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정부 군사위원회

덤프버전 :

파일:백일문.svg
국민정부 군사위원회 위원장

[ 펼치기 · 접기 ]
군사위원회 주석
초대
왕징웨이
제2대
장제스
제3대
후한민
제4대
장제스
군사위원회 위원장
초대
장제스




파일:백일문.svg
국민정부 군사위원회
國民政府軍事委員會
Military Affairs Commission of the National Government

파일:중화민국 국민정부 군사위원회 주석 깃발.svg
국가
중화민국 국민정부[1]
설립일
1925년 7월 1일
1932년 3월 5일(재설치)
폐지일
1946년 5월 15일
1. 개요
2. 상세
3. 역대 군사위원회 위원장
4. 참고문헌
5. 관련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蔣介石.jpg
가장 널리 알려진 국민정부 군사위원회 위원장 장제스[2]

중국국민당당군국민혁명군의 최고 통수 기관. 당시 중화민국 국민정부는 국군을 두지 않고 당군이 국군 역할을 대신했다. 장제스가 변변한 직위 없이도 당시 중화민국최고지도자로 올라설 수 있었던 이유는 전부 이 기관의 수장 자리 덕분이었다.


2. 상세[편집]


1925년 7월 1일 광저우 국민정부가 수립되면서 국민정부 군사위원회도 출범하였다. 군사위원회 주석은 명목상 국민정부 주석이 임명할 수 있었지만, 북벌이 진행되며 군사가 정치와 혁명을 압도하게 됨에 따라 군사위원회는 그 누구도 건드릴 수 없는 위치에 올라서게 되었고 그 군사위원회의 수장 장제스는 군권을 바탕으로 행정원, 입법원, 사법원을 전부 접수하여 국가원수 및 정부수반의 역할을 대신하게 된다. 군사위원회는 이름상 위원합의제였으나 실제로는 위원장 혼자 국정을 총괄하고 그 밖의 위원들은 위원장이 권력을 잘 행사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밖에 할 수 없었다.

이후 중일전쟁을 거치며 군사위원회의 위상과 중요성은 더더욱 증가했지만 국공내전 전야 국민정부가 훈정을 끝내고 헌정을 실시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국민정부 폐지 직전 군사위원회는 폐지되었다. 이후 군사위원회의 기능은 대만 국방부가 넘겨받게 된다.


3. 역대 군사위원회 위원장[편집]


  • 군사위원회 주석
    • 초대 왕징웨이(1925년 7월 1일 ~ 1926년 4월 9일, 총 282일) : 중산함 사건으로 사퇴.
    • 제2대 장제스(1926년 4월 16일 ~ 1927년 3월 10일, 총 328일) : 이후 상임위원제로 대체.
    • 제3대 후한민(1927년 9월 20일 ~ 1928년 1월 4일, 총 106일)
    • 제4대 장제스(1928년 2월 7일 ~ 1928년 11월 7일, 총 274알) : 이후 군사위원회 주석직 폐지.
  • 군사위원회 위원장
    • 초대 장제스(1932년 3월 6일 ~ 1946년 5월 15일, 총 14년 70일) : 이후 헌정 실시, 군사위원회 폐지.


4. 참고문헌[편집]




5. 관련 둘러보기[편집]


