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길할 길

부수
나머지 획수


, 3획


총 획수


6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キチ, キツ


일본어 훈독


よし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지하철역
5. 유의자
6. 상대자
7. 모양이 비슷한 한자
8. 여담



1. 개요[편집]


吉은 '길할 길'이라는 한자로, '길(吉)하다', '상서롭다'를 뜻한다.


2. 상세[편집]


유니코드는 5409에 배당되었다.

이체자(선비 사) 대신 (흙 토)를 쓰는 𠮷이 있다. 유니코드에는 20BB7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GR(土口)로 입력한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 펼치기 · 접기 ]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임 (2015년 통계청 자료)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02 이
03 박
04 최
05 정
06 강
07 조
08 윤
09 장
10 임
11 한
12 오
13 서
14 신
15 권
16 황
17 안
18 송
19 유/류
20 전
21 홍
22 고
23 문
24 양
25 손
26 배
27 조
28 백
29 허
30 유
31 남
32 심
33 노
34 정
35 하
36 곽
37 성
38 차
39 주
40 우
41 구
42 신
43 임
44 나/라
45 전
46 민
47 유
48 진
49 지
50 엄
51 채
52 원
53 천
54 방
55 공
56 강
57 현
58 함
59 변
60 염
61 양
62 변
63 여
64 추
65 노
66 도
67 소
68 신
69 석
70 선
71 설
72 마
73 길
74 주
75 연
76 방
77 위
78 표
79 명
80 기
81 반
82 왕
83 금
84 옥
85 육
86 인
87 맹
88 제
89 모
90 장
91 남궁
92 탁
93 국
94 여
95 진
96 어
97 은
98 편
99 구
100 용




이 밖의 용례를 보려면 여기의 ファイルの使用状況을 참고할 것.

20세기 중반까지 남자 이름에 자주 쓰였지만, 후반부터는 사용 빈도가 줄어들었다.


3.4. 지명[편집]


  • 경상남도 창녕군 길곡면(吉谷面)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吉安面)
  •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吉祥面)
  • 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甫吉面)
  • 함경북도 길주군(吉州郡)
  • 경기도 안산시 신길동(新吉洞)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길동(新吉洞)
  • 서울특별시 강동구 길동(吉洞)
  • 서울특별시 성북구 길음동
  • 키치죠지역(吉)
  • 지린성(吉)

3.5. 그 밖에[편집]




4. 지하철역[편집]




5. 유의자[편집]


  • (상서로울 상)
  • (상서로울 서)
  • (상서로울 정)


6. 상대자[편집]


  • (흉할 흉)


7.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8. 여담[편집]


吉을 두 개 합치면 (밝을 철)[1], 세 개 합치면 (밝을 철)이 된다. 喆은 吉이 두 개이므로 흔히 '쌍길 철'이라고 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10:42:48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밝을 철)의 속자(俗字)이다.