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조강

덤프버전 :

돌말류
Diatom


파일:돌말.jpg

학명
Bacillariophyceae
Haeckel, 1878
분류
계통군
SAR 상군

대롱편모조식물문(Ochrophyta)
아문
Diatomista
상강
Khakista

규조강(Bacillariophyceae)
1. 개요
2. 상세
2.1. 형태
2.2. 번식
2.3. 분류
4. 그 외



1. 개요[편집]


/ Diatom
독립영양 원생생물의 일종이다. 세포벽이 규산염으로 이루어져서 산에 의한 분해가 일어나지 않는다. 유색조식물로 분류되기도 한다.

2. 상세[편집]


높은 다양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생종, 화석종을 포함하여 12,000 여 종이 보고되었고, 약 10만 종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전세계 일차생산량의 25%, 해양 일차생산량의 40% 정도 기여하여 가장 많은 산소를 생산하는 생명체로 평가된다.

2.1. 형태[편집]


크기는 10-200 µm 범위로 나타나며, 세포벽은 규산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각(Epitheca)과 하각(Hypotheca) 두 개의 각으로 나누어진다. 각각의 각은 복잡한 형태를 가진 개각(Valve)과 환대(Girdle)로 구성되며 주로 개각의 형태를 이용하여 형태학적 분류를 한다.

2.2. 번식[편집]


무성생식으로서 이분법으로 번식하며, 규산질 세포벽으로 구성되어 세포분열 할때 일반적인 세포와 다르게 상각과 하각이 분리된 후 각각 새로운 상각이 되어 하각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분열한다. 즉, 오래 분열된 세포일수록 작아지게 되며, 보통 가장 큰 크기의 1/3 이하가 되면 원형질이 세포벽에서 탈출해서 접합하여 증대포자를 형성해 원래 크기로 돌아간다.
유성생식으로서 증대포자를 사용한 방법[1]와 알과 정자를 이용한 방법[2]이 있다.

2.3. 분류[편집]


전통적으로 개각의 형태에 따라 중심규조목(Centrales)과 우상규조목(Pennales)으로 분류하였으며, 우상규조목을 다시 세로홈의 유무에 따라 위배선규조아목, 원시배선규조아목으로 분류한다.

3. 규조토[편집]


규조류가 죽으면 세포벽이 분해되지 않아 방해석 보상 심도 이하에 규조토의 형태로 쌓이게 된다[3]. 흡수력이 좋고 니트로글리세린을 안정화 시켜 초기 다이너마이트에 쓰였다.


4. 그 외[편집]


세포벽에 미세한 무늬가 있는데, 현미경 성능 테스트로 해도 될 정도로 정교하다. 이 기하학적인 구조는 힘을 견디는 데 아주 큰 도움을 주어서, 탁자의 한 다리에 코끼리의 무게가 걸려도 버틸 수 있다고 한다.

학계에서는 지구에서 가장 많은 산소를 생산하는 생물체가 규조류라고 말한다. 아마존 같은 밀림의 나무가 생산하는 산소는 밀림에 사는 생물들이 거의 다 소비하고, 바다에서 규조류들이 많은 산소를 내뿜는다.

일부 속은 도모산(Domoic Acid)이라는 것을 생성하는데, 과량 섭취시 기억상실을 유발하거나 심할 경우 뇌손상을 일으켜 사망에 이른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18:05:06에 나무위키 규조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주로 우상돌말목[2] 주로 중심돌말목[3] 방해석 보상 심도 이상에선 탄산염 골격이 우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