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총리비서실

덤프버전 :


파일:대한민국 국무총리 문장.svg
대한민국 국무총리 직속 기관

[ 펼치기 · 접기 ]

※ 둘러보기 : 국무총리 직속 기관장
{{{#!wiki style="display:inline-flex; background: #005ba6; border-radius: 3px; padding: 1px 5px; margin: 1px"
파일:대한민국 대통령기.svg 대통령 직속 기관 {{{#!wiki style="display:inline-flex; background: #003764; border-radius: 3px; padding: 1px 5px; margin: 1px"
파일:정부상징.svg 독립 중앙 행정 기관



국무총리비서실
國務總理秘書室 | Prime Minister's Secretariat
파일:국무총리비서실_국_좌우.svg
설립일
2013년 3월 23일
실장
박성근
주소

정부세종청사 1동
세종특별자치시 다솜로 261
상급 기관
국무총리
정원
97명[1]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
2. 조직
2.1. 유관기관
3. 관련 항목



1. 개요[편집]


정부조직법 제21조(국무총리비서실)
① 국무총리의 직무를 보좌하기 위하여 국무총리비서실을 둔다.
② 국무총리비서실에 실장 1명을 두되, 실장은 정무직으로 한다.

파일:opc_pms_wall.jpg
국무총리비서실 청사 울타리 모습 #

국무총리를 보좌하기 위해 설치된 행정기관이다.

약칭은 정부조직 영어명칭에 관한 규칙(2018.08.01)에 의거한 총리비서실이고 줄인거 같지 않은 줄임새. 영어로는 PMS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는 국무조정실과 묶어서 총리실로 칭하는 경우가 많다.


행정조정실
(1973)

국무조정실
(1998)

국무총리실
(2008)

국무조정실
(2013~)
국무총리비서실
(1960)


국무총리비서실
(2013~)

특임장관실
(2008)


1960년에 설치되어 국무조정실보다 역사가 더 긴 조직이지만, 정책 업무가 아닌 비서 업무를 수행하는 곳이고 규모도 훨씬 더 작다 보니 존재감은 매우 낮다. 이명박 정권기에 국무조정실과 통합되어 국무총리실로 운영된 적이 있는데, 양 기관 출신들의 신경전이 있었고, 그 과정에서 “국무총리비서실 사람들은 정책 경험이 떨어진다”는 말들이 나왔다고 한다. 게다가 국무총리비서실에 국무총리가 외부에서 자기 사람을 데려다 앉히는 예가 다반사여서 그 여파로 고위직 승진길이 막히는 사례가 있었기 때문에 국무조정실을 더 선호한다는 말도 있다.[2]

기관장인 국무총리비서실장은 실 내 유일한 정무직으로 차관급이다.


2. 조직[편집]


  • 국무총리비서실장(차관)
    • 정무실(가)
      • 정무기획비서관(나)
      • 정무협력비서관(나)
    • 민정실(가)
      • 민정민원비서관(나)
      • 시민사회비서관(나)
    • 공보실(가)
      • 소통총괄비서관(나)
      • 디지털소통비서관(나)
      • 소통메시지비서관(나)
    • 의전비서관(나)


2.1. 유관기관[편집]


  • (사) 아시아정당국제회의 사무국(ICAPP ; International Conference of Asian Political Parties) - 서울 종로구에 있다. 2008년 아시아정당국제회의 상임위원회가 아시아정당국제회의 사무국을 대한민국 서울에 설치하기로 의결하여 2009년 아시아정당국제회의 상임위원회 공동의장 겸 사무총장으로 정의용[3]을 선임했다. 2009년 12월 사단법인 아시아정당국제회의 사무국이 출범했다.


3. 관련 항목[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10:38:09에 나무위키 국무총리비서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행정부 국가공무원 운영정원 현황(2019.12.31. 기준)[2] 국무총리비서실 직제에 따르면 정원 97명 중 정무직(국무총리비서실장) 1명 외에 별정직을 최대 40명까지 둘 수 있게 되어 있다. '어공'(어쩌다공무원)의 비율이 높은 조직 특성을 감안하면 '늘공'(직업공무원)들이 기피할 만도 하다.[3] 제17대 국회의원이자 문재인 정부의 외교부장관을 역임한 그 사람이 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