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행정구역)/대한민국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군(행정구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1. 개요
2. 역사
3. 인구 순위
3.1. 인구 순위
3.2. 1966년 당시 인구 순위
3.2.1. 상위 20개 군
3.2.2. 하위 20개 군
4. 정치
5. 교통
6. 산하 행정구역
7. 시 승격
7.1. 도농분리 시절
7.2. 도농복합시의 등장
7.3. 시의 군 환원 가능성[1]
7.4. 광역시 군의 시 승격
8. 명칭
8.1. 군청 소재 읍 명칭과 다른 예
8.2. 도농분리시 명칭 변경
9. 광역시의 군의 생활권 문제
10. 현재 존재하는 군
11. 폐지된 군



1. 개요[편집]


/ Gun / County

행정구역의 하나. 군을 관할하는 관청은 군청이라고 하며, 2020년 기준, 대한민국에는 82개의 군이 있다. 법적으로는 기초자치단체에 속하여 선거를 통해 기초자치단체장을 뽑고 기초의회를 구성한다.

자치시자치구의 자치권이 차이가 나는 것과 마찬가지로 광역시에 속한 군과 도(행정구역)에 속한 군은 자치권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2. 역사[편집]


중국 진시황군현제가 군(郡)과 (縣)을 설치한다는 의미로, 그만큼 군은 현과 함께 매우 오래된 행정구역 단위이다.

한반도에서 군이라는 명칭으로 설치된 최초의 행정구역은 고조선 멸망 후 설치된 한나라의 한사군이다. 이 당시 군은 지금의 도의 규모를 갖는 정도의 큰 행정단위였다.

한반도 국가의 지방 행정구역 단위로 본격적으로 사용된 것은 삼국시대부터이다. 신라 때는 전국의 기초자치단체급 행정구역들을 군과 현으로 구성, 군은 각 지방 중 인구가 많고, 큰 고을에 붙여서 대략 지금과 반대로 군이 시급, 현이 군급에 해당했다. 다만 시와 군이 서로 별개인 지금과 달리 군 하나당 주변의 작은 현 0~4개 정도를 거느리는 형태였다.

고려 초기에는 다양한 지방 호족이 발달해 있었고 고을 간의 급을 나눠 분류하는 게 중요해졌으므로, 군 위에 , , 도호부 등의 여러가지 단위가 추가되었다. 조선시대까지 부, 목, 군, 현 체제로 이어진다.

1895년의 행정구역 개편 당시 부, 목, 군, 현이 모두 군으로 통일되었고, 일제강점기 초기인 1914년에 부군면 통폐합을 하면서 도 아래에 시와 군 두 가지가 전국에 퍼져있는 현재의 골격이 완성되었다.[2]


3. 인구 순위[편집]


현재 순위와 1966년도 당시의 순위에는 큰 변화가 있다. 우선 1966년도 당시에 인구수 상위의 군 상당수가 시로 승격되거나 이촌향도로 인하여 인구 유출로 크게 격감 하였다. 따라서 절대적인 인구도 크게 줄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1966년도 당시 1위였던 무안군의 경우 3분의 1까지 격감하였고[3] 상당수 군들이 현재 인구가 적게는 절반 최대 4분의 1까지 격감하였다.

반대로 광역 대도시 인근의 군(대덕군, 연기군, 광산군, 칠곡군, 경산군, 김해군, 창원군, 동래군, 양산군) 또는 경기도 소재의 군(부천군, 김포군, 양주군, 광주군, 시흥군, 용인군, 화성군)들의 경우 1966년도 당시에는 인구가 비교적 하위권이었으나 광역 대도시와 수도권이 팽창하면서 10만 남짓 하던 인구가 최대 250만명까지 늘어났음을 알 수있다.

몇몇 예외로서 1995년에 천안과 통합하여 폐지된 천원군이나 2014년에 청주와 통합하여 폐지된 청원군, 그리고 아직도 현존하는 울주군, 옹진군, 강화군 등을 들 수 있는데, 천원, 청원, 울주의 경우 정체되거나 감소하는 동안 대신 중심 시 지역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고, 옹진군이나 강화군은 전방에 있거나 도서지역이어서 인구가 감소했다고 볼 수 있다.


3.1. 인구 순위[편집]


기초자치단체 인구 순위 참고.


3.2. 1966년 당시 인구 순위[편집]


현재 인구: 2020년 11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기준으로 1966년 당시 해당 군 관할 지역의 총 합계.

인구 증감폭은 '현재 인구 - 1966년 인구'이며, 상/하위 20위까지만 기재한다.


3.2.1. 상위 20개 군[편집]


순위
지역명
당시 인구
현재 지역
현재 인구
하위 행정구역
인구 증감폭
비고
1위
전라남도 무안군
317,742명
무안군, 신안군
124,254명
일로면, 청계면, 현경면, 망운면, 해제면, 삼향면, 무안면, 몽탄면, 지도면, 임자면, 자은면, 암태면, 장산면, 하의면, 비금면, 압해면, 흑산면, 안좌면, 도초면
-193,488명

2위
전라북도 정읍군
277,506명
정읍시
108,681명
정주읍, 신태인읍, 내장면, 북면, 입암면, 고부면, 소성면, 덕천면, 이평면, 영원면, 정우면, 태인면, 칠보면, 감곡면, 옹동면, 산내면, 산외면
-168,825명

3위
충청남도 서산군
273,581명
서산시, 태안군
237,833명
서산읍, 팔봉면, 인지면, 음암면, 부석면, 지곡면, 성연면, 대산면, 운산면, 고북면, 해미면, 태안면, 근흥면, 이북면, 원북면, 남면, 안면면, 소원면
-35,748명

4위
충청남도 논산군
259,540명
논산시, 계룡시
159,736명
강경읍, 논산읍, 연무읍, 채운면, 은진면, 가야곡면, 양촌면, 연산면, 벌곡면, 부적면, 두마면, 노성면, 광석면, 상월면, 성동면
-99,804명

5위
전라북도 김제군
254,999명
김제시
82,623명
김제읍, 월촌면, 백구면, 백산면, 용지면, 죽산면, 부량면, 만경면, 청하면, 공덕면, 성덕면, 진봉면, 금구면, 황산면, 봉남면, 금산면, 광활면
-172,376명

6위
경상북도 상주군
250,602명
상주시
97,483명
상주읍, 합창면, 사벌면, 중동면, 낙동면, 청리면, 공성면, 외남면, 내서면, 모동면, 모서면, 화동면, 화서면, 화북면, 외서면, 은척면, 공검면, 이인면
-153,119명

7위
강원도 삼척군
250,049명
삼척시, 태백시 및 동해시 일부(천곡동, 송정동, 북삼동, 북평동, 삼화동)
178,008명
삼척읍, 북평읍, 장성읍, 도계읍, 하장면, 미로면, 노곡면, 근덕면, 원덕면
-72,041명

8위
전라남도 나주군
245,162명
나주시
115,153명
나주읍, 영산포읍, 남평면, 세지면, 왕곡면, 반남면, 공산면, 동강면, 다시면, 문평면, 노안면, 금천면, 산포면, 다도면, 봉황면
-130,009명

9위
전라남도 고흥군
234,592명
고흥군
64,013명
고흥면, 두원면, 풍양면, 도양면, 도화면, 포두면, 점암면, 과역면, 남양면, 대서면, 동강면, 금산면, 봉래면
-170,579명

10위
전라남도 해남군
229,747명
해남군
68,966명
해남읍, 삼산면, 화산면, 현산면, 송지면, 북평면, 옥천면, 계곡면, 황산면, 마산면, 산이면, 문내면, 화원면
-160,781명

11위
경기도 양주군
226,020명
동두천시(탑동동 제외), 구리시, 남양주시, 양주시 및 파주시 일부
1,234,980명
동두천읍, 은현면, 광적면, 백석면, 장흥면, 주내면, 회천면, 별내면, 진건면, 진접면, 화도면, 와부면, 미금면, 구리면, 남면, 수동면
+1,008,960명

12위
충청북도 청원군
224,888명
청주시 읍·면 지역 및 법정동 일부,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리 제외)
256,836명
강서면, 강내면, 강외면, 옥산면, 오창면, 북일면, 북이면, 미원면, 낭성면, 남일면, 남이면, 부용면, 현도면, 문의면, 가덕면
+31,948명

13위
전라북도 익산군
211,508명
익산시 읍·면 지역 및 행정동 일부
176,157명
팔봉면, 북일면, 오산면, 춘포면, 금마면, 삼기면, 왕궁면, 여산면, 낭산면, 망성면, 함라면, 함열면, 황등면, 성당면, 웅포면
-35,351명

