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미 어워드 (r20220720판)
문서 조회수 확인중...
1. 개요[편집]
미국에서 가장 유서 깊은 대중음악 시상식이다. 전미 레코딩 예술 과학 아카데미(NARAS: National Academy of Recording Arts and Sciences, 통칭 레코딩 아카데미)가 주최한다. 대중음악의 흐름을 주도하는 미국이라는 나라의 최대 시상식인 만큼 전 세계에서 가장 위상있는 대중음악 시상식, 대중 음악가라면 누구나 가장 받고 싶어하는 상이다.
그래미란 "축음기"란 뜻의 "Gramophone"에서 비롯된 말이며 트로피 역시 축음기를 본 따 만들었다. 대중 음악의 시작과 발전이 축음기에서 비롯되었다는 의미이다. 1959년에 시작되어 2021년까지 총 63회의 시상식을 열었고, 지금까지 수여된 트로피의 개수는 8,000개에 육박한다고 한다..
2. 선정 및 시상 과정[편집]
NARAS[1] 가 한 해에 가장 뛰어나고 성공적이었던 음악들을 투표를 통해 시상한다. 미국에서 이전해 10월부터 당해 9월까지 발매된 모든 레코드들은 심사 자격을 부여받는다.[2] 이후 다음 다섯 단계를 통해 최종 수상작이 선정된다.
2020년 시상식부터 규정이 바뀌었는데 기존 발매일 제한인 9월 30일에서 8월 31일로 바뀌고 시상식 또한 1월로 1개월 앞당겨져 열리게 된다. 따라서 2020년 시상식은 2018년 10월부터 2019년 8월 31일까지 발매 작품이 심사 대상이 된다.
그래미 심사위원이 되기 위해선 다음의 요건을 모두 충족시켜야 한다.
- 본인 명의로 된 12개 이상의 트랙이 있어야 한다.
- 트랙 중 최소 하나는 5년 이내에 발매되었어야 한다.
- 해당 트랙들은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이용 가능하거나 다운로드가 가능해야 한다.
- 작업물들은 검증된 문서와 함께 동봉되어 있어야 한다.
1) 제출 (Submission)
각 음악 레이블은 자회사 소속의 아티스트가 그래미 후보에 오르길 원한다면 아티스트들의 음반, 트랙을 그래미에 제출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대략 2만개 이상의 레코딩들이 제출된다고 한다. 단, 욕설과 비속어 등이 삭제된 'Clean Version'의 레코딩 만이 제출 가능하다.[3]
2) 스크리닝 (Screening)
제출된 레코딩들을 바탕으로 150여명 이상의 전문가들이 해당 레코딩들의 장르를 배분한다. 각 레코딩들이 알맞은 장르의 후보에 오를 수 있도록 분류작업을 거친다.
3) 후보 선별 (Nomination)
NARAS 회원들의 첫번째 투표가 이루어진다.[4] 자신이 전문인 장르에서 최대 15개의 카테고리에 투표를 할 수 있다. 다만, 예외적으로 제너럴 부분[5] 에는 모든 회원들이 투표할 수 있다.
4) 최종 후보 선별 (Final Nomination)
투표를 바탕으로 그래미 측은 마지막으로 선별 과정을 거친다. 너무 아니다 싶은 후보는 투표를 많이 받았더라도 이 과정에서 걸러지고 최종 후보가 선별된다. 후보는 일반적으로 투표를 가장 많이 받은 다섯 아티스트/그룹이지만 동률일 경우가 생긴다면 후보가 추가된다. 최종 그래미 어워드 후보 명단은 일반적으로 11월 말에서 12월 초 사이에 공개된다.
5) 최종 투표 (Final Voting)
후보가 공개되고 NARAS 회원들이 투표로 수상자를 선정한다. 똑같이 전문 장르에서 최대 15개의 카테고리에 투표할 수 있으며 제너럴 부분엔 장르를 막론하고 투표가 가능하다. 이후 가장 많은 투표를 받은 레코딩이 수상으로 이어지게 된다.
6) 시상식 (Awards Ceremony)
시상식은 1월 말에 열리게 된다.[6] 시상하는 상만 약 105개 가량 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상은 시상식 직전 수상자가 공개한다.
3. 카테고리[편집]
3.1. 제너럴 필드[편집]
그래미의 경우 100가지가 넘는 시상 부문이 있는데, 그 중 Record of the Year, Album of the Year, Song of the Year, Best New Artist 네 부문의 상을 제너럴 필드(본상)이라고 지칭하고, '이 상을 누가 받느냐?'가 가장 이슈가 된다. 다른 상들은 대부분이 공개 방송 전에 이미 시상하고 몇 부문만(그것도 랜덤이기 때문에 매년 달라진다.) 공개방송에서 시상하는데 비해 본상 4부문은 무조건 매년 공개방송에서 시상한다.
