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장판 가면라이더 이그제이드: 트루 엔딩

덤프버전 :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극장판 가면라이더 이그제이드 트루 엔딩을 표제어로 결정으(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가면라이더 × 슈퍼전대
여름 극장판 동시상영작


[ 펼치기 · 접기 ]
2001년
2002년
아기토
가오레인저
류우키
허리케인저
PROJECT G4
화산 표효하다
EPISODE FINAL
슈슛토 THE MOVIE
2003년
2004년
555
아바레인저
블레이드
데카레인저
PARADISE LOST
아바레섬머는 킨킨중!
MISSING ACE
풀 블래스트 액션
2005년
2006년
히비키
마지레인저
카부토
보우켄저
7인의 전귀
인페르시아의 신부
GOD SPEED LOVE
최강의 프레셔스
2007년
2008년
덴오
게키레인저
키바
고온저
이 몸, 탄생!
네이네이! 호우호우! 홍콩 대결전
마계성의 왕
BUN!BUN!BAN!BAN!극장BANG!
2009년
2010년
디케이드
신켄저
W
고세이저
올 라이더 대 대쇼커
천하를 판가름하는 싸움
운명의 가이아 메모리
EPIC on the MOVIE
2011년
2012년
오즈
고카이저
포제
고버스터즈
장군과 21개의 코어 메달
하늘을 나는 유령선
다 함께 우주 왔다!
도쿄 에네타워를 지켜라!
2013년
2014년
위자드
쿄류저
가이무
토큐저
IN MAGIC LAND
GABURINCHO OF MUSIC
사커 대결전! 황금의 열매 쟁탈배!
갤럭시라인 SOS
2015년
2016년
드라이브
닌닌저
고스트
쥬오우저
서프라이즈 퓨처
공룡주군님 멋지다 인법첩!
100개의 아이콘과 고스트 운명의 순간
두근두근 서커스 패닉
2017년
2018년
에그제이드
큐레인저
빌드
루팡레인저 VS 패트레인저
트루 엔딩
게스 인더베이의 역습
Be The One
en film
2019년
2020년[A]
지오
류소우저
제로원
세이버
Over Quartzer
타입슬립! 공룡패닉!!
REAL × TIME
불사조의 검사와 파멸의 책
2021년[*A ][B]
2022년
키라메이저
젠카이저
리바이스
돈브라더스
비밥 드림
붉은 전투! 올전대 대집회!!
-

[A]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키라메이저의 극장판이 2021년으로 연기되면서, 2020년에는 가면라이더 제로원과 세이버의 극장판이, 2021년에는 키라메이저와 젠카이저가 동시상영하게 되었다.[B] 극장판이 아닌 특별편으로 분류되는 기사룡전대 류소우저 특별편: 메모리 오브 소울 메이트도 동시상영한다.





극장판 가면라이더 이그제이드: 트루 엔딩 (2017)
Kamen Rider Ex-Aid the Movie: True Ending
劇場版 仮面ライダーエグゼイド トゥルー・エンディング


파일:에그제이드 트루 엔딩.jpg

장르
액션, 특촬
감독
나카자와 쇼지로[1]
각본
타카하시 유야[2]
원작
이시노모리 쇼타로
제작
부츠다 히로시
출연
이이지마 히로키, 세토 토시키, 마츠모토 우쿄
음악
ats-, 시미즈 타케히토, 와타나베 토오루
테마곡
미우라 다이치 - 『Life is Beautiful』
제작사
파일:일본 국기.svg 토에이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원미디어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 토에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수C&E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7년 8월 5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년 10월 9일[3]
상영 시간
57분
제작비

월드 박스오피스
$4,973,198 (2017년 8월 13일 기준)
대한민국 총 관객수
19,598명 (2018년 10월 28일 기준)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초기.svg 전체 관람가
링크
일본 홈페이지 한국 가면라이더 페이스북

