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엔터프라이즈

최근 편집일시 :

파일:기아 로고.svg 기아플래그십 세단 라인업
푸조 604

머큐리 세이블

포텐샤

엔터프라이즈

오피러스

K9 (현재)


1. 개요
2. 모델 설명
2.1. 라인업
3. 제원
4. 여담
5. 둘러보기
6. 관련 문서


KIA ENTERPRISE

1. 개요[편집]


감동의 세계

기아자동차에서 1997년 3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생산한 후륜구동 고급 대형 세단으로[1], 프로젝트명은 T3. 원래 초기에 기획된 모델명은 마젠티스 3600이었고 1997년 1월 17일 출시를 목표로 1996년 12월부터 라디오에서 티저 광고를 송출하기도 했는데,[2] 알 수 없는 이유로 이 명칭은 사장되고[3] 출시일도 미뤄지며 1997년 3월 18일 지금의 명칭인 엔터프라이즈로 최종 확정되어 3월 28일 출시되었다.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 위치한 기아 소하리 공장에서 생산되었다.


2. 모델 설명[편집]




[4]

포텐샤의 상위 차종으로 마쓰다 센티아 2세대 모델을 기반[5]으로 현대 다이너스티에 대항하기 위해 대한민국 취향에 맞게 헤드램프와 라디에이터 그릴, 후드탑 앰블럼과 범퍼 등을 좀더 웅장하고 권위적인 스타일로 손질해서 1997년 3월 27일 엔터프라이즈라는 차명으로 국내 판매를 개시했다. 전장이 무려 5,020mm.[6][7][8] 전륜구동이었던 현대 다이너스티대우 아카디아[9]와 달리, 쌍용 체어맨과 함께 후륜구동을 채택한 국산 최고급 대형 세단이라는 것이 특징이다.

엔진은 V6 2.5[10] 이 엔진은 포텐샤, 카니발, 크레도스 등 당시 기아 중대형 이상의 6기통급 라인업들에 두루 쓰이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당시 기아차 R&B 연구원에게 직접 확인받은 내용이다. 이것이 초기형 J5 엔진이고, 이것이 후기형 GV6 엔진이다. 이건 2000년형 엔터프라이즈 출시 당시에 자동차생활에서 작성했던 기사이다. ], 3.0, 3.6 엔진까지 총 3종이 존재했다. 1997년 출시 당시 국내 최대 승용차 배기량[11]을 기록했던 3.6리터 엔진은 포텐샤부터 쓰던 마쓰다의 3리터급 V6 JE-ZE 엔진의 배기량을 기아자동차에서 자체적으로 확대시킨 것으로, 3.6리터라는 숫자는 당시 경쟁 모델의 배기량이 3.5리터였던 점을 다분히 의식한 숫자였다. 전장이 5,020mm라는 것도 그렇고 숫자 장난이 좀 많다... 변속기는 3가지 엔진 모두 4단 자동변속기가 맞물렸다. 최고 모델인 3.6리터 엔진의 출력은 당시 기준 230마력, 최고속도 230km/h이다.

차량 특성은 앞뒤로 긴 전형적인 세단. 특히나 엔진 후드나 트렁크나 길고 평평한 외관은 딱 봐도 포텐샤의 후계 차량임을 짐작케 하는데, 이는 포텐샤의 원형이 된 마쓰다 루체 5세대의 후속 차량이 마쓰다 센티아였기에 당연지사.

1998년 출시된 그랜저 XG와 마찬가지로 스포츠카에 주로 장착되는 프레임리스 도어를 적용하여[12] 도어에 유리가이드가 없고, 차체에 유리고무가 부착되어서 유리창을 내리고 문을 열었을때는 아주 독특한 느낌을 줘서 그나마 올드한 느낌의 차량에 멋을 부여해 주었다. ADS라는 전자제어식 현가장치를 장착했으며[13] INTELLIGENT CONTROL이라는 ECU를 포인트로 밀어서 광고했었다. 국내에서 최초로 선보인 뒷좌석 안마 기능 또한 엔터프라이즈의 빼놓을 수 없는 자랑거리. TV가 달린 AV 시스템에, 당시 국산차에서는 보기 드물게 아웃사이드 미러 폴딩 스위치까지 달아서 나왔다.