원래는 각 필드당 다섯 후보가 올랐지만 2019년 시상식부터 여덟 후보로 늘렸다.[7] 2022년부터는 10개로 더 늘어났다.
3.1.1. Album of the Year (올해의 앨범상)[편집]
Album of the Year는 그래미에서 가장 권위있는 부문이며, 본상 4부문 중에서도 가장 이목이 집중되는 상인만큼 수상 결과와 관련된 논란도 많이 일어나곤 한다. 앨범에 참여한 모든 이에게 상이 주어진다.
3.1.2. Record of the Year (올해의 레코드상)[편집]
Record of the Year은 음원 제작에 참여한 아티스트, 프로듀서, 기술자에게 상이 주어진다. 노래 자체만 평가하여 작곡가 및 작사가에게 상을 주는 Song of the Year과는 달리, 녹음, 편곡, 믹싱 등을 포함하여 음원의 전체적 완성도를 따지는 상이라고 볼 수 있다.
3.1.3. Song of the Year (올해의 노래상)[편집]
Song of the Year은 곡의 작곡가와 작사가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즉, 노래를 부른 아티스트는 작곡이나 작사에 참여하지 않았다면 이 상을 받지 못한다. 가수의 가창력 및 음원의 기술적인 완성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상을 주는 Record of the Year과는 달리, 노래 자체만 평가한다.
3.1.4. Best New Artist (최고의 신인상)[편집]
Best New Artist는 그 해 최고의 신인, 혹은 데뷔기간이 약간 지났음에도 괄목상대한 그래도 신인급에 끼는 가수가 노미네이트되며, 본상 4부문 중 가장 기준이 자주 변동하는 상이다. 덕분에 당해에 괄목할 만한 성적과 인지도를 올린 신인 아티스트들이 후보에 조차 오르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게다가 인생에 단 한 번 밖에 수상할 기회가 없다는 점에서 다른 상들과는 여러모로 값진 의미를 담고있는 상이기도 하다. 정규 앨범을 1장 이상 3장 이하로 발매한 아티스트 또는 싱글 및 트랙이 30곡 이하여야만 후보 자격이 주어진다. 과거에는 앨범이 나오기 전 싱글 및 트랙이 먼저 다른 후보 부문에 올라 신인상 후보 자격이 사라지는 규정이 있었다. 하지만 대형 신인이였던 레이디 가가가 이로 인해 후보에 오르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자 부당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의견을 반영해 이 전 시상식이나 다른 후보에 올라도 신인상 후보에 선정될 수 있도록 규정이 바뀌었다. 그 덕을 본 아티스트는 에드 시런과 메간 트레이너가 있고 에드 시런은 후보에 그쳤지만 메간 트레이너는 신인상을 수상하였다.
3.2. 장르 필드[편집]
제너럴 필드 다음으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부분은 장르 필드이다. 그 해 최고의 레코드를 본상에 수여한다면 그 해 최고는 아니었으나 그에 비견될 만한 레코드들이 각 장르 내에서 수상하게 된다. 때문에 장르 필드에서 상을 수상했으나 본상에서 수상하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부문의 이름 끝에 Song 과 Performance의 차이가 무엇인지 몰라 헷갈리는 사람들이 많은데, Song은 '송 라이터'에게 가는 상이고 Performance는 곡을 부른 '아티스트'에게 가는 상이다.
3.2.1. 팝[편집]
- Best Pop Vocal Album
- Best Pop Solo Performance
- Best Pop Duo/Group Performance
외국에는 그룹보다 솔로로 활동을 많이 하기에, 대다수의 노미네이션은 다른 가수들과 함께한 피쳐링, 리믹스가 많이 후보에 오른다.
- Best Traditional Pop Vocal Album
댄스/일렉트로닉, 신스, 모듈라 등이 사용되지 않은 전통적인 아메리칸 송북 스타일의 앨범이 심사 대상이다. 주로 재즈 보컬 앨범이 후보에 올라 재즈 필드로 분류하는 매체도 있다. 1992년 'Traditional Pop Performance'로, 2000년에는 'Traditional Pop Vocal Performance', 이후 2001년 현재의 이름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3.2.2. R&B[편집]
- Best R&B Album
전통 알앤비 앨범이 심사 대상이다.