14위
경상북도 영일군
208,347명
포항시 읍·면 지역
235,726명
구룡포읍, 의창면, 지행면, 신광면, 청하면, 송라면, 기계면, 죽장면, 연일면, 오천면, 대송면, 동해면
+27,379명

15위
경상남도 밀양군
206,115명
밀양시
104,868명
밀양읍, 삼랑진읍, 하남면, 부북면, 상동면, 산외면, 산내면, 단장면, 상남면, 초동면, 무안면, 청도면
-101,247명

16위
경상북도 월성군
205,948명
경주시 읍·면 지역
114,174명
감포읍, 안강읍, 서면, 외동면, 양북면, 양남면, 내남면, 산내면, 현곡면, 강동면, 천북면
-91,774명

17위
경기도 화성군
204,254명
화성시 , 오산시(갈곶동, 고현동, 청호동 제외), 안산시 상록구 일부(일동, 이동, 사동, 본오동 및 행정동 반월동), 군포시 일부(행정동 대야동), 의왕시 일부(초평동, 월암동), 수원시 일부 지역
1,545,004명
오산읍, 태안면, 매송면, 봉담면, 비봉면, 팔탄면, 향남면, 정남면, 동탄면, 남양면,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 우정면, 장안면, 반월면, 양감면
+1,340,750명

18위
경상북도 의성군
203,753명
의성군
51,827명
의성읍, 단촌면, 점곡면, 옥산면, 사곡면, 춘산면, 가음면, 금성면, 봉양면, 비인면, 구천면, 단밀면, 단북면, 안계면, 다인면, 신평면, 안평면
-151,926명

19위
충청남도 공주군
202,635명
공주시,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금남면 일부
111,428명
공주읍, 계룡면, 반포면, 우성면, 정안면, 의당면, 장기면, 이인면, 사곡면, 탄천면, 유구면, 신풍면
-91,207명

20위
경상남도 김해군
199,002명
김해시, 부산광역시 강서구(가덕도동 제외)
675,933명
김해읍, 진영읍, 장유면, 이북면, 생림면, 상동면, 대동면, 주촌면, 진례면, 가락면, 대저면, 명지면, 녹산면
+476,931명




3.2.2. 하위 20개 군[편집]


순위
지역명
당시 인구
현재 지역
현재 인구
하위 행정구역
인구 증감폭
비고
1위
경기도 장단군
192명
파주시 장단출장소 관할 지역(장단면, 진동면, 군내면, 진서면), 연천군 장남면
714명
장단면, 군내면, 장남면, 진서면, 진동면
+522명
민간인 통제구역이 대부분 지역을 차지하여 당시 대성동을 제외하면 주민이 거주하지 않았지만(자유의 마을, 대성동의 형성), 실질적으로 폐지된 것은 1972년이므로 순위표에 기재.
2위
경기도 옹진군
17,617명
옹진군 중 서해 5도 지역인 연평면, 백령면
8,531명
백령면, 송림면
-9,086명
현재의 인천광역시 옹진군 전체 인구는 20,497명이다
3위
경상북도 울릉군
22,016명

9,128명
서면, 남면, 북면
-12,888명

4위
강원도 양구군
41,623명

22,350명
양구면, 방산면, 남면, 동면
-19,273명
실효지배 영역에 한함.
5위
강원도 양양군
50,390명

27,926명
양양면, 손양면, 강현면, 현북면, 현남면, 서면
-22,464명

6위
경상남도 동래군
54,895명
기장군, 울주군 서생면 지역
182,318명
기장면, 정관면, 장안면, 서생면, 철마면, 일광면
+127,423명

7위
강원도 화천군
55,241명

24,868명
화천면, 간동면, 하남면, 상서면, 사내면
-30,373명

8위
경상남도 양산군
57,842명
양산시
351,797명
양산면, 물금면, 원동면, 웅상면, 동면, 상북면, 하북면
+293,955명

9위
강원도 고성군
63,256명

26,798명
간성면, 거진면, 현내면, 죽왕면, 토성면, 수동면
-36,458명
실효지배 영역에 한함. 취소선 처리가 된 수동면은 전체 지역이 민간인 통제구역이 되어 주민이 거주하지 않는 면으로 당시에 실질적으로는 6면.
10위
강원도 인제군
63,715명

31,623명
인제면, 기린면, 남면, 북면, 서화면
-32,092명
실효지배 영역에 한함(서화면 일부 미수복지역).
11위
강원도 철원군
66,083명

44,076명
철원읍, 김화읍, 서면, 근남면, 근북면, 근동면, 갈말면, 동송면, 원남면, 원동면, 임남면
-22,007명
실효지배 영역에 한함. 취소선 처리가 된 면은 전체 또는 대부분 지역이 민간인 통제구역이 되어 주민이 거주하지 않는 면으로 당시에 실질적으로는 2읍 4면.
12위
경상북도 영양군
68,153명

16,677명
영양면, 입암면, 석보면, 청기면, 일월면, 수비면
-51,476명

13위
경기도 연천군
69,859명
연천군(장남면, 청산면을 제외) 전역, 포천시 관인면
42,401명
연천면, 전곡면, 군남면, 백학면, 미산면, 왕징면, 신서면, 중면, 관인면
-27,458명

14위
경기도 가평군
74,708명

62,495명
가평면, 외서면, 설악면, 상면, 하면, 북면
-12,213명

15위
전라북도 무주군
76,061명

24,031명
무주면, 무풍면, 설천면, 적상면, 안성면, 부남면
-52,030명

16위
경상북도 고령군
76,093명

31,378명
고령면, 덕곡면, 운수면, 다산면, 개진면, 쌍림면,우곡면
-44,715명

17위
전라남도 구례군
78,337명

25,577명
구례읍, 문척면, 간전면, 토지면, 마산면, 광의면, 용방면, 산동면
-52,760명

18위
경상북도 군위군
80,261명

23,299명
군위면, 소보면, 효령면, 부계면, 의흥면, 우보면, 산성면, 고로면
-56,962명

19위
전라북도 장수군
81,143명

22,099명
장수면, 산서면, 번암면, 천천면, 계내면, 계남면, 계북면
-59,044명

20위
경상남도 통영군
84,235명
통영시 읍·면 지역
57,011명
신양면, 용남면, 광도면, 도산면, 욕지면, 한산면, 사량면
-27,224명




4. 정치[편집]


일제강점기 때는 일본의 시정촌 제도의 영향으로 군이 아닌 군 아래의 읍면이 지방자치단체 역할을 했고, 이것은 제1공화국, 제2공화국 때까지 이어졌다. 박정희 때에 읍면 대신 군이 지방자치단체 지위를 갖도록 바꾸었다. 물론 지위만 조정했을 뿐이고, 이때는 지방자치제 자체가 중단된 상태였다. 그러다가 제6공화국 때 이 상태로 지방자치제를 부활시키면서 기초자치단체의 지위를 가지게 되었다.

달성군, 울주군, 기장군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군은 자기 선거구 하나를 갖지 못 하고 인근의 시나 군과 묶여서 선거구를 구성한다. 이촌향도가 이루어지기 이전에는 군 지역이라도 갑을 단위로 선거구를 구성하는 경우도 있었고,[4] 13대 국회 때만 해도 농어촌 인구가 아직은 어느정도 되던 시기인지라 36개 군이 단독 선거구를 구성했지만, 이후 군이 시로 승격하거나 다른 시에 통폐합되면서 점차 줄어들어 2022년 현재 단독으로 선거구를 편성하는 군은 대구 달성군, 울산 울주군, 부산 기장군 3개로 줄어든 상태.[5]


5. 교통[편집]


시 지역에 비해서 대체로 인구가 적기 때문에 교통이 낙후된 곳이 대부분이다. 철도가 지나지 않는 도시/대한민국, 고속도로가 지나지 않는 도시/대한민국에서 알 수 있듯 철도, 고속도로가 없는 지역은 시보다 군이 더 많다.[6]

그나마 사정이 나은 지역을 살펴보자면 간선철도가 지나는 지역으로 옥천군, 영동군, 장성군, 곡성군, 단양군, 예산군, 홍성군이 있고, KTX나 SRT 같은 고속철도가 정차하는 지역으로는 곡성군[7], 횡성군[8], 평창군[9], 단양군[10], 장성군[11], 울주군[12], 양평군[13]이 있다.

시내교통의 경우 농어촌버스에 의존한다. 대체로 배차간격이 긴 편이지만 군내 중심인 읍내와 인근 대도시나 중소도시를 잇는 노선의 경우 배차가 꽤 준수한 편에 속하면 일부는 빗자루질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하 목록은 군내와 타 도시와 이어주는 노선이다.







