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무치

최근 편집일시 :



파일:기무치.jpg
기무치(일식 김치)

1. 개요
2. 특징
3. 역사
4. 오해
4.1. 기무치 루머와 왜곡
5. 기타



1. 개요[편집]


기무치(キムチ, 키무치)는 일본어김치를 가리키는 말로, 일본인 입맛에 맞게 현지화 된 김치를 말할 때 쓰기도 한다. 개음절 위주의 음운 체계를 갖는 일본어 특성 상 한국어 어휘의 'ㅁ' 받침에 해당되는 글자가 없어서[1] '무(ム)'로 표기하기 때문에 외래어인 '김치'는 '기무치'로 표기할 수 밖에 없다. 이와 관련한 오해는 밑 '오해' 단락 참고.


2. 특징[편집]


상기하였듯 기무치라는 말 자체는 일본어로 김치를 표기한 것에 불과하다. 그러나 일본에서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김치는 일본인의 입맛에 맞도록 다소 현지화 되었기 때문에 한국인 입장에서는 맛이 좀 다르게 느껴질 수도 있다. 그다지 자극적이지 않은 일본인 입맛에 맞추어 매운맛이나 발효식품으로서의 풍미가 약해졌으며 외양에서도 김치 색깔이 많이 연해진 것을 느낄 수 있다. 일본에서는 대체로 일본식 전통 채소절임인 아사즈케와 비슷한 방식으로 만든다. 그래서 배추를 식초로 절이고 색깔만 날 정도의 고춧가루를 살짝 뿌린 뒤 설탕을 넣어 단맛이 난다.

그래서 요리법과 맛이 일반적인 한국 김치보다는 별로 안 매운 절인 배추나 설탕을 좀 많이 넣은 겉절이와 오히려 흡사하다. 거기에 익은 김치처럼 신맛을 내기 위해 식초가 조금 들어간 정도. 고려인이 만든 러시아식 김치인 한국 당근(고려 당근)과 요리법이 매우 유사하다.[2] 한국에서 만드는 방식이 젖산 발효로 인해 신 맛이 강해진다면 일본에서 만드는 방식은 아사즈케를 만들 때 고추 등을 첨가해 매운 풍미를 살리는 정도이다.

이런 경우가 많지는 않지만, 굳이 원조 한국 김치와 구분해 부를 때는 아사즈케기무치(浅漬けキムチ), 와후(일본풍)기무치(和風キムチ) 등으로 부른다. 일본어에 대해 잘 모르는 한국인일 경우 "왜 '김치'라고 하지 않느냐"고 하기도 하는데 개음절 위주의 일본어 음운 구조 특성 상 한국어의 종성 받침에 해당하는 발음을 하기가 어려워 "김치"라는 발음을 그대로 말하거나 표기하기가 힘들다.

한국에서 김치 담그는 방식 그대로 김치를 담가도 배추가 일본 배추라면 한국 김치의 맛이 제대로 나지 않는다. 한국과 일본의 배추 종자가 다르기 때문이다. 일본 배추는 한국 배추보다 물이 많고 질긴 식감이다. 한국처럼 오랫동안 절여 발효하면 배추에서 물이 쫙 빠져 질깃한 식감의 풀덩어리만 남는다. 거기다 지리적인 환경 차이로 일본의 기후나 공기 중의 균이 한국과 다르기 때문에 제대로 발효가 된다는 보장도 없다. 김치가 제대로 발효되려면 영하 1도 내외로 한랭건조한 환경이 되어야 하는데 일본은 홋카이도를 제외하면 한겨울에도 평균 기온이 영상 3도 이상 되는 지역들이 많고, 겨울이 건조한 한반도와 달리 바다로 둘러친 섬나라라서 겨울에도 공기가 습한 편이다. 그래서 한국 유학생이 일본에서 김치를 담갔는데 곰팡이가 슬고 썩어버렸다더라 하는 일화도 자주 들을 수 있다.

또한 유산균이나 젖산 농도가 한국에서 만드는 것이 일본에서 만드는 것보다 훨씬 더 높다. 일본에서 만드는건 식초로 절이고 나서 양념을 하는 것이지 발효를 딱히 하지 않기 때문에 애초에 제대로 된 발효 식품 조차도 아니기 때문. 본격 균에 대해서 다루는 만화인 모야시몬에서는 진짜 발효 식품인 한국 원조 김치와 일본식으로 변형된 김치의 차이에 대해 열변을 써 놓았다. 만화 주제상 당연히 진짜 발효 식품인 한국 김치를 더 띄워준다.

