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고한어

덤프버전 :

중국티베트어족

[ 펼치기 · 접기 ]
한어파
중국제어
관화 (표준중국어) · 오어 · 상어 · 감어 · 객가어 · 민어 (대만어) · 광동어 · 둥간어
티베트버마어파
보도나가어군
보드어 · 나가어 · 타니어 · 발티어 · 라다크어
히말라야어군
티베트어 · 종카어 · 셰르파어 · 렙차어 · 키란티어 · 림부어 · 네와르어
창어군
얼수어 · 리주어 · 창어 · 서하어
롤로버마어군
미얀마어 · 이어 · 나시어 · 하니어 · 라후어
카친어군
카친어 · 농어 · 삭어
카렌어군
파오어 · 풔어
기타
바이어 · 마니푸르어 · 투자어
* 취소선 표시가 된 것은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중국어의 역사와 변천

[ 펼치기 · 접기 ]
상고한어
(上古漢語)
(기원전 13세기~기원후 3세기)
중고한어
(中古漢語)
(3세기~13세기)
관화 - 진어
관화
(官話)

북경관화(표준중국어) · 동북관화 · 중원관화 · 난은관화 · 기로관화 · 강회관화(남경어) · 교료관화 · 서남관화(민강화)
진어
(晉語)

오어 - 휘어
오어
(吳語)

북부오어(상해어 · 조주어) · 남부오어 · 서부오어
휘어
(徽語)

상어
(湘語)

호남어(湖南語) · 길숙방언 · 장사방언 · 누소방언
감어 - 객어
감어
(竷語)
창정방언 · 의유방언 · 길차방언 · 무광방언 · 회악방언
객가어
(客家語)

오화어 · 매현방언 · 대만 객가어
월어 - 평어
월어
(粤語)

광동어(廣東語) · 싱가포르 광동어 · 태산어(台山語)
평어
(平語)

민어
(閩語)

민남어
(閩南語)
복건어
(福建語)
대만어(臺灣語) · 하문어(廈門語) · 천주어 · 싱가포르 민남어
조주어
(潮州語)

민북어
(閩北語)
건구어 · 건양어
민동어
(閩東語)
복주어 · 복청어 · 복안어 · 만어 · 마조어
민중어
(閩中語)
삼명방언 · 영안방언 · 사현방언
보선어
(莆仙語)

소장어
(邵將語)

경뢰어
(瓊雷語)
해남경어
(海南瓊語)

뇌주어
(雷洲語)

한문(漢文)




1. 개요
2. 만기중고한어와 근고한어 사이의 변화
3. 근고한어와 현대한어 사이의 변화
4. 성모
5. 운모
6. 성조



1. 개요[편집]


근고한어()는 대략적으로 몽골제국남송을 점령한 시기부터 청나라 중후기까지 사용된 한어(; 중국어)를 말한다.


2. 만기중고한어와 근고한어 사이의 변화[편집]


오어(吳語)노상어(老䢛語)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전탁음(유성음)이 소실되었다. 이 시기에 남아 있는 전탁음인 \[v\], \ʐ\]은 청나라 말기에 서남관화 등을 제외하고는 소멸된다.

반치성모가 유성권설마찰음에서 권설접근음으로 변화되었다. 단, 이 현상은 현재의 화북지방과 화동지방에서만 진행되었다.

입성이 소멸하면서 입성이 다른 성조로 변화되었다.


3. 근고한어와 현대한어 사이의 변화[편집]


근고서남관화에서 일어난, '-m' 운미와 '-n' 운미의 통합[1]이 다른 지역어에서도 일어났다.

구개음화 현상으로 'gi'와 'zii'가 'ji'로, 'ki'와 'cii'가 'qi'로, 'hi'와 'sii'가 'xi'로 각각 통합되었다.

'-io' 운모가 '-üe' 운모로 변화되었다. 예를 들어 청나라의 황성인 아이신로가 아이신뤄로 발음이 바뀌었다.

'-iai' 운모가 보통화 제정 이후 대륙에서 소멸되어 '-ie'로 합류하였다. 단 중화민국 국어에는 현존한다.

4. 성모[편집]



양순음
치경음
무성음
유성음
무성음
유성음
공명음

m

n
파열음
무기음
p

t

유기음






5. 운모[편집]




6. 성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01:33:45에 나무위키 근고한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중국 사천방언권 학습자의 한국어 종성 발음 교육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