1. 개요
2. 시놉시스
3. 예고편
4. 등장인물
4.1. CR측
4.1.1. 협력자
4.2. 악역
4.3. 기타
4.4. 가면라이더
4.5. 유사 라이더
5. 줄거리
6. 평가
7. 흥행
8. 기타



1. 개요[편집]


가면라이더 에그제이드의 극장판으로, 에그제이드 전체 줄거리의 진정한 최종화를 선행 공개한다. 정확히는 극장판의 시점은 본편의 모든 사건이 완료된 직후로, 본편은 본편대로 스토리를 완결짓지만, 극장판은 시계열상 가장 마지막 위치에 놓이기에 '진정한 엔딩(트루 엔딩)'이라는 부제가 붙게 되었다.[4][5]


2. 시놉시스[편집]


‘가면라이더 이그제이드’의 진정한 엔딩이 펼쳐진다!

VR세계에 사람들을 가둬 세상을 지배하려는 최강 악당 ‘게무데우스X’의 등장!

갑작스레 발생한 신형 바이러스 ‘버그스터’에 감염된 사람들이 의식불명 상태에 빠지고,

위험에 빠진 인류를 구할 유일한 히어로 ‘가면라이더’들은 악당 ‘게무데우스X’에 맞서

최후의 결투에 나서는데…!

과연 ‘가면라이더’들은 세상을 구할 수 있을 것인가?

영화진흥위원회



3. 예고편[편집]





4. 등장인물[편집]



4.1. CR측[편집]


  • 호죠 에무(도명호)
  • 카가미 히이로(강인준)
  • 쿠죠 키리야(정세한)[6]
  • 카리노 아스나(박은설, 뽀삐)
  • 카가미 하이마(강하일)
  • 파라드


4.1.1. 협력자[편집]


  • 하나야 타이가(한시완)
  • 단 쿠로토 신(GOD 현도현)[7]
  • 사이바 니코(안나희)
  • 코보시 츠쿠루(김성운)


4.2. 악역[편집]




4.3. 기타[편집]


  • 호시 마도카(이소율)[8]
  • 카츠라기 타쿠미 - 가면라이더 빌드


4.4. 가면라이더[편집]


라이더명
변신 캐릭터
전용 무기
변신 아이템
모티브
파일:에그제이드 로고 3.png
가면라이더 에그제이드
호죠 에무
가샤콘 브레이커
가샤콘 키 슬래셔
게이머 드라이버
게이머
액션 게임
파일:브레이브 로고.png
가면라이더 브레이브
카가미 히이로
가샤콘 소드
롤플레잉 게임
파일:스나이프 로고.png
가면라이더 스나이프
하나야 타이가
가샤콘 매그넘
건슈팅 게임
파일:레이저 로고 2.png
가면라이더 레이저 터보
쿠죠 키리야
가샤콘 스패로우
레이싱 게임
파일:겐무 로고.png
가면라이더 겐무
단 쿠로토 신
가샤콘 브레이커
프로토타입
액션 게임
파일:패러독스 로고.png
가면라이더 패러독스
파라드
가샤콘 패러블레이건
게이머
대전 액션 게임
퍼즐 게임
파일:뽀삐 로고.png
가면라이더 뽀삐
뽀삐 삐뽀빠뽀
가샤콘 버그바이저 II
버글 드라이버 II
히로인(공략 대상)
미소녀 연애 시뮬레이션 게임
파일:fuuuuuuuuma.png
가면라이더 후마
나구모 카게나리
쌍검[9]
게이머 드라이버
게이머
스타일리쉬 액션 게임[10]
파일:빌드 로고 2.png
가면라이더 빌드[11]
카츠라기 타쿠미
드릴 크러셔
빌드 드라이버
토끼+전차(래빗탱크 폼)
고릴라+다이아몬드(고릴라몬드 폼)


4.5. 유사 라이더[편집]