이 때문에 발효된 김치에서 나는 감칠맛과 깊은 맛은 상당히 떨어진다. 그래도 비리지는 않기 때문에 한 때 김치에 익숙하지 않은 일부 외국들인에게는 김치 입문용으로 볶음김치, 겉절이, 한국 당근과 함께 추천하던 시절도 있었다. 그러나 2010년대 후반부터는 한국 김치 자체가 세계적으로 유명해지고 일본 외의 각국에서도 현지화 되었기 때문에 이것도 옛말이다.


3. 역사[편집]


일본에서 김치를 반찬의 일부로 먹게 된 것은 1960년대 이전으로, 일명 고도성장기(高度成長期)라고 부르는 전후 재건 시기에 비로소 고기 위주의 외식이 활성화 되면서 시작되었다. 이 때 일본에서 구워먹는 고기 요리를 주로 팔던 야키니쿠 집들 대부분이 재일 한국인이 운영하는 곳이었다. 그곳에서 재일 한국인들을 상대로 김치를 부식으로 팔곤 했는데 여기서 식사한 일본인들이 '고기랑 김치를 같이 먹어보니 맛있더라'는 식으로 입소문이 나기 시작했다.

기존에 일본에서는 한국 사람들(재일교포)을 보고 김치 냄새가 난다, 마늘 냄새가 난다는 식으로 비하하거나 차별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한국인들은 당연히 일본인들이 김치를 싫어하고 먹지 않나보다 하고 여겼다. 그러다 1970년대 쯤 부터는 일본의 요식업이 발달하면서 일본인들도 김치를 먹는 경우가 늘기 시작했다. 이 때 김치 말고도 마늘이 들어간 요리가 폭발적으로 유행하면서 마늘을 즐기지 않는 사람들이 마늘 먹은 사람보고 냄새난다고 시비를 거는 사건이 자주 발생해 일본의 사회문제가 되기도 했다.

그리고 1980년대에 매운 음식 붐이 일어나면서 인기가 크게 상승했고, 매운 음식 붐이 사라진 뒤에도 그 인기는 식지 않고 지속되었다. 1983년에는 시골의 슈퍼마켓에서도 살 수 있을 만큼 보급되었다. 유튜브에 업로드 되어있는 80년대 일본 TV광고 모음을 보면 김치나 김치맛 양념 광고가 꽤 나온다.[3]

이 때까지만 해도 코리아 타운에서 만든 김치를 포함하여 일본 내 제조 김치를 유통하였으나 1990년대가 되면서 그 소비량이 증가하자 한국산 김치를 수입하게 되었다. 2004년 통계에서는 김치가 아사즈케(浅漬け)류(야채절임류) 항목에서 판매순위 2위로 기록될 정도였으며 일반적인 일본 가정의 냉장고에서 김치를 찾는 것을 어렵지 않고 기무치챠-한(김치볶음밥), 부타기무치(돼지고기김치볶음) 등 상당히 대중적인 요리법도 많이 알려져 있다. 이후 2017년에는 일본인이 선호하는 가공식품에서 김치나베가 1위를 하기도 하였다. 이를 두고 혐한들이 일본이 한국의 더러운 요리를 먹고 있다며 열폭하는 글을 남기기도 했는데 대다수의 일본인들이 "김치 맛있는데 뭔 개소리냐"라는 싸늘한 반응만 보였다. 심지어는 "한국은 싫어하지만 김치는 맛있다."라는 반응도 있었다.

일본에서 생산하는 야채절임류들 중에서 가장 많이 생산하는 절임류는 아사즈케단무지 등이 아니라 김치이고 1999년부터 2016년까지 18년 연속으로 1위를 계속하고 있다. 다만 생산량은 2014년에 약 38만 6천 톤으로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이후 감소하여 2016년에는 전년 대비 6.8% 감소한 17만 9천톤을 기록하여 18년 전 수준으로 떨어졌다고 한다. 출처


4. 오해[편집]


일부 한국인이 과도히 경계하는 것과는 달리 실제 일본인들은 기무치를 일본 음식으로 여기지 않으며, 과거에도 그러한 인식이 형성된 적이 없다. 일본에서도 기무치(キムチ)는 한국, 한식에 관한 대표적인 상징 가운데 하나이다. 한국의 정통 김치와 일본 김치가 다른 것도 단순히 한국의 식문화인 김치가 일본에 소개되어 일본인의 입맛에 맞게 현지화된 것으로 여긴다. 넷 우익이 자신들의 입맛에 맞게 편집하는 경우가 잦은 일본어 위키백과에서조차도 한국의 식문화로 분류하고 있다.

