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대학교

덤프버전 :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국민대학교
國民大學校
Kookmin University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교훈
이교위가(以校爲家)
사필귀정(事必歸正)


상징


슬로건

나는 국민*인, 국민의 미래를 연다!
동물

교색
[ 교색 펼치기 · 접기 ]
KMU BLUE (#004F9E)[1]


KMU ORANGE (#F3943E)


KMU YELLOW (#FECE42)


KMU LIGHT GREEN (#94C23C)


KMU GREEN (#08A470)


KMU SKY BLUE (#A1DAF7)


KMU GOLD (#AE9A64)


KMU LIGHT SILVER (#DADADA)


KMU SILVER (#B3B2B2)


KMU GRAY (#575656)


KMU BLACK (#0D0D0C)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display: none; display: 대한민국"
행정구
]]

분류
사립대학
4년제 종합대학
지역
서울특별시
개교
1946년 9월 1일 (77주년)
국민대학관[1]
설립자
신익희
총장
제13대 정승렬
법인
학교법인 국민학원
주소
(2022년)
(2022년)
교직원
1,722명(2020년)[2]
면적
224,137㎡(67,801평)
대학기본역량진단

일반재정지원 선정대학(2021)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지도 펼치기 ]


북악캠퍼스

1. 개요
2. 학교법인
7. 학풍
8. 학사제도
10. 국제평가
13. 총학생회
19. 유명 교수
22.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국민대학교의 경관, 홍보 영상

[ 펼치기 · 접기 ]
파일:YJyE5kU.jpg
국민대학교 북악캠퍼스 전경
파일:국민대상경관.jpg
국민대학교 북악관(왼쪽 뒤), 경상관(왼쪽 아래), 국제관(오른쪽 아래)
파일:국민대종합복지관.jpg
국민대학교 종합복지관

국민대학교 홍보영상 (2019)

국민대학교 - KOOKMIN UNIVERSITY ({{{#004f9f,#60aeff KMU}}})

국민대학교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소재한 사립 종합대학이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내무부장 해공 신익희(申翼熙)[3]의 주도로 1946년에 윤길중(尹吉重)·박이순(朴彛順) 등 대한민국 임시정부 소속 행정연구위원회 요인들이 중심이 되어 설립되었다.

해공 신익희의 건학이념인 '애국 정신'과 학교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쌍용그룹 창업주 김성곤의 육영이념을 바탕으로 국가와 인류사회 발전에 필요한 교육과 연구, 사회봉사활동을 성실하게 수행함으로써, '실천하는 교양인', '소통하는 협력인', '앞서가는 미래인', '창의적인 전문인'의 소양을 두루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인재상 및 교육목표로 삼고 있다.


2. 학교법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국민학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국민대학교/총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국민대학교/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상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국민대학교/상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학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국민대학교/학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의 학부
글로벌인문지역대학
사회과학대학
법과대학
경상대학
한국어문학부
영어영문학부
중국학부
한국역사학과
행정학과
행정관리학과
정치외교학과
사회학과
미디어광고학부
교육학과
러시아유라시아학과
일본학과
법학부
기업융합법학과
경제학과
국제통상학과
경영대학
창의공과대학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자동차융합대학
경영학부
기업경영학부
경영정보학부
KMU KIBS
재무금융회계학부
AI빅데이터융합경영학과
신소재공학부
기계공학부
건설시스템공학부
전자공학부
소프트웨어학부
인공지능학부
자동차공학과
자동차IT융합학과
과학기술대학
건축대학
조형대학
예술대학
산림환경시스템학과
임산생명공학과
나노전자물리학과
응용화학부
식품영양학과
정보보안암호수학과
바이오발효융합학과
건축학부
공업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금속공예학과
도자공예학과
의상디자인학과
공간디자인학과
영상디자인학과
자동차운송디자인학과
AI디자인학과
음악학부
미술학부
공연예술학부
체육대학
미래모빌리티학과
교양대학
인문기술융합학부
스포츠교육학과
스포츠산업레저학과
스포츠건강재활학과
미래모빌리티학과




6. 대학원[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국민대학교/대학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학풍[편집]


우리는 도전하는 국민*인,
즉 세상을 바꾸는 공동체적 실용융합인재를 양성할 것이다.