6. 산하 행정구역[편집]


군의 예하 행정구역에는 이 있다. 도시화가 어느 정도 진행된 면[14] 등에 한해 으로 승격되었으나[15], 1979년 이후 군청소재지인 면 역시 인구 2만이 못 되더라도 읍으로 승격될 수 있다. 이 때 생긴 읍이 꽤 많다.

은 설치되지 않는다. 예전에는 읍과 면의 하위 단위를 지역에 따라서 '동' 또는 '리'로 사용한 적도 있는데 현재는 모두 리로 명칭을 통일했다. 참고로 현대의 행정제도에서 에 대응되는 군의 행정단위는 가 아니라 읍·면이다. 또한 에 대응되는 도시의 행정단위는 이다.[16][17] 다만 읍·면지역이 도시화 등으로 동으로 전환될때에는 가 법정동으로 전환되고 인구에 따라 이 법정동 몇개를 묶어서 하나의 행정동으로 구성된다.


7. 시 승격[편집]



7.1. 도농분리 시절[편집]


군 내의 읍 중 도시화가 많이 진행된 곳은 시로 승격되어 별도의 행정구역으로 분리되었으며, 이 경우 외곽의 군이 시로 승격한 지역을 둘러싼 형태가 되었다. 이러한 제도는 일제강점기 초기인 1914년 전국 행정구역 개편을 하면서 경성, 대구, 평양 등 내륙 대도시 및 부산, 인천, 목포, 군산, 마산 등 개항장 도시들을 일본인이 많이 거주하는 시가지 지역과 조선인이 많이 거주하는 농촌 지역으로 분리하여 전자는 부(府), 후자는 군(郡)으로 별개로 편성한 데에서 시작되었다.[18] 이후 1931년 읍(邑)제도가 도입되면서 인구 5만 이상의 역시 앞의 부/군 분리 시스템을 똑같이 적용하여 읍을 부로 승격시키게 된 것. 조선인/일본인 기준으로 행정구역을 분리시켰다는 점에서 조선인과 일본인에게 차별적으로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일제의 의도가 있었다.

1989년의 행정구역 조정 시 시흥군시흥, 군포, 의왕 3개 시로 나누어 승격한 것을 마지막으로, 읍 하나만 시로 올리는 일은 없어졌다.[19] 1992년 시로 승격한 경기도 고양군의 경우 일산신도시 관계로 도시화가 진행된 지역도 있었으나, 아직도 일산신도시와 일부지역을 제외하면 아직도 농촌비율이 꽤 된다. 당시의 지방자치법에는 시에 읍면을 둘 수 있는 규정이 없었기 때문에 전역에 있던 읍, 면을 폐지하고, 군 전체가 시로 승격되었다.[20] 덧붙여 시흥시 또한 당초 시 승격 대상이던 소래읍에 다른 면까지 합쳐 승격된 것이므로 이 또한 지금 기준으로 보면 나름의 도농 통합이라고도 할 수 있다.


7.2. 도농복합시의 등장[편집]


이런 식의 기존 시 승격 방식으로는 생활권이 같은 지역이 시와 군으로 분리됨에 따라 행정의 비효율성이 나타났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같은 생활권인 시와 군을 하나의 시로 통합하는 행정구역 개편이 지방자치제 부활을 앞두고 1995년에 단행되었다. 이후 군이 시로 승격될 때는 도시화된 지역만 승격되는 것이 아니라 군 전체가 시로 승격되게 되고, 도시화가 된 지역(읍)은 몇 개의 동으로 쪼개진다.[21][22] 어쨌든 이미 전체적으로 이러한 변화 때문에 지금은 예전에 비해 군이 상당히 적은 편이다. 또 기존 직할시가 광역시로 개편되면서 광역시 산하 행정구역으로도 군을 둘 수 있게 되었다.[23]

하지만 이 때 이후로 군 전체가 시로 승격될 수 있다는 이점과 지방자치제 시행 이후 자신의 치적을 남기려는 단체장의 야심[24]이나 혹은 비슷한 야심을 지닌 시장이 자치단체장으로 있는 주변 시의 통합제의에 로써 화답하기 위해, 시 승격 요건 근처를 왔다갔다 하는 군들이 어떻게든 인구를 늘리려고 기를 쓰거나, 시 승격 요건 근처에도 못가지만 시 승격을 시켜달라고 생떼를 부리는 일들이 벌어졌다. 당진군처럼 군수가 대놓고 위장전입 등을 통한 불법행위를 벌이거나, 칠곡군처험 예하 행정구역인 읍면을 통합하여 시 승격 요건을 억지로 짜 맞추려다가 중앙정부의 퇴짜를 맞는 등 각종 폐단이 발생하고 있어, 결국 행정자치부가 10만 이상의 군이라면 부이사관(3)급의 부군수가 될 수 있게 시행령을 고쳤다. 그리고 군청에도 국을 설치할 수 있게 되었으며, 홍성군칠곡군의 경우 의회사무국도 설치 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1995년 통합시 출범과 함께 많은 군들이 인근 시들과 통합되며 그 수가 많이 줄었고, 이후로도 시 승격 요건을 갖추어 군 전체가 시로 승격되거나[25], 이때까지만 해도 주민 간 합의가 덜되어 통합에서 제외되었던 지역이 통합된다든지[26] 하는 과정과 광역자치단체 단위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기존 군들이 폐지[27]되면서 계속 그 수가 줄어들고 있고, 2009년부터 본격적인 행정구역 개편 논의가 벌어지며, 여기저기서 인근 시와의 통합 떡밥이 도는데다가 궁극적으로는 여러 개의 기초자치단체를 통합하여 광역행정체계를 구축할 계획이기 때문에 그 수는 지속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28]


7.3. 시의 군 환원 가능성[29][편집]


일단 시로 승격되면 군으로 환원시킬 수 있는 법적 근거는 없으나 만약 만들려고 한다면 극심한 반대에 부딪힐 가능성이 크다. 위 사례에서 보듯 군에서 시로 승격하려고 기를 쓰고 달려드는 사례는 차고 넘치지만, 그 반대 사례는 지금껏 나타난 바가 없다. 시장 입장에서는 스스로 지위를 낮추는 행위이고, 공무원 입장에서는 머릿수를 깎아먹는 짓거리고, 지역민 입장에서는 자기 지역이 쇠락했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건이 되기 때문이다.

다만 근처에 광역시가 있고 광역시 밑의 군으로 들어가서 환원되는 식이라면 묘하게 달라질 수도 있다. 광역시 밑으로 들어가게 되어 발전되었다는 인식을 줄 수도 있지만 공무원 머릿수를 깎아먹을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복잡하다.[30][31] 서울특별시 밑으로 들어가서 군으로 환원된다면 또 모르겠지만 현행 지방자치법상 서울특별시는 산하에 군을 둘 수 없으므로 일어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7.4. 광역시 군의 시 승격[편집]


우선 광역시는 그 자체가 광역자치단체인 시(市)이므로 광역자치단체인 시(市)에 속한 군(郡)이 해당 광역지자체 내에서 시로 승격할 방법은 없다.[32]

따라서 만일 시 승격을 하고 싶다면 원 소속 도(道)로 환원해야 하는데 이것도 쉽지 않다. 왜냐하면 광역시 입장에서는 해당 군이 도시 운영에 필요한 곳이기도 하고 도시 인구를 많게 보이게 하는 목적 및 면적상으로 필요하기 때문이다. 지방자치법을 잘 모르는 사람은 광역시의 군이 인구를 충족하면 구로 승격하는 줄 알고 있기도 한데, 군과 구는 승격의 관계가 아니며 군에서 구로 전환할 수 있는 근거 조항도 없다. 군에 딸린 모든 읍, 면을 동으로 전환하고 군 전체가 구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국회에서 해당 군을 폐지하고 구를 신설하는 법령을 따로 만들어 통과시켜야 하는데 지방자치법에서는 해당 행위를 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으므로 생각보다 쉬운 절차가 아니다.[33] 또 이 경우 거느리던 읍, 면, 리 지역을 전부 동으로 변경해야 하므로 농어촌특례 등 지역 주민의 여론 및 여건상 쉽지 않은 것은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울산광역시(울주군 포함 111만여명, 2023년 기준) 울주군(22만 여명, 2023년 기준)이 경상남도 울주군으로 환원된다면 89만 명 남짓한 인구를 가진 도시가 되고(만일 울주군이 북구의 (구)울주구 지역을 포함하여 분리되면 80~70만 선도 가능하다.) 지금은 경기도 수원시보다 인구가 적은 광역시 정도로만 비교가 되지만 고양(108만), 용인(107만), 창원(102만), 성남(92만) 등에도 밀리게 된다. 또한 하부 행정구역도 5개 기초지자체를 가진 도농복합 광역시에서 4개 지자체를 가진 도농분리 광역시로 쪼그라든다. 광역시로써의 정체성에 흔들리는 상황이 오게 되므로 울산시에서는 극렬 반대할 가능성이 크다.


