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브리사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문서는 기아자동차의 첫 소형차를 소개합니다. 브라운 더스트의 브리사에 대한 내용은 브리사(브라운 더스트) 문서
브리사(브라운 더스트) 번 문단을
브리사(브라운 더스트) # 부분을
, 현대 엑센트 1세대와 현대 클릭의 배지 엔지니어링 버전 차량에 대한 내용은 닷지 브리사 문서
닷지 브리사번 문단을
#s-번 문단을
닷지 브리사#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기아 로고.svg파일:기아 로고 화이트.svg 기아소형차 라인업
시작

브리사

프라이드(1세대)[1]

파일:기아 로고(1964-1986).svg

파일:KiaBrisa1974.jpg

S-1000 초기형
파일:brisa_logo.png
KIA Brisa
KIA K303

1. 개요
2. 모델별 설명
2.1. 브리사 픽업 (1973 ~ 1981)
2.2. 브리사 (1974 ~ 1981)
2.2.1. 초기형
2.2.2. 중기형
2.2.3. 후기형
2.3. 브리사 Ⅱ & K303 (1977 ~ 1981)
3. 제원
3.1. 브리사 픽업
3.2. 브리사
3.3. 브리사 Ⅱ / K303
4. 미디어
4.1. 영화/드라마
4.2. 뮤직비디오/음반
4.3. 예능/텔레비전 프로그램
4.4. 소설
4.5. 게임
5. 모형
6. 기타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기아산업(現. 기아)이 1973년부터 1981년까지 생산한 2도어 픽업트럭이자 4도어 소형 세단. 명칭은 스페인어로 '산들바람' 정도를 의미한다.#


2. 모델별 설명[편집]


기아산업(현 기아자동차)이 그 동안 쌓은 기술로 만들어낸 최초의 후륜구동 승용차이자, 소하리 공장의 첫 양산 차종이다. 현대 포니와 함께 한국 자동차사에 있어 기념비적인 모델이다. 1973년 8월 적재량 500kg인 픽업트럭이 먼저 출시되었으며, 이듬해 10월 세단 모델이 출시되었다. 이후 1981년 자동차공업 통합조치로 인해 같은해 12월 31일에 강제로 단종되기 이전까지 다양한 차량이 생산되었다.

기아의 기술력으로 개발한 차처럼 서술되어 있지만 사실은 일본 마쓰다 파밀리아 일본 내수형[2]의 부분 변경 뱃지 엔지니어링, 라이센스 생산 모델이다. 물론 기아가 국내 생산하는 과정에서 일부 부품이 국산화되기는 했다.


2.1. 브리사 픽업 (1973 ~ 1981)[편집]


파일:기아 로고.svg파일:기아 로고 화이트.svg 기아픽업트럭 라인업
시작

브리사 픽업

TK1(2024년 예정)


파일:KiaB1000_1973.jpg


파일:기아 브리사 픽업트럭.jpg

1973년식 브리사 픽업
1974년에 세단[3]을 출시하기 전, 일종의 베타 테스트 격으로 1973년 8월 15일에 마쓰다 패밀리아 픽업 2세대를 기반으로 한 기아마스타 B-1000을 선행 출시하게 된다. 이는 엇비슷한 시기에 출시한 타이탄, 복사와 함께 삼각 편대를 이루던 기아의 트럭 라인업이었다. 브리사 세단이 모노코크 바디인것과 달리 브리사 픽업은 프레임 바디 였으며 덕분에 당초 등장한 1000cc 엔진이 들어간 픽업은 최대 적재량이 모노코크 바디였던 포니 픽업의 최대 적재량 400kg보다 100kg이나 높았던 500kg, 후에 등장한 1300cc 엔진이 들어간 픽업은 최대 적재량이 750kg에 달하였다.

1981년 전두환 신군부의 자동차공업 통합조치로 인하여 브리사 세단과 픽업이 나란히 강제로 단종될 처지에 놓였을때 기아산업 측에서 브리사 픽업은 프레임 바디라서 승용차가 아닌 소형 트럭으로 봐야 한다고 브리사 픽업의 존치를 주장 했으나 신군부에서 묵살하면서 결국 브리사 세단과 같이 강제로 단종되고 말았다.

