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조토

덤프버전 :

1. 개요
2. 특성
3. 발견 장소
4. 이용


1. 개요[편집]


/ Diatomite, Diatomaceous earth

아주 미세한 단세포 생물인 규조(硅藻, diatom)들의 유해가 해저 등에 쌓여 만들어진 을 말한다. 1836년 또는 1837년에 독일인 소농(小農) 페터 카스텐(Peter Kasten)이 처음 발견하였다.


2. 특성[편집]


흰색을 띤 점토처럼 생겼는데 무게는 가볍다. 물을 포함해 다른 물질에 대한 흡수율이 상당히 높다. 알루미나와 철이 포함되기도 한다.


3. 발견 장소[편집]


바다였던 곳에 두껍게 쌓여있을 때가 많다. 독일, 체코, 스코틀랜드 등지에서 주로 발견되지만, 가끔 사하라 사막 같은 사막에서도 발견된다.


4. 이용[편집]


1866년 알프레드 노벨이 규조토에 니트로글리세린을 쏟았다가 흡수되는 모습을 보고 민감도를 낮춰 안전성을 높인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하였다. 그 외에도 수영장 필터에도 쓰이고, 내화재, 단열제, 흡수제, 농업 등 여러 방면에서 쓰인다.

절지동물들의 큐티클층과 반응해서 체벽을 들어내기 때문에 절지동물이 규조토에 닿으면 단시간 내에 확산 법칙에 의해 탈수로 죽는다. 그래서 살충제로 쓰이기도 한다. 하지만 절대 실내에서 많이 사용하면 안 된다. 2023년쯤 빈대를 잡기 위해 식용 규조토를 사용해도 된다는 뉴스가 돌고 있지만, 식용 규조토도 소화기관으로 섭취할 때만 안전하고 기도로 흡입하게 되면 유해하기 때문에 비전문가가 함부로 사용했다간 건강을 해치게 된다.[1] 규폐증이라는 병명이 따로 있을 정도.# 사용법에 무지할 경우 락스로 과일 세척을 할 수 있다는 말을 듣고 락스 원액으로 과일을 세척하는 꼴이 될 수 있다.

만약 살충제로 사용하기위해 작업할때는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장갑, 마스크, 고글 등을 착용하고 작업해야 한다. 습기가 찬 환경에선 효과가 떨어진다. 절대로 뭉쳐 뿌리면 안되고 표면적 0.09 제곱미터당 약 1티스푼 정도로 얕게 뿌려야만 한다.

이와 성질이 비슷해서 흡수제 등으로 이용되는 물질로는 제올라이트, 흡습제 실리카겔 고양이 화장실 모래로 쓰이는 벤토나이트 등이 있다.

이 흡수율을 이용해 욕실 문 앞에 까는 발매트 용도로 만들어져 많이 판매되는데 아주 평이 좋다. 주성분이 실리카이니만큼 실리카겔 못지 않게 흡수율이 높아 밟으면 발에 묻은 물기를 싹 빨아들여 건조시키는데, 심지어 마른 수건으로 직접 닦는 것보다 더 뽀송뽀송해진다. 하지만 몇 달 사용하면 때를 흡수해 더러워지고 흡수력이 떨어지는데 물과 깨끗한 수건으로만 닦아야 한다. 워낙 흡착력이 좋아서 비누나 세제를 사용하면 씻어도 씻어도 비누성분이 잘 빠지지 않아서 흡착력이 떨어진다. 그래도 안 되면 오염된 표면을 400번 정도 사포로 힘들여 빡빡 갈아내야 해서 장기간 사용에 번거로움이 있다. 칼을 관리하는 사람이라면 숫돌 면잡이용 도구를 이용해 표면을 밀면 편하다. 돈이 문제가 안된다면 그냥 한 달에 한 번 새 거 사면 별 문제 없다.

놀랍게도 식용으로도 쓰인다. 아메리카 원주민과 아이누 문화에는 규조토를 사용한 요리가 있다. 오늘날에는 식용 규조토와 비식용 규조토가 엄격하게 구분되어 유통된다. 다만 식용 규조토는 어디까지나 음식으로 섭취 가능한 식용 규조토이고 폐로 흡입하면 유해하다는 점을 명심하자. 모든 성분의 경구독성과 흡입독성은 맹백히 분리되어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17:22:51에 나무위키 규조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과거 가습기 살균제 사망사건도 경구독성과 흡입독성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해 훨씬 크게 번졌던 사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