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관총 금반지

덤프버전 :




파일:금관총 금반지1.jpg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 : 금 반지

파일:금관총 금반지3.jpg 파일:금관총 금반지4.jpg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콘텐츠닷컴 : 금관총 금반지, #

1. 개요
2. 내용



1. 개요[편집]


1921년 경상북도 경주시 노서동의 이사지왕의 무덤인 금관총에서 출토된 고신라시대 순황금 반지 10여점. 현재 국립경주박물관국립중앙박물관에 분산 소장되어 있다.


2. 내용[편집]


파일:금관총 금반지2.jpg

일제강점기인 1921년 금관총에서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 등의 여러 황금 유물들과 함께 발견된 한국의 금반지 10여점으로, 유물의 제작 연대는 확실치 않지만 대략 5세기경(서기 400년대)으로 추정되고 있다.

당시 금관총에서는 순금제귀걸이, 금제와 은제 팔찌, 반지 등과 각종 구슬, 금제와 은제의 허리띠, 금동제신발 등의 각종 장신구를 비롯하여, 도검, 갑옷(甲胄), 창신(槍身), 쇠화살촉(鐵鏃), 쇠도끼(鐵斧) 등의 무기류와 말안장금구, 말방울, 말띠장식, 교구, 혁대금구 등의 말갖춤류(馬具類), 신라토기, 목칠기, 유리용기, 쇠솥(鐵釜), 금속제용기, 조개제품 등 많은 유물들이 부장되어 있었는데, 곡옥(曲玉)을 포함한 각종 구슬류만도 무려 3만 점이 넘었으며, 다른 유물까지 합쳐 약 4만점이 넘는 신라시대 화려한 문화재들이 쏟아져 나왔다.한국 미의 재발견 - 고분미술 : 금관총

금관총 금반지가 다른 신라시대 금반지와 가장 크게 구별되는 특징은 바로 그물무늬이다. 반지와 반지의 윗면을 마름모꼴로 조금 넓게 만든 후 표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새김눈테를 새겨 장식성을 더했다. 이는 함께 발견된 금관총 금팔찌에서도 발견되는 금관총만의 고유 특징이다.

신라는 삼국 중 유일하게 반지 문화가 성행하였던 국가로, 고구려의 경우 안학궁지 제2호분에서 청동제 반지가 출토된 적이 있으나 유물이 많지 않고 형태도 조잡하며, 백제 역시 각종 호화스러운 유물이 출토된 무령왕릉에서조차 반지는 전혀 출토되지 않은 것으로 미루어 보아 거의 쓰이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반지 두 국가 모두 반지 유물, 특히 금반지가 발견된 경우는 고구려는 총 2점, 백제는 공주읍 우금리 고분에서 단 1점이 나왔을 뿐이다.

반면에 신라는 고분을 하나 조사할 때마다 금반지들이 쏟아지는데, 특히 이 금관총 금반지들은 새김눈이 표현된 고리를 표현하여 황금 위세품으로서의 가치가 더욱 높다.

지금으로부터 1,600여년 전 한국에서 만들어진 금반지들로, 오직 신라 고분에서만 발견되는 정교한 황금반지 세공 기술을 보여주는 유물이다. 신라시대 금세공기술 및 금속공예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여겨진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04:29:34에 나무위키 금관총 금반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