1978년에 S-1000이 4등식 헤드램프로 F/L 되면서 동시에 픽업도 동일한 디자인이 되었다. 그 기간 동안에 헤드램프와 범퍼 사이에 있는 가느다란 방향지시등이 넓적한 "L" 자 모양으로 바뀐 것을 제외하면 픽업의 페이스리프트는 거의 없다시피 했다. 다만 1978년 경에 아주 잠깐 브리사 세단과 동일한 원형 2등식 헤드램프와 범퍼로 페이스리프트 되기는 했으나 그 기간이 짧아서 생산된 개체 수도 적으며 남아있는 사진도 별로 없다.#

대한민국 내에는 아래 사진 속 하늘색 차량이 한대 남아있다. 금호상사가 소유한 차량.[4]


2.2. 브리사 (1974 ~ 1981)[편집]



2.2.1. 초기형[편집]



파일:rldk_qmfltk_chrlgud.jpg


파일:Heritage_Brisa_S1000_Outside01_03.jpg

전면부 출처
후면부 출처

1974년 12월에 출시되었으며 마쓰다 패밀리아 2세대[5]를 기반으로 하였다. 위 이미지처럼 대형 원형 헤드램프가 좌우에 한 개씩 장착되었고, 라디에이터 그릴은 2분할된 역사다리꼴 형태였다. 테일 램프는 세로로 긴 직사각형을 3개씩 붙여놓은 형태로 돼 있었고[6], 번호판은 범퍼 아랫쪽에 위치해 있었다.

현재 개인 소유로 최소 1대가 남아있다.[7] 브리사


2.2.2. 중기형[편집]



파일:brisas-1000.jpg


파일:Heritage_Brisa_1.3lpi_Outside01_03.jpg

전면부
후면부 출처
1976년에는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는데, 라디에이터 그릴이 일체형으로 변경되고 테일램프는 정사각형 3개씩 조합으로 변경되었다.

삼성화재교통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남색 1대 외에도 금호상사가 소유하고 있는 은색 1대가 더 있다.


2.2.3. 후기형[편집]



파일:kia-motors-brisa-four-door-sedan-1974.jpg


파일:qmfltk_gnrlgud_wjdcmraus.jpg

전면부[8]
후면부 출처
1978년에 2차 페이스리프트를 거쳤고 2등식이었던 헤드램프가 포니처럼 4등식으로 변경되었고, 라디에이터 그릴은 격자형으로 변경되었다. 뒷번호판이 트렁크 패널로 옮겨졌다. 또한 브리사 Ⅱ에 탑재된 엔진도 추가되었으며, 라디에이터 그릴에 각각 1000과 1300 레터링을 부착하여 구분을 지었다.

현재 최소 8대가 잔존 확인되었다.[9]


2.3. 브리사 Ⅱ & K303 (1977 ~ 1981)[편집]



파일:rldk_qmfltk_en_.jpg


파일:rldk_qmfltk_2_dhorjs.jpg

세단 출처
왜건 출처

포니라는 강력한 경쟁자의 등장으로 인해 지위가 위협받자 기아자동차는 마쓰다 파밀리아 시리즈 중 가장 덩치가 컸던 그랜드 파밀리아를 기반으로 한 브리사 Ⅱ1977년 1월 4일에 출시한다. 당시 세단과 왜건을 모두 들여왔다.


파일:Heritage_Brisa_II_Outside_shot_10.jpg

브리사 Ⅱ / K303의 테일 램프 출처[10]

전조등은 브리사 Ⅱ는 사각형에 가까운 형태였고, 1년 후에 페이스리프트되어 출시된 K303은 원형이었다. 테일램프는 브리사 Ⅱ와 K303이 동일한 모양이었다.[11]

특히 브리사 Ⅱ부터는 1.3리터 엔진을 탑재, 당시 소형차로서는 대배기량 엔진을 얹었는데 이는 경쟁자이던 현대 포니 1.4리터 모델을 의식한 행보였다. 이 1.3리터 엔진은 포니를 위협하기 위해 종전의 브리사에도 추가되었다.

1978년 5월 25일에 브리사 Ⅱ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K303[12]을 출시했고 곧 이어 K303 왜건도 출시했다.