후륜구동답게 주행성과 코너링에서는 합격점을 줄 만했지만 하체 부품, 특히 후륜 부싱류가 내구성이 떨어졌었고 처음으로 만들어 본 조절식 댐퍼(일명 쇼바)의 극도로 짧은 수명은 문제였다. 무엇보다 1997년 외환 위기로 망해 버린 기아자동차의 이미지는 성공의 상징으로 선택하는 최고급 차량의 상품 가치를 심하게 훼손시켰다. 후속 차량급인 오피러스[14]EF 쏘나타의 플랫폼을 활용한[15] 현대의 전륜구동 차량이었고, 순수 기아자동차의 계보는 이 차량을 마지막으로 끝을 맺는다. 현대자동차가 기아자동차를 인수한 뒤에, 정주영 회장이 시승해 보고 상당히 놀랐다고 한다. 이렇게 좋은 차를 어찌 이렇게나 못 팔았냐며...[16]


파일:dnpd1521601544.jpg


파일:dnpd1521601551.jpg

리무진 모델
알려지지는 않았으나, 에쿠스나 체어맨처럼 B필러를 늘린 리무진 모델이 존재한다. 10대 한정 생산이었으나, 실제로는 6대를 제작하여 판매 했었다는듯. 이 중 한 대가 정주영 회장의 2호차였다고 한다. 또한 인테리어 트림 종류 중 하나로 나전칠기가 고려된 적이 있었으나, 진품을 쓰면 효율성이 떨어지고, 모조품을 쓰자는 제안도 나왔지만 결국은 흐지부지되었다고 한다.

2001년 건설교통부에 의해 엔진출력 과대 표기가 정정되었을 때, 이 차의 3리터 엔진의 출력이 194마력에서 160마력으로 자그마치 34마력이나 내려갔다. 이는 2.5 엔진의 157마력(175마력에서 정정)과 고작 3마력밖에 차이나지 않는 수치. 다만 이 당시까지만해도 국산차들이 그로스 (GROSS) 출력[17]을 네트 (NET) 출력보다 더 많이 사용해서 이러한 문제가 생긴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리고 배출가스 규제에 걸려서 3.6리터 엔진은 더 이상 장착할 수 없게 되었다.

기아자동차 승용 모델의 최고봉이었으나 기아자동차의 부도로 이미지가 실추되면서 판매량이 반토막났고 여기다 1999년 현대 에쿠스가 출시되면서 사실상 최대 배기량 및 전장 기록을 에쿠스에게 넘겨 주고 말았다. 게다가 경제 상황까지 나빴으니 판매량도 안 나오고, 마쓰다 측에 줘야 할 로얄티 문제도 있어서 묻힐 수 밖에 없었다. 결국 2003년까지 근근히 양산되다가 결국 기아 오피러스에 자리를 넘겨주면서 단종되었다. 또한 메르세데스-벤츠의 후광을 업고 있던 후륜구동쌍용 체어맨 역시 강력한 경쟁차였다.

엔터프라이즈의 실질적인 후속 모델은 10년 후에 출시된 K9 1세대다. 오피러스는 에쿠스나 체어맨보다 한단계 아랫급으로 포지셔닝된 반면 엔터프라이즈는 당시 에쿠스, 체어맨과 거의 동급이었던 후륜구동 대형 세단이었기 때문.[18]

게다가 K9은 1세대부터 소하동 공장 생산이다. 오피러스는 처음엔 화성공장에서 만들다가 뒤에 소하동으로 옮겼다.


2.1. 라인업[편집]


  • 2.5 STD(25,242,000원)
  • 2.5 DLX(27,130,000)
  • 3.0 SL(34,500,000원[전기형]/33,680,000원[2000년형])
  • 3.6 CEO(41,500,000원[전기형]/41,470,000원[2000년형])

3. 제원[편집]


ENTERPRISE
생산지
[[대한민국|

대한민국
display: none; display: 대한민국"
행정구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코드네임
T3
차량 형태
4도어 대형 세단
승차인원
5명
전장
5,020mm
전폭
1,810mm
전고
1,435mm
축거
2,850mm
윤거(전)
1,525mm
윤거(후)
1,545mm
공차중량
1,640 ~ 1,740kg
연료탱크 용량
70L
타이어 크기
215/55R15
225/50R15
구동방식
앞엔진-뒷바퀴굴림
전륜 현가장치
더블 위시본 기반 멀티링크 서스펜션[19]
후륜 현가장치
더블 위시본 기반 멀티링크 서스펜션
전륜 제동장치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후륜 제동장치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파워트레인[20]
엔진
엔진 형식
과급 방식
배기량
최고 출력
최대 토크
변속기
기아 J5
2.5L V형 6기통
자연흡기
2,494cc
175ps
21.5kg·m
4단 자동변속기
기아 K5[21]
2.5L V형 6기통
자연흡기
2,497cc
151 → 170 → 157ps
21.3kg·m
기아 JZ
3.0L V형 6기통
자연흡기
2,945cc
205ps
27.1kg·m
기아 JO[22]
3.0L V형 6기통
자연흡기
2,954cc
182 → 194 → 160ps
26.5 → 24.4kg·m
기아 J6
3.6L V형 6기통
자연흡기
3,605cc
230 → 205 → 220ps
32kg·m