KMU Vision 2030 - 비전 기술서


유지수 총장 "모든 대학이 노벨상 좇을 필요 없어…사회가 원하는 실용인재 키울 것"
유지수 국민대 총장 “실용적 사고, 실용적 경험, 실용적 교육 돼야”
“완전히 다른 전공 융합 수업에서 실용적 사고 나온다”

실용주의[4] 노선을 중요시하며, 그러한 실용주의 학풍에서도 융합 학문을 강조한다. 따라서 복수전공이나 다전공, 부전공이 굉장히 널널하고(학점 제한이 전혀 없고, 그냥 수강신청을 해서 원하는 분야의 학점을 취득한 후에 일정 학점 이상을 취득하면 나중에 복수전공이나 다전공, 부전공을 인정해 주는 식이다. 학점 더 신청한다고 등록금 더 내는 거 아니므로 노력만 한다면 많이 배울수 있다. 자동차디자인 전공 학생이 공학부의 기초자동차공학 수업을 듣는 건 기본일 정도.

단 예체능 쪽 특히 조형대학은 다전공에 폐쇄적이다. 소위 말하는 빌넣, 즉 타과의 전공 수업을 듣기 위해 여석을 열어 달라고 부탁하는 메일을 아예 보지도 않는 교수님들이 많고 복전시에 요구되는 포트폴리오와 실기에 대한 정보도 터무니 없이 부족하다. 조형대 안에서의 복수전공/전과도 어렵지만 타 단과대에게는 더욱 더 장벽이 높다.

전과는 1학년 2학기가 끝났을 때부터 지원할 수 있다.[5] 각 학부 및 학과 별로 전과생을 뽑기에 해당 학과 교수 입장에서 전과하려는 학생의 '의지'를 중요시 여긴다.[6] 때문에 사전에 전과준비를 충실히 하고 일정이상의 학점이 된다면 전과가 가능하다. 다만 전적과에서도 확실한 의지가 없다면 허락이 잘 나지 않고, 옮길 과에서도 이유가 합당치 않다면 경쟁률이 1:1 이하더라도 가차없이 불합격을 준다.

교수들의 연구도 굉장히 자유롭다고 한다. 여러 교수들의 평을 빌리자면, '자신이 하고싶은 연구를 마음껏 할 수 있게 해준다'고. 그래서인지 일정 학풍이 있다기 보다는 자신의 주관이 확실한 교수들이 많다. 따라서 '학파'라고 불리는 학문 집단은 적지만[7], 학생 입장에서는 여러 관점에서 학문을 접근할 수 있으므로 결코 나쁜 일은 아니다.

결론짓자면, 실용주의 학풍을 가지고 있으며, 학문간 융합을 우선시한다. 이에 학생들의 수강을 폭넓게 인정해주는 학교이다. 공부가 취미이고, 전공 외에 다양하게 배우고 싶다면 좋은 학교.


8. 학사제도[편집]



8.1. 학점교류[편집]



9. 입학[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국민대학교/입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0. 국제평가[편집]


파일:국민대학교 흰색 로고.svg
연도
QS
THE
ARWU
CWUR
USN & WR
CWTS P(10%)
Nature Index
2019
-
-
-
1311위
1199위
-
-
2020
-
1001+위
-
1443위
-
-
-
2021
-
1001+위
-
1481위
-
-
-
2022
1001-1200위
1201+위
-
-
977위
-
-
2023
1001-1200위
1501+위
-
1835위
1036위
-
-
2024
1001-1200위
1501+위
-
-
-
-
-