- Best Progressive R&B Album
현대 알앤비 앨범이 심사 대상이다. 2021년부터 Best Urban Contemporary Album에서 현재의 이름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Best R&B Song
모든 알앤비 트랙이 심사 대상이다.
- Best R&B Performance
현대 알앤비 트랙이 심사 대상이다. 2012년부터 Best Male/Female R&B Vocal Performance, Best R&B Performance by a Duo Group with Vocal, Best Urban/Alternative Performance 카테고리를 하나로 합쳐 현재의 이름으로 시상한다. 때문에 성별 및 솔로/듀오/그룹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한꺼번에 심사한다.
- Best Traditional R&B Performance
전통 알앤비 트랙이 심사 대상이다.
3.2.3. 힙합[편집]
- Best Rap Song
모든 랩 트랙들이 심사 대상이다.
- Best Rap Performance
- Best Melodic Rap Performance
랩과 보컬이 함께 들어간 트랙(멜로딕 랩)이 심사 대상이다. 보컬 없이 래퍼의 단독 싱잉 랩만 있는 경우는 Rap Performance에 속한다. 2021년부터 Rap/Sung Performance에서 현재의 이름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3.2.4. 컨트리[편집]
- Best Country Album
- Best Country Song
- Best Country Solo Performance
- Best Country Duo/Group Performance
3.2.5. 일렉트로닉[편집]
- Best Dance/Electronic Album
- Best Dance Recording
3.2.6. 락[편집]
- Best Rock Album
- Best Rock Song
- Best Rock Performance
- Best Metal Performance
모든 메탈 트랙이 심사 대상이다.
3.2.7. 얼터너티브[편집]
- Best Alternative Music Album
3.2.8. 재즈[편집]
- Best Jazz Vocal Album
- Best Jazz Instrumental Album
- Best Jazz Latin Album
- Best Jazz Ensemble Album
- Best Improvised Jazz Solo
3.2.9. 가스펠[편집]
- Best Gospel Album
모든 전통 가스펠 앨범이 심사 대상이다.
- Best Gospel/Song Performance
모든 전통 가스펠 트랙이 심사 대상이다.
- Best Contemporary Christian Music Album
모든 현대 크리스천 음악(CCM)앨범이 심사 대상이다.
- Best Contemporary Christian Music Performance/Song
모든 현대 크리스천 음악(CCM)트랙이 심사 대상이다.
- Best Roots Gospel Album
모든 서던 가스펠 앨범이 심사 대상이다.
3.3. 특별 공로상[편집]
3.3.1. 공로상[편집]
음악 분야에서의 경력 동안 공연 이외에 중요한 공헌을 한 개인들에게 수여하는 특별 공로상이다. 이 상은 퍼포머들에게 수여되는 그래미 평생 공로상과는 다르다.
3.3.2. 평생 공로상[편집]
그래미 평생 공로상은 “레코딩 분야의 뛰어난 예술적 가치와 창조적인 공헌을 일생 동안 기여한 퍼포머"에게 수여하는 특별 공로상이다. 그래미가 퍼포머의 수여하는 명예의 전당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 상은 개인보다는 특정 음반을 명예롭게 여기는 ‘그래미 명예의 전당’과는 다르다.
3.3.3. 레전드상[편집]
그래미 레전드상은 음악의 지속적인 기여와 영향력을 행사하는 아티스트에게 수여하는 특별 공로상이다.
4. 주요 수상 내역[편집]
4.1. 최우수 랩 앨범[편집]
5.2. 최다 여성 그래미 수상자[편집]
5.3. 최다 그룹 그래미 수상자[편집]
5.4. 하루에 가장 많은 그래미를 수상한 아티스트[편집]
5.5. 제너럴 필드를 모두 수상한 아티스트[편집]
- 크리스토퍼 크로스: 그래미 역사상 최초로 한 해에 4개의 본상을 모두 수상한 아티스트.
- 빌리 아일리시: 크리스토퍼 크로스 이후 2 번째로 한 해에 4개의 본상을 모두 수상한 아티스트. 4개의 본상을 모두 보유한 최초의 여성 아티스트는 아델(2012 그래미 이후).
5.6. 올해의 앨범을 가장 많이 수상한 아티스트[편집]
- 스티비 원더 3회
- 프랭크 시나트라 3회
- 폴 사이먼 3회
- 라이언 테더 3회
- 테일러 스위프트 3회
5.7. 수상하지 못한 아티스트 가운데 최다 노미네이션[편집]
- 아티스트를 제외한 프로듀서 및 엔지니어는 제외함.