라이더명
변신 캐릭터
전용 무기
변신 아이템
모티브
파일:ninja player logo.png
닌자 플레이어
-
-
가면라이더 후마[12]
게이머
스타일리시 액션 게임


5. 줄거리[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갑작스레 발생한 변종 바이러스[13]의 영향으로 카가미 히이로, 카리노 아스나, 하나야 타이가 등을 포함한 시민들이 의식불명 상태에서 깨어나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한다. 호죠 에무는 단 쿠로토에게 가상 현실 세계가 이번 사태와 연관이 있다는 소릴 듣고 쿠로토에게 받은 마이티 크리에이터 VRX 가샤트와 VR 뷰어를 이용해 VR세계에 들어가면서 가면라이더 후마와 싸우게 된다. 후마와 싸우면서 가상세계에 갇힌 자들을 구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며, 게무데우스 마키나와 결판을 낸다.


6. 평가[편집]


[[IMDb|

파일:IMDb 로고.svg
]]

( XXX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기자·평론가
display:inline-block"
8.80 / 10

display:inline-block"
8.43 / 10

]]
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기자·평론가
display:inline-block"
8.80 / 10

display:inline-block"
8.43 / 10

]]






















전반적인 평은 대체적으로 좋다. 내용은 본편 사건 해결 후의 후일담이기에, 본편은 본편의 엔딩대로, 극장판은 극장판대로 본편과 굳이 연관짓지 않아도 충분히 스토리를 즐길 수 있다는 의견이 많다.

다만, 일부 팬들은 평을 낮게 줬는데, 본편은 매 편마다 판도가 뒤집어지는 흥미로운 반전극의 연속이라면, 극장판은 이런 요소 없이 전개가 전형적이고 담백하게 진행하기 때문이라는 것이 그 이유라고 한다. 또한 줄곧 홍보를 통해 에그제이드의 진정한 엔딩이니 뭐니 호들갑을 떤 것에 비해 세계의 위기라는 스케일만 있을 뿐, 메인스트림에서 보면 곁다리식의 내용이 나온지라,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아쉬움을 표하는 평도 많다.[14]

그리고 빌드의 선행 출연에도 불만이 있는 사람들이 있다. 참고 특히 빌드가 나타나 에그제이드의 데이터를 얻기 위해 파라드와 에그제이드를 공격했다는 점에서 빌드를 욕하는 사람들이 생겨났다. 하지만 여기서 반박할 부분이 있다면 빌드가 먼저 공격한 것은 아니고 파라드가 빌드를 수상하게 여겨 파라드가 먼저 공격한 것이라 했는데 그렇게 되면 오히려 파라드쪽도 비판해야 할 점이 있다.[15]

또 헤이세이 제네레이션즈의 떡밥도 뿌려졌는데 빌드 본인은 그런 꿈은 꾼 적이 있어도 막상 본인은 그런 기억이 없다는 것과 에그제이드와 빌드는 평행세계라는 것이다.[16]


7. 흥행[편집]


출처 :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
개봉일
총수입(단위 : 미국 달러)
기준일
전 세계
2017년 8월 5일
$4,973,198
2017년 8월 13일
개별 국가
일본
2017년 8월 5일
$4,973,198
2017년 8월 13일
대한민국
2018년 10월 9일
-
-