8. 명칭[편집]



8.1. 군청 소재 읍 명칭과 다른 예[편집]


일반적으로 군청 소재지인 읍 이름은 군 이름과 같은 경우가 많으나 특수한 사정으로 아닌 경우도 꽤 있다.

  • 군의 명칭에 역사적 근거가 없는 경우: 주로 군의 중심이었던 읍이 시로 승격되고 남은 군에는 후술하는 적당히 급조한 이름(...)이 붙었는데, 독립된 시가 너무 커졌다든가 하는 이유로 나중에 도농통합시가 되지 않고 독자적인 군으로 잔류한 경우다.
    • 달성군: 군청논공읍 소재.[34] 달성은 대구의 옛 이름이며 이 지역을 달성군이라 부르게 된 건 일제강점기였던 1914년일본인 거주지역을 대구부/그 밖의 구 대구부 전체와 현풍군을 합쳐 달성군으로 분리한 것의 잔재이므로 '달성'의 중심지 달성읍이 있을 수 없다. 현재의 달성군은 이때의 달성군에서 대구부→대구시에 읍면을 조금씩 잠식(?)당하고 남은 부분이다.
    • 신안군: 군청은 압해읍 소재. 애초에 신안이라는 이름 자체가 무안군에서 분리된 이후 '새로운 무안'이라는 뜻으로 만들어진 명칭이라 이 이름을 가진 읍면이 존재하지 않았다.[35] 2011년까지만 해도 신안군청은 목포에 있었다. 군청이 이전하고 압해면이 읍으로 승격하게 되면서 이름을 압해읍 대신 신안읍으로 하려는 시도도 있었으나 주민들의 반대로 그냥 압해읍이 됐다.
    • 완주군: 군청은 용진읍 소재.[36] 완주란 이름은 일제강점기 시절 전주군에서 전주부를 분리한 후, 남은 지역에다가 전주의 옛 이름인 '완산주'[37]에서 따온 이름을 붙인 것이므로 이 이름을 가진 읍면은 존재하지 않았다.
    • 울주군: 군청은 청량읍 소재.[38] '울주'라는 지명은 1962년 6월에 울산군 도시 지역을 울산시로 승격시키면서 울산군 나머지 지역을 울산시와 구분하기 위해 고려 중기부터 조선 초기까지 쓰인 지명을 그대로 갖다붙인 것이다.[39] 때문에 '울주읍'이라는 행정구역이 애초 없었다. 울주군은 1991년에 울산군으로 환원했다가, 도농복합시 울산시가 출범할 때 울산시에 흡수되어 광역시 승격 전까지 울주로 있었다.
  • 군의 이름과 동일한 읍/면이 있긴 하나, 군청 소재지가 아닌 경우: 보통 철도 건설이나 전쟁 등의 사유로 군명의 어원이 된 전통적 중심지가 몰락하고 다른 지역이 중심지로 떠오른 경우다.
    • 철원군: 군청갈말읍 소재. 이 때문에 갈말읍을 신철원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철원읍(일명 구철원)이 따로 있고 원래 군청도 그 쪽에 있었으나, 6.25 전쟁 때 시가지가 초토화돼서 군청을 갈말로 이전했다. 그리고 철원읍의 구 시가지 지역은 현재 민통선 주변이라 개발도 못하는 실정이다.
    • 청도군: 군청이 화양읍에 있긴 한데, 화양읍 시가지[40]에 있는 것이 아니라 청도읍내와 바싹 붙어 있는 범곡리에 있다. 1961년까지는 청도읍에 군청이 있었다. 다른 지역들과는 반대로 옛 중심지였던 화양읍 일대가 몰락하고 청도읍 일대가 새 중심지로 떠올랐으나, 군청만 (서류상으로는) 화양읍에 있는 것.
    • 함안군: 군청은 가야읍 소재. 본래는 군청이 함안면에 있었으나, 지역이 6.25 전쟁으로 인해 파괴되면서 휴전 이듬해인 1954년에 군청을 가야읍으로 이전하였다.

  • 전통적 중심지가 현재 다른 지자체로 넘어간 경우
    • 강원도 고성군: 군청은 간성읍 소재. 본래는 삼팔선 이북에 있어 고성군 전체가 북한에 속했으나, 휴전선이 그어지면서 고성군이 둘로 나뉘어 고성읍은 북쪽의 고성군에 속하게 되었고[41], 이에 따라 남쪽의 고성군은 군청을 간성읍에 따로 두게 되었다.[42]
    • 칠곡군: 군청은 왜관읍 소재. 구한말까지는 군청도 옛 칠곡읍에 있었고[43], 1981년까지는 실제로 칠곡읍이 칠곡에 있었으나 대구직할시가 되면서 뺏어갔다. 오늘날까지도 '칠곡'이란 지명은 칠곡군보다 원래 '칠곡읍'이었던, 대구 북구금호강 이북 지대를 이르는 말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 일부러 명칭을 바꾼 경우
    • 고령군: 군청 소재지가 원래는 고령읍이었으나 2015년 4월 1일자로 대가야읍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다른 군들과는 달리 고령군이 대가야의 중심지였음을 홍보하기 위하여 주민투표를 거쳐 일부러 바꾼 것이다. #

  • 아예 군청이 관내에 없는 경우
    • 옹진군: 군청은 미추홀구 소재. 서로 멀리 떨어진 서해 5도와 덕적군도를 함께 관할하기 때문에 군청을 물리적으로 군 관내에 두기가 곤란하다.[44] 애초에 현재의 인천 옹진군은 강화군마냥 중심도서 옹진도+부속도서들 구조인 게 아니라 옛 황해도 옹진군 관할 도서 중 남한이 점유한 지역[45] + 구 부천군의 관할 도서를 합쳐 만든 행정구역이라서 역사적으로 '옹진'이라는 지명과는 큰 관계가 없다.[46]

이북 5도 지역까지 살펴보면,
  • 황해도 연백군의 군청소재지는 연안읍이다. 연백이라는 이름은 구 연안군(延安郡)과 배천군(白川郡)에서 한 글자씩 따와서 지은 인위적인 명칭이므로 이 이름을 가진 읍면이 존재한 적이 없다.
  • 황해도 평산군의 군청소재지는 남천읍이다. 1920년까지는 평산면에 군청이 있었는데 1920년 보산면으로 군청을 이전했고 1937년 남천읍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 황해도 서흥군의 군청소재지는 신막읍이다. 1940년까지는 서흥면에 군청이 있었는데 1940년 서흥군 동부면과 화회면을 통합해 신막읍으로 승격시키고 신막읍으로 군청을 이전했다.
  • 평안북도 용천군의 군청소재지는 용암포읍이다. 위치가 바뀐 건 아니고 1941년 용천면이 읍으로 승격하면서 용암포읍으로 이름이 바뀐 것이다.
  • 함경북도 명천군의 군청소재지는 상우북면이다. 명천군에는 명천읍이나 명천면이 없었고 조선시대 명천군의 전통적인 중심지 역할을 하던 하우면(명천동이 하우면에 있었다)에 1937년까지 군청이 있었으나 1937년 상우북면으로 군청을 이전했다.
  • 함경북도 경흥군의 군청소재지는 웅기읍이다. 1931년까지는 경흥면에 군청이 있었는데 1931년 웅기면을 웅기읍으로 승격시키면서 군청을 웅기읍으로 이전했다.

같지 않더라도 이 과정 속에 이름을 맞춰나가는 경우도 있다. 해방 이후의 사례를 들면 다음과 같다.

  • 울릉군 울릉읍: 원래 남면이었다.
  • 무안군 무안읍: 본래 이름은 면성면이었으나, 1957년에 무안면으로 개칭되었다. 단, 군청은 그로부터 한참 지난 1969년에 이전하였다.
  • 승주군(현 순천시) 승주읍: 본래 이름은 쌍암면이었으나, 승주군청이 이곳으로 옮기면서 읍으로 승격되어 이름이 바뀌었다.[47] 이 승주읍은 현재까지도 순천시 산하의 읍으로 존속중이다.
  • 양주군 양주읍: 본래는 주내면이었으나, 2000년 군청이 의정부시에서 이곳으로 옮기면서 양주읍으로 바뀌었다. 2003년 시 승격 이후 분동.


8.2. 도농분리시 명칭 변경[편집]


도농분리 정책 당시에는 시가 분리되어 나갈 때 분리된 시와 기존에 있던 군의 명칭을 최대한 다르게 하려고 했다. 주로 옛 지명을 되살리거나, 원래 지명에서 한 글자를 따고 지명에 많이 들어가는 주(州), 성(城), 원(原) 등을 붙였다.