5.8. 그래미상 수상자를 가장 많이 배출한 음악대학교[편집]
6. 논란과 비판[편집]

7. 기타[편집]
- 가수들의 퍼포먼스 또한 기대할만하며, 유명한 퍼포먼스로는 핑크의 "Glitter In The Air"가 있다.[9] 그리고 2014년 그래미에서 비슷한 퍼포먼스를 또 했다. 2016년의 켄드릭 라마의 퍼포먼스도 역대급이었다는 평이 있다.[10]
- 노미네이트된 곡들을 추려 낸 컴필레이션 앨범 Grammy Nominees가 매년 1월쯤에 발매된다.[11]
- 문명 4의 주제곡 바바 예투가 2011년 상을 받기도 했다. 그래미 어워드 최초로 게임 음악이 상을 받은 케이스이다. 이후 별의 커비 슈퍼 디럭스의 곡 어레인지가 수상하면서 게임 음악의 수상이 늘었다.
- 매년 30초짜리 홍보영상이 나온다.#
- 라틴 그래미 어워드라는 바리에이션이 있는데 이건 라틴 재즈(Latin Jazz), 라틴 팝, 탱고, 보사 노바 같은 남미 음악 장르에 한정해 시상하는 시상식이다. 주최 단체도 이 항목에서 서술하는 그래미 어워드와 다르다. 가끔 여기서 상을 받은 걸 가지고 '진짜' 그래미 어워드를 받은 양 프로모션에 써먹거나 하는 일이 있는데 혼동하지 않도록 하자.그래미에도 라틴음악 부문이 있는데 당연히 라틴그래미어워드 수상보다 그래미어워드 라틴음악부문에서 수상하는게 더 있어보인다.
- 본상은 물론이고 기타 상 후보에 노미네이트된 곡들에는 일절 비속어를 쓸 수 없다. 그래서 그래미 수상을 노리는 가수들은 가사에 영 좋지 않은 말이 들어갈 경우 원본 그대로의 앨범과 욕설을 제거한 앨범을 따로 발매한다. 2005년 그래미 어워드 Best Rap Performance by a Duo or Group[12] 부문에 노미네이트 되었던 비스티 보이스의 "Ch-check it out"이 그 예인데, 가사 내용 일부가 아주 찰진(...)욕으로 이루어져서 수정된 버전을 발매하여 노미네이트 되었다.
- 한국인 중에서는 소프라노 조수미가 3회 노미네이트, 1회 수상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 1992년 오페라 그림자 없는 여인 녹음앨범이 BEST CLASSICAL ALBUM 부문 노미네이트, BEST OPERA RECORDING 수상을 기록했고, 1995년 오페라 탄크레디 녹음앨범이 BEST OPERA RECORDING 부문 노미네이트를 기록.
- 방탄소년단이 한국 가수 처음으로 그래미 단독 퍼포머로의 참석이 2021년 3월 8일(한국시각) 발표되었다.#
- 2020년 62회 시상식에서는 본격적인 시상식이 진행되기 전에 코비 브라이언트를 추모하는 무대가 열렸다.알리샤 키스의 코비 브라이언트 추모 생전에 고인이 몸담았던 LA 레이커스의 홈구장인 스테이플스 센터에서 진행되었기 때문.
- 힙합 부문은 1989년[13] 31회 시상식부터 신설되어 수상을 하기 시작했으며[14] 초대 수상자는 DJ Jazzy Jeff & The Fresh Prince. The Fresh Prince는 알다시피 윌 스미스의 래퍼 시절 예명이다.[15] 즉, 윌 스미스는 그래미에서 상을 받은 최초의 래퍼.[16]
- 2020년 The Weeknd 스넙으로 인한 전 세계 음악 커뮤니티 및 여론의 악화로 2021년 그래미 어워드는 역사상 최저 시청률을 기록했고, 무수히 많은 아티스트들의 보이콧을 받으며 최악의 시상식으로 남게되었다. 이로 인해 그래미 어워드의 대표 Harvey Mason Jr.는 2022년 그래미 어워드를 시작으로 계속해서 음악 커뮤니티 및 음악 제작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계속해서 그래미 어워드의 문제점을 개선해나갈 것임을 밝혔다. 자세한 내용은 그래미 어워드/논란과 비판 참조.
- 2022년 1월에 개최될 예정이었던 제64회 그래미 어워드도 전년도와 마찬가지로 코로나19 상황이 악화되어 연기됐다. 4월 3일 or 4월 10일에 개최될 예정이다. #1 #2 #3 이후 4월 3일 라스베이거스 MGM 그랜드 가든 아레나 개최를 확정했다.