파일:Kia-Brisa-main.jpg


파일:rldk_zpdltkarhdtka_dhorjs.jpg

세단
왜건 출처

브리사 Ⅱ / K303 왜건의 원형 모델인 마쓰다 그랜드 파밀리아 왜건은 따로 디자인된 스타일의 금형으로 찍어낸 부드럽고 이국적인 느낌을 가진 차체였기에, 포니 왜건의 직선적이고 경직된 이미지[13]보다 인기있었고[14] 생산성도 좋아서 포니 왜건이나 GMK 카라반보다 많이 생산할 수 있었다.

브리사 II는 보배드림에 한대[15], 금호상사에 한대가 남아있고, K303은 보배드림에 파란색 한대, 금호상사에 두대[16], 그리고 삼성교통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은색 한대가 있다.

2002년 1월 16일 MBC 뉴스데스크에 보도된 바에 의하면, 대구에서 몰던 김한태씨가 1980년식을 22년간 굴린 적이 있었다 # 아직도 현역으로 있다.


3. 제원[편집]



3.1. 브리사 픽업[편집]


BRISA PICKUP
생산지
[[대한민국|

대한민국
display: none; display: 대한민국"
행정구
]]
대한민국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코드네임
B-1000
차량형태
2도어 소형 픽업트럭
승차인원
2명
전장
3,845mm
전폭
1,480mm
전고
1,472mm
축거
2,340mm
윤거(전)
1,245mm
윤거(후)
1,265mm
공차중량
750 ~ 885kg
구동방식
앞엔진-뒷바퀴굴림(FR)
전륜 현가장치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후륜 현가장치
리지드 액슬 서스펜션
전륜 제동장치
디스크 브레이크[17]
후륜 제동장치
드럼 브레이크

파워트레인
엔진
엔진 형식
흡기 방식
배기량
최고 출력
최대 토크
변속기
마쓰다 PC
1.0L 직렬 4기통
자연흡기
985cc
62ps
8.1kgf·m
4단 수동변속기


3.2. 브리사[편집]


BRISA
생산지
[[대한민국|

대한민국
display: none; display: 대한민국"
행정구
]]
대한민국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코드네임
S-1000
차량형태
4도어 소형 세단
승차인원
5명
전장
3,875mm
전폭
1,540mm
전고
1,399mm
축거
2,260mm
윤거(전)
1,245mm
윤거(후)
1,265mm
공차중량
750 ~ 885kg
구동방식
앞엔진-뒷바퀴굴림(FR)
전륜 현가장치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후륜 현가장치
리지드 액슬 서스펜션
전륜 제동장치
디스크 브레이크[18]
후륜 제동장치
드럼 브레이크

파워트레인
엔진
엔진 형식
흡기 방식
배기량
최고 출력
최대 토크
변속기
마쓰다 PC
1.0L 직렬 4기통
자연흡기
985cc
62ps
8.1kgf·m
4단 수동변속기
마쓰다 TC[19]
1.3L 직렬 4기통
자연흡기
1,272cc
87ps
11kgf·m


3.3. 브리사 Ⅱ / K303[편집]


BRISA Ⅱ / K303
생산지
[[대한민국|

대한민국
display: none; display: 대한민국"
행정구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차량형태
4도어 소형 세단
5도어 소형 왜건
승차인원
5명
전장
4,075 → 3,970(K303)mm / 3,995mm(왜건)
전폭
1,595mm
전고
1,380mm / 1,405mm(왜건)
축거
2,310mm
윤거(전)
1,295mm
윤거(후)
1,290mm
공차중량
750 ~ 885kg
구동방식
앞엔진-뒷바퀴굴림(FR)
전륜 현가장치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후륜 현가장치
리지드 액슬 서스펜션
전륜 제동장치
디스크 브레이크
후륜 제동장치
드럼 브레이크

파워트레인
엔진
엔진 형식
흡기 방식
배기량
최고 출력
최대 토크
변속기
마쓰다 TC
1.3L 직렬 4기통
자연흡기
1,272cc
87ps
11kgf·m
4단 수동변속기


4. 미디어[편집]



4.1. 영화/드라마[편집]