애초에 일본인이 기무치를 자국 음식이라 여기기에는 일본어 어감상 "기무치"라는 이름부터가 너무 이국적이고, 심지어는 한국적이다. 기무치를 자국 음식이라 주장하기 위해서는 우선 독도를 다케시마라 부르거나 중국의 파오차이처럼 일본식 이름부터 만들어야 할 일이다. 이러한 오해가 발생하는 것은, 일본인이 느끼기에 "기무치"란 한국식 이름임에도 한국인이 보기에는 이것이 이질적으로 여겨져 일본식 이름이라 지레 단정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언어가 다르면 음운도 달라 현지 사람이 듣기엔 전혀 다른 소리로 들리는 이름을 갖다 붙이는건 굉장히 흔한 현상이다. 예로 한국식 발음으로 밀크초콜릿이라 하면 외국에선 못알아듣는다. 다음은 한-일 양국간 그러한 현상이 일어난 사례이다.
  • 한국은 일본의 타이야끼(鯛焼き)를 들여와 현지화한 뒤 붕어빵으로 칭하고 있으며, 대외적으로 'Korean fish-shaped cake'라고 소개하는 경우도 있다.
  • 한국은 일본의 카마보코(蒲鉾)를 들여와 현지화한 뒤 묵 종류의 대분류이자 일반명사인 어묵으로 통칭하고 있다.
  • 한국은 일본의 타쿠안즈케(沢庵漬け)를 들여와 변형, 현지화한 뒤 단무지로 부르고 있다.
  • 한국은 일본의 스시(寿司)를 들여와 초밥으로 부르고 있다.
  • 일본은 한국의 명란젓을 들여와 현지화한 뒤 멘타이코(明太子)로 칭하고 있으며, 대외적으로 'Mentaiko'라고 소개하는 경우도 있다.
  • 일본은 한국의 냉면을 들여와 현지화한 뒤 일본어 독음인 레-멘(冷麺)로 읽고 있으나, 대외적으로 'Rei-men'이라고 소개하는 경우도 있다.
  • 일본은 한국의 곱창구이 등 소 돼지의 내장을 구워먹는 문화를 현지화하여 호르몬 야끼라 부른다.
  • 일본은 한국의 불고기를 현지화하여 야키니쿠라 부른다
  • 일본은 한국의 육회를 들여와 윳케(ユッケ)라고 부른다. 이것이 역수출되어 '윳케동'이 국내의 일식덮밥집 메뉴판에 올라 있는 경우도 있다.

4.1. 기무치 루머와 왜곡[편집]


기무치 루머는 일본이 일본식 아사즈케 김치를 'kimchi'가 아닌 'kimuchi'라는 이름으로 한국보다 먼저 CODEX(국제식품규격위원회)에 등재해 김치를 자기네 것으로 홍보하려 했다는 루머를 말한다.

이는 1986년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제5차 CODEX회의에서 일본이 김치의 국제식품규격 로비를 펼치고 있었다는 김일환 박사의 주장이 실린 1994년의 기사를 시작으로 만들어진 루머이며, CODEX 등재를 시도한다고까지 왜곡되어# 한국 사회 전반에 확산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국민들의 항의가 계속되자 정부는 1994년부터 1995년 12월까지 김치 CODEX 규격 초안을 작성하고 당월 CODEX 사무국에 제출했으며, 1996년 6월에 개최된 제10차 회의에서 김치의 CODEX규격화 제안이 승인되었다. 이해관계에 따라 대한민국 농림수산부의 제안에 일본이 응하면서 합의안을 작성하게 되었는데, 이후 수차례 CODEX회의를 거치며 규격안에 조정이 이루어졌다. 최종적으로는 2001년 6월에 개최된 제24차 CODEX 총회에서 김치규격안이 확정되면서, 비로소 논란도 마무리되었다.