  • 순천군 → 순천부(시)/승주군[48]
  • 울산군 → 울산시/울주군[49]
  • 춘천군 → 춘천부(시)/춘성군[50]
  • 광주군 → 광주부(시)/광산군[51]
  • 대전군 → 대전부(시)/대덕군[52]
  • 원주군 → 원주시/원성군[53]
  • 강릉군 → 강릉시/명주군[54]
  • 청주군 → 청주시/청원군
  • 충주군 → 충주시/중원군[55]
  • 제천군 → 제천시/제원군[56]
  • 천안군 → 천안시/천원군[57]
  • 여수군 → 여수부(시)/여천군[58]
  • 경주군 → 경주시/월성군[59]
  • 김천군 → 김천부(시)/금릉군[60]
  • 영주군영주시/영풍군[61]
  • 진주군 → 진주부(시)/진양군[62]
  • 수원군 → 수원부(시)/화성군[63]
  • 전주군 → 전주부(시)/완주군[64]
  • 창원군 → 창원시(/마산부(시)/진해시)/의창군[65]

거꾸로 승격되는 시의 이름이 바뀐 경우도 있었다.

  • 군 이름과 같았던 기존 중심지가 이름이 바뀐 경우
    • 통영군충무시[66]/통영군
    • 안동읍 → 신안동시[67]/안동군
    • 나주군금성[68]/나주군[69]
    • 정읍군정주시[70]/정읍군 등.
  • 새로운 지역이 발전하여 시로 승격하게 된 경우
    • 거제군장승포시/거제군
    • 광양군동광양시[71]/광양군
    • 문경군점촌시/문경군
    • 사천군삼천포시/사천군
    • 선산군구미시/선산군

여하튼 시와 군이 갈라지면서 명칭이 바뀐 군들은 대부분 1990년대 초반 원래 이름으로 되돌아갔다.

익산군 이리읍[72]이나 아산군 온양읍[73]처럼 군 지역의 중심지 읍 이름이 군 이름과 달랐다거나, 기존에 있던 중심지 이외의 지역이 갑툭튀하여 발전하면서 시로 승격된다거나[74], 문경군 점촌읍 같은 지역은 사이좋게 이리시/익산군, 온양시/아산군, 점촌시/문경군과 같이 별 문제 없이 새 이름을 사용할 수 있었다.

상황이 바뀌어 1995년 시군 통합 때는 위에 해당하는 시군들은 별 문제 없이 기존 이름대로 통합시의 이름을 정할 수 있었으나, 아래에 해당하는 시군들의 경우 통합시 명칭을 가지고도 상당한 논란을 겪어야 했다. 더 발전한 시의 이름을 따르자니 수십~수백년 동안 지명으로 사용되던 군의 이름이 사라지는 것에 대한 아쉬움과 군지역 주민들의 자존심 문제 등이 겹쳐 대부분 '이리시+익산군=익산시', '온양시+아산군=아산시', '점촌시+문경군=문경시'처럼 군 시절의 이름대로 통합이 되었으나, 인지도의 차이가 너무 크게 나는 경우 '군산시+옥구군=군산시', '구미시+선산군=구미시', 혹은 '포항시+영일군=포항시'처럼 명칭상으로는 역통합(?)된 경우도 있다. 구미의 경우 도의회까지 끼어 갈등이 벌어졌을 정도이다. 대천시+보령군의 경우는 특이하게 대천시에서도 보령시로 합치는 데 찬성 여론이 높았는데, 대천의 천(川) 자가 홍수를 불러온다는 미신이 작용했다고 한다.


9. 광역시의 군의 생활권 문제[편집]


부산기장군, 대구달성군군위군, 울산울주군, 인천강화군옹진군이 있다. 이 중 생활권 문제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 대구 - 달성군의 경우 생활권이 3권역으로 나뉘어 있다. 가창면은 수성구 생활권, 화원읍, 논공읍, 현풍읍, 옥포읍, 구지면, 유가읍 등은 달서구 월배 생활권, 다사읍, 하빈면 등은 달서구 성서 생활권이다. 달성군을 폐지하고 각 읍, 면은 자치구에 편입시켜야 한다는 여론이 있으나 현행 지방자치법상 자치구에서는 읍, 면을 둘 수 없다. 달성군의 경우, 다사나 화원은 상당수가 사실상 동과 다름 없는 도시화된 상태이고, 가창도 면 소재지에서 몇 걸음만 가면 바로 수성구 파동이다. 군위군도 사실 공항 때문에 후속 대책으로 편입된 거라 하나를 걸치는 걸 제외하면 사실상 월경지나 아름이 없고, 지역 자체가 가까이는 경상북도 의성군과 같은 생활권이며, 크게는 안동과 대구의 중간에 자리해있다.

  • 울산 - 울주군의 경우 온산읍, 온양읍, 청량읍, 서생면, 웅촌면 등은 울주군의 잔여 지역(언양권)과는 역사적이나 생활권 면에서 사실상 다르다.[75] 이들 읍, 면의 경우, 남구에 편입되어야 한다는 여론이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현행 지방자치법 상 불가능하다.

  • 인천 - 강화군의 경우, 1995년 경기도에서 인천광역시에 편입되었으나, 직접적으로 연결된 구간이 전혀 없는 인천 본토보다는 오히려 경기도 김포시와의 교류가 더 많아서 경기도 환원 여론이 있는 편이다. 특히 선거철마다 월경지 신세를 지는 만큼 이런 요구가 더 거세지고 있다. 옹진군의 경우, 영흥면, 덕적면 등지에서 경기도 환원 여론이 있으며, 특히 영흥면은 경기도 안산시 관할인 대부도 쪽으로 연륙되어 있는 한편, 인천 연안부두로 여객선이 운항하지 않는다. 북도면도 연안부두로 여객선이 운항하지 않는데, 영종도와 용유도 사이의 땅을 매립해서 인천국제공항을 만들었기 때문에 원래 다니던 뱃길이 막혔다. 물론 뱃길을 삥 돌리면 이어지긴 한다만, 현재는 영종도 삼목 선착장까지만 여객선이 운항하기 때문에, 연안부두로 가려면 육상에서도 환승을 엄청 해야 한다.[76]

이를 감안하여 지방자치법을 개정해서 광역시의 경우 자치구일반구처럼 , 을 둘 수 있도록 하여 생활권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77] 하지만 자치구 지역의 인구 비중이 너무 비대하기 때문에, 광역시 산하 군을 자치구에 편입해버리면 지역은 예산 편성 등에서 더욱 소외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78]


10. 현재 존재하는 군[편집]



10.1. 부산광역시[편집]


  • 기장군: 양산군의 일부였으나 1995년 편입되면서 새롭게 설치되었다. 다만 이 지역은 부군면 통폐합 이래로 동래군에 속했다가 동래군이 폐지될 때 궁여지책으로 양산군에 편입된 지역이니 오히려 부산시가 되찾아온 셈. 다만 부군면 통폐합 전까지는 기장군은 동래와는 별개의 행정구역이었다.


10.2. 대구광역시[편집]


  • 달성군: 경상북도의 군이었으나 1995년에 대구광역시로 편입되었다. 여기도 원래 대구의 일부였던 곳이다. 다만 현풍읍, 유가읍, 구지면, 논공읍은 1914년까지 현풍군이었다.
  • 군위군: 경상북도의 군이었으나 대구경북신공항 사업을 위해 2023년 7월 1일 대구광역시에 편입되었다.


10.3. 울산광역시[편집]


  • 울주군: 1995년 울산군울산시의 도농통합으로 울산시 예하의 일반구인 울주구로 바뀌었다가, 1997년 울산광역시 승격과 동시에 다시 울주군이 되었다. 여기도 원래 울산의 일부였던 곳. 다만 두동면과 두서면은 1906년까지 경주군 소속이었고, 언양읍·삼남읍·상북면·삼동면은 1914년까지 언양군이었다.


10.4. 인천광역시[편집]



두 지역 모두 경기도 산하의 군이었으나 1995년에 인천광역시로 편입되었다. 다만 옹진군의 경우 서해5도[79]와 북도면과 영흥면[80]에 소속된 섬들을 제외한 전역이 원래 인천의 일부였다.


10.5. 경기도[편집]


군 지역이 3개로 도 지역 중 가장 적은 수의 군을 갖고 있다. 이는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군들이 줄줄이 시로 승격되거나, 여러 시로 쪼개졌기 때문. 2023년 기준 전국에서 마지막으로 승격한 군이 2013년 9월까지 존속한 여주군이다.

연천군, 가평군, 양평군


10.6. 강원특별자치도[편집]


총 11개의 군이 있다.