  • 순금의 땅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cdn.emetro.co.kr/20140610000124.jpg}}} ||
순금의 땅에 등장한 브리사 픽업트럭
TV 소설 순금의 땅에서 순금이가 모는 픽업 트럭으로 등장했다.[금호상사]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creenshot_2015-11-13-00-05-23.png}}} ||
파일:tvN_응답하라_1988.E02.151107.당신이_나에_대해_착각하는_한_가지.HDTV.H264.720p-WITH.mp4_004799163.jpg}}} ||
응답하라 1988에 등장한 브리사 픽업
2화에서 쌍문동 봉황당 5인방이 어렸을적 추억을 회상하는 장면에서 소독차로 등장한다.[금호상사]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DB1.jpg}}} ||
파일:TDB2.jpg
[1] 본 등급에 들어가는 차량이었다.[2] 일반적으로 수출형 파밀리아가 많이 알려져 있는데 일본 내수형과 디자인이 다르다. 기아 브리사는 일본 내수형 파밀리아를 부분 변형한 것인데, 사실상 같은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일본 자동차 회사들은 대부분 미국 수출 시장과 일본 내수 시장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데, 일본과 미국의 자동차 환경이 많이 다른 만큼 아예 수출형과 내수형을 다르게 설계하는 경우도 많았다. 최근에는 비용 절감 문제 때문에 이런 경향이 사라졌지만, 70,80년대의 상당수의 모델이 일본 내수형과 미국 수출형이 디자인은 물론이고 프레임까지 다른 경우도 심심치 않을 정도로 차이가 많았다. 파밀리아 역시 수출형과 내수형이 차이가 있었다.[3] 당시 가격 249만원. 17년 현재물가로는 2500만원 정도.[4] 칠레 등 남미나 중동에는 아직 세단 뿐만 아니라 픽업도 많이 남아있다.[5] 디자인은 조르제토 주지아로가 하였다.[6] 3개 램프는 정지등, 방향지시등, 정지등이고 후진등은 범퍼 양쪽에 위치해 있었는데, 이런 구조는 후기형까지 이어진다.[7] 서울 2 번호판 붉은색.[8] 사진은 1300cc 엔진을 장착한 모델.(S-1300) [9] 개인 소유는 최소 5대이며, 금호상사에 소품으로 최소 3대 있다.(택시운전사에 사용한 마쓰다 파밀리아 개조는 제외했다.)[10] 트렁크 덮개에 붙어 있는 'R1300' 레터링의 R은 엔진 이름(Rena)에서 유래했다는 이야기도 있다.[11] 한편으로는 브리사 Ⅱ 테일 램프는 K303과 달리 마쓰다 그랜드 파밀리아와 비슷한 원형으로 돼 있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그러나 영화 외계에서 온 우뢰매에 나온 사고차량에 따르면 K303과 동일한 사각형이었다. 극초기에 생산된 브리사 II는 리어램프가 원형으로 된 차량도 있었으나# # 얼마 지나지 않아 K303의 출시를 앞두고 K303과 같은 사각형 리어램프로 변경되다 보니 원형 리어램프의 브리사 II는 상대적으로 희소하였다.[12] 브리사II를 출시하면서 종전 모델인 브리사도 같이 병행 판매하다보니 소비자들이 차종을 혼동하는 문제로 인하여 브리사II를 페이스리프트 하면서 K303으로 개명하였다.[13] 해치도어와 리어 휀더를 수작업으로 제작하였다. 때문에, 어떤 차는 D필러의 접힌 부분이 삐뚤삐뚤, 균일하지 못한 품질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프레스 생산이 아니다 보니 생산성도 떨어져서 시장에 공급도 잘 되지 않았다.#[14] 엄밀히 따지면 세계 시장에서는 당시 기준으로 직선적인 스타일은 최신 유행을 이끄는 스타일로서 매우 참신하고 세련된 스타일이었다. 하지만, 70년대 말의 국내 소비자들에게는 그렇게 받아들여지지 못했던 것이다.[15] 다만 오랜 기간동안 산속에 방치되었던지라 상태가 심각하다. 같이 방치되었던 포니2 승용 행방은 불명이며, 두 차량 모두 충남 지역번호판을 달고 있었다.[16] 보배드림이 소유하고 있는 K303과 같은 색깔인 파란색과 검은 레자가죽 지붕이 씌워진 흰색이다.[17] 출시 당시에는 드럼 브레이크였다. [18] 출시 당시에는 드럼 브레이크였다. [19] 후술한 후기형부터 추가.[금호상사] A B 금호상사가 소유하고 있다.
파일:TDB3.jp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DB5.jpg}}} ||
택시운전사에 등장한 브리사
김만섭(송강호)이 몰고 다니는 택시로 등장한다. 이 차량은 원형 모델인 마쓰다 패밀리아를 개조한 것인데, 카메라 장비를 얹은 상태에서 촬영을 버틸 상태가 좋은 차량이 없어 개조했다고 한다. 변속기나 엔진 등은 대우 프린스, 대우 브로엄에 사용된 것을 떼다가 이식했다고 하며,[20] 휠은 GM대우 마티즈(M300)의 스틸 휠이 사용되었다. 배우인 송강호수동변속기 차량 운전이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에 자동변속기로 개조되었고[21] 수동변속기처럼 보이게 하는 가짜 기어노브를 추가로 달았다. [2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76445925050048652475324932453469498842.jpg}}} ||
파일:5289752376_2022_07_23_05_01_53_882.jpg}}} ||
1987에서 등장한 브리사
거리의 택시로 등장하는데, 재미있는 점은 이 차량이 택시운전사에 쓰인 그 소품 택시라는 것이다.[23] 두 영화가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는 주제가 뭔지 생각해 보면 은근히 의미심장하다. 그리고 브리사가 전두환의 손에 의해 단종되었다는 점도 있다.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i001664985.jpg}}} ||
마약왕에서 등장한 브리사
은색 차량이 등장한다.[24] 해당 차량은 택시운전사에 나온 차량을 재도색해 사용한 것이다. 다만 휠은 브리사의 순정 깡통휠이다. 이 때문에 다른 차량이 아닐지 의심된다.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i001696119.jpg}}} ||
서울대작전에서 등장한 브리사
갈치의 개인 차량으로 적자색의 기아 브리사 튜닝카가 등장한다. 기아 뉴 프라이드에 기반한 소품용 재현차량으로서 와이드킷 드레스업과 BBS 휠이 적용되었다.


