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유방

덤프버전 :

파일:급유방.png

1. 개요
2. 내용
3. 목록
4.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及幼方. 조선 영조 25년인 1749년에 조정준(趙廷俊)이 편찬한 우리나라 전통 소아과 전문 의학서. 총 13권 6책이며,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 국립중앙도서관 , 종로도서관등에 소장되어 있다.


2. 내용[편집]


1749년(영조 25년)에 조정준(趙廷俊)이 편찬한 소아 전문 의서로, 의사로서 활동한 50여 년 간의 치료 경험에 기초하여 어린 아이의 여러 가지 질병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로 나온 책이다.

가장 큰 특징으로는 기존의 의학서가 중국 의학에 영향을 많이 받았던 것과 달리 이 책은 중국 의술의 모방을 탈피하여 한국만의 독자적이고 새로운 내용을 체계적으로 기술하고자 하였다. 권1 총론에서 "한국은 중국과 지리가 달라 중국의 의방(醫方)을 그대로 적용하면 해(害)가 있을 뿐이다. 한국에도 남쪽 지방의 병과 북쪽 지방의 병은 서로 차이가 있으니 마땅히 이에 맞춰서 처방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급유방에는 1700년대 당시 한국의 어린 아이가 병에 걸렸을 때 사용하는 840여 개에 이르는 처방들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으며, 저자 자신이 오랜 기간의 치료 사업을 통하여 경험한 독자적 치료법 및 처방들과 함께 우리나라 사람들의 체질에 맞게 치료 사업을 해야 한다는 저자의 선진적인 견해도 수록되어 있다.


3. 목록[편집]



  • 서문
  • 자서
  • 범례
  • 제1권
    • 동방육기론(東方六氣論)
    • 소아론(小兒論)
    • 해독법(解毒法)
    • 연생제일방(延生第一方)
    • 목욕시키는 방법(洗浴法)
    • 젖을 먹이는 방법(乳哺法)
    • 보호법(保護法)
    • 아이를 기르는 열 가지 방법(養子十法)
    • 조호법(調護歌)
    • 상아수요가(相兒壽夭歌)
    • 관형찰색(觀形察色)
    • 소리를 듣는 법(聽音聲法)
    • 액맥(額脈)
    • 호구삼관맥(虎口三關脈)
    • 아이의 맥을 보는 법(小兒脈法)
    • 오장주병(五臟主病)
    • 자모의 보사법(子母補瀉)
    • 오장상승(五臟相乘)
    • 아이의 병기(小兒病機)
  • 제2권
    • 갓난아이의 잡병(初生雜症)
    • 촬구(撮口)
    • 금구(噤口)
    • 제풍(臍風)
    • 태경간풍(胎驚癎風)
    • 태경야제(胎驚夜啼)
  • 제3권
    • 변증(變蒸)
    • 단독(丹毒)
    • 태창(胎瘡)
    • 농이(膿耳)
    • 두진에 대한 설명(痘科說)
  • 제4권
    • 제경(諸驚)
    • 급경(急驚)
    • 만경풍(慢驚風)
    • 만비풍(慢脾風)
    • 간질(癎疾)
    • 강치와 유치(剛柔치)
    • 천조풍(天弔風)
    • 객오증(客忤症)
    • 내조(內釣)
    • 구흉(龜胸)
    • 구배(龜背)
    • 해로(解顱)
    • 오연과 오경(五軟五硬)
    • 학슬풍(鶴膝風)
  • 제5권
    • 마진(麻疹)
    • 반진(癍疹 ; 은진증 첨부)
  • 제6권
    • 제열(諸熱)
    • 눈병(眼疾)
    • 제혈(諸血)
    • 구설창(口舌瘡)
    • 번조하여 자지 못하는 증후(煩燥不寐)
    • 가슴이 답답하고 목이 말라 물을 당기는 증후(煩渴飮水)
    • 체이(滯頤)
  • 제7권
    • 감질(疳疾)
    • 기병(鬾病)
    • 모든 적병(諸積)
    • 벽적(癖積)
  • 제8권
    • 복통(腹痛)
    • 반장통(盤腸痛)
    • 곽란(癨亂)
    • 회충통(蛔蟲痛)
    • 구토(嘔吐)
    • 설사(泄瀉)
    • 토사(吐瀉)
    • 이질(痢疾)
    • 배가 창만한 것(腹脹)
  • 제9권
    • 부종(浮腫)
    • 황달(黃疸)
    • 학질(瘧疾)
  • 제10권
    • 외감(外感)
    • 서증(署蒸)
  • 제11권
    • 해수(咳嗽)
    • 천식(喘息)
    • 마비풍(馬脾風)
  • 제12권
    • 대변 불통(大便不通)
    • 소변 불통(小便不通)
    • 대소변 불통(大小便不通)
    • 산증(疝症)
    • 음낭이 부으며 아픈 병(陰囊腫病)
    • 모든 임질 병(諸淋)
    • 소변 백탁(尿白濁)
    • 유뇨증(遺尿)
    • 땀(汗)
    • 인후가 아픈 병(咽喉病)
    • 모든 헌데 병(諸瘡)
    • 양매창(楊梅瘡)
    • 잡병에 대한 경험(雜病經驗)
  • 제13권
    • 본초에 대한 발명(本草發明)
    • 식이요법(食治發明)


4. 외부 링크[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06:50:21에 나무위키 급유방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