7.1.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244명
244명
미집계
2,160,000원
2,160,000원
1주차
2018-10-09. 1일차(화)
10,667명
-명
7위
83,155,150원
-원
2018-10-10. 2일차(수)
549명
17위
4,794,150원
2018-10-11. 3일차(목)
214명
28위
1,542,150원
2018-10-12. 4일차(금)
342명
21위
2,867,000원
2018-10-13. 5일차(토)
2,832명
13위
22,520,600원
2018-10-14. 6일차(일)
3,470명
10위
27,576,300원
2018-10-15. 7일차(월)
215명
26위
1,519,450원
2주차
2018-10-16. 8일차(화)
145명
-명
34위
1,046,500원
-원
2018-10-17. 9일차(수)
312명
24위
2,599,600원
2018-10-18. 10일차(목)
153명
36위
814,000원
2018-10-19. 11일차(금)
13명
66위
103,000원
2018-10-20. 12일차(토)
186명
35위
1,444,500원
2018-10-21. 13일차(일)
228명
28위
1,781,000원
2018-10-22. 14일차(월)
5명
84위
30,000원
3주차
2018-10-23. 15일차(화)
-명
-명
-위
-원
-원
2018-10-24. 16일차(수)
-명
-위
-원
2018-10-25. 17일차(목)
-명
-위
-원
2018-10-26. 18일차(금)
-명
-위
-원
2018-10-27. 19일차(토)
-명
-위
-원
2018-10-28. 20일차(일)
-명
-위
-원
2018-10-29. 21일차(월)
-명
-위
-원
4주차
2018-10-30. 22일차(화)
-명
-명
-위
-원
-원
2018-10-31. 23일차(수)
-명
-위
-원
2018-11-01. 24일차(목)
-명
-위
-원
2018-11-02. 25일차(금)
-명
-위
-원
2018-11-03. 26일차(토)
-명
-위
-원
2018-11-04. 27일차(일)
-명
-위
-원
2018-11-05. 28일차(월)
-명
-위
-원
합계
누적 관객수 19,598명, 누적 매출액 154,121,050원[17]

같은 주에 개봉하는 작품은 뷰티풀 뱀파이어(2018년 10월 8일, 다이노 어드벤처 2: 육해공 공룡 대백과, 리즈와 파랑새, 스타 이즈 본(이상 2018년 10월 9일), 걷기 좋은 날, 뉴욕 라이브러리에서, 미쓰백, 사랑해도 괜찮아, 스텝 바이 스텝, 시간을 거꾸로 사는 오토 블룸의 삶과 죽음, 에브리데이, 여자라는 이름으로, 킨: 더 비기닝, 노크: 초대받지 않은 손님, 데스 위시(이상 2018년 10월 11일)까지 총 16편이다.


7.2. 일본[편집]


박스오피스 모조에 따르면, 개봉 첫 주 3위를 기록했다.

[ 개봉 2주차 순위 ]
파일:werghsfbsfb.png

2주차에는 흥행통신 집계로는 8위, 박스오피스 모조 집계(달러 환산)로는 10위로 떨어져, 다음 주에 차트 아웃되었다.


8. 기타[편집]


  • 극장판 시점은 본편 45화 마지막에 에무가 긴급 전화를 받는 부분부터 이어지고 쿠키 영상은 이후 1년 후 시점이라고 한다.


  • 극장판의 출연진 크랭크인 사진이 트윗에 공개했는데, 웬 대파 사진 한 장만 덜렁 공개했다. 더군다나 호죠 에무의 배우 이이지마 히로키가 파에 분명한 의미가 있다고 밝히면서 하츠네 미쿠 출연설이 대두되었다. 하츠네 미쿠는 홀로그램으로 콘서트까지 연 가상세계의 유명 요소 중 하나인 보컬로이드의 최고 인기 캐릭터로, 극장판의 주요 소재가 가상 세계를 홀로그램으로 체험하는 VR이다. 하지만 미쿠의 저작권을 소유한 세가는 거대 게임 기업이라 쉽지는 않을 것으로 여겨졌다. 일설로는 대파의 의미가 민간요법 중 목에 대파를 두르고 자면 감기가 낫는다는 것[18]처럼 게임병이 완전히 사라지는 결말 아닐까라는 예측도 있었다. 하지만 공개한 스포일러에 의하면 죠니 마키시마와패니즈 기질이 있는데 특히 닌자를 굉장히 좋아해 자신이 들고 다니는 부채에 '시노부(忍)'를 쓰려다 잘못 써서 '대파(葱)'를 쓴 것이라 한다.