4.2. 뮤직비디오/음반[편집]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소격동2.jpg}}} ||
소격동 뮤직비디오에 등장한 브리사 픽업
현대 포니 택시 앞의 소독차로 등장한다.[금호상사]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양화대교-4.jpg}}} ||
파일:캡처양화대교.png}}} ||
양화대교 뮤직비디오에 등장한 브리사 택시
택시로 등장한다.[금호상사]


4.3. 예능/텔레비전 프로그램[편집]


현대 포니와 함께 K303을 섭외해서 촬영한 적이 있다. 브리사는 도로에서 한 번 시동이 꺼져 밀어서 걸기도 했지만, 그 1번을 제외하면 성공적으로 리뷰를 마쳤을 정도로 둘 다 기본 성능은 거의 그대로 유지되어 있었다.

  • 구라차차 타임슬립 새소년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16091601001132600080361.jpg}}} ||
구라차차 타임슬립 새소년에서 등장한 브리사
추석 특집 방송인 '구라차차 타임슬립 새소년'[25]에서 초반부에 모 시골의 폐교된 분교 운동장에 대기한 상태로 등장, 김구라차태현[26]이 브리사를 타고 목적지인 저택까지 타고 간다. 그런데 차가 워낙 오래되어서 그런지 목적지를 코앞에 두고 갑자기 정지, 둘은 하는 수 없이 차에서 내려서 걸어갔다.

{{{#!wiki style="margin: -6px -10px"
}}} ||
신기한 TV 서프라이즈에서 등장한 브리사
2019년 8월 25일자 방송분에 악령 깃든 자동차로 사용되었다. 참고로 적자색이고 내부 인테리어도 적색이었다. 다만 이 차량은 택시운전사에 나온 차가 아니다, 금호에서 빌려온 소품용으로 추측된다.


4.4. 소설[편집]


권순범 기자가 타고 다니는 차가 브리사 K303이다.