장제스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생애 · 평가 · 대인관계 · 창작물 · 4대가족
인물
국민당
쑨원 · 쑨커 · 천치메이 · 천궈푸 · 천리푸 · 왕징웨이 · 후한민 · 쉬충즈 · 펑위샹 · 옌시산 · 리쭝런 · 바이충시 · 허잉친
탕성즈 · 다이지타오 · 장쉐량 · 성스차이 · 류샹 · 랴오중카이 · 탄옌카이 · 천부레이
공산당
마오쩌둥 · 저우언라이 · 미하일 보로딘
군벌
위안스카이 · 장쭤린 · 양위팅 · 우페이푸 · 천중밍 · 탕지야오 · 루룽팅
가족
장종패 · 장준명 · 장사천 · 장조총 · 왕차이위 · 쑹아이링 · 쑹칭링 · 쑹메이링 · 쿵샹시 · 장징궈 · 장웨이궈
열강 관련 인물
미국
프랭클린 루스벨트 · 해리 트루먼 · 조지 마셜 · 조지프 스틸웰 · 앨버트 웨드마이어 · 클레어 셰놀트
일본
다나카 기이치 · 고노에 후미마로
영국
윈스턴 처칠 · 루이 마운트배튼
독일
한스 폰 젝트 · 알렉산더 폰 팔켄하우젠
소련
레프 트로츠키 · 이오시프 스탈린
사건
사건
신해혁명 · 쑹자오런 암살 사건 · 선후대차관 사건 · 계축전쟁 · 중화민국 국회 해산 · 홍헌제제 · 호국전쟁 · 장훈복벽 · 호법운동
1차 호법운동 · 호법전쟁 · 2차 호법운동 · 영풍함 사건 · 1차 직봉전쟁 · 1차 국공합작 · 강절전쟁 · 2차 직봉전쟁 · 광저우 상단 사건
국민당의 1차 동정 · 1925년 객군 반란 · 랴오중카이 암살 사건 · 국민당의 2차 동정 · 중산함 사건 · 국민당의 1차 북벌 · 영왕운동
상하이 폭동 · 난창 군무선후회의 · 천도논쟁 · 한커우 사건 · 난징사건 · 4.12 상하이 쿠데타 · 1차 산동파병 · 마일사변 · 국공결렬 · 영한합작 · 당계전쟁 · 장제스-다나카 회담 · 장황사변 · 국민당의 2차 북벌 · 제남 사건 · 동북역치
편견회의 · 호남 사건 · 반장전쟁 · 1차 장계전쟁 · 1차 장풍전쟁 · 중동로 사건 · 2차 장계전쟁 · 봉소전쟁 · 2차 장풍전쟁 · 장당전쟁 · 중원대전 · 창사 폭동 · 초공작전 · 제1차 초공작전 · 제2차 초공작전 · 제3차 초공작전 · 제4차 초공작전 · 제5차 초공작전 · 탕산 사건
나카무라 사건 · 만보산 사건 · 1차 양광사변 · 만주사변 · 장왕합작 · 제1차 상하이 사변 · 열하사변 · 대장정 · 하매 협정 · 진토 협정
왕징웨이 저격 사건 · 기동사변 · 12.9 운동 · 2차 양광사변 · 7군자 체포 사건 · 서안 사건
루거우차오 사건 · 중일전쟁 · 제2차 상하이 사변 · 난징 전투 · 난징 대학살 · 트라우트만 공작 · 왕징웨이 공작
1939년 동계공세작전 · 대륙타통작전 · 국공내전 · 2.28 사건 · 재정경제긴급처분령 · 대만 계엄령 · 국부천대 · 장제스의 사망#
단체
중화민국/국민정부 · 중국 국민당 · 국민혁명군 · 남의사 · CC단
기타
중정기념당 · 장공기념가 ·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px-Chiang_Kaishek_signature.svg.png






[ 펼치기 · 접기 ]
사건
신해혁명 · 호법운동 · 호법전쟁 · 파리 강화 회의 · 제1차 국공합작 · 랴오중카이 암살 사건 · 중산함 사건 · 영왕운동 · 국민혁명 · 4.12 상하이 쿠데타 · 마일사변 · 국공결렬 · 영한합작 · 광저우 폭동 · 반장전쟁 · 중원대전 · 장왕합작 · 제1차 상하이 사변 · 송호정전협정 · 왕징웨이 저격 사건 · 시안 사건 · 제2차 국공합작 · 중일전쟁 · 왕징웨이 공작
관련 정치인
순친왕 · 쑨원 · 후한민 · 랴오중카이 · 장제스 · 천궁보 · 천비쥔아내 · 구멍위 · 저우포하이 · 천두슈 · 미하일 보로딘
관련 단체
중화민국 호법정부 · 중화민국 국민정부 · 우한 국민정부 · 중국국민당 · 개조동지회(개조파) · 저조구락부 · 예문연구회 · 왕징웨이 정권
대일정책
부저항주의 · 항전준비론 · 일면저항 일면교섭 · 선안내 후양외 · 대일화평론(주화파)중일전쟁 이후 · 화평건국론친일정권 수립 이후



[1] 위의 깃발은 국민정부 군사위원회 위원장의 기이다.[2] 통칭 총사령관, 영어로는 Generalissimo Chiang으로 통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3-11 21:43:28에 나무위키 국민정부 군사위원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