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방정식

덤프버전 :

    통계학

Statistics
[ 펼치기 · 접기 ]




과학 연구 · 실험
Scientific Research · Experiment

[ 펼치기 · 접기 ]
배경
과학적 방법
수학(미적분학 · 선형대수학) · 통계학
연구·탐구
논증(귀납법 · 연역법 · 유추(내삽법 · 외삽법)) · 이론(법칙 · 공리 · 증명 · 정의 · 근거이론 · 이론적 조망) · 가설 · 복잡계(창발) · 모형화(수학적 모형화) · 관측 · 자료 수집 · 교차검증 · 오컴의 면도날 · 일반화
연구방법론
합리주의 · 경험주의 · 환원주의 · 복잡계 연구방법론 · 재현성(연구노트)
통계적 방법
혼동행렬 · 회귀분석 · 메타분석 · 주성분 분석 · 추론통계학(모형(구조방정식) · 통계적 검정 · 인과관계와 상관관계 · 통계의 함정 · 신뢰도와 타당도)
측정·물리량
물리량(물리 상수 · 무차원량) · 차원(차원분석) · 측도 · 단위(단위계(SI 단위계 · 자연 단위계) · 단위 변환) · 계측기구 · 오차(불확도 · 유효숫자)
실험
실험설계 · 정성실험과 정량실험 · 실험군과 대조군 · 변인(독립 변인 · 조작 변인 · 종속 변인 · 변인 통제) · 모의 실험(수치해석) · 맹검법 · 사고실험 · 인체실험 · 임상시험 · 실험 기구
연구윤리
뉘른베르크 강령 · 헬싱키 선언 · 연구투명성 · 연구동의서 · 연구 부정 행위 · 표절(표절검사서비스) · 편향 · 문헌오염 · 자기교정성 · 연구윤리위원회
논문·과학 공동체
소논문 · 리포트 · 논문제출자격시험 · 연구계획서 · 형식(초록 · 인용(양식 · 참고문헌) · 감사의 글) · 저자 · 학회 · 세미나 · 학술대회 · 동료평가 · 지표 · 학술 데이터베이스 · 게재 철회 · 학제간 연구
철학 관련 정보 · 연구방법론 관련 정보 · 수학 관련 정보 · 자연과학 관련 정보 · 물리학 관련 정보 · 통계 관련 정보 · 사회과학 조사연구방법론



1. 개요
2. 사용되는 변수
3. 변형
3.1.1. 베이지안 다층 구조방정식



1. 개요[편집]


Structural Equation Model

연구자가 사전에 이론을 토대로 수립한 모델이 자료에 의해 지지되는지 검증하는 연구방법론. Jöreskog(1973)가 경로 분석과 요인 분석을 기반으로 LISREL이라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면서 구축되었다. 측정 변수들 간의 공분산을 이용해 상호 관계구조를 분석하는 분석이다.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통해 모형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한다.
  • 측정모형: 확인적 요인 분석 (CFA)로 분석한다.
  • 구조모형: 경로 분석을 통해 분석한다.

구조방정식 모형으로는 FRB/US 등이 있다.

구조방정식 소프트웨어로는 AMOS가 많이 사용된다. LISREL은 2000년대까지 많이 사용되었으나 국내에서는 그 비율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2. 사용되는 변수[편집]


  • 관측변수[1]: 직접 측정이 되는 변수로써 잠재변수와 연결되어 잠재변수를 측정한다. [2]
  • 잠재변수(latent variable): 구성(construct)이 직접 관찰되거나 측정되지 않는 변수를 말하며 잠재변수 자체로는 측정이 불가능하므로 관측변수에 의해 간접적으로 측정된다.
  • 외생변수(exogenous variable): 독립변수의 개념. 다른 변수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말한다.
  • 내생변수(endogenous variable): 최소한 한번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변수를 말한다.
  • 오차변수(error variable): 측정오차 + 잔차
    • 측정오차 (measurement error): 잠재변수를 완전하게 설명하지 못하는 정도
    • 잔차 (residue), 구조오차 (structural error): 내생변수가 외생변수에 의해 설명되지 못하는 정도


3. 변형[편집]



3.1. 다층구조방정식[편집]


회귀 분석을 구조방정식으로 만들듯, 다층 모형다층구조방정식으로 만들 수 있다. 위계적인 구조를 가진 자료에 대해 변인 간의 구조모형을 분석하고자 할 때 적합한 통계적 방법이다.


3.1.1. 베이지안 다층 구조방정식[편집]


다층 구조방정식 모형에서의 최대우도법 적용은 모형의 복잡성으로 인해 분산에서의 음수값[3]이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데에 반해, 베이지안 추정방법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최대우도법보다 더 정확하게 모수를 추정할 수 있게 된다(Depaoli & Clifton, 2015)[4]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08:35:20에 나무위키 구조방정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