  • 배우들과의 미팅 이벤트에서 밝혀진 바론 파라드가 극장판의 핵심 키워드가 될 것이며 쿠키 영상으로 에무와 파라드의 팬들이 좋아할 영상을 준비했다고 한다. 참고로 카이 쇼우마는 스토리 플롯을 읽고 벅찬 감동에 울기까지 했다고 한다.

  • 후속작 가면라이더 빌드가 선행 등장하여, 전투 데이터를 얻기 위해 에무와 파라드를 공격한다고 한다. 공식적인 첫 대전 상대는 파라드.[19]

  • 극장 관람 특전 아이템 중 '에너지 아이템-세이브'가 있어 극장판이 일종의 분기 루트가 아닌가 하는 짐작이 있었으나, 제작진이 극장판은 본편 정사에 포함됨을 밝혀 이 가설은 논파되었다. '세이브'의 정체는 41화에 나오는 크로노스의 리셋 기능에 대처하는 아이템이다.

  • 그라파이트는 3연속으로 극장판에 불참하게 됐다. 41화에서 장렬한 최후를 맞이했고 부활 수단인 버그바이저 또한 누군가가 가져갔기 때문.

  • OST가 미우라 다이치의 미니 싱글 'U'의 발매일에 맞춰 2017년 8월 16일에 발매했다. 미니 싱글과 OST 모두 트루 엔딩 주제가가 실렸다.

  • 한국에 공개한 첫 예고편이 자막으로 나와 자막으로만 상영한다고 팬들은 예상했으나, 현도현을 담당한 정재헌이 녹음 작업을 끝냈다는 트윗을 올렸고, 2018년 9월 3일 대원미디어 공식 SNS에서 트루 엔딩의 더빙 소식을 공개하며 한국어 더빙 예고편도 공개했다. 나구모 카게나리의 한국 음성을 선행 공개했다.

  • 한국 시사회 평에 따르면 후마와 VRX는 더빙이 없고 막판의 빌드 부분은 잘렸으며[20] 막판 무테키가 변신할 때 덜컹까지는 더빙이나 나오는 노래 음성은 더빙이 아닌 원본 그대로 내보냈다고 한다. 그리고 한국어 더빙을 보면 뜬금없이 성도대학부속병원과, 호죠 에무(도명호)의 명함, 마지막 엔딩 크레딧에 'VR을 이용한 원격 수술법에 대해'가 한글로 나온다.