처음 루머를 제기한 김일환 박사가 든 근거는 오로지 자신의 증언 하나 뿐이다. 이후 김치규격안 확정 과정에 일본이 협조적으로 응한 것을 보면 알겠지만, 일본은 CODEX에 로비를 하거나 'kimuchi' 등재를 시도한 사실이 없다. 일본이 규격안에 아사즈케 김치를 포함시키자고 한 것은 한국의 제안으로 한일합의안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제안된 것이고, 일전에 일본 정부가 독자적으로 공작을 펼친 사실은 전혀 보고되지 않았다. 아사즈케 김치 포함안도 최초에는 한국 정부에서도 이 제안을 긍정적으로 보았기에 포함되었으나, 사정이 변하면서 빠지게 되었다.

한국 사회 일부에서는 아직 일본의 기무치 공작 루머에 대한 오해가 남아있으며, 중국의 김치 왜곡 때문에 같이 언급되기도 한다.


5. 기타[편집]


  • 일본은 한국 다음으로 김치를 기반으로 한 식품이 굉장히 많다. 라면, 과자, 패스트 푸드 등에서 한정 상품으로 김치맛이 꾸준히 나온다. 온갖 곳에서 볼 수 있는 와사비맛과 비슷한 정도.

  • 일본에서 상품 표지에 韓이란 한자가 적혀 있거나 '원조', '한국풍' 같은 문구가 있으니까 한국 본토 김치 맛이겠거니 하고 샀다간 낭패를 볼 확률이 높다. 한국 직송이나 공수, 직수입 같은 문구가 아니라면 대부분 일본 현지화식으로 변형된 맛이다. 그리고 '본고장의 맛(本場の味)'이라고 하더라도 주의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인 한국식 김치에 비해 심하게 당도가 높은 제품들이 많기 때문이다. 심지어 국내 유명 업체들이 직접 수출하고 있음에도 일본인들의 입맛을 감안해서 한국식 조리법을 철저하게 적용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 만약 일본에서 김치가 먹고 싶은데 일본식으로 변형된 김치맛에 아주 관대한 사람이 아니라면 쓰케모노(일본 절임류)를 추천한다. 쓰케모노 중에 '다카나즈케'란 것이 있는데 이것은 여수 갓김치로 유명한 그 갓으로 만들며 일본 쓰케모노 중에선 드물게 제대로 젖산발효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4] 쓰케모노류 중에서는 한국 김치와 가장 흡사한 맛이 난다. 일본인들이 한국 발효 김치를 먹어도 큰 거부감이 없는 건 다카나즈케와 비슷한 맛이 나서 친숙하게 느끼기 때문이다.

  • 어찌 보면 당연한 말이겠지만, 개인 취향에 따라 매운맛과 발효의 풍미가 강렬한 한국 본토 김치에 비해 이러한 요소가 비교적 적은 일본식 김치를 선호하는 사람들도 있으며[5] 물론 반대로 일본식 보다 한국식을 좋아하는 사람도 있다.

  • 일본 만화 모야시몬에서는 이츠키 교수가 김치를 언급하면서 일본식이 맛과 풍미 모든 부분에서 원조 한국식을 따라가지 못 한다고 말했다. 애초에 모야시몬은 균을 주제로 하는 만화이기 때문에 발효를 하지 않아 균이 개입할 여지가 없는 일본식 김치를 칭찬할 리는 없다.

  • 일본에서 가사 마지막에 기무치를 사용하는 노래가 유행했다. 기무치와 기모찌의 발음이 비슷한 점을 이용한 것.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11:27:41에 나무위키 기무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아예 불가능한 발음은 아니다. ん의 뒤에 ま, ぱ, ば행 글자가 오면 ん이 '음'으로 발음된다. キンチ라고 쓰면 김치 발음이 되지 않고 깅치 정도로 발음이 된다.[2] 다만 러시아의 이 '한국 당근'은 주재료가 당근이고, 유럽식 조리법의 영향을 받아 식용유가 살짝 들어간다.[3] 그러니까 80년대를 배경으로 삼는 일본 서브컬쳐에서 김치가 등장해도 설정 오류나 지금의 한류붐을 의식한 것이 아니고 당시 시대상을 반영한 것이다.[4] 은 배추와 다르게 자체 멸균효과가 있어서 일본의 환경에서도 제대로 젖산 발효가 가능하다고 한다.[5] 스트리머 우왁굳이 김치보다 기무치가 더 맛있다고 방송에서 언급한 적이 있다. 시청자들은 일본에선 한국밥이 먹고 싶다더니 돌아오니깐 일본밥 찾는 청개구리라며 놀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