4.5. 게임[편집]


  • 퇴근길 랠리
기본차량으로 등장한다.


5. 모형[편집]


문방구 시리즈로 1/24 스케일 기아 브리사를 2023년 6월 출시하였다. #
기본 디자인은 2차 페이스리프트인 후기형이다. 전면은 외눈박이 헤드램프인 초기형[27]으로도 조립할 수 있지만, 후면은 초기형 테일램프 베이스 부품은 있는데 트렁크 패널 부품과 테일램프 렌즈 부품이 없다.[28] 휠도 초기의 크롬 휠커버와 후기의 일반 휠이 모두 있다. 아마도 차후에 택시 모델 출시를 염두에 둔 듯한 부품 배치로 보인다. #


6. 기타[편집]



파일:브리사.png

  • 이상할 정도로 "브리"로 잘못 부르는 사람이 많다. 브리가 맞다.

  • 출시 당시 985cc 저배기량 모델 1종이 나왔는데, 이 엔진은 승용차 모델인 S-1000과 픽업 모델인 B-1000에도 다 들어갔던 엔진이었다. 소하리 공장에서 만든 이 엔진은 2,000cc의 VA 가솔린 엔진과 함께 당시 기아산업이 자랑하던 엔진으로서, 출시 1년 뒤인 1975년도 승용차 시장 판매량 58.4%를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을 정도.


  • 총 생산대수는 픽업이 5만여대, 승용 모델이 7만여대. 당시 엔진 국산화율이 80%였다는 것을 감안하면 국산화 모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자랑한다고 볼 수 있다. 기아에서 국산화시킨 87마력 1.3리터 엔진은 자동차공업합리화조치에 따라 브리사 생산이 중단된 후 새한자동차(현 GM 한국사업장)의 맵시에 잠시 얹히기도 했다. 해당 엔진은 1984년에 보어를 약간 확장하여 배기량을 1,415cc로 늘려서 랜드마스터(후에 록스타로 양산)에 사용하려 했으나 랜드마스터의 양산이 지연되면서 무산되고, 그 대신 이듬해에 출시된 봉고타운에 사용되었다.

  • 세단의 경우 일반적인 모노코크 차체에 12인치 4볼트 휠이 채용되었으나[29] , 픽업의 경우 바디 온 프레임 차체에 13인치 5볼트 휠이 채용되었다. 그래서 정면에서 바라보면 픽업이 세단보다 최저 지상고가 살짝 높아 구별이 가능했다.

  • 단종 조치가 상당히 아쉬운 차종인데, 당시 디젤 엔진을 얹는 것이 계획되었다고 한다. 만일 이게 성공했으면 자사 차원에서 볼 때 콩코드 디젤보다 더 빨리 나온 디젤 승용차가 되었을 것이다. 다만 당시 기아 내지는 마쓰다에 쓸만한 승용 디젤 엔진이 있었다고 볼 수 없다.[30]



  • 현재 기준으로 보면 조금 길지만 전체적으로 경차와 저속전기차 분류에 들어가기 좋은 사양 숫자가 보이는 차체다. 길이만 경차 한계 규격 3.6미터에서 한 뼘쯤 길 뿐, 폭과 높이는 한참 남고 1리터 미만 엔진이니 나중에 나온 1.3모델을 제외하면 모든 규격이 현재의 경차 규격 이내이다. 석유 파동을 전후해 등장한 혼다 시빅 등 소형차와 피아트 500, 미니, 시트로엥 2CV처럼 전후 부흥기 유럽에서 경제적인 국민차를 표방해 나온 미니카가 이런 컨셉이 많다.[31] 그냥 미국차가 큰 거다. 기술이 떨어지던 당시에도 매우 가벼운 차체와 배기량 작은 엔진, 공기 저항이 낮은 좁은 차폭 덕에 연비도 상당히 좋았다. 구식카뷰레터 엔진에 힘 손실이 있는 FR 구동방식, 4단 기어인데도 불구하고 1.3 모델까지 리터당 10km 이상 달릴 수 있었다. 대신 운전하기는 쉽지 않았다.[32]

  • '70년대 설계답게 창틀에 빗물받이(Drip Rail)가 설계돼 있었는데, 초기형과 후기형 형태가 달랐다. 초기형은 빗물받이가 A필러 아랫쪽에서 시작하여 올라간 후, B필러를 지나 C필러 아랫쪽에서 끝나는데, 후기형은 C필러 아랫쪽으로 내려가지 않고 뒷 유리창 부분까지 계속된다.후기형 빗물받이 형태 보기.