11. 연구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국민대학교/부설연구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국민대학교/고시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2. 캠퍼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국민대학교/캠퍼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3. 총학생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국민대학교/총학생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4. 동아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국민대학교/동아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5. 학내 언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국민대학교/학내 언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
국민대학교 신문방송사 소속 언론
경영대학 소속 언론
독립 언론
파일:국민대신문.jpg
파일:external/kmuin.com/6ab9291b48fcab913c6821c799e8fa08.jpg
파일:OAUTolv.png
파일:국민대학교 경영대 신문 비즈온 로고.png
파일:external/kmuin.com/e73aee77315841fdd7b40329a8c6964b.jpg

16. 커뮤니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국민대학교/커뮤니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7. 총동문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국민대학교 총동문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8. 출신 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국민대학교/출신 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 유명 교수[편집]


  • 김수근(건축) :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초대학장
  • 안경봉(법학): 금융조세포럼 수석부회장,한국세법학회 회장
  • 이광택(법학): 한국ILO회장, 前 전태일재단이사장[8]
  • 정진석(법학): 대한국제법학회 부회장
  • 한창희(법학): 한국보험학회 이사,한국손해사정사협회 회장
  • 고현숙(경영): 코칭경영원 대표코치
  • 백기복(경영): 한국윤리경영학회 회장, 조직관리
  • 김도현(경영): 국제인명센터(IBC) 등재
  • 류재우(경제): 前 한국노동경제학회장, 前 국회입법조사처 경제산업조사실 실장
  • 안드레이 란코프(교양): 러시아계 북한 전문가. 항목 참조.
  • 이창현(언론): 서울연구원장
  • 서정우(경영): 前한국회계기준원장, 現세계 회계기준원 의원
  • 김도연(언론): 한국미디어경영학회장
  • 김병준(행정): 前 교육부총리, 노무현 정부 정책수석
  • 목진휴(행정): 한국정책학회 회장, KBS 1Radio '라디오 중심 목진휴입니다' 진행
  • 홍성걸(행정): 국민대 행정대학원장
  • 김개천(실내디자인): 前 한국실내건축가협회(KOSID) 회장
  • 변추석(시각디자인): 국민대 조형대학장, 前 새누리당 선대위 홍보본부장
  • 김두진(국사): 前 진단학회 회장
  • 조동걸(국사): 前 한국사학회 회장, 前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장, 前 한국국학진흥원장, 前 한국사학사연구학회장
  • 정도성(공업디자인): 한국 산업디자이너협회(KAID) 회장
  • 금누리(금속공예): 前 한국미술협회 아시아미술가협회추진위원회 이사, 前 한국미술청년작가회 회장, 예술가
  • 전영우(산림환경시스템): 현 문화재위원회 위원장(30대)


20. 사건사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국민대학교/사건사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1. 여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국민대학교/여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 관련 문서[편집]




[1] 1948년 대학기관 국민대학으로 승격[2] 학부 (전임 591명, 비전임 720명), 대학원 (전임 84명, 비전임 327명)[3] 이후 대한민국 국회의장민주당(1955년) 대통령 후보를 역임.[4] 상경계에서는 경영학, 그중에서도 재무/회계를 중요시하고, 인문사회계에서도 행정학과와 언론학과가 가장 크고 커리큘럼도 많이 열려있다. 공학계열에서는 자동차학과로 대표되는 융합학문을 중시하며, 예체능에서도 디자인을 최우선으로 하는 경향이 있다.[5] 2017년 이전까지는 전과가 굉장히 어려운 편이었는데, 2학년 2학기 끝났을 때 단 한번 지원 가능했고 월기복학자는 제외됐었다.[6] 비슷한 4점 중반대의 학점인데도 합격, 불합격이 갈렸다. 3점 중반대의 합격자도 있는것으로 보아, 전과의 이유나 해당 과의 수업 수강 여부등의 보이는 '의지'가 중요하게 여겨지는듯 하다.[7] 대표적으로 일본학계의 핵심인 이원덕 학파가 있다. 이 학파가 얼마나 강력하냐면 한국에서 일본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의 상당수가 이 이원덕 학파에 소속되어있다.[8] 노동법학계의 거물. 평생을 노동운동에 헌신했으며 전태일의 대학생 친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