4. 여담[편집]


  • 김선홍 당시 기아그룹의 회장의 차량이 이 차였다. 엔터프라이즈 이전에는 포텐샤를 사용했었다. 기아그룹 회장이었던 만큼 자사의 플래그십 세단을 의전차량으로 사용한 것이다.
  • 신창원다이너스티2세대 스타렉스와 같이 도주에 동원한 차량이다.[23]
  • 가수 김건모의 차가 한 때 이 차였었다.
  • 기아자동차가 부도 및 법정관리 당시 차범근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과 배우 최진실노 개런티로 기아차의 광고를 나서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후에 기아차 측에서는 회생 후 감사의 의미로 차 감독에게 엔터프라이즈 3.6 CEO 모델을[24] 기증했다고 한다.#[25]
  • 이 차의 이름과 동일한 농구단이 한국 프로농구단 중 하나인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의 전신인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 농구단이었다. 2001년에 모회사가 현대모비스로 바뀌며 개명되었다.
  • 이종범주니치 드래곤즈에서 복귀할 때 2001 시즌 연봉 3억 5천만원[26]에 덧붙여서 엔터프라이즈 1대를 받았다.
  • 영화 박하사탕에서 주인공 영호가 선로에서 자살하기 사흘 전에 운전했던 차이다.[27]
  • 이 차의 마쓰다 버전인 센티아는 4륜조향 옵션이 있었다. 엔터프라이즈 후륜 멤버에도 4륜조향이 들어갈 만한 흔적이 남아있다.
파일:146F6000-BA4F-4577-9E57-AEABFB8AF0EF.gif
  • 기아 베스타처럼 일본으로 역수출한 차량이 존재한다. 일본 치바현에 기아자동차 연구소가 있는데, 연구용으로 가져간 차량이라고 한다. 중국에도 있다[28]
  • 마쓰다에서는 엔터프라이즈의 형제차인 센티아를 고급화시켜 아마티 브랜드의 1000이라는 초대형세단으로 내놓을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무려 W형 12기통 4000cc 엔진을 장착할 예정이었으나 마쓰다의 자금난으로 인해 이 차는 세상의 빛을 보지 못 하고 사장되었다.
  • 현대 투스카니 엘리사 출시 이전까지 알게 모르게 가장 높은 국산차 최고속도의 자리를 꽤나 오랜기간 지켰었다. 당시에는 한국시장에서 최고속도 240km/h급인 V급 타이어가 막 선보이던 때이며 최고속도 210km/h인 H급이 주류였던 시절이라, 표기된 제원과는 관계없이 현대 다이너스티와 에쿠스는 무조건 220km/h에서 속도제한이 걸렸고, 쌍용 체어맨 1세대도 얄짤없이 215km/h에서 딸국하며 속도제한이 걸린데 반해, 기아는 대체 무슨 배짱이었는지 똑같은 H급 타이어를 장착해 놓고도 속도제한 장치를 아예 없이(...) 차를 내보내서 실제 속도라 할 수 있는 GPS 240km/h 돌파를 인증한 사람이 꽤나 많았었다.[29]
  • 기아가 현대에 넘어가기 전 마지막으로 출시한 대형 세단이다.
  • 크로바에서 유일하게 미니카를 생산했었다.
  • 무개차로 육군에 한 대 있는 것으로 확인되으며, 대령 전역식 같이 무개차가 많이 쓰이는 행사 정도에만 쓰이고 있다.

5. 둘러보기[편집]


기아
차량 목록


[ 연대별 구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 차급별 구분 ]





