다.[3] 구면삼각형은 모든 각이 직각일 수 있음을 많이 접해봤을 것이다.[4] 상술했듯이 구면을 평면으로 근사시킬 수 있을 정도로 작은 공간, 혹은 구면의 곡률이 0에 근사될 정도로 큰 구 위에서 그려진 삼각형이라면 [math(\pi)]에 한없이 근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