홍천군, 횡성군, 영월군, 평창군, 정선군, 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고성군, 양양군


10.7. 충청북도[편집]


총 8개의 군이 있다.

보은군, 옥천군, 영동군, 증평군, 진천군, 괴산군, 음성군, 단양군


10.8. 충청남도[편집]


총 7개의 군이 있다. 2012년 1월 당진군이 당진시로 승격하고 7월 연기군세종특별자치시로 분리승격하면서 1개 차이기는 해도 경기도와 더불어 군 지역이 시 지역보다 적은 곳이다.

금산군, 부여군, 서천군, 청양군, 홍성군, 예산군, 태안군


10.9. 전라북도[편집]


총 8개의 군이 있다.

완주군,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 임실군, 순창군, 고창군, 부안군


10.10. 전라남도[편집]


실효지배 영역의 도 지역 중 제일 많은 군을 갖고 있다. 총 17개.

담양군, 곡성군, 구례군, 고흥군, 보성군, 화순군, 장흥군, 강진군, 해남군, 영암군, 무안군, 함평군, 영광군, 장성군, 완도군, 진도군, 신안군


10.11. 경상북도[편집]


총 12개의 군이 있다.

의성군, 청송군, 영양군, 영덕군, 청도군, 고령군, 성주군, 칠곡군, 예천군, 봉화군, 울진군, 울릉군


10.12. 경상남도[편집]


총 10개의 군이 있다.

의령군, 함안군, 창녕군, 고성군, 남해군, 하동군, 산청군, 함양군, 거창군, 합천군


10.13. 미수복지역[편집]


불법점거단체인 북한의 행정구역이 아닌 대한민국 이북5도위원회 기준 행정구역이다.


10.13.1. 황해도[편집]


총 17개의 군이 있다.

벽성군, 연백군, 금천군, 평산군, 신계군, 옹진군, 장연군, 송화군, 은률군, 안악군, 신천군, 재령군, 황주군, 봉산군, 서흥군, 수안군, 곡산군


10.13.2. 평안남도[편집]


총 14개의 군이 있다.

대동군, 순천군, 맹산군, 양덕군, 덕천군, 성천군, 강동군, 중화군, 용강군, 영원군, 강서군, 평원군, 안주군, 개천군


10.13.3. 평안북도[편집]


총 19개의 군이 있다.

의주군, 용천군, 철산군, 선천군, 정주군, 박천군, 영변군, 운산군, 태천군, 구성군, 삭주군, 창성군, 벽동군, 초산군, 위원군, 희천군, 강계군, 자성군, 후창군


10.13.4. 함경남도[편집]


총 20개 군이 있다. 비록 미수복지역이지만 대한민국의 도 중 가장 많은 군을 가지고 있다.

함주군, 정평군, 영흥군, 고원군, 문천군, 안변군, 홍원군, 북청군, 이원군, 단천군, 신흥군, 장진군, 풍산군, 삼수군, 갑산군, 혜산군


10.13.5. 함경북도[편집]


총 14개 군이 있다.

경성군, 명천군, 길주군, 학성군, 부령군, 무산군, 회령군, 종성군, 온성군, 경원군, 경흥군


10.13.6. 미수복 경기도[편집]


해방직후 6.25 전쟁 이전까지만 해도 일부가 대한민국령 경기도 개풍군, 장단군이었다.

개풍군, 장단군


10.13.7. 미수복 강원도[편집]


김화군, 이천군, 통천군, 평강군, 회양군


11. 폐지된 군[편집]


통감부가 설치된 뒤부터 부군면 통폐합에 이르는 기간에 폐지된 군은 기울임꼴로 하였다.

가나다순으로 정렬하였다.


11.1. 경기도[편집]




11.2. 강원도[편집]


  • 간성군 - 휴전 이후 고성군의 영역과 비슷하며, 부군면 통폐합 이후인 1919년까지도 간성군이라는 명칭을 유지했다.
  • 명주군 - 1955년, 강릉읍의 시 승격과 동시에 옛이름으로부터 유래한 명주군으로 개칭되었다.
  • 삼척군
  • 울진군 - 1962년 12월에 경상북도에 이관되었다.
  • 원성군, 원주군 - 1955년, 원주읍의 시 승격과 동시에 원성군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1991년에 원주군으로 명칭이 환원되었다.
  • 춘성군, 춘천군 - 1946년, 춘천읍의 시 승격과 동시에 춘성군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1991년에 춘천군으로 명칭이 환원되었다.
  • 평해군 - 1914년, 울진군에 편입되었다.
  • 김화군 - 1963년, 행정이 철원에 있던 김화군을 아예 철원군에 편입되었다. 북 김화군은 여전히 존재.
  • 평강군 - 1972년, 1면 1리의 평강군을 폐지했다. 원래 63년에 폐지해야할 것을 행정 오류로 명목상으로 72년까지 있었다.


11.3. 충청북도[편집]




11.4. 충청남도[편집]


  • 공주군
  • 결성군 - 1914년, 홍주군과 홍성군으로 통폐합하였다.
  • 남포군 - 1914년, 오천군과 동시에 보령군에 편입되었다.
  • 노성군 - 1914년, 은진군, 연산군과 함께 논산군으로 통폐합되었다.
  • 당진군
  • 대전군 - 1914년, 회덕군과 진잠군을 통합하여 생성. 도시화가 진행되며 부, 시를 거쳐 1989년부터 직할시가 되었다.
  • 대덕군 - 대전읍의 부제 실시와 동시에 대전군의 '대'와 해당 지역의 옛 지명인 회덕의 '덕'을 합성하여 개칭하였다. 지금은 일부는 유성구로 편입되었고, 나머지는 대덕군의 이름을 계승한 대덕구로 현재까지 남아있다.
  • 대흥군
  • 면천군 - 1914년, 당진군에 편입되었다.
  • 목천군 - 1914년, 직산군과 동시에 천안군에 편입되었다.
  • 보령군
  • 비인군
  • 서산군
  • 석성군 - 1914년, 부여군논산군에 편입되었다. 현재 논산시 성동면과 부여군 석성면에 해당된다.
  • 아산군
  • 연기군 -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로 승격.
  • 연산군 - 1914년, 은진군, 노성군과 함께 논산군으로 통폐합되었다.
  • 오천군 - 1914년, 남포군과 동시에 보령군에 편입되었다.
  • 은진군 - 1914년, 연산군, 노성군과 함께 논산군으로 통폐합되었다.
  • 직산군 - 1914년, 목천군과 동시에 천안군에 편입되었다.
  • 진잠군 - 1914년, 회덕군과 대전군으로 통페합되었다.
  • 천안군, 천원군 - 1963년, 천안읍과 환성면이 천안시로 승격하면서 천안군이 천원군으로 개칭되었다.
  • 해미군 - 1914년, 태안군과 동시에 서산군에 편입되었다.
  • 회덕군 - 1914년, 진잠군과 대전군으로 통페합되었다.


11.5. 전라북도[편집]




11.6. 전라남도[편집]




11.7. 경상북도[편집]




11.8. 경상남도[편집]




11.9. 제주특별자치도[편집]




11.10. 미수복지구[편집]



11.10.1. 황해도[편집]



북한 한정으로 모든 링크 단 군이 1952년 부활. 단, 풍천군은 과일군으로 개명되었다.


11.10.2. 평안남도[편집]


  • 삼등군 - 1908년, 강동군에 편입되었다.
  • 상원군 - 1914년, 중화군에 편입되었다.
  • 숙천군 - 1914년, 순안군, 영유군과 평원군으로 통폐합되었다.
  • 순안군 - 1914년, 숙천군, 영유군과 평원군으로 통폐합되었다.
  • 영유군 - 1914년, 숙천군, 순안군과 평원군으로 통폐합되었다.
  • 은산군 - 1908년, 자산군과 함께 순천군에 편입되었다.
  • 자산군 - 1908년, 은산군과 함께 순천군에 편입되었다.
  • 증산군 - 1914년, 강서군에 편입되었다.
  • 함종군 - 1908년, 강서군, 증산군, 용강군에 분할 편입되었다.

북한 한정으로 모든 링크 단 군이 1952년 부활.


11.10.3. 평안북도[편집]


  • 가산군 - 1914년, 박천군에 편입되었다.
  • 곽산군 - 1914년, 정주군에 편입되었다. 북한 한정으로 1952년 부활.
  • 무창군, 여연군, 우예군 - 4군 6진 참조.


11.10.4. 함경남도[편집]


  • 덕원군 - 1942년, 원산문천에 분할 편입되었다.


11.10.5. 미수복 경기도[편집]


  • 삭녕군 - 1914년, 경기도 연천군과 강원도 철원군에 분할 편입되었다. 해방 당시의 연천군 삭녕면과 서남면, 강원도 철원군 인목면 등에 해당된다.
  • 풍덕군 - 1914년, 개성군에 편입되었다.


