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장

덤프버전 :

1. 國葬
2. 國章
3. 局長
4. 준말
4.1. 국가장학금의 준말
4.2. 한국 (주식) 시장의 준말
5. 관련 문서


1. 國葬[편집]


장례식의 지위와 양식 가운데, 국가 또는 사회에 현저한 공적을 남긴 사람이 사망한 때에 정부의회의 결정에 따라 모든 장례 절차의 비용을 국비(國費)로 치르는 장례이다. 이는 현행법상 가장 격식이 높은 장례식 중의 하나이다.

대한민국에서는 과거에 국장 외에 준국장 형태로 '국민장'이 있었으나 2009년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 이후 전직 대통령의 장례를 국장으로 할 것인지 국민장으로 할 것인지에 관하여[1] 사회 갈등이 야기되자 2011년 국장과 국민장을 통합해 국가장이라는 명칭을 붙였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로.

한국에서는 순정효황후(1966년), 박정희 대통령(1979년) 서거, 김대중 대통령(2009년) 서거 등 총 세 번 국장을 치렀다. 이외에는 대부분 국민장으로 거행하였다.

북한에서도 정치적 거물이 사망할 때에 국장을 거행해준다. 국장 거행+약력 발표까지 해주는 인물이라면 북한에서 정말 대접 잘 받는 인물이라는 소리가 된다. 하지만 정치적 거물은 아니더라도 현직 공무 수행 중 예기치 못하고 죽은 인물에 대해서는 추모의 의미로 국장을 열어주기도 한다. 김경석, 김원빈, 리진수 등이 대표적. 역대 북한의 국장 목록에 대해서는 북한의 국가장 해당 문서로.

입헌군주제의원내각제를 택하고 있는 일본에서는 국장을 거행하는 일이 거의 없다. 천황이 붕어할 경우에는 일본 황실의 전통 장례 절차에 따라 장례를 치르기 때문에 국장이 치러지지 않는다. 그리고 전직 총리 등 정치적 거물이 죽어도 가족장이나 정당의 합동장으로 끝난다. 이는 국장을 준비하는데 몇 달이나 소요됨은 물론 그만큼 비용도 만만치않게 나오기 때문이다.[2] 무엇보다도 일본은 총리의 대수만 해도 100대가 넘고, 총리의 수만 합쳐도 64명이나 되며 현재 살아있는 전직 총리도 10명[3]이나 된다. 거행된 국장이라 하면 1967년에 사망한 요시다 시게루 전 총리의 국장과 2022년 암살된 아베 신조 전 총리의 국장이 전부다.


2. 國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국장(문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局長[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국장(직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준말[편집]



4.1. 국가장학금의 준말[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장학재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2. 한국 (주식) 시장의 준말[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거래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12:50:08에 나무위키 국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국가장 통합 이전에 사망한 대한민국 대통령 중 국장을 치른 사례는 후술하는 것처럼 박정희, 김대중 전 대통령 뿐이고 최규하, 노무현 전 대통령은 국민장으로 장례를 치렀다. 이승만, 윤보선 전 대통령은 가족장으로 장례를 진행했다.[2] 2020년에 거행된 나카소네 야스히로 전 총리의 장례식도 국장이 아니라 자민당 합동장이었는데, 심지어 이 때도 사후 거의 1년이 지나 치러진데다가 장례에 쓰이는 예산으로 말이 많았다.[3] 호소카와 모리히로, 무라야마 도미이치, 모리 요시로, 고이즈미 준이치로, 후쿠다 야스오, 아소 다로, 하토야마 유키오, 간 나오토, 노다 요시히코, 스가 요시히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