그런 이유로 영화 택시 운전사에 나오는 김만섭의 브리사는 촬영시에 2대를 사용했기 때문에, 몇몇 장면에서 이 부분이 다르게 나온다.


파일:기아브리사복원.jpg

기아 헤리티지로 복원된 브리사
2023년 8월 21일에 기아 헤리티지로 복원되어 공개되었다. 기아 연구소에 있던 모델을 복원하였다.

7. 둘러보기[편집]


기아
차량 목록


[ 연대별 구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 차급별 구분 ]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16:53:13에 나무위키 기아 브리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20] 위 링크에서 동영상 리뷰를 찾아보면 프린스 특유의 엔진 소리가 나는 걸 들어볼 수 있다.[21] 송강호는 1967년생이며 아무리 늦게 면허를 취득했더라도 수동변속기가 여전히 보편적이었던 1980년대 후반 내지 1990년대 초중반 차량 운전 경험이 있을 테니까 아예 할 줄 몰랐던 것은 아니었으나, 오랫동안 안 하다보면 그만큼 불편한 데다가 영화 촬영에도 지장을 주다보니 그랬을 것으로 추정된다.[22] 포니1과는 다르게 실제 브리사에는 자동변속기가 나온적이 없다.[23] 다만 택시 등(캡)은 다른 소품을 사용하였다.[24] 73년 이전 번호판을 달고있기에 고증오류.[금호상사] A B [25] 1983년을 컨셉으로 한 방송.[26] 차태현이 어렸을 때 부모님이 브리사를 소유하고 있었고, 본인도 브리사를 타고 다녔던 기억이 있다. 그런데 막상 오랫만에 브리사를 보니 차가 생각보다 작은 듯, 같이 탄 김구라도 거의 몸을 웅크린 수준으로 조수석에 탑승했다.[27] 초기형 2분할형 라디에이터 그릴은 포함되었지만, 중기형의 일체형 그릴 대신 원본 마쓰다 파밀리아의 그릴이 들어갔다.[28] 아이러니하게도, 뒷범퍼는 초기형과 2차 F/L 후기형 것이 모두 있다. 택시 모델 출시를 염두에 두고 런너의 부품 배치 설계에 고심한 듯하다.[29] 볼트 체결 방법이 일반 차량과 반대였기도 했다. 대부분 차량들이 허브 디스크에 달려 있는 볼트에 휠의 구멍을 맞춰 걸친 후 너트를 조이도록 돼 있는데, 브리사의 경우는 볼트가 없이 구멍만 뚫려 있는 허브 디스크에 휠의 구멍을 맞춘 후 볼트를 돌려 끼우게 돼 있었다. 이는 동사 동급 후속차량인 프라이드 1세대도 동일한 부분이다. 일부 정비사는 너트 방식보다 이쪽이 더 신뢰도가 높다고는 한다. 고신뢰성 때문인지, 제네시스 같은 고급 브랜드 차량들의 휠 체결 방식이 볼트식으로 돼 있다. 메르세데스-벤츠도 상급 모델은 이런 방식이다.[30] 국산 최초라 하기에는 좀 애매한게, 새한의 레코드 로얄 디젤이 이미 있었다.[31] 시트로엥 2CV의 경우 1939년에 첫 출시했으나, 2차 세계대전으로 생산이 중단되었다. 종전 이후인 1949년 생산이 재개되어 약 40년 동안 날개 돋친 듯 팔리고 1990년 단종.[32] 당시 차량들은 몽땅 기계식이고 ABS나 LSD, 언덕길 밀림방지 등 운전 보조 장치 같은 것은 하나도 없었으며, 운전하기 까다로운 후륜구동 방식에 타이어마저 접지력이 형편없는 폭이 좁고 트레드가 얕은 거라서 21세기 운전자들은 혹 수동 변속기를 조작할 줄 안다 해도 운전하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