11.10.6. 미수복 강원도[편집]


  • 금성군 - 1908년에는 금화군을 편입했으나, 1914년 재분할 후에는 역으로 김화군에 편입되었다.
  • 안협군 - 1914년, 이천군에 편입되었다. 해방 당시 안협면, 동면, 서면에 홰당.
  • 흡곡군 - 1910년, 통천군에 편입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군(행정구역) 문서의 r42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군(행정구역) 문서의 r42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군(행정구역)/목록 문서의 r18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군(행정구역)/목록 문서의 r18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13:25:03에 나무위키 군(행정구역)/대한민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군에서 구로 격하된 사례는 있다. 광산군에서 광산구로 격하된 경우. 물론 군과 구 둘 다 기초자치단체의 단위인 만큼 차이가 그다지 크지는 않다. [2] 이 때 조선시대의 2~3개(많은 곳은 4곳까지)의 군이 하나의 군으로 통폐합되었다. 가령 충남 홍성군은 원래 홍주군과 결성군이었고, 경남 합천군은 원래 합천군과 삼가군, 초계군이었다. 다만 부군면 통폐합은 고을별 면적을 평준화하려는 성격이 있어서, 인구밀도가 낮아 면적이 넓은 함경도, 평안도 등 북부지방의 군들은 대부분 통폐합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었거나 오히려 더 쪼개진 경우도 있다.[3] 단, 1969년에 섬 지역이 전부 신안군으로 분리되었음은 감안해야 한다.[4] 제1공화국 시절에는 모든 시, 군이 최소 1명의 국회의원을 선출하되, 인구가 15만 명이 넘으면 10만을 넘을 때마다 1명을 추가로 선출하도록 되어 있었다. 당시만 해도 인구가 15만 명을 넘는 군이 종종 있었기 때문에 인구가 많은 일부 군은 두 개의 국회의원 선거구를 갖는 경우가 있었다.[5] 이 세 곳 모두 광역시 산하에 있는 지역이기 때문에 하나, 혹은 여러 개의 자치구로 분구되거나 인접 도로 편입되어 시로 승격되지 않는 이상 계속 군으로 남을 지역들이다. 어차피 세 군 모두 군 자체의 중심지가 없이 소속 광역시에 종속되어 있기도 하기도 하다. 인천광역시 강화군옹진군의 경우 여기에 해당되지 않는데, 강화군은 북한과 인접지역이라는 특성상 남북통일 전까지는 개발 가능성이 낮아서 쉽지 않고 옹진군은 인구수 10만을 넘긴 영종도를 계속 점유하고 있었다면 단독 선거구가 되었을 여지가 있었겠지만 1989년에 중구로 넘아가버렸기 때문에 그 가능성이 날아가버렸다.[6] 다만 철도 및 고속도로가 설치된 지역 상당수가 시로 승격된 것을 감안하면, 철도와 고속도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군으로 남았다라고 볼 수도 있다.[7] 곡성역[8] 횡성역, 둔내역[9] 평창역, 진부역[10] 단양역[11] 장성역[12] 울산역[13] 양평역[14] 항목에서 자세한 사항을 알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인구 2만 이상에 시가지에 거주하는 인구가 면 전체 인구의 40%이상, 도시적 산업에 종사하는 가구가 40% 이상이어야 한다.[15] 현행 행정구역의 뿌리가 된 1914년행정구역 개편 이후 읍이란 제도는 1931년에 생긴 것으로 그 전에는 다 면이었다. 다만 1917년부터 읍의 전신이 되는 지정면(指定面) 제도를 운영하긴 했다. 이 지정면을 1931년 읍 제도로 개편한 것.[16] 그래서 통·리장 혹은 이·통장이라 한다. 다만 통장과 이장(리장)의 권한과 위상은 확연히 다르다. #[17] 따라서 하나의 리에는 통이 없고 반만 있다. 반도 없을 수도 있고.[18] 이에 따라 경성의 경우 경성부-고양군으로, 대구의 경우 대구부-달성군으로, 평양의 경우 평양부-대동군으로, 부산의 경우 부산부-동래군으로, 인천의 경우 인천부-부천군으로, 목포의 경우 목포부-무안군으로, 군산의 경우 군산부-옥구군으로, 마산의 경우 마산부-창원군으로 각각 분리되었다.[19] 도 직할구역이었던 계룡시는 두마면에서 바로 시로 승격한 경우이므로 예외.[20] 시 승격이라는 것이 기존 군에서 읍면단위만 분리하여 작은 (면적) 규모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던 당시의 시각으로서는 아무래도 어색하였던지 한때 일산, 벽제, 원릉(원당+능곡) 등 3개의 시로 분할 승격하는 방안도 고려하였으나 생활권 분리 등의 문제로 전역을 하나의 고양시로 승격시켰다.[21] 바로 앞에 서술한 고양군이 전역이 동으로 전환되며 고양시가 된 것과는 다르다.[22] 도시화된 지역을 쪼개야 하는 것이 원칙인데, 경기도 화성시의 경우 신도시 개발로 도시화된 태안읍을 그대로 두고 시청이 소재한 남양면을 그대로 동으로 전환하여 버렸다. 전형적인 농촌지역이었던 그 지역은 시청 소재지라는 죄로 각종 농어촌 혜택에서 제외되어 불만이 쌓이고, 신도시로 인해 도시화가 진행될 대로 진행된 태안읍은 몇 년 후 따로 몇개의 동으로 분할하는 촌극이 벌어지기도 하였다. 그 후로 남양동은 면(또는 읍)으로 다시 되돌려달라는 요구가 많았으며, 결국 2014년 10월 이 지역은 남양'읍'으로 재전환되었다.[23] 역시 지방자치제 개편 이전 광주대전은 직할시 승격 후 또는 승격과 동시에 기존 군을 해체하여 통째로 흡수하였던 전례가 있다. 현재의 광주 광산구송정시광산군을 통째로 흡수한 흔적.[24] 선거를 통해 단체장을 뽑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재선을 노리거나 군수 → 시장 테크를 타다가 중앙정계로 진출하려는 목적이다.[25] 1996년 경기도 용인군의 용인시 승격, 2003년 경기도 양주군의 양주시 승격 등등 위에 해당하는 충남 당진 역시 결국 법적인 시 승격 요건을 갖춰 2012년 시 승격.[26] 1998년에 전남 여수시, 여천시, 여천군이 여수시로 통합.[27] 2006년에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하며 북제주군과 남제주군이 각각 제주시서귀포시와 통합되었고, 2012년에 연기군이 세종특별자치시로 승격되었다.[28] 단 예외적으로 2003년에 생활권이 전혀 다른데도 일제강점기 이래로 하나로 묶여있던 증평군괴산군에서 분리되어 나가면서 군 하나가 늘어난 적이 있다. 물론 이 곳 역시 통합 바람이 불고 있지만 증평군의 반응은 당연히도 ! 참고로 군을 만들 수 있는 조건은 지방자치법에 명시되어있지 않으므로, 그냥 'XX군 설치에 관한 법률' 같은 법률을 만들면 군을 새로 만들 수 있다.[29] 군에서 구로 격하된 사례는 있다. 광산군에서 광산구로 격하된 경우. 물론 군과 구 둘 다 기초자치단체의 단위인 만큼 차이가 그다지 크지는 않다. [30] 광역시 밑으로 들어가게 되면 상하수행정 등 일부 사무에 관한 부서는 광역시 본청으로 무조건 이관(권한만 이관 혹은 권한 을 포함하여 부서 자체의 이관)해야 하고 몇몇 사무에 대해서는 광역시의 통제를 받아야 하는데 군을 많이 보유하고 군 행정에 대한 감독 노하우도 풍부한 도(道)에 비해서 광역시는 군(郡)보다는 구(區)가 메인이기 때문에 여기에 따른 충돌이 있을 수 밖에 없다. 광역시 버프로 발전의 기틀을 마련 할 수도 있지만 오히려 광역시 구(區)내에 둘 수 없는 시설을 위치시키는 보조 역할만 하게 될 수도 있다.[31] 군이 광역시 밑으로 들어가서 인구 증가, 교통망 형성, 산업 발전 등 조금이라도 득을 본 사례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울산광역시 울주군, 대구광역시 달성군 등이 있고, 반대로 광역시 밑으로 들어갔지만 별다른 발전을 하지 못한 지역으로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옹진군 등이 있다. 