  • 가면라이더 극장판 중 한국에서는 처음으로 극장에 개봉했다.[21] # 원래 개봉일은 2018년 10월 3일이었으나 영상물등급위원회의 심의 지연으로 인해 10월 9일로 연기되었다. 심의는 2018년 10월 2일 밤에 와서야 간신히 전체이용가로 통과했다. 최초 단독 극장판이라 꽤 홍보를 진행했는데, 홍보 문구 중 가면라이더를 레전드히어로로 칭하는 문구가 있어 레전드히어로 삼국전을 본 한국 특덕들의 마음을 무언가 묘하게 만들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8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8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02:05:40에 나무위키 극장판 가면라이더 이그제이드: 트루 엔딩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수권전대 게키렌쟈 극장판을 연출했다.[2] 추가로 가면라이더 빌드의 각본을 쓴 무토 쇼고가 감수로 참여했다.[3] 기존에는 10월 3일이었으나 심의 지연으로 일주일 연기되었다.[4] 이 컨셉은 극장판 가면라이더 류우키 EPISODE FINAL극장판 가면라이더 블레이드 MISSING ACE도 있지만, 이 두 극장판은 패러렐 월드로 끝난 것이 본작과의 결정적인 차이다. TV판과 극장판의 연계는 40화 즈음부터 죠니 마키시마를 중심으로 판을 깔기 시작한 상황.[5] 그러나 본작 종영 이후 발표한 V시네마 에그제이드 트릴로지 어나더 엔딩은 극장판 2년 후가 배경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쪽 역시 본작, 트루 엔딩과 같이 정사라고 못박았다. 그리고 어나더 엔딩이 끝나자 소설판 마이티 노벨 X가 등장해 정사라고 못박으며 진짜 결말이라고 밝혔다.[6] TV판 42화 마지막에 CR로 배속되었다.[7] TV판 42화 마지막에 개명했다.[8] 본명 나구모 마도카(최소율).[9] 외형만 봐서는 카타나에 가깝다.[10] 류 하야부사스네이크 아이즈같은 와패니즈 NINJA를 이용한 스타일리쉬 액션인지, 아니면 통상적인 닌자의 이미지를 활용한 잠입 액션인지 확실하지 않다. 다만 죠니 마키시마가 와패니즈 NINJA를 신봉한다는 정보가 나와 스타일리쉬 액션으로 기술한다.[11] 선행 등장.[12] 후마가 변신하면 이들도 같이 나온다.[13] 게무데우스의 버그스터 바이러스가 그라파이트, 신 단 쿠로토, 키리야에게까지 영향을 준 것을 보았을 때 41화에서 죠니 마키시마가 그라파이트의 버그바이저 내 게무데우스의 바이러스를 응용하여 만든 바이러스일 가능성이 높다.[14] 그라파이트의 버그바이저를 가져간 죠니 마키시마의 행보 등 몇몇 복선을 회수하는 본편 이후 시점의 작품이긴 하지만, 단 쿠로토-가면라이더 크로니클-단 마사무네로 이어지는 본편의 큰 줄기와는 거리가 있는 편이다. 당장 V시네마 트릴로지에서 단 쿠로토가 상당한 비중을 가진다는 것을 생각하면 트루 엔딩은 곁다리나 다름없는 셈.[15] 근데 파라드는 충분히 그럴만한 게 갑자기 나타나선 아무런 설명이나 소개없이 너의 성분을 받으러 왔다는 소리를 하니 확실히 수상했다. 빌드는 최소한 자신이 왜 성분을 받으려는지, 성분을 받은 후에 어떻게 되는지, 성분이 정확히 무엇인지 등을 설명했어야만 했다. 이런저런 것들을 다 설명했음에도 파라드가 공격했다면 그건 파라드 잘못이지만 이 경우에는 설명을 전혀 안한 빌드의 잘못이 크다. 다만 파라드도 이야기할 틈을 주지 않고 무작정 돌격했기에 잘못이 없지는 않다. 이후 극장판 헤이세이 제너레이션즈 파이널에서는 성분을 가져가 에그제이드로 변신할 수 없게 되었지만 결정적으로 빌드가 에그제이드를 도운 것이나 다름 없는게 드러났다. 성분을 채취해 에니그마에게 힘을 빼앗기는 것을 막을 수 있었던 덕분에 연장선이라는 측면에서는 딱히 나쁘진 않은 셈.[16] 본편에서 출연한 적이 있는 빌드가 1년이나 지난 뒤에 다시 나타난 게 평행세계를 건너오는 과정에서 다른 시간축에 온 것으로 보인다.[17] ~ 2018/10/28 기준[18] 개그물에 나오는 엉덩이에 대파를 찔러넣는 건 이것이 와전된 것. 여담으로 가면라이더 시리즈 소설판에는 이 일을 직접 당한 사람이 있다.[19] 빌드는 에그제이드의 성분을 체취하기 위해 에무에게 접근했지만 파라드가 수상하다며 먼저 공격해 반격을 한 것이다.[20] 그런데 극장판의 여운 때문에 오히려 자른게 더 낫다는 평이 많으나, 이후 빌드 방영을 감안하면 호불호가 어느 정도 갈린다.[21] 정확히는 2014년에 개봉한 가면라이더X슈퍼전대 슈퍼 히어로 대전이 최초지만, 전대와의 콜라보가 아닌 단독 가면라이더 극장판으로서는 본작이 최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