6.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12-27 04:14:09에 나무위키 기아 엔터프라이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15:45:15에 나무위키 기아 엔터프라이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때까지는 국내에 F세그먼트가 없어 E세그먼트가 대형차로 분류되었다.[2] 1996년 12월 30일 조선일보 자동차 섹션의 "새해 변형차종 쏟아진다" 기사에 의하면 '마젠티스' 말고도 '셀렌시아'라는 이름도 검토되었다고 한다.[3] 사장된 명칭인 '마젠티스'는 추후 기아 옵티마, 기아 로체의 수출명으로 재활용된다.[4] 이 광고의 문구는 마젠티스 3600으로 불리던 1996년 말 제작된 라디오 티저 광고의 문구와 명칭만 바꾸면 동일하다.[5] 단순히 마쓰다의 모델을 도입한 것으로 여겨질 수 있으나, 의외로 센티아 2세대 모델의 개발 초기 단계부터 기아자동차에서도 일부 참여하는 식으로 현대 그랜저만큼의 끈끈한 관계는 아니더라도 일종의 공동 개발이 이루어졌다. 1993년부터 기아자동차마쓰다 간의 공동개발 논의가 오갔었다고... 1992년에 기아자동차가 세피아의 언더바디를 독자 개발하고 JS2700 디젤엔진을 독자개발 했던 것에 대해 마쓰다 측에서 놀랐던 나머지 그 여파로 기아자동차의 개발 능력을 어느 정도 인정했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하여 우핸들 사양의 권리는 마쓰다가 가지고 있었으나 좌핸들 사양의 권리는 기아자동차 측에서 서로 반반으로 가지고 있었다고. 다만 센티아 2세대 모델과 기아 엔터프라이즈의 출시 간격이 1년 4개월이라는 간극이 있다보니 그 내막을 잘 모른다면 단순한 도입모델로 보일 수 밖에...[6] 마쓰다 센티아와 비교시 전장이 100mm 정도 길었으나, 휠베이스는 2,850mm로 동일. 범퍼의 사이즈를 키우는 식으로 차량 길이를 늘려서 '5미터가 넘는 최고급 대형 세단이라는 이미지'를 획득하려 시도했다.[7] 다만 센티아 쪽은 일본의 차체 규격에 맞추기 위해 숭텅숭텅 썰어낸듯한(...) 느낌이 있는지라 엔터프라이즈쪽이 디자인상 훨씬 자연스럽다.[8] 당시 기준으로는 5미터가 넘는 최초의 승용차라는 타이틀을 얻기도 했다.[9] 다만 아카디아는 보기 드문 세로배치 전륜구동이다. 이 레이아웃은 아우디가 써먹고 있다.[10] 1999년부터 GV6 엔진을 썼다.[11] 이는 1999년에 현대 에쿠스V8 4.5 오메가 엔진으로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12] 그런데 사실 이는 8 ~ 90년대 일본의 오너드리븐 고급차량에서는 상당히 흔한 방식이었다. 애초에 엔터프라이즈도 일본차 기반이었으니 당연한(?) 것이었다.[13] 엔트리 모델에선 빠져 있다.[14] 원래는 후속인 코드명 SJ 차량을 내놓으려고 했지만, 1997년 외환 위기로 취소되고, 현대자동차의 인수 이후 현대 다이너스티의 후속으로 개발하려던 차를 기아자동차에서 생산한 것이 바로 오피러스다.[15] 그래서 오피러스는 대형차보다 준대형차로 보는 경향이 크다. 현대자동차가 제네시스를 출시하기 이전에는 에쿠스 - 오피러스/다이너스티 - 그랜저 순이었고 이후에는 에쿠스 - 오피러스/제네시스 - 그랜저/K7 순으로 등급이 매겨졌다.[16] 그도 그럴 것이 본인의 본래 1호차인 현대 다이너스티전륜구동이었는데, 이 차는 후륜구동이었으니 승차감을 비롯하여 여러가지에서 차이가 날 만했다. 여담으로 왕회장 사후인 현대 에쿠스 2세대부터 현대차의 플래그쉽 차종은 아예 후륜구동으로 바뀌었다.[17] 엔진에다가 흡배기 매니폴드만 장착하고 출력을 측정하는 것.[18] 에쿠스 1세대는 전륜구동이다. 2세대는 당연히 후륜구동.[전기형] A B [2000년형] A B [19] 어퍼 위시본이 2개의 링크로 나눠진 형태에서 링크가 1개만 빠져 있다.[20] 정보 부족으로 확실하지 않을 수 있으니 주의.[21] 1999년식부터 변경[22] 2001년식부터 변경[23] 물론 저 세대 모두 자차가 아닌 절도 차량이었다.[24] 최고급 사양[25] 최진실은 카니발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26] 물론 3억 5천만원은 1시즌을 다 뛰었을 때 기준이고 실제로는 잔여시즌 연봉만 받았다. 8월에 복귀했으니 실제 수령액은 적다.[27] 당시 영호는 차는 엔터프라이즈를 타면서 정작 비닐하우스에 살고 있었다.[28] 중국에 있는 엔터프라이즈는 방치된 듯 하다(...). 상태가 영 좋지 않다(...).[29] 더불어 그 당시 대우 아카디아도 4단미션의 한계상 180km/h 이상 넘어가면 속도계가 느리게 올라갔지만 최고속도는 230km/h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