기장군, 울주군, 달성군부산, 울산, 대구 등지에 있던 도시 혹은 도시권의 일부로 인식된 역사가 길고, 세 지역 모두 지역 내의 중심지보다는 광역시 전체의 중심지에 더 의존한다. 반면 강화군의 경우 독자적으로 존속해온 역사가 훨씬 더 길고, 인천 편입이 성사된 1995년 이전에는 인천과는 일면식도 없던 지역이다. 또한 최전방인데데가 인천광역시 본토와 한참 떨어져 있고 본토로 가려면 경기도 김포시를 거쳐야 하는 월경지라는 가장 큰 문제가 있기 때문에 모체가 되는 광역시의 시가지가 확장되고 인구가 많아지면서 덩달아 득을 본 상기한 3개 군과 달리 인천광역시의 발전으로 득을 보기 힘든 지리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강화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강화군 문서와 강화군/역사 문서로.[32] 광역시에 둘 수 있는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유형에는 '구(區)'와 '군(郡)' 뿐이다.[33] 대덕군이나 광산군 지역의 구 전환은 지방자치제를 시행하지 않던 시절이기 때문에 현재 상황에 그대로 대입하기 어렵다.[34] 2005년까지는 남구 대명동에 있었다.[35] 부군면 통폐합 이전에는 군 전역이 지도군에 속했다.[36] 2012년까지는 전주시 덕진구에 있었다.[37] 지금도 완산구라는 일반구에서 쓰고 있다.[38] 2017년까지는 남구에 있었다.[39] 세종장헌대왕실록 지리지 울산군[40] 화양읍 중심부는 청도읍성 내에 있다.[41] 남쪽에 속한 지역은 현내면에 두었으나, 이마저도 비무장지대에 있는 관계로 사람이 살지 않는다.[42] 다만 부군면 통폐합 이전에는 간성군이 따로 존재하긴 했고, 통합 후에도 간성군으로 유지하다 1919년 군청을 간성에서 고성으로 옮기면서 고성군으로 변경하였다. 어찌보면 부군면 통폐합 이전의 고성군은 북쪽이, 간성군은 남쪽이 가져간 셈.[43] 부군면 통폐합 과정에서 칠곡군이 인동군을 흡수한 후, 칠곡면이 너무 동쪽에 치우쳐 있다는 이유로 군청을 경부선이 지나는 왜관면으로 옮겼다. 이후 왜관이 칠곡군의 새 중심으로서 발전하게 되고 남은 칠곡면(읍)은 상대적으로 발전이 정체되다가 대구직할시에 흡수된 것이다. 물론 대구 편입 이후로는 구 칠곡읍 일대에 개발사업이 착착 진행되며 다시 처지 역전.[44] 2019년 현재 전국에서 유일하게 다른 지자체에 청사가 있다.[45] 그나마도 원래부터 옹진군은 아니었고, 백령면과 대청면은 장연군, 연평면은 벽성군에 속했다가 남북분단 이후 옹진군에 속하게 된 것이다.[46] 다만 분단 직후에는 38선 남쪽에 옹진반도가 있어서 옹진반도 전체가 남쪽에 속했다가, 휴전 후부터 부천군에 속했던 도서를 편입하기 전까지는 서해 5도(딱 2개 면) 지역만 옹진군에 해당됐다.[47] 실제 승주읍 평중리에 있는 천연기념물 이팝나무(순천 평중리 이팝나무)의 경우, 지정 당시 명칭은 쌍암면의 이팝나무였다.[48] 순천의 고려시대 이름인 '승주'에서 따왔다.[49] 1991년에 울산군으로 환원됐다가, 1995년 울산시와 통합되면서 '울주구'로 개편되어 '울주'란 이름을 다시 사용하고 1997년 광역시로 승격되면서 현재의 울주군으로 개편됐다.[50] 1991년에 춘천군으로 환원.[51] 광주의 옛 이름 중 하나인 '광산'에서 따왔다.[52] 대덕이란 이름은 대전과 회덕의 합성. 대전으로 편입되면서 대덕구가 되어 현재까지 남아있다.[53] 1989년에 원주군으로 환원.[54] 강릉의 신라시대 이름인 '명주'에서 따왔다.[55] 충주의 신라시대 이름으로 5소경의 하나였던 '중원경'에서 따왔다.[56] 1991년에 제천군으로 환원.[57] 1991년에 천안군으로 환원.[58] 1986년에 옛 삼일읍, 쌍봉면이 여천시로 분리되었다.[59] 신라 도성의 이름인 '월성'에서 따왔으며, 1989년에 경주군으로 환원.[60] 시내 지역 일대를 관할했던 옛 고을인 '김산군'의 별칭인 '금릉'에서 따왔다.[61] 영풍이란 이름은 영주와 풍기의 합성.[62] 진주의 옛 이름 중 하나인 '진양'에서 따왔다.[63] 현 화성시, 오산시 지역으로 화성이란 이름은 수원화성에서 유래.[64] 전주의 옛 이름인 '완산주'에서 따왔다.[65] 창원의 옛 이름인 '의창'에서 따왔으며, 1991년 창원군으로 환원. '의창'이란 이름은 훗날 2010년 통합창원시 출범으로 신설된 '의창구'로 부활했다.[66] 삼도수군이 있던 곳인만큼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시호를 따왔다.[67] 흑역사. 주민들의 격렬한 반발로 시 승격 하루 전에 안동시로 개칭되었다.(...) 시명과 군명이 동일하게 된 최초의 사례이기도 하다.[68] 5년 후(1986년)에 나주시로 개칭되었다.[69] 특이하게도 '나주시/금성군'으로 했을 법한데도 반대로 명명됐다.[70] 본래 정읍면이었다가 읍으로 승격되는 과정에서 정주읍이 되었고, 이후 시로 승격되면서 그대로 정주시가 되었다.[71] 광양제철소 건설이 진행되면서 1986년 옛 골약면과 태금면, 옥곡면 광영리 일대에 광양지구출장소를 설치하고 3년 뒤인 1989년에 시 승격을 했는데 옆에 있는 광양읍으로 인해 혼동의 소지가 있자 시 이름을 '동광양시'로 했다.[72] 승격 당시에는 익산읍이었으나 곧 이리읍으로 개칭되었다.[73] 부군면 통폐합 이전에는 아산군과 온양군이 따로 존재했다. 원래는 온양이 아산보다 더 큰 고을이었으나 일본이 청일전쟁 당시 아산 전투의 승전을 기념하기 위해 '아산'이라는 이름으로 통합했다.[74] 대표적인 사례가 영일군-포항시선산군-구미시 등이 있다. 포항과 구미는 각각 원래 영일군과 선산군의 한 읍면이었다. 통일되면 중심지인 사리원시, 송림시로 도농통합할 가능성이 높아 봉산군, 황주군이 사라질 수도 있다.[75] 단, 울주군 항목에도 나와있지만, 언양권에 있는 범서읍, 두서면, 두동면도 원래는 이전 울산군 지역이었다.[76] 게다가 영종도에서 연안부두까지도 환승을 여러 번 해야 한다.[77] 한편 부군면 통폐합 때 폐군된 현풍이나 언양 일대는 지금이야 원래 대구, 원래 울산이었던 지역과 같이 묶여서 달성군, 울주군을 이루고 있지만, 자치구도 읍면을 둘 수 있게 하는 방안이 성사될 경우 원래 대구, 원래 울산이었던 곳들이 죄다 자치구에 편입되어 결과적으로 현풍군, 언양군이 복군될 수도 있다. 독립이 불가능한 규모이면 불가능하겠지만 일단 옛 현풍군 지역(54,000명), 옛 언양군 지역(55,000명)은 나름대로 군 하나 정도의 규모는 된다. 다만 이럴 경우, 다른 지역들과 선거구를 구성해야 한다. 특히 현풍 지역은 대구테크노폴리스와 산업단지 개발, 언양권도 범서읍과 울산역세권 개발 등으로 인구가 더 증가할 예정.[78] 대표적인 예시가 군으로 편입되지 않고 자치구로 편입된 광주광역시 광산구. 지금에야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인구가 늘어나면서 다소 괜찮아졌지만, 편입 당시만 해도 광산구광주송정역(당시 송정리역) 주변의 옛 송정시 시가지를 제외하고는 촌동네 투성이였다. 덕분에 지금도 광산구 농촌 지역(구 광산군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농어촌특별전형 등의 혜택도 받지 못 하고 살고 있다.[79] 백령면, 대청면 : 황해도 장연군, 연평면 : 황해도 벽성군. 군 이름과 달리 정작 원래부터 황해도 옹진군 소속이였던 섬은 존재하지 않는데 이는 해당 지역들이 미군정 시기 임시로 당시 대한민국령이였던 황해도 옹진군에 편입되었다가 6.25전쟁의 결과로 옹진군 본토가 북한에 넘어가면서 도서지역만 남게되었지 때문이다.[80] 자월면에 편입된 섬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