- 2022년 별의 커비 슈퍼 디럭스의 "메타 나이트의 역습" 주제곡을 어레인지한 The 8-bit big band 팀의 곡이 그래미 상을 수상했다. 이 팀은 팀명처럼 고전 게임들의 곡을 현대악기로 재창조하는 일을 하고 있었다.
8. 참조 문서[편집]
- 제63회 그래미 어워드(2021)
- 제64회 그래미 어워드(2022)

[1] the National Academy of Recording Arts and Sciences의 약자[2] 아주 드물게, 만약 예전에 발매했던 곡이 무명 상태로 있다가 갑자기 인기를 얻게 되면, 인기를 얻게된 해에 심사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2017년에 발배된 Lizzo의 "Truth Hurts"는 2019년에 떴기 때문에 그 해 그래미상 후보에 올랐다.[3] 때문에 가수나 래퍼들이 Clean Version을 따로 만들어 앨범이나 싱글을 내놓는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 다른 대표적인 이유는 전 연령층 라디오, TV 방송, 라이브 퍼포먼스 등을 위해서이다.[4] NARAS 회원들은 현직 음반 기획자부터 방송국 PD, DJ까지 미국 대중음악계의 현업 종사자들이며 2018년 기준으로 심사위원은 약 13,000명이다. # 2012년 버클리 음악대학 출신 음반 엔지니어 황병준이, 2016년 가야금 연주가 한테라가, 2017년 아시아 팝페라가수 최초로 팝페라테너 임형주가 5년 임기의 심사위원으로 위촉된 바 있으며, 2019년에는 방시혁 및 방탄소년단과 가야금 연주자 이루나가 심사위원으로 위촉되었다.[5] 올해의 앨범, 올해의 레코드, 올해의 노래, 올해의 신인[6] 동계 올림픽 등 국제 행사가 겹쳐진 경우 시상식이 더 늦게 열릴 수 있다. 2020년 이전까지는 2월 초에 시상식이 열렸으나, 이후 현재와 같이 변경되었다.[7] 그래서 이전까지는 몇회 후보에 올랐는지도 중요한 커리어 중 하나가 되었으나, 후보자리가 늘어난 이후에는 상대적으로 노미네이션 횟수의 위상이 떨어졌다는 말도 나온다.[8] 본인의 요청으로 본 노미네이션과 수록곡 "Way 2 Sexy"의 Best Rap Performance 노미네이션이 목록에서 삭제되었다. #[9] 2010 MAMA에서 원더걸스가 시도했던 그 퍼포먼스이다. #[10] 대놓고 흑인 노예에 아프리카를 상징하는 퍼포먼스를 하고 나와 사회적으로도 이슈가 되었다.[11] 주요 4개 부분을 중심으로 약 20여곡이 실려있다. CD 재생시간의 제한 때문인지 원곡보다 약간 짧게 편곡된 버전이 많다.[12] 두 명 이상의 힙합 그룹에게 주었던 상. 2012년부터 Best Rap Performance 부문에 통합.[13] 힙합 음악이 본격적으로 대중음악에 편입되기 시작한 해이다.[14] 신설되었을땐 앨범 부문 없이 'Best Rap Performance' 부문이 전부였다.[15] 래퍼 시절에 얻은 인지도로, 윌 스미스는 자신의 이름을 건 시트콤 더 프레시 프린스 오브 벨 에어에 출연하여 대단한 히트를 거두게 된다.[16] 파트너인 DJ Jazzy Jeff는 예명에도 나와있듯이 팀에서 프로듀싱을 담당하는 DJ였으며 랩은 윌 스미스 혼자 담당이었다.[17] 시즌5 1화 Homer's Barbershop Quartet 에피소드. 호머 심슨이 다른 등장인물들과 함께 중창단을 결성해 활동하면서 그래미 상까지 수상했다는 과거가 있다는 설정으로 등장하는 에피소드다. 호머가 술값을 내려고 하는데 돈이 없자 그래미 상 트로피를 대신 주는데, 점원은 트로피를 보고는 처음엔 좋아하다가 그래미 상이라는 걸 알고는 실망해서 창밖으로 던져버린다. 그리고 창밖에서 맞은 사람은 쓰레기 버리지 말라면서 다시 위로 던지는데 호머가 그걸 맞고 기절한다. 1993년 방영된 에피소드인데 21세기에 들어서 정말로 그래미 상이 여러 논란에 평가가 깎여나가는 지금 다시 보면 많은 생각이 드는 장면이다.예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